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60);
-

[엽기유머] [스압]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명단
[블랙리스트 명단] 문화예술계 각계인사 총망라 <한국일보>는 12일 청와대가 지난해 문화예술계에서 검열해야 할 9천473명의 명단을 작성해 문화체육관광부로 내려 보낸 문건을 공개한 데 이어 구체적 명단을 공개했다. 블랙리스트는 지난해 5월 1일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 선언’에 서명한 문화인 594명, 2014년 6월 ‘세월호 시국선언’에 참여한 문학인 754명,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에 참여한 예술인 6,517명, 2014년 서울시장 선거 때 ‘박원순 후보 지지 선언’에 참여한 1,608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이들 중 확인이 가능한 명단은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 선언 문화인 594명, 2014년 6월 문학인 세월호 시국선언 754명, 그리고 지난 2012년 대선 문재인 후보 지지 선언 문화예술인 4,110명, 지난 2014년 6월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지지선언 문화예술인 909명 등이다.문재인 지지선언 문화예술인 가운데 경남 869명, 전북 115명, 부산 423명의 문화예술인과 서울연극협회 1천명의 명단은 빠졌고, 박원순 지지선언 문화예술인 가운데 여성 문화예술인 628명과 추가로 지지한 71명의 명단은 빠졌다.다음은 블랙리스트 명단 전문.2015년 5월 1일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 선언’ 서명 문화인 594명 명단강경호(연출,배우) 강내영(작가) 강내희(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 학장) 강동옥(경남민예총이사장) 강명환(배우) 강상구(노래패 우리나라 대표) 강세진(영화인) 강우석(음악인) 강유가람(영화인) 강정화(의상디자이너) 강제권(연극인) 강주미(춤패 바람 대표) 강철우(영화감독) 강현숙(시인) 강혜정(영화제작자) 고동업(신화극장 배우, 연출) 고려민(기획) 고소라(소리꾼) 고승하(한국민예총이사장) 고영재(영화인) 고인환(평론가) 고증식(시인) 고현아(영화인) 고홍진(연극인) 공수창(영화감독) 곽민준(영화배우) 곽용수(영화인) 곽효환(시인) 구은서(작가) 구자환(영화인) 권근영(연극인) 권민호(사진가) 권양희(경남민예총사무처장) 권여선(소설가) 권은혜(영화인) 권지인(배우) 권태건(배우) 권하형(사진가) 권혁소(시인) 권현준(영화인) 권효(영화감독) 김경만(영화인) 김경수(서울민예총 공연예술위원장) 김경수(영화인) 김경아(미술인) 김경형(영화감독) 김관(연출) 김국형(영화인) 김근(시인) 김기덕(영화감독) 김기빈(음악인) 김나라(배우) 김나영(작가) 김남일(소설가) 김동규(드로잉수업인) 김명종(충북민예총사무처장) 김모은(배우) 김미경(배우) 김미진(풍물패 다스름 대표) 김민(사진가) 김민중(홍우주 문화예술 협동조합 사무국장) 