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358);
-
[TV·연예] [SC가요전망②] '82메이저→트리플에스' 중소 신인돌의 역습…'푸른 뱀의 해' 똬리 제대로 풀었다
[스포츠조선 정빛 기자] 이른바 '중소돌의 역습'이다. 2025년 '푸른 뱀의 해' 을사년(乙巳年), 'K팝 중소 신예'들이 본격 똬리를 푼다.타고난 수저 색깔 나누기 좋아하는 요즘 세상, 개천에서 용은 커녕 미꾸라지도 날 수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방탄소년단, 비스트, 인피니트, 걸스데이, 여자친구, EXID, 마마무, 에이티즈, 최근 스테이씨와 키스오브라이프까지. 중소 기획사에서 성공한 케이스도 여럿 있었다. '푸른 뱀의 해' 글로벌 시장을 감고 돌면서, 차트 위로 구불구불 올라갈 '중소 신인돌'은 누구일지, 스포츠조선이 신년운세보다 더 알찬 점괘를 내어 본다.신생 기획사인 그레이트엠엔터테인먼트 소속 82메이저(82MAJOR)는 내수와 외수를 꽉 잡아, 놀라움을 샀다. 지난해 미니 2집 'X-82'로 데뷔 1년 만에 빌보드 차트에 입성하더니, 오는 18일부터 서울에서 개최하는 단독 콘서트도 예매 시작과 동시에 전석을 매진시켰다. 급기야 추가 공연까지 진행, 82메이저를 향한 뜨거운 관심이 가늠되는 대목이다.또 다른 신생 기획사 모드하우스의 소속 그룹 트리플에스(tripleS)도 최근 일본 도쿄, 오사카에서 팬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하고, 중국 최고 페스티벌 '2024 광저우 스트로베리 뮤직 페스티벌'에 등장해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오는 2월부터는 북미로 발걸음, 새 투어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 완전체 데뷔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꽤 가파른 셈이다.'원조 중소돌 기적'으로 불린 에이티즈의 동생 싸이커스(xikers)도 형아 따라 '중소돌의 반란'을 꿈꾼다. 지난해 이미 일본, 미주, 유럽, 호주 등 세계 주요 지역에서 월드투어를 성공적으로 전개한 데 이어, 올해는 태국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마카오, 인도네시아까지 4개국에서 현지 팬들을 만난다. 데뷔 6개월 만에 월드투어를 돌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빅플래닛메이드엔터가 처음 선보인 신인 걸그룹 배드빌런(BADVILLAIN)의 기세도 심상치 않다. 지난해 6월 데뷔곡 '배드빌런'은 공개 17시간 만에 뮤직비디오 1000만 뷰를 돌파, 당시 기준으로 작년 데뷔한 신인 걸그룹 중 가장 빠른 기록을 세웠다. '악동'이라는 콘셉트처럼, 시작부터 강렬한 인상을 남긴 것. 이어 11월 발표한 '숨'도 좋은 반응을 얻은 바, '힙합 여전사' 배드빌런이 참전하는 올해의 'K팝 전투'는 단연 글로벌 팬들의 관심사다.지난해 3월 데뷔한 리센느(RESCENE)를 향한 글로벌 관심도도 높다. 리센느의 미니 1집 '씬드롬'은 빌보드로부터 '2024년 베스트 K팝 앨범'에 선정됐고, 타이틀곡 '러브어택'은 영국 음악 매거진 NME, 데이즈드 등으로부터 호평을 얻는가 하면, 최근 미국 그래미닷컴에서도 '2024년을 뜨겁게 달군 K팝 10곡' 중 한 곡으로 꼽았다.SBS 오디션 프로그램 '유니버스 티켓'으로 데뷔한 유니스(UNIS)는 지난해 마지막날 일본 '모모이로 가합전'에 출연, 일본 인기 스타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아직 일본 정식 데뷔를 하지 않은 유니스가 지난해 데뷔한 신인 걸그룹 중에서 최초로 '모모이로 가합전'에 초청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처럼 K팝이 글로벌 시장에서 맹위를 떨치는 가운데, 중소형 기획사에서 내놓은 신인의 결실은 확실히 더 달콤하게 음미된다. 최근 가요계가 '자본력과 네임 밸류'에 따라 성패가 판가름 나면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점점 더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K팝 쩐의 전쟁' 속 중소 기획사 가수가 살아남기란 쉽지 않다.아울러 올해만 해도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쏘스뮤직,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등 몸집 큰 기획사들이 줄줄이 신인을 선보인다. 일각에서는 결과가 정해진 '머니게임'이라며, 벌써부터 이들의 성적을 점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괄목할 성과로 '중소의 기적'을 다시 일궈낼 신인은 누구일지, 개천에서 훨훨 날아오를 '푸른 뱀'은 누구일지 올해 가요계를 흥미롭게 지켜볼만하다.
