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95);
      
                - 
          
                    
        
- 
          
                    
        
- 
           
            [스포츠] 명분없는 축협 사면
              축협 : 승부조작 42명 + 그 이외에 합쳐서 100명 사면하자K리그 연맹 : ???????? 미쳤음????????축협 : ㅇㅇ 사면 할꺼임K리그 연맹: 우린 반대임축협 : ㅇㅇ 사면 할꺼임 K리그 연맹: 표결로 정하자축협 : ㅇㅇ 사면 할꺼임K리그 연맹: ??????????????????축협 : 이미 기사 냈음 ------------------------------- 회장정몽규(1962年生)고려대학교영국 옥스퍼드대 정치, 철학, 경제학 석사현 부산 아이파크 축구단 구단주현 대한체육회 부회장전 동아시아축구연맹 회장전 현대산업개발 회장전 FIFA 평의회 위원전 AFC 부회장, 심판위원장, 집행위원전 2017 FIFA U-20 월드컵 조직위원장2016 리우올림픽 한국 선수단장전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전 울산현대 및 전북현대 축구단 구단주전 현대자동차 회장 부회장김기홍(1959年生)성균관대학교 행정학 학사동국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석사동국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박사현 법무법인(유) 율촌 상임고문대한체육회 특별보좌역전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 상근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전 문화체육관광부 관광국장/ 체육국장 /미디어정책국장  부회장조병득(1958年生)서울체고, 명지대학교현 대한축구협회 축구사랑나눔재단 이사장전 대한축구협회 대회위원장전 올림픽대표팀 코치(1995년 ~ 1996년)전 국가대표 선수(1979년 ~ 1989년)  부회장최영일(1966年生)동아대학교전 동아대학교 축구부 감독전 국가대표 선수(1994~1998)  부회장이석재(1958年生)현 경기도 축구협회장전 이천시 축구협회장  부회장이영표(1977年生)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전 강원FC 대표이사전 KBS 축구해설 위원전 국가대표 선수(1999~2011)  부회장홍은아(1980年生)이화여자대학교 체육학과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경영학)Loughborough 대학교 대학원 박사(스포츠 정책)현 이화여대 체육과학부 부교수현 FIFA 심판 테크니컬 강사현 AFC 엘리트 심판강사, 심판평가관, 심판분과위원회 위원전 FIFA U20 여자월드컵 조직분과위원회 위원FIFA U20 여자월드컵/ 베이징올림픽/ 런던올림픽/ 잉글랜드 여자FA컵 결승 주심  부회장이동국(1979年生)포항제철고, 위덕대학교TV 축구 해설위원전 포항스틸러스, 브레멘, 미들즈브러, 전북현대 선수전 국가대표 선수(1998년 ~ 2017년)  전무이사박경훈(1961年生)한양대학교 체육학과계명대학교 석사목포대학교 박사전 성남FC감독전 제주유나이티드감독전 전주대학교 축구학과 교수전 축구국가대표 선수(1981~1990)  대회위원장정해성(1958年生)중앙고, 고려대학교전 전남드래곤즈, 제주 유나이티드 감독전 국가대표팀 코치(1998년 ~ 2000년, 2008년 ~ 2010년)전 럭키금성 선수  기술발전위원장이임생(1971年生)부평고, 고려대학교현 대한축구협회 지도자 강사전 수원삼성 감독전 국가대표 선수(1992년 ~ 