김민철(영화인) 김민호(시인) 김병용(소설가) 김보년(영화인) 김봉건(배우) 김봉준(미술인) 김사빈(연출) 김상규(영화인) 김상철(문화연대 집행위원), 김상화(영화인) 김서령(소설가) 김선(영화인) 김선구(영화인) 김선숙(영화인) 김선우(시인) 김선하(미술) 김선화(문화예술인) 김성규(시인) 김성균(영화인) 김성수(극작가) 김성윤(문화사회연구소 소장) 김성환(영화프로듀서) 김소연(사진가) 김솔지(홍우주 문화예술 협동조합 이사) 김수란(배우) 김수빈(음악인) 김수열(시인) 김숙인(배우) 김숙현(영화인) 김승환(영화인) 김시권(영화배우) 김시정(배우) 김신(사진가) 김연호(영화인) 김영(영화프로듀서) 김영섭(미술인) 김영호(대전민예총이사장) 김영희(춤이론가) 김완동(영화동시녹음) 김요환(영화인) 김은영(문화예술인) 김이구(소설가) 김이다(영화프로듀서) 김일권(영화제작자) 김장동(배우) 김정석(영화인) 김정은(배우) 김정헌(화가, 전 서울문화재단 이사장) 김정희(춤패 선언) 김조광수(영화인) 김종석(배우) 김준(영화감독) 김준범(연극인) 김준호(영화인) 김지연(영화프로듀서) 김지영(배우) 김지영(사진가) 김지운(영화인) 김지훈(음악인) 김진혁(음악인) 김천일(미술인) 김철민(영화인) 김태성(배우) 김태우(영화배우) 김태일(영화인) 김태현(배우) 김태현(안산민예총 지부장) 김태환(사진가) 김한봉희(연극인) 김한솔(영화인) 김해자(시인) 김현(세종문화회관 노동조합 위원장) 김혜수(영화배우) 김혜정(영화인) 김혜준(문화인, 소셜디자이너) 김호준(배우) 김홍익(영화감독) 김효비(배우) 김효열(사진가) 김효진(배우) 김흥구(사진가) 나도원(음악평론가, 예술인소셜유니온 공동위원장) 나종영(시인) 나희덕(시인) 남권우(영화프로듀서) 남기성(연극연출가) 남문철(영화인) 남수한(뮤지션유니온 운영위원) 남태우(영화인) 노동우(연기자) 노병갑(프로듀서) 노순택(사진가) 노일환(영화프로듀서) 도창선(배우) 도현진(사진가) 라은영(예술교육기획) 레지나(배우) 류성(연극인) 류승완(영화감독) 류연복(미술인) 류재광(풍물인) 마승낙(프로듀스) 맹봉학(연극인, 영화인) 맹선화(배우) 명계남(영화배우) 모성진(영화인) 모지은(영화감독) 모호(뮤지션유니온 운영위원) 목정윤(배우) 무이(뮤지션유니온 간사) 문계봉(시인) 문동만(시인) 문선영(영화인) 문성근(영화배우) 문성준(영화인) 문소리(영화배우) 문의영(배우) 민규동(영화감독) 민동현(영화인) 민용근(영화감독) 민정연(꽃다지) 박경훈(한국민예총부이사장, 제주민예총이사장) 박근화(배우) 박김형준(사진가) 박남준(시인) 박명희(배우) 박미경(사진기획자) 박민석(사진가) 박민철(음향기술) 박배일(영화인) 박범신(소설가) 박범훈(영화감독) 박불똥(미술인) 박석영(영화감독) 박석주(뮤지션) 박선영(문화연대) 박선영(작곡가) 박성근(영화프로듀서) 박성우(시인) 박성일(영화프로듀서) 박성진(영화감독) 박소현(영화인) 박수연(평론가) 박승화(사진가) 박영균(미술인) 박은태(미술인) 박은하(영화프로듀서) 박인식(영화감독) 박재동(만화가) 박정범(영화감독) 박정의(극단초인, 연출) 박제욱(영화인) 박종관(충북민예총이사장) 박종대(강원민예총사무처장) 박종식(사진가) 박종욱(연극인) 박주원(사진가) 박준(가수) 박지연(사진가) 박지영(문화예술인) 박지혜(배우) 박진(미술인) 박진우(음악인) 박진화(미술인) 박진희(영화인) 박찬국(미술가) 박찬욱(영화감독) 