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아시안게임도 이제 종착역을 향해 치닫고 있습니다. 국제대회의 성공 여부는 크게 개최국의 성적과 대회 운영 능력, 그리고 관중의 열기 3가지 잣대로 평가됩니다. 개최국 성적과 관중의 열기는 차치하고라도 일단 대회 운영 능력 면에서 이번 아시안게임은 낙제점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게 중론입니다. 개회식이 열린 지난 9월 19일 저는 취재를 위해 인천시 서구 연희동에 건설된 아시아드 주경기장에 갔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지난 5월에 준공됐지만 경기장 곳곳은 ‘완공된 것이 맞느냐?’는 의심이 들 정도로 허점투성이였습니다. 이번 대회는 주경기장뿐만 아니라 자원봉사, 선수 수송 대책, 통역 등 여러 방면에서 빈틈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인천 아시안게임 유치가 확정된 날로부터 현재까지 7년 동안 아시안게임 준비 과정을 쭉 지켜봐왔던 기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오늘의 사태는 이미 ‘예견된 실패’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은 처음부터 ‘반칙’으로 시작됐습니다.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지난해 발간한 자서전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난 2007년 4월 17일 쿠웨이트에서 열린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의 최종 프레젠테이션을 앞두고 비상이 걸렸습니다. 당시 유치 희망국들은 프레젠테이션 마지막 부분에 대통령의 육성으로 ‘정부가 대회를 적극 지지한다’는 말을 넣는 게 관례였습니다.
하지만 당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전념하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인천의 아시안게임 유치가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반대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안상수 전 시장은 궁여지책으로 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 유치를 위해 ‘평창이 유치되면 정부와 국민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동영상을 입수해 ‘평창이’를 빼고, 나머지 대목을 프레젠테이션 동영상의 마지막에 끼워 넣었습니다.
당시 유치단에 동행했던 문화체육관광부 직원이 이를 보고해 청와대로부터 ‘삭제하라’는 지시가 내려왔지만, 유치총회에서 관련 동영상을 상영해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인천은 축제분위기였지만 김명곤 문체부 장관이 노 대통령의 진노를 사 서울행 비행기 안에서 억울하게 전격 경질됐습니다.
국가원수 동영상을 도용하면서까지 인천 아시안게임 유치에 성공했지만 안상수 전 시장은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송영길 전 시장에게 패배했습니다. 송영길 전 시장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주경기장 신축 문제였습니다. 그는 처음엔 신축에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인천시 서구 주민과 정치인들의 반발이 극심해지자 결국 당초 입장을 바꿔 신축을 결정했습니다.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의 신축 비용은 4천9백억 원. 문학경기장을 리모델링하면 2천5백억 원이면 충분했는데 신축하느라 무려 2천4백억 원을 더 들인 것입니다.
와.... 대통령 음성도용 하면서 까지 저짓 한거면 처벌 받아야되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