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왕봉함에 들어간 고속상륙정은 스페인제 LCM-1E?일단 천왕봉함에는 "고속상륙정"이라 이름붙여진 LCM이 함수 갑판에 두 척, 함미 도크에 한척 적재합니다.다만 이 고속상륙정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대로 발표된 적도 없고, 개발계획이나 사양이 공개되지 않았지만천왕봉함에는 독도함에 있는 크레인의 개량형, 65톤짜리 크레인이 들어가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비슷한 체급의 LCM을 살펴보던 중, 천왕봉함의 LCM은 스페인 나반티아사에서 만든 LCM-1E와 크기와 모습이동일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제가 독도함에 있는 고속상륙정이 LCM-1E와 같다고 생각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워터제트를 추진기관으로 탑재했다.2.홀수선이 비교적 낮아 20노트 이상의 최고속도를 낼 수 있다3.함교의 모양과 함수 도크의 삽날같은 외양이 동일하다. LCM-1E는 스페인과 호주가 사용하고 있는 상륙정으로,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급 상륙함,호주 해군의 캔버라급 상륙함, 마두라급 상륙함 등에 쓰일 예정이거나 쓰이고 있습니다.경하 배수량이 55.7톤으로, 2대의 디젤엔진을 장착하여 최고속도 22노트를 낼 수 있기 때문에기존 LCM보다는 훨씬 빠르고, 그래서 고속상륙정이라는 표현을 해군이 쓴 것 같습니다.LCM-1E 만재배수량은 110톤이므로, 흑표 전차 1기를 탑재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2.무장운용과 자체 전투체계는 윤영하급을 응용했나?결론적으로, 천왕봉함의 마스트에 있는 탐색 레이더, EOTS 광학 탐색기, 2차원 레이더는모두 윤영하급에 달린 제품과 같은 것임을 확인했고, 윤영하급에 달린 ESM(전파원 탐지기)역시 동형인 것으로 믿어집니다.
문제는 이 센서들을을 활용해서 천왕봉함이 자체적으로 무장을 잘 운용할 수 있을까인데, 일단 40mm 노봉 함포를 사용한 윤영하급의 교전:대 수상전, 대공전 전투는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다만 윤영하급과 달리 천왕봉급은 추적 레이더가 없는데, 추적 레이더는 탐색 레이더보다 정밀한위치정보를 제공하여 낮은 RCS 표적의 탐지 실패율을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노봉의 대공전 능력을 100% 활용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해상 표적에 대한 대응은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보시면 아시다시피 전자 광학 추적장비가 윤영하급은 마스트 후방에 달려 있었고,천왕봉급은 마스트 전방으로 위치가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전자 광학 추적장비가40mm 노봉 기관포와 연동되어 운용한다는 점이 좀 더 명확해지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매니아들 사이에서 논쟁이 될 만한 것은 해궁 미사일을 이 센서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인데요.기본적으로 해궁 미사일을 유도하는 데 필요한 위치정보는 윤영하급에 탑재된 탐색레이더, 그러니까유효 탐지거리 30km 수준의 3차원 레이더라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해궁의 최대 사정거리가20km 미만으로 이야기 되고 최소 사정거리 3km 내외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1회의 교전기회만있을 것 같아서 걱정이 됩니다. 수직 발사 방식이기 때문에 일단 한번 올라와서 꺾이는 시간이 필요하고, 미사일에는 최소 사거리가 있으니까요. 이 문제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말씀드려 볼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LPD-17아나 CVN-68에서 쓰이는 Ship Self-Defense System (SSDS) mk.2 라는 미제 장비와 함께요. 3.MASS 유도탄 기만기MASS는 독일 라인메탈사에서 만든 대유도탄 기만체입니다. S&T 중공업이 라이센스 생산하는 MASS는기존 다게이와 이런 점이 다릅니다.1.훨씬 작고 가볍다.2.레이더 유도 미사일 기만뿐만 아니라 적외선 유도 미사일 기만도 한다3.싸다. 기본적으로 MASS 기만기는 고속정 용으로 개발이 시작되었고, 캐나다의 헬리팩스급을 제외하면아직까지 대형함에 설치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아마 MASS가 장착된 전투함중 천왕봉함이가장 큰 규모일 것입니다. 또한 MASS는 적외선 대함 유도탄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만기입니다. 요즘 적외선 유도탄은영상 시커 방식으로 형상을 인식하기 때문에, MASS는 적외선 연막탄을 함정 단면 모양으로 발사합니다.즉, 함정의 실루엣에 따라 그 실루엣과 비슷한 모양으로 적외선 연막탄을 치는 것이죠.
< 출처 : 유튜브 >
여기를 보시면 MASS가 적외선 유도탄을 어떻게 대응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함정보다 큰 적외선 연막을 치는데, 이 때 함정 모양과 미사일 거리를 감안해서 함정을 "숨깁니다" 미사일이 영상 시커를 가지고 있어도 이것은 대처하기 힘들죠. MASS 기만기의 성능 향상형으로는MASS_DUERAS 라고 있는데요,이 MASS 기만기 위에 잠수함 기만용 로켓을 추가 장착한 것입니다.
천왕봉함에 장착된 MASS는 이 DUERAS는 아닌 것으로 판단 됩니다. 다게이보다 작고 가볍고 싸지만, 이 MASS는 비정규, 연안 해상작전에서 효과를 발휘합니다.MASS의 기만 대상으로는 대형 미사일 뿐만 아니라, AT-4 대전차 미사일이나 소형 로켓과 같은 게릴라 세력의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는 점은 천왕봉함의 생존성에 중요한 요소일 것 같습니다. 4.VLS?EBS 다큐에서 나온 바로는 연돌 반대쪽에 4셀의 VLS가 있고, 거기에 각 셀에 두 발씩해궁 유도탄요격 미사일을 장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상부 구조물의 특성상 길이는 모르지만폭과 중량은 KLVS 4셀을 충분히 장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개발 완료까지의 시간이다소 걸리겠지요. 5.방화정 실드 모양세종대왕함은 스텔스성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었는데요, 방화정 격납고도전파의 난반사를 막기위한 특수 셔터가 있었습니다. 아래에서 위로 내려가는 모양이었는데,천왕봉함은 그보다 훨씬 단순한 모양을 하고 그 크기도 큽니다. 6.기타..천왕봉함에서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은 TACM의 유무인데, 해군은 천왕봉함에 TACM을 장착했는지 여부를밝히지 않았습니다. 만약 TACM이 장착되어 있다면, 함미 도크쪽 양 끝에 발사기가 장착되고, 도크 양 측면의 구멍이 TACM 탐색용 소너가 격납되어 있을 것입니다만, 현재로서는 천왕봉함에 잠수함 기만기TACM의 장착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천왕봉함 게시글이 올라왔길래, 알아보던도중 신기한부분 몇가 지가있어 나누고자 올립니다. 출처: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pn=1&num=75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