2002년)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마이클 뮐러(1965年生, 독일)쾰른 독일체육대학교 체육교육과현 대한축구협회 지도자교육 강사전 대한축구협회 기술발전위원장전 독일축구협회 전임지도자강사전 독일남자15세 및 18세 대표팀 코치전 독일남자21세 대표팀 스카우트전 독일축구협회 유스프로그램 총괄전 SV Darmstadt 98 코치전 UEFA P라이선스 취득  심판위원장김동진(1973年生)경북대학교현 안동과학대 축구학과 교수현 AFC 엘리트 심판강사전 프로심판, 국제심판  의무위원장서동원(1963年生)고려대학교 의학과현 바른세상병원 병원장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외래교수전 대한축구협회 의무분과 위원전 대한체육회 의무위원  공정위원장서창희(1963年生)서울대학교 법학과현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장검사전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윤리위원장유대우(1952年生)육군사관학교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전 육군협회 사무총장전 육군대학 총장전 국군체육부대(상무) 참모단장  사회공헌위원장조원희(1983年生)배재고등학교현 TV 축구 해설위원전 울산현대, 수원삼성, 위건, 수원FC 선수전 국가대표 선수(2005년 ~ 2009년)  이사박기찬(1959年生)경기대학교 토목공학 박사현 현암건설산업㈜ 대표이사현 서울용산구 축구연합회 회장현 용산복지재단 이사  이사한상신(1961年生)국민대학교전 이리동중학교 감독전 한국중등연맹 전무이사  이사양승운(1962年生)광운대학교현 광운공고 축구부 감독전 서울시 축구협회 전무이사전 남대문중학교 축구부 감독  이사박공원(1966年生)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과일본 중경대학교 석사영국 브링톤대학교 박사전 안산 그리너스 FC 단장전 서울이랜드 FC 단장전 한국프로축구연맹 이사  이사최광원(1966年生)충북대학교 체육교육학과현 대동초등학교 축구부 감독전 삼전초등학교 축구부 코치전 송정초등학교 축구부 코치  이사조연상(1967年生)한국외국어대 서양어대현 한국프로축구연맹 사무총장전 LG스포츠 마케팅및 홍보팀장전 LG CNS 통신미디어사업부 디지털스페이스팀장  이사정재권(1970年生)부산상고, 한양대학교현 한양대 감독전 부산대우, 포항스틸러스 선수전 국가대표 선수(1992년 ~ 1997년)  이사박건하(1971年生)경희대학교 체육학과전 수원 삼성 감독전 상해선화 수석코치전 이랜드FC 감독전 국가대표팀 코치(2013~2014)전 국가대표 선수(1996 ~ 1998)  이사박채희(1973年生)한국체육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C 박사현 한국체육대학 노인체육복지학과장현 여성체육학회 총무이사  이사김진희(1981年生)울산과학대학 사회체육학과현 대한축구협회 경기감독관전 축구국가대표 선수(1998~2008)  이사신아영(1987年生)하버드 대학교 역사학과현 국립생태원 홍보대사전 서울교통공사 홍보대사  사무총장전한진(1970年生)연세대학교동아시아축구연맹 부회장대한축구협회 직원(1997년 - 2017년)AFC 경기위원(2013년 - 현재)2006, 2010, 2014 월드컵 대표팀 행정지원총괄  회계감사이태호(1961年生)연세대학교서울대학교 석사현 삼일회계법인 고문현 건국대학교 겸임교수현 국민연금 대체투자위원회 위원  행정감사손호영(1965年生)동양대학교 경영학교 졸업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경영학 석사현 ㈜한국종합통신 / 대표이사현 경상북도축구협회 회장현 안동시 주민자치협의회 회장
            
