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카스테라를 처음 맛 본 조선 선비 이기지 . jpg

악의와비극 작성일 18.12.23 21:26:35
댓글 7조회 4,780추천 15

154556794913291.jpg

154556795273847.jpg

154556795646819.jpg

비록 한반도에서는 아니지만그 보다 앞서 빵을 맛본 조선인이 있었다. 1720년 이이명(李?命, 1658?1722)이 연행사로 베이징에 갈 때 함께 갔던 그의 아들 일암(一菴이기지(李器之, 1690?1722)가 바로 그중 한 사람이다.

 

 

1720년 정사(正使)와 부사(副使), 서장관(書狀官)을 비롯한 도합 541명에 달하는 대규모 조선사신단이 북경으로 향했다연행기간 146일 동안 왕복 6300여리(약 2500km)를 오간 이 사행단에 일암(一菴이기지(李器之.1690-1722)라는 사람도 있었다. (출처연합뉴스입에 들어가자마자 녹은 서양떡 카스테라")

 

 

그는 이 때 보고들은 내용을 일암연기(一庵燕記)라는 기행문으로 정리했다이에는 북경에 머물면서 천주당에서 서양 문문을 접하며 겪은 장면이 여럿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서양떡과의 만남이다아버지 이이명을 따라온 이기지가 북경의 천주교 남당을 방문한다.

 

 

포르투갈 신부 수아레즈마갈렌스카르도소그리고 독일 선교사 쾨글러가 이들을 정중히 맞았다이기지는 일행이 돌아가고도 홀로 남아 서양인과 수다를 떨었다간식도 나왔다노란 빛깔이 인상적인 과자, ‘계란병으로 기록된 과자였다. (출처음식 문헌 연구자 고영아리고 쓰린 카스텔라 담론)

 

 

 

"서양 떡 30 개를 먹으라고 내왔는데 그 모양이 우리나라의 박계(薄桂 밀가루에 참기름과 꿀을 섞어 반죽해서 직사각형으로 크게 썰어 기름에 지진 조선의 과자)와 비슷하게 생겼다입 안에 넣자마자 녹았는데 그 맛이 부드럽고 감미로왔다참으로 기이한 맛이었다재료는 밀가루달걀사탕가루 등이라고 한다."


 

맛에 대한 기억만큼 뇌리에 오래 남는 것도 없다일암은 베이징에서 돌아오자마자 달콤하고 부드러운 서양 떡가수저라(카스텔라만들기를 시도한다.

 

 

일암은 베이징에서 먹었던 카스텔라의 부드럽고 달달한 맛을 잊지 못해 레시피를 소중하게 간직하고 조선으로 돌아오는 여정에 올랐을 것이다그의 머릿 속에는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접촉했던 천문지리음식에 대한 선진 문명을 조선에 어떻게 도입할지에 대한 고심과 함께 카스텔라 만들기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있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빵의 역사를 말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일화가 바로 일암 이기지의 베이징에서 먹어본 카스텔라이다바로 그 일암 선생이 내가 사는 고장 충남 부여에서 출생한 사람이며 부친은 좌의정 이이명이며 모친은 구운몽의 작가인 서포 김만중의 딸이다. 

악의와비극의 최근 게시물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