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호러 장르 특성 상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뼈만 남은 말이 달리는 장면이 나오는 단편 실사 영화 '말의 뼈' (1881), 해골 모형이 춤추는 단편 실사 영화 '해골의 즐거움' (1897), 운동을 열심히 해야 결핵에 안 걸릴 수 있다는 건강 캠페인을 다룬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결핵에 맞서는 법' (1918), 유쾌한 코미디 장면에 음악과 댄스로 구성된 디즈니 뮤지컬의 초기 작품 '춤추는 해골' (1929) 등 해골을 소재로 다룬 작품들은 과거부터 여럿 있었습니다.
해골의 소재로 다룬 작품들 중 1908년에 나온 '해골의 절규' (The Screaming Skull)는 흑인 노예의 해골 민담에 영감을 받은 단편 소설 작품으로 내용은 '찰스 브래독'이 자신과 함께 살던 '루크 프랫' 박사에게 녹인 납을 귀에 부어서 죽인 살인 사건에 대해 이야기해준 뒤, 얼마 되지도 않아 프랫 박사의 아내가 갑자기 사망하고, 브래독은 녹은 납 흔적이 있는 국자를 발견하지만 이를 바다에 버려 은폐했는데, 그 뒤 프랫 박사 역시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며 시신 옆에 한 해골이 발견되고, 이후 프랫 박사의 집을 물려받은 브래독은 해골을 치워버려 하지만 그 때마다 다시 브래독의 주변으로 해골이 다시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아래 내용은 원작 소설도 수록된 '명작 단편 소설 복수 이야기 2'의 작품 소개를 교보문고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1. 해골의 절규 (The Screaming Skull by F. Marion Crawford)
살다가 지겨워지고 부부간에도 증오감이 커지면 마누라도 죽이는 남자들이 꽤 있는 모양이다.
하긴 영국 추리 소설에는 마누라를 죽이는 남편들의 얘기가 꽤 많다.
그런데 이 단편에서는 죽은 마누라가 가만히 있지를 않고 복수를 하러 돌아온다. 저자 프랜시스 매리온 크로포드는 영국의 작은 마을 베티스컴에 내려오는 이야기에서 소재를 따왔다고 하는데 그 마을에서는 아직도 그 해골이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이 작품은 1958년 같은 이름으로 영화화 되었다.
1908년도 작품이지만 조금도 지루하지 않다.
2.로마열병 (Roman Fever by Edith Wharton)
두 미국 중년 여인이 로마를 다시 방문한다.
이제는 고대의 유적만이 남은 팔라틴 언덕과 포럼 광장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라고 두 여인은 말한다.
하지만 두 여인은 서로 다른 이유에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다. 문제는 두 서로 다른 이유가 서로 절묘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
건성으로 읽다 보면 너무도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는 이디스 워튼의 정교하고도 치밀한 구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요즘 젊은 세대가 즐기기에는 약간 문체가 고답적이라는 사실만 빼면 참으로 탁월한 단편이다.
정교한 구성으로 짧은 시간 안에 간결한 대화로서 많은 분량의 사실들이 노출된다. 아마도 이만큼 치밀하고 압축된 단편은 발견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 반전과 결말은 가히 충격적이다.
3.어떤 복수 (Avenger by Anton Chekhov)
복수를 너무 숙고하거나 스스로의 안위를 너무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제대로 되지 않는 법이다. 복수 소설이라기보다는 유머 소설에 가까울 정도로 가벼운 필치로 여전히 단편의 거장다운 솜씨를 체호프는 보이고 있다.
'해골의 절규' The Screaming Skull (1958)
위의 작품은 이후 우연인지, 의도한 것인지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에 동시 개봉용 초저예산 B급 영화로도 제작됐으며, 내용은 런닝 타임이 1시간 이상인 장편 영화 분량을 채울 수 있게 대폭 각색하여 이전에 소개한 소설이 원작인 '레베카' 실사판, 연극이 원작인 '가스라이트' 영화판처럼 전처를 잃은 남자와 결혼한 주인공이 비명소리와 해골로 인해 공포에 시달리며, 남편은 주인공이 정신 이상으로 착각한 것에 불과하다고 가스라이팅하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미리 구상해뒀던 내용 중 일부는 촬영 당시 배우의 임신으로 인해 포기해야 됐으나(계단에서 굴러떨어지는 내용 등), 대신 동시기에 '윌리엄 캐슬'이 영화 보다가 공포증으로 사망하는 관객에겐 보험금을 드리겠다고 마케팅한 것처럼, 본작도 이 영화를 감상하다 무서워 사망하는 관객이 생길 경우 아무 비용 부담 없이 장례식을 치룰 수 있게 해주겠다면서 미리 예약된 관을 오프닝에서 보여주는 장면을 삽입하는 연출을 선보였습니다.
이 작품은 이전에 소개한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때와 마찬가지로 초저예산 B급 영화로 제작한거라 관리가 디테일하게 안 되다보니 저작권 등록절차도 제대로 안 이루어져 퍼블릭 도메인 작품들 중 하나가 된 뒤 B급 영화를 보면서 농담하는 프로그램인 MST3K에서도 공짜로 주워가고(?), CCC에선 흑백 원판 및 컬러 복원판 양쪽 다 공개 중이며(컬라판은 한국어 자막 지원), 만료저작물이라 한국의 공유마당에서도 무료로 다운로드가 가능해졌으며, Plex에선 컬러 복원판을 영어 자막과 함께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들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223198&menuNo=200026
https://watch.plex.tv/movie/the-screaming-sku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