           
- 
          
                    
        
- 
          
                    
        
- 
          
                    
        
- 
          
                    
        
- 
          
                    
        
- 
           
            [정치·경제·사회] 대한민국은 도시국가 + 출산율 문제 (feat. 슈카월드)
              수도권 인구 유입율, 그래프 추세를 보면 90년대까지 심화되가가00년대 이후 꾸준히 감소추세, 세종시 출범이후로 잠깐 주춤하더니행정수도 이전실패로 다시 수도권 유입율은 완곡하게 상승게  전체적인 수도권 유입인구는 급격하게 줄었으나, 문제는 20대 인구만19년 기준 95%, 즉 전국에 20대를 서울 수도권에서 전부 흡수수도권 1인가구 수도권전입의 73%가 20대임  20대 전입사유를 보면, 교육이 21% 주로 대학 진학을 위해 상경하고64%는 서울 수도권에 직장을 얻어 이주하는 인구로 총 85%가 해당  100대기업이 전부 서울 수도권에 몰려있고, 이외의 부산 대구 대전 광주 같은지방 광역시에 단한곳도 없음, 그래서 흔히 말하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양질의직장을 다니기 위해서는 무조곤 서울 수도권으로 이주해야 하는 상황  대학교 역시 소위 명문대로 불리우는 대학교 또한 대다수 서울에 소재함, 과거에 지방국립대 명문이었던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역시 급격히 몰락중 여기까지 보면 현재 서울수도권 극심한 집중화로 생기는 문제는1. 지방의 청년층의 이탈과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지방 몰락2. 양질의 일자리역시 전부 서울로 집중화되고, 대학교역시 서울에 위치하여지방경제가 파탄나고, 지방거점국립대역시 몰락의 가속화  그래서 전문가들이 모여 서울 수도권과 해외 대도시를 비교 연구 했음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세계 GDP 순위 10권 대도시 몇개를 비교해봤지만국토대비 우리나라처럼 비정상적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있는 나라는 단한곳도없었음, 시쳇말로 “서울 밖은 전부 시골” 이라는 말이 농담이 아니고 현실임 그런데 위에 비교군이 틀렸다고함,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나라는 홍콩, 대만임위 나라의 특징은 밀집도 높은 도시국가들임,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현재 우리사회에 대두되는 출산율 문제, 부동산 폭등, 교통체증, 높은 사회경쟁율, 취업난, 높은 자살율 등등 엄청난 부작용을 초래함반대로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서울수도권 팽창을 억제하고지방분권화를 하거나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수도권밖 대도시 광역시를 육성해야함  얼마전 일론 머스크가 트위트로 한국 출산율 문제에 대해 언급함, 200개 국가중 출산율이 0.84로가장 꼴찌를 기록함  이대로 가다가는 3세대 이후로는 100만명대로 인구가 자연소멸해버림그마저도 대다수 국민들이 노인들이라는 충격적인 전망……..  애만 안낳는게 아니라 결혼자체를 안함, 현재 30대 미혼율이 50%를 넘어섬아예 연애마저도 안하는 인구가 늘고있다고 함  지금으로부터 30년전 30대의 92%가 전부 기혼이였음, 불과 30년만에 무슨일이 생긴걸까?  이코노미스트 아시아 부국의 출산율문제 기사 와 슈카가 생각한 초저출산율의 원인을 요약하자면1. 전세계적으로 혼인율은 줄어들고 있지만, 동거하면서 사실혼 관계의 혼외자 출산율이 늘어나고있음 우리나라는 보수적이고 인식도 좋지않아, 혼인율과 혼외자 출산율 동시에 줄고있음 2. 교육비 부담이큼3. 높은집값(일본의 경우 아이러니하게도 오랜 저성장으로 부동산이 폭락하고 이때문에 다시 출산율이 반등하는 상황)4. 남여갈등의 심화5. 취직하고 대출받아서 집사고 - 결혼하고 애낳고 - 직장다니면서 대출갚고 이 전형적인 싸이클이 부동산 폭등으로 무너짐, 요즘은 취직해서 대출해도 집못사고 - 집없어서 결혼못함 - 직장 50년을 다녀도 아파트 대출 다 못갚음6. 역대 정부, 보수 진보를 망라하고 모두 출산율 정책에 처참한 실패 --------------------------------------------------------------------------- - 앞에서 언급했다싶이 지금이라도 당장에 서울 수도권 개발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잡고지방분권화나 지방 광역시를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야함 -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해결되면 출산율 문제, 부동산 문제, 교통체증, 취업난, 높은 사회 경쟁율등등 우리나라의 사회적 문제들을 완화 해결할수 있음 - 부동산문제 출산율 문제 일자리 문제는 그 어떤 정부에서도 성공하지 못했고, 통제할수도 없음궁극적으로 서울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해소해야하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문제의 심각성을 알지못하고사회적으로 논의조차 안된다면 일론머스크가 예상하는것 처럼 3세대 이후로는 우리나라 인구는 100만명대에진입하고, 국가의 경제는 물론 중국 북한 일본으로부터 안보 위협도 장담할수 없음 - 결국에 긴호흡으로 장기간에 걸쳐 차근차근 대법원 국회 중앙정부기관을 세종이나 지방으로 이전하고,기업들도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이전하도록 유도해야함 - 현 대통령과 여당은, 현재 당면한 수도권 집중화 현상에 문제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서울 재건축 완화와용적율 상향, 규제 완화하고, 수도권에 공급량을 대폭 늘리는 정책기조를 고수하고 있음, 야당이라도 지방분권화와지방거점도시 육성 정책을 낼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고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함(물론 야당도 매한가지로무능하고 멍청한건 알고있음) 이렇게라도 바꾸지 않으면 우리가 딱 수명을 다하는 시기에 대한민국도 망해서없어질지도 모름……… 이글 보고 제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했으면 좋겠음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R0HmuvWC5tg&t=683s       https://www.youtube.com/watch?v=Kf3Sz4fkYh4
            