박찬일(요리사) 박철(시인) 박해일(영화배우) 박현욱(춤패 선언) 박흥식(영화감독) 박희정(김포들가락연구회 대표) 박희정(영화인) 반민순(부산민예총사무처장) 방원식(배우) 방은진(영화감독) 방정아(미술인) 배선우(신화극장 극작, 연출) 배유리(배우) 배인석(한국민예총사무총장) 배혜진(배우) 백대현(배우) 백성철(배우) 백재호(영화감독) 백현주(배우) 변백선(사진가) 변성찬(영화인) 변종수(연극인) 변지안(영화작가) 부지영(영화감독) 서미영(선언) 서성란(소설가) 서수경(미술인) 서영인(평론가) 서정식(배우) 서정원(시인) 서정훈(우리소리연구회 솟대 대표) 선정화(배우) 성남훈(사진가) 성중곤(영화인) 성창훈(인천민예총사무국장) 성효숙(미술인) 손민희(배우) 손병휘(음악인) 손승호(음악인) 손승희(음악인) 손혜정(배우) 송강호(영화배우) 송경동(시인) 송규학(영화인) 송수연(청개구리제작소) 송수정(사진기획자) 신미혜(영화인) 신성익(배우) 신아리(연극인) 신은경(배우) 신은실(영화인) 신재훈(연출) 신주욱(화가, 디자이너) 신준현(영화인) 신학철(미술인) 신혜원(그림책작가) 심근섭(배우) 심보선(시인) 심상태(연극인) 심재명(영화제작자) 아네스박(사진기획자) 안계섭(가수) 안보영(영화프로듀서) 안창규(영화인) 양동규(제주민예총사무처장) 양동탁(배우) 양진억(배우) 엄옥란(배우) 여인선(음악인) 연영석(문화노동자) 염무웅(평론가) 오민정(배우) 오세곤(연출) 오수미(영화프로듀서) 오점균(영화감독) 오정훈(영화인) 오종선(한국민예총선임이사) 오준석(공연기획) 오현진(영화인) 오혜림(배우) 오혜진(배우) 우승인(영화감독) 우제준(배우) 우종필(공연축제기획) 우혜림(배우) 원애리(문화기획) 원용진(문화연대 공동대표) 원유진(공연기획) 원유진(기획) 원종찬(평론가) 원현숙(영화인) 유대수(화가) 유명상(배우) 유상우(전북민예총사무처장) 유성엽(영화감독) 유성욱(음악인) 유영봉(서울괴담 대표) 유용주(시인) 유정민(배우) 유정숙(배우) 유정은(영화인) 유정탁(시인) 유희종(배우) 윤가현(영화배우) 윤기호(영화프로듀서) 윤덕현(영화인) 윤만식(한국민예총광주지회지회장) 윤보경(연극인) 윤수종(뮤지션유니온 운영위원) 윤정모(소설가) 윤진서(영화배우) 이강민(울산민예총이사장) 이광석(문화연대 집행위원) 이광석(뮤지션유니온 사무국장) 이광수(사진가) 이광준(시민자치문화센터 소장) 이규철(사진가) 이기현(배우) 이난(영화감독) 이대성(사진가) 이대택(스포츠문화연구소 소장) 이도연(배우) 이도윤(시인) 이동수(만화가) 이동연(문화연대 집행위원장) 이두찬(문화연대) 이두희(서울민예총부회장) 이마리오(영화인) 이명세(영화감독) 이명익(사진가) 이미연(영화감독) 이미진(사진가) 이방수(기획) 이사라(문화기획자) 이상국(시인) 이상운(춤패 춤누리 대표) 이상은(배우) 이상홍(배우) 이샛별(미술인) 이서이(배우) 이선일(미술인) 이설희(배우) 이성호(풍물굿패 삶터 대표) 이소선(드라마 리더) 이수정(영화인) 이수진(영화인) 이수진(음악인) 이승훈(사진가) 이승희(문화연대) 이시백(소설가) 이시영(시인) 이씬(음악인) 이안(영화평론가) 이양구(작가) 이영광(시인) 이영미(연출) 이완민(영화인) 이우기(사진가) 이원석(미술인) 이원우(영화인) 이원재(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이윤선(사진가) 이은경(영화작가) 