-
-
-
-
-
[TV·연예] 팬들한테 극악무도한 짓 했다는 키스오브라이프
키오프 10월부터 서울 시작으로 첫 월드투어 시작함어천인 올림픽홀에서 해서그런지직접 무대로 내려와서한쥴리 ㄹㅈㄷ 팬섭 동영상을 말아주시고미주 투어를 떠났는데셋리스트 올라옴한국이랑 다름 솔로무대 없어짐키씨체어??같이 앉아서 부르는 걸까 궁예 했는데키오프 다 보면 시선이 한 곳에 꽂혀 있는데시선 끝에엥?나 잘못 봤나?ㄴㄴ 제대로 본 거 맞음 ㅎㅎ무대 위에 휀걸 앉혀두고 멤버들이 둘러 싸서 춤을 춰,,,키씨가 앉을 의자라 키씨체어였던 거,,,처음에 개부럽고 배아프고 옹졸해지고 그랬는데생각해보니 나의 사회적체면은?!!저기 올라가면 내 사회적체면 누가 지켜주냐고,,그냥 피에르가 되,,나도 키씨체어에 앉고 싶어,, 아니 앉고 싶지 않아,,아니! 일단 앙콘에서 키씨체어 해줘사회적체면은 나중에 생각할게,,,
-
-
-

[스포츠] '이럴수가' 오타니가 아니라니... 선수들이 직접 뽑은 '올해 최고의 선수' 누구?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선수들이 직접 뽑은 올해 최고의 선수로 오타니 쇼헤이(30·LA 다저스)가 아닌, 애런 저지(32·뉴욕 양키스)였다.메이저리그 선수노조(MLBPA)는 27일(한국 시각) 2024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즈 수상자 명단을 공개했다. 올해의 선수로는 오타니를 제치고 저지가 뽑혔다.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즈는 1992년 제정됐다. 경기장 안팎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인데, 선수들이 직접 투표를 통해 뽑는 상이라 의미가 있다.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를 통틀어 단 1명만 뽑는 올해의 선수상은 저지에게 돌아갔다. 저지는 최종 후보에 오른 오타니와 바비 위트 주니어(24·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제치고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영광을 안았다.저지는 2022년 62개의 홈런포를 터트리며 아메리칸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신기록을 작성했다. 올 시즌 저지는 158경기에 출장해 타율 0.322(559타수 180안타) 58홈런 2루타 36개, 3루타 1개, 144타점 122득점, 133볼넷 171삼진, 10도루(0실패) 출루율 0.458, 장타율 0.701, OPS 1.159의 빼어난 성적을 거뒀다. 홈런과 타점 및 볼넷 부문 메이저리그 전체 1위였다. 또 개인 통산 6번째 올스타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저지는 올해의 선수상과 함께 아메리칸리그 최고의 선수에도 뽑히며 2관왕을 해냈다.반면 메이저리그 최초로 50홈런-50도루라는 새 역사를 쓴 오타니는 내셔널리그 최고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오타니는 이미 '투·타 겸업' 신화를 써 내려가며 메이저리그 최고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프로야구 무대를 거친 뒤 2018년 메이저리그 무대에 입성한 오타니는 메이저리그 슈퍼스타로 자리매김했다.오타니는 올 시즌 159경기에 출장해 타율 0.310(636타수 197안타) 54홈런, 2루타 38개, 3루타 7개, 130타점 134득점, 81볼넷 162삼진, 59도루(4실패) 출루율 0.390, 장타율 0.646, OPS(출루율+장타율) 1.066의 성적을 올렸다. 오타니는 지난 2021년 올해의 선수로 뽑힌 바 있다.한편 아메리칸리그 최고 투수로 타릭 스쿠발(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내셔널리그 최고 투수로 크리스 세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이 각각 선정됐다. 아메리칸리그 재기상은 타일러 오닐(보스턴 레드삭스), 내셔널리그 재기상은 세일이 각각 차지했다.