           
- 
          
                    
        
- 
                    
            [정치·경제·사회] 오늘자 국힘당 장관 후보들 비리의혹 모음집 (업데이트 중)
            각 후보 인사청문회 전 현재 논란중인 사건에 대해 미리 이 글을 보시고 내용을 미리 읽어보신 후 인사청문회를 보시면 더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원희룡 https://news.nate.com/view/20220430n00803?mid=n0200"원희룡, 후원회에 친동생 채용 月200만원 지급"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0991.html[단독] 원희룡 단독주택 ‘셀프 용도 상향’ 최종 결재 문건 나왔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0446.html원희룡 ‘오등봉’ 타당성 보고서엔…‘공사비 과다 책정’ 등 지적 수두룩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52914&ref=A도내 학교 중 원희룡 모교만 체육관 2개…“특혜”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4/28/CNKIKP475FGBREVNIA6F34DNA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제주 오마카세서 1인 3만원?… 원희룡의 수상한 법카 지출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653[단독] 원희룡, 지역 건설사 대표 등에게서 후원금 받았다 http://www.jibs.co.kr/news/articles/articlesDetail/22764?feed=na원희룡, 또 '보은 후원' 논란 재점화 http://www.jibs.co.kr/news/articles/articlesDetail/22780?feed=na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교통위반 '수두룩'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2569원희룡, 4명 예약가능 제주 최고급 일식당서 18명 식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29158&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전두환에게 세배한 원희룡이 국토부장관이라니요?" https://www.nocutnews.co.kr/news/5746493[단독]원희룡, 과거 정치후원금 회계책임자는 친동생…5년 간 1억 급여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정호영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733453&plink=ORI&cooper=NAVER[단독] "정호영 아들 논문 생산 뒤 연구소 '부실 운영' 폐소"  https://www.news1.kr/articles/?4663651[단독] '3년간 꽃값 2000만원'…서로 다른 카드 막 섞인 정호영 업무추진비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56864하필 '아빠 강의' 수강한 정호영 딸…학교에 신고 안 했다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57072"오래 걸으면 재발" 4급 판정 뒤…정호영 아들, 8박9일 유럽여행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6172700001?input=1195m정호영 '월 2천만원 임대사업' 겸직 미신고…"규정 살피지 못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26/113084994/1“정호영 아들, ‘이공계 장학금’ 받고 의대 편입”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725644&plink=ORI&cooper=NAVER[단독] 정호영, 월 임대료 2천만 원 넘는데 '소상공인 공제'  https://dgmbc.com/article/zLzjjdiclAZ0DJ4C8RoYXs정호영 후보 자녀 봉사출석부 서명, 지원서와 달라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63031_35744.html[단독] '11개 자리 겸직' 정호영‥ 임대사업자 겸직 신고는 누락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2/04/357817/정호영, '자녀 입시·병역 의혹' 이어 심야법카 논란까지 '시끌' https://www.mbn.co.kr/news/politics/4750012[단독] 정호영 딸 인턴 합격 당시 '경북대 의사 자녀'만 6명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0630.html정호영, 캠프 경력 직접 작성해놓고…‘활동 없었다’ 거짓 답변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0658.html[단독] 정호영 딸 편입 때, 9개 국립대 의대 중 경북대만 ‘구술면접’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4/25/ISIASLMDSNGAHMRFHKWLFLUOW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전업주부’ 정호영 아내, 포르쉐 구입하고도 예금 3.8억 늘어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9758&ref=A자녀 입학 ‘기피 신고’ 기피한 정호영…심사 지원자들만 확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42420352992116“정호영 아들 '의대편입 제출' 논문 참여율 10~20%"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060과거 MRI 영상 제출 거부하고 재검사 받겠다는 정호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이상민 https://www.mbn.co.kr/news/politics/4750743[단독]이상민 배우자, 가족 운영 회사에서 2억 급여…종합소득 신고도 https://newstapa.org/article/uCAQL이상민, '친일재산귀속법'이 위헌이라는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 참여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40589.html단독] 이상민, 판사 때 과태료 ‘상습 체납’…차량 압류 11번이나 있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40868.html이상민 부인, 가족 운영 숙박업체서 ‘번역비’로 2억원 소득 https://www.ytn.co.kr/_ln/0103_202204250425059260[단독] 이상민, '사돈 제약사' 주식으로 차익...권익위 때도 거래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0169800001?input=1195m이상민 후보자 부인, 6년새 재산 10배↑…"부부간 증여 의심"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41814352766493이상민 후보자 아들, '아빠 사외이사' 계열사에 입사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4251612001이상민 후보자, 서울국제교육재단 감사 시절 ‘부실 감사’ 눈 감았나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9080100001?input=1195m이상민 행안장관 후보자, 강남 8학군 위장전입 의혹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19_0001839351&cID=10301&pID=10300한병도 "이상민 아내, 자녀 진학 시기 맞춰 위장전입 의심" http://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830300&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거물급 친일파, 그의 재산 변호한 행안부 장관 후보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7004832&code=61111111&cp=nv이상민, ‘판사청탁’ 연루돼…“권익위 취임 후에도 메일” https://www.ytn.co.kr/_ln/0101_202204212207409079이상민 후보자 부인, 친오빠 가족 회사에서 수상한 급여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9161200530?input=1195m이상민 후보자 딸, 고교 시절 '아빠 로펌'서 '스펙' 쌓기 논란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5975&ref=A이상민 ‘아빠찬스’, 아파트 사주려고 증여에 3억 원 보증까지 https://www.news1.kr/articles/?4656845이상민 후보자, 배우자 근로소득 이어 법률 상담 논란도(종합)   
            