이은정(배우) 이자순(연출) 이자은(영화배우) 이재각(사진가) 이재무(시인) 이재용(도예인) 이재준(배우) 이정록(시인) 이정미(배우) 이정범(영화감독) 이정아(배우) 이종무(배우) 이종승(배우) 이종필(뮤지션유니온 감사) 이준동(영화제작자) 이준희(사진가) 이지연(영화인) 이진수(시인) 이진우(영화인) 이찬희(사진가) 이창동(영화감독) 이철수(미술인) 이청산(한국민예총부이사장, 부산민예총이사장) 이충렬(영화감독) 이하(미술인) 이한구(사진가) 이한일(배우) 이해성(작가) 이현순(한국민예총대구지회지회장) 이현정(사진가) 이현주(한국민예총사무국장) 이혜규(가수) 이홍재(배우) 이황의(배우) 이훈규(영화인) 임성찬(영화인) 임순례(영화감독) 임승묵(음악인) 임영선(미술인) 임옥상(미술인) 임인자(연출) 임인출(일과 놀이 대표) 임정희(문화연대 공동대표) 임종진(사진가) 임찬익(영화감독) 임창재(영화인) 임철빈(영화인) 임태훈(사진가) 임하나(작가) 장미이(춤꾼) 장성희(문화기획) 장순향(한국민예총부이사장) 장용철(배우) 장재승(영화배우) 장준환(영화감독) 전계수(영화감독) 전세훈(배우) 전소헌(배우) 전수일(영화감독) 전승일(영화인) 전윤환(연출) 전은정(교육연극연구소 프락시스 배우) 전희련(배우) 점좀빼(사진가) 정광호(영화작가) 정보용(디지탈레코드 대표) 정상민(영화인) 정성우(영화인) 정성호(배우) 정세훈(시인) 정세훈(인천민예총이사장) 정수진(영화인) 정양(시인) 정연홍(시인) 정용국(시인) 정용철(문화연대 집행위원) 정용택(영화인) 정우영(시인) 정운(사진가) 정원옥(문화연대 집행위원) 정윤섭(영화작가) 정윤철(영화감독) 정윤희(배우) 정은교(배우) 정은진(선언) 정은진(안산민예총 사무국장) 정지영(영화감독) 정지창(문학) 정택용(사진가) 정혜윤(꽃다지) 정혜정(음악인) 정희성(시인) 조두리(배우) 조석준(배우) 조선형(작곡가) 조성칠(대전민예총상임이사) 조성희(영화감독) 조세핀(사진가) 조소연(사진가) 조수정(배우) 조연수(영화감독) 조영(연극인) 조영각(영화인) 조옥형(배우) 조용선(영화감독) 조재명(배우) 조재무(사진가) 조재현(서울민예총 정책위원장) 조정(시인) 조정근(배우) 조정준(영화프로듀서) 조진섭(사진가) 조창호(영화감독) 조혜영(연출) 조혜진(배우) 조혜진(배우) 조흥국(풍물인) 주용성(사진가) 주재환(미술인) 지민주(가수) 지영관(기획) 진모영(영화인) 진은영(시인) 차도열(풍물마당 터주 대표) 차준호(희망새 배우, 가수) 차한비(영화인) 채광명(음악인) 천진우(영화감독) 최귀화(영화배우) 최두석(평론가) 최민아(배우) 최병수(미술인) 최병인(영화감독) 최보미(서울연극협회) 최석태(미술인) 최승집(배우) 최승집(춤꾼) 최승호(영화감독) 최아람(영화인) 최용배(영화제작자) 최우영(사진가) 최원식(평론가) 최은화(영화프로듀서) 최장락(시인) 최재원(영화제작자) 최정단(영화인) 최정화(영화프로듀서) 최준영(문화연대 사무처장) 최지운(배우) 최항영(사진가) 최혁규(문화연대) 최현미(한국민예총선임이사) 최현용(한국영화산업전략센터 소장) 최현정(문화기획자, 일상예술창작센터) 최호철(미술인) 최희진(배우) 추동엽(울산민예총사무처장) 탁기형(사진가) 하대용(배우) 하아무(소설가) 하애정(풍물인) 하원준(영화감독) 하장호(예술인소셜유니온 사무처장) 하재성(배우) 하종오(시인) 하지숙(한국민예총서울지회사무처장) 하창범(예술마당 살판 대표) 