마크42작성일
2024-10-28추천
0
-
-
[TV·연예] 진해성·홍지윤·오메가엑스·비비지·NXD·루셈블...15회 ‘K탑스타’ 1위
[MBN스타 박소진 기자] 가수 진해성, 홍지윤, 그룹 오메가엑스, 비비지, NXD, 루셈블이 ‘K탑스타’ 1위에 등극했다. K-POP의 현 상황을 알려주는 글로벌 K팝 투표사이트 ‘K탑스타’(KTOPSTAR)에 따르면 9월 30일부터 10월 6일까지 인기투표를 진행샜다. ‘정통트롯 끝판왕’ 진해성, 독주 이어가다 ‘정통트롯 끝판왕’으로 불리는 진해성은 60.2%의 득표율로 다시 한번 1위 자리를 차지하며 ‘독주 체재’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주에 이어 2위를 차지한 박지현은 36.6.%로 득표율 격차를 좁혀나가고 있으며, 영탁은 3위에 머물렀다. ‘정통트롯 끝판왕’으로 불리는 진해성은 매력적인 저음에 탄탄한 기본기를 자랑하며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KBS 트로트 서바이벌 프로그램 ‘트롯 전국체전’에 우승을 차지하며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미스터트롯2 - 새로운 전설의 시작’에서 최종 3위인 미(美)를 차지하며 굳건한 인기를 증명했다. ‘트롯바비’ 아닌 ‘트롯퀸’ 홍지윤, 적수 없는 1위 가수 진해성, 홍지윤, 그룹 오메가엑스, 비비지, NXD, 루셈블이 ‘K탑스타’ 1위에 등극했다.‘트롯퀸’ 홍지윤은 72.4%의 득표율을 자랑하며 두말할 나위 없는 1위 자리를 지켰다. ‘미스트롯2’ 출신인 김의영이 17.3%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김소연은 3위에 머물렀다. 지난 2021년 방송된 TV조선 ‘미스트롯2’에서 선(善)에 오르며 트로트 가수의 길을 걷고 있는 홍지윤은 뛰어난 미모와 더불어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9월 4일에는 새 디지털 싱글 ‘어느 하늘에 어느 바다에’를 발매하며 본업인 ‘노래 잘하는’ 가수의 면모를 보였다. 홍지윤의 신곡 ‘어느 하늘에 어느 바다에’는 지난 2012년 발매된 가수 헤라의 ‘나예요’를 홍지윤만의 매력으로 재해석한 곡이다. 홍지윤은 원곡을 작사·작곡한 윤명선 작곡가와 자신의 싱글 ‘사랑의 여왕’에 이어 다시 한번 호흡을 맞춰 완성도를 높였다. 오메가엑스 VS 강다니엘, 1위 싸움 치열 가수 진해성, 홍지윤, 그룹 오메가엑스, 비비지, NXD, 루셈블이 ‘K탑스타’ 1위에 등극했다.‘K-탑스타’ ‘최고의 아이돌(남)’ 자리를 놓고 현재 오메가엑스와 강다니엘의 1위 싸움이 치열한 상황이다. 지난주 2위였던 오메가엑스는 71.6%의 득표율로 1위 탈환에 성공했으며, 지난주 1위 였던 강다니엘은 23.0%로 2위에 머물렀다. 데이식스는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오메가엑스(OMEGA X)는 최근 일본 컴백을 확정했다. 오는 11월 13일 일본 미니 2집 ‘To.(투)’를 발매하는 오메가엑스는 지난 2022년 일본 데뷔 이후 약 2년 3개월 만에 컴백 소식 알렸다. 앨범 발매에 맞춰 일본 팬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된다. 이벤트와 함께 일본 투어도 예정돼 있어 포엑(팬덤 명)을 설레게 만들고 있다. 비비지, 지난주 이어 1위 수성 가수 진해성, 홍지윤, 그룹 오메가엑스, 비비지, NXD, 루셈블이 ‘K탑스타’ 1위에 등극했다.비비지는 57.4%의 득표율로 지난주에 이어 1위 자리에 수성했다. 그 뒤는 아이브가 24.6% 득표율을 받으며 2위에 올랐으며, 하이키는 3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 26일과 28일 일본 요코하마와 오사카 콘서트를 끝으로 ‘2024 VIVIZ WORLD TOUR [V.hind : Love and Tears](2024 비비지 월드투어 [비하인드: 러브 앤 티어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비비지는 올해가 가기전 새로운 앨범을 발표하며 팬들과 만날 전망이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057/0001845649
-
-
-
-
-
-

[스포츠] 'ML 절반이 원했는데...' 김하성 이적설 어느새 잦아들었다, "이 상황서 트레이드할 가치 있나" 美 지적