           
- 
          
                    
        
- 
          
                    
        
- 
          
                    
        
- 
                    
        
- 
          
                    
        
- 
           
            [정치·경제·사회] 대전협 공식 입장문-그들은 왜 파업을 지속하는가?
            [입장문]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입니다. 2020년 8월 29일 오후 10시부터 개회된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비상대책회의 결과를 밝힙니다. 사실과 다른 보도 내용에 대한 확인 및 입장 발표와 함께 허위보도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전 전공의 대표자 대의원 총회 이후에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합의안에 대한 것이 아니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합의문 및 의학교육 및 수련병원 협의체 합의문이라는 2가지 추가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고 향후 파업 중단 계획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전공의 대표자 대의원 회의를 긴급히 개최하였습니다. 회의 전에 대한전공의협의회 모든 회원에게 비상대책회의가 개최됨을 문자로 공지하였고, 안건의 범위에 대한 것 또한 안내하였습니다. 회의 시작 전 참석한 대의원들에게 모든 회의 내용은 녹음되고 있음을 알리고, 표결 결과는 공개됨을 공지하였습니다. 비상대책회의 1차 투표 안건은 “합의문을 채택하고 단체행동을 잠정 ‘중단’ 할 것을 범투위에 상정한다”로, 이 안건에 대해 찬성 49표로 25.3%가 중단에 찬성, 기권 48표, 반대 96표로 49.7%가 단체행동 중단에 반대하였습니다. 정부 주장이나 기사에 보도된 내용처럼 단체행동을 '지속'할지 말지를 두고 의결한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칙에 따라 안건이 과반 동의를 얻지 못하여, 폐기되었습니다. 즉 파업을 ‘중단’하는 것에 대한 과반 동의를 얻지 못하여 “합의문을 채택하고 단체행동을 ‘중단’”하는 1차 투표 안건이 폐기된 것입니다. 해당 안건은 단체행동 중단에 대한 찬성, 반대 어느 쪽도 과반을 넘지 못하여 ‘안건 폐기’ 된 것이지, 파업 유지에 대한 찬성이 절반에 이르지 못하여 부결되었음에도 무리하게 재투표에 붙였다는 정부 측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의결 과정에서 절차상의 문제가 없었음을 다시 한번 강력히 밝히는 바입니다. 두 번째 안건은 참석한 대의원 대리가 긴급 상정한 안건으로 대의원들의 뜻을 한목소리로 주장하기 위해 “이후 모든 단체행동과 관련된 주요 의사결정을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위임한다”였습니다. 단체행동의 중단 여부까지 포함된 전권을 위임하는 안건으로 두 번의 수정 과정을 거쳐 ‘7일 동안’, ‘대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이 포함되어 “대의원은 이후로 7일 동안 모든 단체행동과 관련된 주요 의사결정을 대의원의 의견을 수렴한 비상대책위원장 위임한다”로 찬성 97표, 반대 77표, 기권 19표로 가결되었습니다. 2020년 8월 30일 오전 5시 비대위원장의 선언으로 휴회하였고, 오전 9시 성원 확인 후 속개하였습니다. 이후 첫 번째 안건에 “합의문을 채택하고 단체행동을 ‘중단’하는 것”에 대하여 대의원 의견수렴과정이 불충분하다는 의견이 있어, 시간 제한을 두지 않은 충분한 찬반 논의 끝에 파업 지속에 대한 분명한 결정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모아져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의 직권으로 ‘2020년 8월 30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총회 회의 결과에 따라 합의문 채택 및 단체행동을 중단한다’라는 안건을 상정했습니다. 