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4,751);
-
-
[TV·연예] [fn★뮤직텔] 2025년 빛낼 '슈퍼루키'…킥플립 하츠투하츠 키키 뉴비트
[파이낸셜뉴스 이설 기자] 벌써부터 봄기운이 완연하게 차오르며 외투를 가볍게 만들고 있다. 곳곳에는 벚꽃이 피어나며 설렘을 더한다. 이러한 가운데 2025년의 대세 등극을 꿈꾸는 K팝 루키들도 등장, 팬들에게 특별한 두근거림을 안기고 있다. 그 어느 해가 뜨겁지 않았겠냐마는, 2025년은 그 시작부터 열기가 대단하다. 그래서 준비했다. 이른바 '슈퍼루키'로 불리며 가요계를 달굴 주인공들이다. ◆ JYP의 아성! 킥플립(KickFlip) 킥플립은 지난 1월 20일 첫 미니앨범 'Flip it, Kick it!'으로 가요계 출사표를 던졌다. 각종 음악 방송에서 선공개곡 '응 그래', 유쾌 발랄 에너지를 터뜨린 타이틀곡 'Mama Said (뭐가 되려고?)', 힙한 바이브를 살린 수록곡 'Knock Knock' 퍼포먼스로 강렬한 눈도장을 찍었다. 성적 또한 화려했다. 'Flip it, Kick it!'이 발매 첫 주 음반 판매량 집계 사이트 써클차트 출하량 기준 32만2000장을 달성, 주간 앨범 차트와 주간 리테일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 한터차트 기준 초동 역시 27만6881장을 기록해 공식 초동 인증패를 획득했다. 이와 함께 공식 SNS 채널 팔로워와 누적 조회 수는 가파르게 상승했고, 데뷔 33일 만에 첫 출연한 가요 시상식에서 2관왕에 오르며 남다른 영향력을 과시했다. 아울러 데이즈드 코리아, 보그 코리아 등 각종 패션 매거진에서도 러브콜이 이어졌다. ◆ 역시 SM! 하츠투하츠(Hearts2Hearts) 하츠투하츠는 지난 2월 24일 첫 싱글 'The Chase'를 발매하고 데뷔했다.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매력을 머금은 타이틀곡 'The Chase'와 따뜻하고 서정적인 분위기가 돋보이는 수록곡 'Butterflies'로 첫걸음을 내딛었다. 특히 음악방송 출연을 통해 다인원 그룹의 장점을 극대화한 '칼각' 안무와 멤버들의 개성을 살린 킬링 포인트를 선사, 환호를 자아냈다. 데뷔곡 'The Chase' 무대는 '역시 SM엔터테인먼트 걸그룹'이라는 감탄을 자아내기 충분했다는 평가다. 더불어 하츠투하츠는 데뷔곡 'The Chase'로 데뷔 15일 만에 첫 음악방송 1위를 차지하고 중국 QQ뮤직 K팝 주간 차트 1위에 오른 것은 물론, 각종 국내 주요 음원 차트에 안착하는 등 차근차근 순위 상승 곡선을 그렸다. ◆ 아이브 돌풍 잇는다! 키키(KiiiKiii) 키키는 지난 3월 24일 데뷔 앨범 '언컷 젬'을 발매하고 글로벌 팬들에게 인사를 건넸다. 특히 지난 2월 '아이 두 미'를 프리 데뷔곡으로 파격 공개, 뛰어난 라이브 실력과 다채로운 매력을 보여주며 단번에 '2025년 최고 기대주' 타이틀을 꿰찼다. 힙합의 강렬한 비트에 감성적인 멜로디를 장착한 후속곡 'BTG'로도 정형화되지 않은 '젠지 감각'을 드러내며 연일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BTG'의 신나는 파티 분위기와 자유롭고 강렬한 에너지는 어느덧 개성의 한 축이 됐다. 키키는 프리 데뷔 활동부터 국내 유수의 매거진을 섭렵한 데 이어 K팝 최초로 정식 데뷔 전 10 Magazine USA 커버를 장식했다. 최근에는 미국 유력 매체 롤링스톤이 뽑은 '2025년 가장 기대되는 루키 뮤지션 25인'에 유일한 K팝 아티스트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 새로운 중소의 기적 주인공! 뉴비트(NEWBEAT) 앞서 언급한 그룹들이 소위 말하는 '대형 기획사'라면, 뉴비트는 그 출발이 확 다르다. 