시즌 전만 해도 쏟아지던 김하성(29·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트레이드설이 잦아들었다. 구단 입장에서도 실리를 챙길 수 없기 때문이다.미국 매체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SI)는 23일(한국시간) "샌디에이고는 골드글러브 유격수 김하성을 트레이드할 생각을 갖고 있지만, 시즌이 진행되면서 소문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김하성은 23일 기준 올해 100경기에 출전, 타율 0.225(334타수 75안타) 10홈런 40타점 51득점 19도루 OPS 0.693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 리그 평균 OPS를 100으로 놓고 산출하는 OPS+는 97로, 평균 수준의 타격을 보여주고 있다.분명 커리어 하이라고 할 수 있는 지난해(타율 0.260 17홈런 60타점 84득점 38도루 OPS 0.749)에 비하면 부족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삼진 비율이 줄어들었고(19.8%→15.9%), 볼넷 비율은 유지하면서(12.0%→12.6%) 선구안에 있어 발전을 이뤘다. 3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고, 2년 연속 20도루도 1개만을 남겨뒀다.이전 세 시즌 동안 김하성은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지난해 골드글러브도 가장 많이 나온 2루수가 아닌 유틸리티 부문에서 수상했다. 하지만 올해는 100경기에서 모두 유격수로 나오며 868⅔이닝을 소화했다. 베테랑 유격수 잰더 보가츠를 2루수로 밀어낸 후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지난해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여준 김하성은 트레이드설에 휩싸였다. 샌디에이고는 지난해 5월 중계 방송사인 밸리 스포츠의 소유주 다이아몬드 스포츠 그룹이 파산하면서 예정된 중계권료를 받지 못해 큰 타격을 입었다. 여기에 피터 세이들러 구단주가 건강 문제 끝에 지난해 11월 세상을 떠나면서 샌디에이고는 긴축 경영에 나섰다. 이에 올 시즌이 끝나면 FA가 되는 김하성을 트레이드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메이저리그 이적 소식을 주로 다루는 MLB트레이드루머스는 김하성에게 메이저리그 30개 팀 중 절반이 넘는 17개 구단이 김하성을 영입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은 "800만 달러의 연봉은 저렴한 편이다. 여기에 3개의 포지션(2루수, 3루수, 유격수)에서 뛰어난 수비 능력을 보여주는 다재다능함이 있기에 나머지 29개 팀은 김하성을 영입하게 되면 팀 전력이 업그레이드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절친한 이정후(26)가 입단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그를 데려와 유격수로 기용하려는 움직임도 나왔다.3월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MLB 월드 투어 서울 시리즈' 전까지만 해도 불거졌던 김하성의 트레이드설은 사그라들고 있다. 김하성의 성적이 떨어진 것도 있지만, 샌디에이고가 아직 가을야구의 희망을 포기할 수 없는 상태라는 점이 크다. 샌디에이고는 23일 현재 0.510의 승률(52승 50패)을 기록 중이다.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선두 LA 다저스와 8.5경기 차 2위에 머물러 있지만, 와일드카드 레이스에서는 플레이오프 진출권인 3위(뉴욕 메츠)와 단 0.5경기 차에 불과하다.여기에 김하성을 원하는 팀도 이전보다 줄어들었다. SI는 "실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팀이 몇 군데 되지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주전 유격수를 트레이드할 가치가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수요가 줄어들면서 받을 수 있는 카드의 질도 낮아지기 때문이다.이대로면 김하성은 샌디에이고에서 시즌 종료 때까지 남을 전망이다. 단, 연장계약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2026년 상호 옵션이 있지만 김하성이 거부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매체 디 애슬레틱은 올해 초 "샌디에이고는 김하성의 연장 계약을 시도할 계획이지만 팀 관계자들은 그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걸 인정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마크42작성일
2024-07-24추천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