그 결과 찬성 39, 반대 134, 기권13으로 단체행동 중단하는 것에 대한 반대 의견이 과반 이상으로 우세하여 가결되었음을 밝힙니다. 보건복지부와 및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제안한 합의문에는 ‘철회’ 및 ‘원점에서 재논의’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정부와 합의 제안 시마다 줄곧 ‘원점에서’ 또는 ‘전면 재논의’라는 단어를 명문화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의학교육 및 수련병원 협의체에서 함께 작성한 합의문은, 정부가 젊은 후배들을 향한 강경한 입장을 철회하고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대화가 시작되는 시점을 전제로 삼고 있으며, 이후 전공의 및 의대생들이 복귀한 후 정부 측의 일방적인 행위가 지속될 경우에 범의료계가 대응에 함께 나설 것을 약속한 증서입니다. 이 문서에는 단체행동의 중단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후 정부와 의사협회가 합의하는 내용을 따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세 번째 안건의 의결 결과로 인하여 단체행동을 유지하게 되어, 합의문의 내용은 무효가 되었음을 천명합니다. 본 회는 2020년 8월 29일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보건복지위원회장과의 간담회에서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의료계에서 문제를 제시한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관련 모든 법안에 대한 처리를 중단할 것을 약속받았습니다. 그간 정부와의 대화에서 부재했던 지역의료 불균형, 필수의료 붕괴, 공공의료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올바른 의료체계와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하였습니다. 반면, 의료계와 상의 없이 진행된 의대 정원 확대 추진 및 지역 의무복무 관련 법안과 공공의대 설립 정책에 대해 원점에서 재논의를 명문화할 수 없다고 고수하는 정부의 입장에 전공의들은 여전히 강력한 의문을 가지는 바입니다. 의료계를 분노하게 만든 의료 정책의 철회 없이, 이 모든 원인을 제공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임시방편으로 사태를 수습하고자 하는 모습은 정부가 이야기하는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듭니다. 우리의 목적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입니다. 의대 정원 확대 추진 및 지역 의무복무 관련 법안과 공공의대 설립 정책에 대한 ‘원점 재논의’를 위해 정책의 ‘철회’를 정부와 협의하는 것입니다. 1만 6천 전공의들은 하루라도 빨리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이 병원과 스승님들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의 진실된 태도와 대화를 요청하는 바이며, 언론을 통한 허위사실 유포와 왜곡된 보도를 중단할 것을 요청합니다. 