이들은 국내외 버스킹 투어와 고퀄리티 영상을 연달아 선보인 것은 물론 다양한 팬 참여형 콘텐츠까지 선물하며 색다른 경험을 안겼다. 여기에 두 가지 선공개 곡으로 독특한 행보를 보였다. 특히 'JeLLo(힘숨찐)'에서 숨겨진 힘이 발현되는 순간을 그려낸 데 이어 자신을 한계로 몰아붙이며 도전하는 과정과 그 속에서 겪는 갈등과 성장을 'HICCUPS'로 이야기, 뉴비트만의 성장 서사를 각인시켰다. 이뿐만이 아니다. Mnet과 M2 유튜브 채널 데뷔쇼 'Drop the NEWBEAT'와 SBS 공식 유튜브 채널 'SBSKPOP X INKIGAYO' 데뷔 팬 쇼케이스 '힘숨찐 해부실'을 통해 '역대급 데뷔'라는 찬사를 이끌어냈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014/0005332383
-
-
-
-

[정치·경제·사회] 윤석열은 우파 포퓰리즘(부자퍼주기) 해서 망한거임
좌파 포퓰리즘이 서민에게 지원을 잘해줘서 퍼주는 것이라면,우파 포퓰리즘은 부자에게 세금을 줄여줘서 퍼주는 것이다. 좌는 서민경제에 도움을 준다 ->서민들은 시장으로 마트로 돈을 쓰고 다닌다.우는 국가경제에 세수펑크가 난다 ->부자들은 창고에 돈을 쌓아둔다. 공리주의 관점으로 보면 다수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좌파 포퓰리즘이 더 효과적이다.좌파 포퓰리즘은 빈부격차를 줄인다. 멍청한 윤석열 정부는 우파 포퓰리즘을 해서 서민들 돈을 빼앗아 부자 퍼주기를 해주었다.전기세 50%인상, 수도세 23% 인상해서 서민에게 타격준다.R&D예산 90% 삭감해서 국가에게 타격준다. 부자들 배를 불려준 금액이 무려 53조!! 그 결과와 원인은.. 53조 규모 역대급 '세수펑크' 원인 절반이 '법인세 감세'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102710322959429 10대 기업 깎아준 세금 '10조4000억'…삼성·현대·기아차에 '집중'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34188&inflow=D 이상민 연구위원은 "결국 2022년·2023년 세수결손·법인세수 감소는 기업실적이 저조한 것 뿐만 아니라 정부의 세법 개정으로 감면액을 크게 증대시킨 결과"라며 "이러한 감면액은 상위 3개 기업에 집중됐다"고 꼬집었습니다.위 뉴스로 대략적으로 참고해보고 대기업 3곳만 10조면 적어도 20조 이상은 준 금액으로 추정하고 있다 법!인!세! 그러자, 역대 정권 최초로, 자영업자 100만명 폐업하였다.민주당은 어떻게든 서민경제 살리겠다고, 지역상품권, 지역화폐, 국민지원금 통해서 포퓰리즘 하는데..국민의짐은 어떻게든 부자경제 살리겠다고 부자들 배속으로 양도세, 소득세, 법인세 낮춘다고 포퓰리즘 했고실제로 2024년에만 52조 세수 적자가 발생함. 누누히 말하지만, 부자들은 계속 부자임.세금 낮춰서 그 세금이 낙수효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이명박 정부가 증명했음. 서민들은 한번 나락가면 회생 불가임.부자들이 자X 많이할까? 서민들이 X살 많이할까? ============================================================== 윤석열 정부는 우파포퓰리즘을 해서 망한거임한국 조세경쟁력, OECD 38개 국가 중 23위임 한국부자(졸부)들은 탈세도 많고, 자금도 많이 빼돌림.서민들은 낼돈도 없는데 부자들은 낼돈도 많으면서 탈세한다.부자퍼주기 해봤지 소용없다. 이재명 정부가 만약에 출범한다면 이 간극을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좌우대립으로 싸우다간 진짜 대한민국 소멸한다.기적의 대한민국을 기대..
