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지금까지 지하자원개발하기 위하여, 뚫었던 구멍 중에 가장 큰 구멍을 두 군데를 들라면, 하나는 미국 유타(Utah)주에 위치한 빙엄 캐년 광산(Bingham Canyon Mine)으로 주 생산품이 구리입니다. 다른 하나는 러시아 시베리아 동쪽 사하 공화국(Sakha Republic) 미르니(Mirny)에 위치한 다이아몬드 광산입니다.
이 두 광산은 규모가 가히 어마어마해서 구글에서 제공하는 위성사진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빙엄 캐년 광산(Bingham Canyon Mine)
케네컷 구리 광산(Kennecott Copper Mine)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빙엄 캐년 광산은 오쿼러 산맥 (Oquirrh Mountains)이 있는 미국 유타 솔트레이크 시티의 남서쪽에 위치한 노천 채굴 구리 광산입니다.
빙엄 캐년은 토마스 빙엄(Thomas Bingham), 샌포드 빙엄(Sanford Bingham) 두 형제가 1848년 이곳에 정착을 하면서 형성된 곳인데, 그 당시 그 형제는 광산에 대한 경험이 없었고 단지 목장으로 사용을 했습니다.
1863년에, 솔트레이크 시티 포트 더글라스(Fort Douglas)에 주둔했던 병사들이 캐년을 탐사하면서 납 광석(lead ore)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러자 같은 해에 빙엄 캐년 지역에 첫 번째 광산 광구가 만들어 집니다.
그로부터 30년 뒤인 1893년에 야금 엔지니어인 다니엘 잭클링(Daniel Jackling)과 광산 엔지니어인 로버트 겜멜(Robert Gemmell)이 노천 채굴 방식에 대한 혁신적인 공정을 개발하게 됨으로써 광산을 대규모 산업규모로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게 됩니다.
S 여기서 잠깐
다니엘 잭클링과 로버트 겜멜은 미국 유타주 역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인물입니다. 이들이 아니었으면 빙엄 캐년의 구리 광산 역사는 한참 뒤에나 시작됐을 것 입니다.
다니엘 잭클링 로버트 겜멜 Daniel C. Jackling Award
그 중에서도 특히 다니엘 잭클링의 공헌은 크게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기리지 위하여 1953년에 Daniel C. Jackling Award가 설립되어 Society for Mining, Metallurgy, and Exploration에서 “광산,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 등에서 기술적인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매년 수여하고 있습니다. 2014년 올해는 Newmont Mining Corporation의 CEO인 Gary J. Goldberg가 상을 받았습니다.
빙엄 캐년 지역은 광산으로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그 지역을 중심으로 Highland Boy, Copper Heights, Copperfield, Carr Fork, Heaston Heights, Telegraph, Dinkeyville, Terrace Heights, Greek Camp 및 Frog Town이라는 동네가 생기면서 많은 광부와 그들의 가족들이 살게 됩니다. 그 시점에서 인구가 약 2만명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1903년, 잭클링과 겜멜의 권고에 따라서 본격적인 구리 광산 개발을 하기 위하여 Utah Copper Company가 세워지고, 1906년 첫 번째 구리가 생산하기에 이르면서 현재까지 계속 생산하고 있는 것 입니다.
1906년부터 생산을 시작한 이 광산은 지금까지도 계속 구리 생산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채취 결과 현재 이 광산의 규모는 엄청나게 큽니다.
깊이는 970 m이고, 직경은 4 km나 됩니다. 면적은 1,900 acres이니깐 약 7,689,000 평방미터(m2)가 넘는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구리를 생산하니깐 더 깊이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계획으로는 2015년까지 지금보다 500 feet(약 150 m)는 더 깊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이 광산은 1966년에 Bingham Canyon Open Pit Copper Mine이란 이름으로 미국 역사기념물(National Historic Landmark)로 지정되었습니다.
2003년 빙엄 캐년 광산
미르니 광산(Mirny Mine)
미르니 광산 또는 미르 광산이라고 부르는 이 광산은 서두에 말씀 드린 대로,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동시베리아 쪽에 위치하고 있는 다이아몬드 광산입니다. 지금은 폐광이 되어 있는 노천 다이아몬드 광산인데, 그 크기가 직경은 1,200 m이고, 깊이는 525 m입니다.
빙엄 캐년 광산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구멍 사이즈가 큰 광산입니다.
다이아몬드를 대량으로 품고 있는 이 광산을 발견하게 된 것은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Yakut Auton1o1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Yakut ASSR)시절 소련의 지질학자인 Yuri Khabardin, Ekaterina Elagina 및 Viktor Avdeenko에 의하여 1955년 6월 13일에 발견합니다.
그들은 다이아몬드와 관련이 있는 볼케이노 암석 킴벌라이트(kimberlite)를 추적해 가면서 발견을 하였던 것 입니다. 1954년에 발견한Zarnitsa 다이아몬드 광산에 이어서 두 번째로 큰 발견이었는데, 이 발견으로 인하여 소련이 수여할 수 있는 가장 큰 상인 레닌 상(Lenin Prize)을 1957년 Yuri Khabardin에게 수여하게 됩니다.
1957년부터 본격적인 다이아몬드 채굴에 들어가서 2001년 6월에 폐광하게 됩니다.
이곳은 시베리아 지역의 날씨로 워낙 추워서 광산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적은 바로 날씨였습니다. 1월 평균 기온이 -31.5℃나 되다 보니, 겨울에는 제트엔진까지 동원해서 녹여가면서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소련이 붕괴되기 전까지는 국가에서 광산을 운영하다가, 붕괴된 후 1990년 대에는 Sakha diamond company에서 운영을 하다가 러시아에서 가장 큰 다이아몬드 생산 업체인 Alrosa가 최종적으로 운영하다가 폐광을 하게 됩니다.
1980년 12월 23일에 이 광산에서 생산된 최대 크기의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는데, 그 무게가 무려 342.5캐럿(68 g)이었다고 합니다. 이 다이아몬드를 기념하기 위하여 그 이듬해 2월에 개최된 소련 공산당 회의(Congress of the CPSU(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에서 아예 그 다이아몬드 이름을 Congress of the CPSU로 명명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 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브레즈네프에게 아부하려고 그랬는지 모르죠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