한결(영화프로듀서) 한겸(배우) 한금선(사진가) 한덕균(배우) 한상훈(한국민예총대구지회사무처장) 한영애(배우) 한재림(영화감독) 함순례(시인) 허란(사진가) 허부영(배우) 허진호(영화감독) 홍서정(작가) 홍성민(서울민예총부회장) 홍유진(영화프로그래밍) 홍윤하(사진가) 홍윤희(배우) 홍진훤(사진가) 홍형숙(영화인) 홍휘은(디자이너) 황경선(국악) 황규관(시인) 황금미영(작가) 황란(설치미술가) 황석희(영화번역가) 황선덕(안무가) 황세원(배우) 황여명(사진가) 황인자(배우) 황재학(시인) 황주경(시인) 황지영(배우) 황지원(좋은공연제작소 대표) 황현산(평론가) 황효창(강원민예총이사장) 흐른(뮤지션유니온 운영위원) 2014년 6월 2일, 문학인 세월호 시국선언 754명 명단 강 민, 강상기, 강은교, 강정연, 강제윤, 강지혜, 강태식, 강형철, 강회진, 강희철, 고광률, 고광식, 고광헌, 고규태, 고명자, 고명철, 고성만, 고 영, 고영민, 고영서, 고영직, 고은규, 고인숙, 고인환, 고재종, 고정국, 고찬규, 고희림, 공광규, 공지영, 곽재구, 구중서, 권민경, 권서각, 권선희, 권성우, 권오영, 권오현, 권위상, 권혁소, 권혁웅, 권혁재, 권현형, 권화빈, 금은돌, 길상호, 김경복, 김경옥, 김경윤, 김경윤, 김경인, 김경일, 김경주, 김경해, 김경후, 김경희, 김광원, 김광철, 김규성, 김 근, 김기선, 김기택, 김기홍, 김나원, 김남극, 김남일, 김대현, 김도언, 김도연, 김동승, 김동환, 김두안, 김 림, 김 명, 김명기, 김명남, 김명선, 김명은, 김명인(평론), 김명지, 김명철, 김명환(시), 김미령, 김미승, 김미애, 김민숙, 김민정, 김민정, 김민휴, 김별아, 김병윤, 김병익, 김병택, 김복순, 김사이, 김사인, 김상욱, 김상혁, 김석주, 김석중, 김석춘, 김석현, 김선우, 김선주, 김선태, 김선향, 김성규, 김성장, 김성중, 김성진, 김성호, 김소연, 김수려, 김수목, 김수우, 김순영, 김승환, 김승희, 김 안, 김연수, 김연숙, 김 영, 김영범, 김영호, 김영희, 김 오, 김옥전, 김요일, 김용길, 김용락, 김용만, 김용태, 김 윤, 김윤곤, 김윤영, 김윤호, 김윤환, 김율도, 김은경, 김은령, 김응교, 김의현, 김이강, 김이구, 김이정, 김이하, 김인순, 김인호, 김일연, 김일영, 김자흔, 김재균, 김재석, 김재호, 김재훈, 김점용, 김정란, 김정애, 김정운, 김정환, 김정희, 김종경, 김종광, 김종성, 김종숙, 김종철(평론), 김종필, 김주대, 김주희, 김준영, 김준태, 김중일, 김중태, 김 진, 김진수, 김진완, 김진희, 김찬정, 김창규, 김창균, 김태수, 김태형, 김필남, 김하경, 김학중, 김해림, 김해원, 김해자, 김해화, 김행숙, 김헌일, 김현영, 김현주, 김형수, 김형식, 김형중, 김형효, 김혜민, 김혜순(김젬마), 김혜정(소설), 김혜정, 김홍신, 김홍주, 김화숙, 김효사, 나병춘, 나여경, 나정이, 나종영, 나해철, 나희덕, 남기택, 남상순, 남효선, 노순자, 노지영, 도종환, 도정일, 라윤영, 류명선, 류보선, 류수연, 류외향, 류 은, 류재복, 류정환, 마 린, 맹문재, 문계봉, 문대남, 문동만, 문상용, 문숙자, 문순태, 문창갑, 문창길, 문철수, 민 영, 박경원, 박경장, 박관서, 박규견, 박금리, 박남원, 박남준, 박남희, 박대순, 박 도, 박두규, 박몽구, 박문구, 박민규, 박민정, 박범신, 박상건, 박상률, 