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LETED URANIUM
ETHICS OF THE SILVER BULLET
미래의 군인? 만약 열화우라늄탄을 사용한다면 이런복장은 30mm 열화우라늄탄 ( DU)
필수 일지도...
■ 열화 우라늄탄
열화 우라늄탄은 80년대 중반 미국에서 개발된 전차포탄으로 핵발전에 사용하는 우라늄 폐기물을 재가공해서 만든다.
원자력 발전에 사용하기 위해 우라늄235의 농도를 높여 추출하고 남은 것이 열화우라늄(Depleted U: DU)으로 무게가 납보다 7배나 무겁다. 이 때문에 탄환에 쓰일 경우 철갑탄에 비해 약 2배반정도 관통력을 높일 수 있어 대전차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미국 외에 영국과 프랑스등 일부 나토회원국 군들도 열화우라늄 무기를 보유하고 있고 120mm 탱크 포탄 한 발에는 약 4kg의 열화우라늄이 들어 있다고 한다.
핵발전에 사용된 우라늄 찌꺼기를 재가공해 만들었다고 해서 폐기 우라늄탄(UD·Depleted Uranium 탄) 또는 우라늄의 방사능성분이 줄어든 소재를 사용했다는 의미로 열화(劣化)우라늄탄, 감손(減損)우라늄탄으로도 불린다.
열화 우라늄 생성 과정(DU)
열화우라늄탄은 충격으로 연소하여 발생하는 방사능 먼지가 논란이 된다. U238이라는 기호명의 이 방사능 먼지는 반감기가 42억년이다.
미군이 열화 우라늄탄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지난 91년의 걸프전 때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98년 코소보 사태에도 사용되면서 국제적 논란이 됐다.
열화 우라늄 폭탄이 걸프전에 참여한 미군들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걸프전 증후군'이라는 이상 증상의 주범이라는 주장이 참전군인과 환경단체들로부터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가루로 변한 DU는 호흡을 통해 인간의 폐로 들어가 인체의 면역체계를 파괴해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고 기형, 불임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99년 78일간의 코소보 공습 당시 나토는 모두 3만1천 발 이상의 장갑 관통용 열화 우라늄탄을 사용했으며 미국은 보스니아에서도 이 무기를 사용했다. 이후 이 공습에 참여한 군인들의 건강 이상 징후인 '발칸 신드롬'도 나타나 열화 우라늄탄의 인체유해 여부에 대한 공론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 국방부는 열화 우라늄탄이 재래식 폭탄 정도의 피해 밖에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래는 최근 이라크에서 발생 하고 있는 DU로 인한 피해로 추정되는 어린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