2020년 8월 30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박지현 입장문 내용이 사실임을 보증하는 긴급 비상대책회의 참석자 전공의 대표 103인 가천대길병원 최석홍 삼성서울병원 장유진 가톨릭관동대국제성모병원 윤소연 삼육서울병원 전승훈 가톨릭대대전성모병원 김세희 새빛안과병원 김미정 가톨릭대부천성모병원 최나리 서울대병원 김중엽 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서민국 서울아산병원 서재현 가톨릭대성빈센트병원 이정음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이한영 가톨릭대여의도성모병원 최경철 서울특별시은평병원 김동희 가톨릭대은평성모병원 정지희 성애병원 송유경 가톨릭대의정부성모병원 이승훈 순천향대구미병원 전정진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신정환 순천향대부천병원 최윤원 강동경희대병원 강민정 순천향대서울병원 나상훈 강동성심병원 대리인(최의돈) 순천향대천안병원 대리인(홍석원) 강릉아산병원 윤성빈 아주대병원 대리인(최성욱) 강북삼성병원 이정민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성 강원대병원 조현욱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서상준 건국대병원 배재현 연세대강남세브란스병원 제연진 건국대충주병원 이재욱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이현도 건양대병원 장민정 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이종원 경북대병원 류호완 영남대병원 곽은철 경상대병원 홍석진 예수병원 대리인(서요셉) 경찰병원 대리인(장영수) 용인정신병원 한승리 경희대병원 남상휴 울산대병원 강호준 계명대동산병원 정원동 원광대병원 정일원 계요병원 박명현 원광대산본병원 이현준 고려대구로병원 이현수 원자력병원 우성원 고려대안산병원 박태준 이대목동병원 김형호 고려대안암병원 서대근 인제대부산백병원 백희원 고신대복음병원 오현철 인제대상계백병원 전공의 대표 광명성애병원 조영민 인제대서울백병원 김성근 광주기독병원 대리인(박준영) 인제대일산백병원 정택윤 광주보훈병원 박지연 인제대해운대백병원 함현석 국립법무병원 이태섭 인하대병원 양수철 국립재활원 박진호 전남대병원 박진왕 국립정신건강센터 김규호 전북대병원 심동오 국립중앙의료원 유제준 제주대병원 이상헌 김안과병원 임수현 조선대병원 이호종 노원을지대병원 김형균 중앙대병원 김진우 단국대병원 정주성 중앙보훈병원 정원상 대구가톨릭대병원 최용우 차의과학대학강남차병원 대리인(김찬우) 대구파티마병원 이동환 차의과학대학구미차병원 대리인(한나연) 대동병원 김명종 차의과학대학분당차병원 박준현 대전을지대병원 대리인 창원경상대병원 황시현 동강병원 대리인(이준기) 청주성모병원 김여송 동국대경주병원 배은우 충남대병원 대리인(윤상원) 동국대일산불교병원 이상재 충북대병원 김윤호 메리놀병원 손현우 한림대강남성심병원 대리인(김성하) 명지병원 조숭환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마철규 부산광역시의료원 이우명 한림대성심병원 구병모 부산대병원 강병진 한림대춘천성심병원 김용빈 부산보훈병원 임지훈 한양대병원 이용준 부천세종병원 김태영 한일병원 대리인(김재엽) 분당제생병원 변인우 요약> 1.가짜뉴스 찌라시 아 다르고 어 다른 소식지가 너무 많다2.정작 언론은 우리랑 인터뷰 한번 안했다.3.회의내용은 전부 녹음4. 회의자체가 보건복지위원회 합의문 /수련병원 의학교육 협의회 합의문이 추가되어 이를 모든 회원에게 알리고 이것을 토대로 잠정중단에 대해 투표하였으나중단 찬성 약 25% 기권 약 25% 반대약49%로 어느 의견도 과반수를 얻지 못해 안건 자체를 폐기5. 두번째 투표는 언론에서 떠들고 있는것 처럼 인디언기우제식으로 첫번째 안건에 대한 재투표가 아니라 각종 단체와 협의가 긴박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니 신속하게 행동해야할때를 대비하여 그 권한을 위원장에게 일임하자는거였지만 의견수렴이 충분치 못할 수 있다는 의견때문에 2번의 수정을 통해 가결됨 정부입장 : 모든 가능성을 열고 협의체를 만들어서 의료계와 논의하겠다. 약속한다 그래서 보건복지부 정부기구가 아닌 국회소속인 내가왔다 하지만 명문화는 곤란하다. 서면합의는 불가하다 대전협 입장: 의료계와 상의하겠다고 구두합의는 해주는데 왜 서면합의는 불가능한가? 신뢰할 수 없다. 추가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