박서영, 박석준, 박선욱, 박설희, 박성우, 박성한, 박소란, 박소연, 박소영, 박수연, 박순원, 박순호, 박승민, 박승자, 박시교, 박시우, 박신규, 박 영, 박영희, 박예분, 박완섭, 박우담, 박원희, 박윤규, 박이정, 박인혜, 박일환, 박재웅, 박정애, 박정윤, 박종관, 박종국, 박종화, 박종희, 박 준, 박찬세, 박 철, 박철영, 박현숙, 박현우, 박현욱, 박형권, 박형준, 박혜강, 박혜선, 박혜숙, 박혜영, 박호민, 박호재, 박흥순, 박흥식, 방현석, 방현희, 배교윤, 배길남, 배명희, 배봉기, 배수연, 배영옥, 배이유, 배재경, 백가흠, 백낙청, 백상웅, 백정희, 복도훈, 부희령, 서규정, 서동인, 서성란, 서수찬, 서안나, 서영식, 서영인, 서영채, 서유미, 서정아, 서정오, 서정원, 서정화, 서홍관, 서효인, 석여공, 선우영자, 설정환, 성향숙, 소종민, 손 미, 손병걸, 손상열, 손세실리아, 손승휘, 손종업, 손지태, 손택수, 손홍규, 송경동, 송광룡, 송기역, 송명호, 송승환, 송 언, 송유미, 송은숙, 송은일, 송주성, 송 진, 송찬호, 송태웅, 송호필, 신경림, 신남영, 신덕룡, 신동옥, 신동원, 신용목, 신수현, 신 진, 신철규, 신해욱, 신현림, 신현수, 신혜진, 심보선, 심영의, 심은경, 안덕훈, 안도현, 안명옥, 안미옥, 안상학, 안영희, 안오일, 안이희옥, 안주철, 안지숙, 안찬수, 안학수, 안희정, 양경언, 양 곡, 양문규, 양 원, 양일동, 양지안, 양진오, 양혜원, 엄경희, 여성민, 염무웅, 염창권, 오다정, 오미경, 오미옥, 오민석, 오선영, 오수연, 오시은, 오연경, 오인태, 오주리, 오창은, 오철수, 오춘옥, 오태호, 오하룡, 용환신, 우찬제, 원명희, 원무현, 원종국, 원종찬, 유동림, 유병록, 유 순, 유순예, 유시연, 유시춘, 유영진, 유용주, 유은실, 유 종, 유종순, 유채림, 유현아, 유희석, 윤동수, 윤석위, 윤석정, 윤석주, 윤석준, 윤숙희, 윤아린, 윤여설, 윤영전, 윤원일, 윤이주, 윤재걸, 윤정모, 윤중목, 윤지강, 윤지관, 윤천수, 윤혜숙, 은승완, 은희경, 이가을, 이강산, 이경수, 이경자, 이경재, 이경희, 이광호, 이규정, 이근배, 이기인, 이나영, 이덕규, 이도영, 이도윤, 이동재, 이만교, 이명원, 이명한, 이묘신, 이미애, 이미욱, 이민숙, 이민호, 이범근, 이병률, 이병순, 이병초, 이봉환, 이산하, 이상국, 이상권, 이상락, 이상실, 이상훈, 이 선, 이선영, 이선우, 이설야, 이성목, 이성준, 이성혁, 이세기, 이세방, 이소리, 이소암, 이소영, 이수진, 이수풀, 이수행, 이숙현, 이승철, 이승희, 이시백, 이시영, 이신조, 이 안, 이언빈, 이영미, 이영주, 이영희, 이용석, 이용임, 이 원, 이원규, 이원화, 이위발, 이윤하, 이은규, 이은봉, 이은선, 이은주, 이인범, 이 잠, 이재무, 이재연, 이재웅, 이재윤, 이 적, 이정민, 이정섭, 이정숙, 이정임, 이정현, 이정화, 이정훈, 이종수, 이종욱, 이종원, 이종형, 이주형, 이중기, 이지담, 이지호, 이 진, 이진명, 이진욱, 이진희, 이창숙, 이철경, 이철송, 이태형, 이하석, 이한길, 이한주, 이향안, 이현수, 이현옥, 이혜미, 이화경, 이효복, 이후경, 이흔복, 이희중, 이희환, 임경섭, 임규찬, 임동확, 임명진, 임 봄, 임성규, 임성용, 임수랑, 임수생, 임수현, 임영봉, 임영희, 임원혁, 임재정, 