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754);
-
-
-
-
-
-

[정치·경제·사회] 이참에 고위공무원 싹다 한번씩 털자
2025년 정치인 재산 순위 BEST 30 1. 안철수 의원(국민의힘): 1,367억8,982만 원2. 박덕흠 의원(국민의힘): 535억320만 원3. 전봉민 의원(국민의힘): 395억5,949만 원4.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340억5,035만 원5.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333억487만 원6. 이주환 의원(국민의힘): 258억8,094만 원7. 윤상현 의원(국민의힘): 240억5,523만 원8. 한무경 의원(국민의힘): 191억8,345만 원9. 정우택 의원(국민의힘): 175억6,792만 원10. 강기윤 의원(국민의힘): 120억2,305만 원11. 서병수 의원(국민의힘): 110억5,678만 원12. 김은혜 의원(국민의힘): 105억3,214만 원13. 조경태 의원(국민의힘): 98억7,654만 원14. 김기현 의원(국민의힘): 95억2,341만 원15. 이채익 의원(국민의힘): 90억1,234만 원16. 김태흠 의원(국민의힘): 85억6,789만 원17.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 80억4,567만 원18. 이명수 의원(국민의힘): 75억3,210만 원19. 성일종 의원(국민의힘): 70억9,876만 원20. 이철규 의원(국민의힘): 65억4,321만 원21. 신원식 (국민의힘) - 60억 2,135만 원22. 유의동 (국민의힘) - 58억 9,762만 원23. 박대출 (국민의힘) - 55억 4,120만 원24. 이종배 (국민의힘) - 50억 1,987만 원25. 김영식 (국민의힘) - 48억 7,541만 원26. 정진석 (국민의힘) - 45억 2,873만 원27. 최형두 (국민의힘) - 43억 6,589만 원28. 윤영석 (국민의힘) - 41억 9,305만 원29. 김선교 (국민의힘) - 40억 2,134만 원30. 장제원 (국민의힘) - 38억 7,456만 원 상위 30명 중 28명이 국짐ㅋㅋ 한때 하위 4위였던 사람한테 뭐하는거고ㅋㅋ 국힘 이새x들은 뭐 자괴감이 좀 안드는가ㅋㅋ 한번 싹 같이 털고털리자ㅋㅋ민주당도 몇명 걸릴지언정 너네는 80%이상 다 털린다고 장담한다
-
-
-
-
[정치·경제·사회] 지방소멸 해결을 위한 사업계획서
이 글은 제가 아이디어를 내고 챗지피티가 계획서 형태로 정리해서 만들어 준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입니다 [사업계획서 초안: 수정본] 1. 사업명 지방 생활기반 리스타트 프로젝트 – 심부름센터 기반 거점 생활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청년유입 스마트팜 연계 사업 2.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지방소멸 가속화: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 청년 인구 유출 심각- 기존 정책 한계: 인프라만 제공하고 ‘사람’을 유입시키는 데 실패- 반대로, 사람 중심의 생활 기반을 먼저 구축하고 수요에 따라 인프라 유도하는 거꾸로 전략 필요- 지역에 실질적인 수익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심부름센터+스마트팜’ 복합 모델 제안 3. 사업 목표 - 지역에 기반한 소규모 생활밀착형 거점 설치- 청년층 유입 및 정착 기반 마련- 노년층의 노하우와 청년층의 노동력 결합- 스마트팜·무인농장과 연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경기남부-충청권-세종권 연결 축 중심의 중장기 확산 전략 수립- UAV 및 GTX 등 미래형 이동수단 연계 가능성 확보- 고소득 노년층 대상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익 유인 확보- 시골 공동체의 따뜻한 분위기를 활용한 정서적 유인 강화 4. 추진 전략 1단계: 시범지역 선정 및 구축 대상 지역: 경기도 안성시, 이천시, 여주시 3곳 동시 시범 적용 주요 조치: - 거점센터 설치 (심부름 + 소형 물류 + 농업지원 + 생활서비스 통합)- 청년 대상 거주지 제공 및 활동 인센티브 지급- 노년층과의 협업체계 마련 (멘토링, 농업 도우미)- 전화 기반 및 음성인식 접수시스템 구축 (고령층 대응)- 실버타운 내 심부름 접수 거점 설치 및 지역사회 연계 구조 설계 2단계: 스마트팜 및 무인농장 결합 - 주요 품목 선정 (쌀, 고구마, 특산작물 등)- ICT 장비 도입 및 운용 교육 실시- 수익모델 기반 농업 운영- 지역 간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 가능성 타진- 무인농장이라 하더라도 노동력은 여전히 필요하므로 청년 유입 요소 유지 3단계: 충청권 및 세종시로 확산 - 거점 연결 네트워크 형성- 충청권 농촌과 연계하여 ‘지방생활권’ 모델 실험- 행정기관과 협력하여 정책 반영 가능성 검토 4단계: 실버타운 연계 모델 실증 - 실버타운 내 심부름 접수 거점 설치- 노년층의 재능기부 및 소일거리 연계- 세대 간 협업 구조 실험- 실버타운 거주자들이 지역 정착 청년에게 멘토링 제공 5. 기대 효과 -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인구 유입 모델 확보- 청년의 자립 기반 마련 (주거+일자리+공동체)- 노년층의 지속 가능한 역할 제공 (지식 전수)- 도시와 농촌이 연계된 생활권 모델 제시- 정부 및 지자체 협력 시 정책모델로 확장 가능- 이동수단 혁신과 지역기반 서비스 연계 모델의 미래지향적 가치- 공동체 정서 기반의 정착 유도 전략 확보 6. 수익모델 (개요) 생활심부름 서비스: 지역 내 배송, 장보기, 대리업무 등 유료화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 고소득 노년층 대상 정기 방문, 고급 대리서비스 등 농산물 판매: 스마트팜 생산물 자체 유통 (브랜드화 및 직거래 플랫폼) 스마트팜 운영 지원: 설비운용 대행, 노하우 컨설팅 등 서비스화 가능 지자체/정부 지원금: 인구유입 기반 정책과 연계, 농촌활성화 보조금 수령 가능 부가서비스: 마을카페, 공방, 공유주방 등 커뮤니티 중심의 자생 모델 7. 향후 계획 타당성 조사 → 3곳 시범지 동시 선정 지역 주민 및 유입 청년 대상 FGI (집단 인터뷰) 지자체 협력체결 및 부지·시설 확보 시범사업 실행 후 성과 분석 → 순차적 확산 모델로 전환 이런 기초적인 형태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사업계획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잘못된 부분이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부분 등 지적해주실 말씀 있으시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