-
-
-
-
-
-
-
-
-
-

[재테크] 우리나라 경제는 왜 IMF때 보다 더 어려운가?GDP분석
왜 그렇게 되었는지, 이유는 하나도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보기 위해서 IMF data기준으로, 국가 총생산, 즉 GDP만 가지고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정밀하고 정교한 분석은 아니겠지만, 큰 흐름은 오히려 잘 보일거에요. IMF의 한국 GDP 차트입니다. 1998년에 396.68인데요. 99년에 515.21이 되어요.IMF로 인해 폭싹 내려갔다가. 회복된것이긴 하지만 1년만에 무려 30%나 회복되어요. 정말 드라마틱한 순간이지요. 그리고 나머지는 2020년과 2024년 만을 비교해 볼게요. 최대한 간단한 비교를 위해서, 단위도 생략합니다. 비교에는 전혀 이상이 없으니 양해 바랍니다.2020년 한국 GDP는 1.74인데요. 2024년에는 1.87이에요. 비교하면 2024년에는 2020년의 107%에요. 2021년에는 1.94인데요. 대부분의 나라들이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를 만회하기 위해, 대규모의 경제 부양정책을 펼쳤지요. 2024년 기준으로, 실제로 코로나때보다 GDP수치는 낮습니다. GDP 수치만을 기준으로보면, 코로나 때 보다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올만도 하죠. 미국의 GDP 차트인데요. 2020년에 21.35였는데요. 2024년에는 29.17이에요. 비교하면 2024년에는 2020년의 136%에요. 미국에서도 물가가 비싸서 너무 힘들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긴 하는데요, 경제성장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어떻게든 경제성장의 혜택으로, 물가를 버티는게 가능하지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등등이 이 패턴이에요. 일본은 한국 패턴이구요. 중국 그래프도 봐 볼게요. 중국은 2020년에 14.86이었는데요, 2024년에는 18.27이에요. 비교하면 2024년에는 2020년의 122% 정도에요. 중국 빈부격차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경제가 발전하는 상황에서는 문제들이 있다고 해도, 어떻게든 커버가 되지요. (이건 무려 경제학 교과서에도 나오는 이야기에요.) 필리핀 까지만 봐 보겠습니다. 2020년에 361.75였는데요. 2024년에는 470.06이에요. 비교하면 2024년에는 2020년의 129%에요.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등도 필리핀과 거의 같은 형태에요. 2020년에서 2024년에 경제가 어마어마하게 성장하지요. 강달러 때문에, 물가가 비싸다는 이야기도 있고요, 미국이 돈을 하도 많이 풀어서, 물가가 오른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어쨌든 꽤 많은 나라들이 2020년에서 2024년 사이에, GDP 자체가 어마어마하게 많이 올라가 버렸어요. GDP자체가 오르면, 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분명히 있는데요.우리가 물건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중국도 20% GDP가 성장했구요. 우리가 생선 많이 사오고, 물건 제작 많이 맞기는 베트남도 중국과 비슷하게 GDP가 성장해 버렸어요.GDP가 성장한 나라는 그나마, 물가 상승이 커버가 되는데요, 우리 나라나 일본 같은 경우에는 물가 상승을 어마하게 느끼겠지요. 여기까지 쓰겠습니다. ** 물가 상승을 제외한 실질 GDP를 비교해야 된다고 보시는 분도 계시는데요, 물가로 인한 어려움을 이야기 할때에는, 물가 상승을 제외하지 않은 명목 GDP 비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구요 세계전체 상황을 이야기 할때에는 per Capita가 아닌 국가전체 GDP도 사용 가능합니다…** GDP가 올라서 물가가 오른게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통화량이 증가해서) GDP가 증가했다, 잘못된 해석이다.라고 하시는 분도 계신데요. 본문 핵심은 전세계 꽤 많은 나라가 GDP가 20~30%가 오르는데, 우리만 7% 오른 상황에선, 제 이야기도 맞습니다…^^…
-
-
-
-
[밀리터리]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 손실현황
개요우크라이나 국방부 총참모부(Генеральний Штаб Збройних Сил України)가 공식 발표한 이 인포그래픽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일부터 현재까지 약 3년 1개월 간의 러시아군 손실을 집계한 자료입니다. 인명 손실총 인명 손실: 약 886,320명 (최근 +1,190명)이는 전체 러시아 동원 병력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수치입니다.지상 장비 손실탱크: 10,292대 (+18)장갑차: 21,400대 (+40)포병 시스템: 24,271문 (+65) - 가장 큰 손실 카테고리 중 하나다연장 로켓 시스템(MLRS): 1,311대 (+1)차량 및 연료 탱크: 40,071대 (+138) - 물류 지원 능력에 타격특수 장비: 3,773대항공 자산 손실항공기: 370대헬리콥터: 331대드론(UAV): 28,603대 (+241) - 최근 가장 급격한 증가세방공 시스템: 1,102기 (+1)해상 자산 손실함정/보트: 28척잠수함: 1척 - 흑해함대 주요 손실미사일 자산순항 미사일: 3,120발 분석 및 시사점현대전 양상 반영: 드론과 포병 손실의 비중이 높아 현대 전장에서의 이들 무기체계 중요성을 보여줍니다.장기전 양상: 3년 넘게 지속되는 전쟁에서 상당한 규모의 장비가 지속적으로 소모되고 있습니다.최근 동향: 괄호 안 숫자가 보여주듯 여전히 일일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드론(+241)과 차량(+138) 손실이 두드러집니다.데이터 한계: 이는 우크라이나 측의 집계로, 실제 손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전쟁 프로파간다의 일부로 볼 수도 있습니다.이 통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규모와 강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지만, 전시 정보의 특성상 독립적인 검증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