임홍배, 임회숙, 임희구, 장대송, 장무령, 장석남, 장성규, 장세현, 장시우, 장용철, 장정희, 장주섭, 장주식, 전다형, 전대환, 전삼혜, 전성욱, 전영관, 전용호, 전정구, 정공량, 정광모, 정규철, 정기복, 정남영, 정대호, 정란희, 정 민, 정병근, 정선호, 정세훈, 정수자, 정승희, 정안나, 정양주, 정연홍, 정용국, 정우련, 정우영, 정원도, 정익진, 정종목, 정종연, 정지아, 정진혁, 정 찬, 정현기, 정혜경, 정홍수, 정화진, 정훈교, 정희일, 조기수, 조대현, 조문경, 조성국, 조성면, 조성웅, 조연호, 조영욱, 조용미, 조용환, 조재도, 조재룡, 조정애, 조정인, 조정환, 조진태, 조태진, 조해일, 조해진, 조향미, 조혁신, 조현옥, 조화자, 주중식, 지요하, 지창영, 진 란, 진보경, 진연주, 진은영, 차노휘, 차옥혜, 차창룡, 채상근, 채상우, 채진홍, 채희윤, 천수호, 천양희, 최강민, 최기종, 최명진, 최성수, 최세운, 최영욱, 최영철, 최영희, 최용탁, 최은미, 최인석, 최일남, 최정란, 최정화, 최종천, 최지인, 최창근, 최현우, 최현주, 최형심, 최형태, 최호빈, 최호일, 태기수, 편혜영, 표광소, 표성배, 하성란, 하승모, 하승무, 하승우, 한도훈, 한상순, 한상준, 한용재, 한인준, 한차현, 한창훈, 함돈균, 함민복, 함성호, 함순례, 허은실, 허종열, 허형만, 현기영, 호인수, 홍관희, 홍광석, 홍기돈, 홍명진, 홍양순, 홍용희, 홍일선, 홍일표, 황구하, 황국명, 황규관, 황병목, 황석영, 황선열, 황시운, 황은덕, 황인산, 황인숙, 황인찬, 황지운, 황재학, 황정산, 황학주, 황현산, 휘 민, 희 정 2012년 12월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 문화예술인 4,110명간영훈(영화), 갈준수(전통예술), 강경근(전통예술), 강경근(영화), 강경희(문학), 강교석(방송), 강국현(영화), 강권자(전통예술), 강규헌(영화), 강금안(영화), 강기경(전통예술), 강기욱(미술), 강기희문학 강남이(전통예술), 강대규(영화), 강대훈(영화), 강동건(영화), 강동욱(전통예술), 강동호(영화), 강동훈(영화), 강만규(영화), 강명구(영화), 강명찬(영화), 강문봉(영화), 강민경(영화), 강민규(음악), 강민선(영화), 강민수(영화), 강민정(전통예술), 강병조(영화), 강병철(문학), 강복순(전통예술), 강상기(문학), 강상민(영화), 강상훈(영화), 강석인(영화), 강석필(영화), 강선희(영화), 강성률(영화), 강성봉(미술), 강성환(방송), 강세인(영화), 강숙(영화), 강순자(전통예술), 강승원(영화), 강승효(영화), 강신국(전통예술), 강신숙(전통예술), 강신향(전통예술), 강양교(영화), 강연곤(영화), 강연준(영화), 강영환(문학), 강예복(방송), 강옥남(방송), 강요배(미술), 강용면(미술), 강욱(영화), 강원(영화), 강유선(영화), 강윤수(영화), 강윤순(영화), 강인석(음악), 강재훈(영화), 강전충(미술), 강정석(영화), 강정애(전통예술), 강정훈(영화), 강종민(영화), 강주석(영화), 강주완(미술), 강주희(방송), 강진(문학), 강진(영화), 강진(영화), 강진아(영화), 강진원(영화), 강철우(영화), 강태규(문학), 강태균(영화), 강태석(영화), 강태원(영화), 강한별(영화), 강해진(영화), 강현정(영화), 