"1%만 여기서 실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 공유 애플리케이션 '인스타그램'(@Instagrarn)이 트위터를 통해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냈습니다.
한번 풀어보시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Only 1% of the population can find the mitsake, can you? RT if you found it.
인스타그램(@Instagrarn)의 수수께끼는 바로 위의 문장에서 실수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문제가 너무 어렵나요?
그럼 힌트를 드리겠습니다.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건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창망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 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위의 문장을 빠르게 읽어보세요. 전혀 어렵지 않죠? 인간의 뇌는 단어의 앞 글자와 뒷 글자만 바르면 단어의 글자 배열이 어떻게 바뀌든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하네요.
자 이제 다시 인스타그램(@Instagrarn)의 문제를 풀어보시죠!
이제 아시겠어요?
맞습니다.
'mistake'의 철자가 ‘mitsake'로 바뀌어있네요!
아참!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을 또 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소개한 인스타그램(Instagram)의 트위터 계정이 ‘@Instagram’이 아니라 ‘@Instagrarn’이라는 것. 눈치 채고 계셨나요? 알파벳 'r'과 'n'을 이용해 'm'을 만들었군요.
'@Instagrarn'은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관련이 없는 팬페이지 계정입니다.
알고 보면 우리 눈은 글씨를 자세히 관찰하지 않고 쉽게 지나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