강혜경(전통예술), 강호규(영화), 강홍희(전통예술), 강희순(전통예술), 강희정(방송), 강희철(문학), 경민선(영화), 경진수(전통예술), 고경덕(영화), 고경은(영화), 고경태(영화), 고기영(영화), 고길주(영화), 고대환(영화), 고동환(영화), 고명자(문학), 고명주(방송), 고미라(문화일반), 고병철(영화), 고봉성(영화), 고봉진(영화), 고상훈(영화), 고선주(문학), 고순희(문학), 고시원(영화), 고아라(전통예술), 고아모(영화), 고연정(영화), 고영광(영화), 고영서(문학), 고영진(영화), 고유순(전통예술), 고은성(영화), 고이경(영화), 고재운(방송), 고정욱(영화), 고정호(영화), 고종선(전통예술), 고진하(문학), 고창근(문학), 고춘숙(미술), 고현정(영화), 고현주(사진), 고희경(문화일반), 공병철(영화), 공병호(전통예술), 공부성(영화), 공성길(음악), 공영두(방송), 공정식(전통예술), 공준식(영화), 공지영(문학), 곽경준(방송), 곽공길(방송), 곽금산(방송), 곽기남(영화), 곽미라(영화), 곽미순(출판), 곽병창(연극), 곽상훈(영화), 곽서연(영화), 곽성환(영화), 곽숙녀(전통예술), 곽숙녀(전통예술), 곽용수(영화), 곽일섭(영화), 곽정혜(미술), 곽중훈(영화), 곽현기(영화), 곽호진(방송), 곽희원(영화), 구두환(영화), 구본행(전통예술), 구수경(문화일반), 구자흥(영화), 구중서(문학), 구태진(영화), 구하린(영화), 구혁(영화), 국소남(음악), 국중웅(영화), 국청아(영화), 권건우(공연), 권기백(영화), 권기병(방송), 권기진(영화), 권기철(미술), 권기희(영화), 권나영(애니메이션), 권남진(영화), 권대희(영화), 권동진(문학), 권명국(영화), 권명환(영화), 권문상(전통예술), 권미경(공연), 권미영(무용), 권민구(영화), 권민철(영화), 권분순(전통예술), 권상제(전통예술), 권석중(영화), 권선영(영화), 권선영(영화), 권수진(문학), 권시연(전통예술), 권영수(방송), 권영숙(미술), 권영일(영화), 권영준(영화), 권영준(영화), 권오성(영화), 권오승(미술), 권오용(방송), 권오창(방송), 권오현(문학), 권용길(음악), 권용길(음악), 권용우(전통예술), 권용자(미술), 권인찬(방송), 권자현(방송), 권정득(영화), 권정원(영화), 권정일(문학), 권준령(영화), 권중현(방송), 권지선(영화), 권지은(영화), 권진모(영화), 권진협(영화), 권진희(문학), 권창범(영화), 권철범(영화), 권태균(영화), 권태석(방송), 권태연(문화일반), 권하얀(영화), 권하진(영화), 권해정(영화), 권형경(영화), 권현칠(미술), 권현형(문학), 권혜민(영화), 권혜영(영화), 권혜진(영화), 권화빈(문학), 권희철(영화), 금병근(음악), 기노영(영화), 기미양(음악), 기세훈(영화), 기종철(방송), 기현수(음악), 기혜인(영화), 길종화(음악), 김갑선(전통예술), 김강덕(애니메이션), 김강수(전통예술), 김강수(영화), 김강철(전통예술), 김건식(영화), 김건희(미술), 김경(영화), 김경관(영화), 김경남(전통예술), 김경모(영화), 김경모(영화), 김경문(영화), 김경미(무용), 김경미(전통예술), 김경미(전통예술), 김경민(사진), 김경민(전통예술), 김경민(영화), 김경복(문학), 김경분(전통예술), 김경삼(영화), 김경석(영화), 김경수(영화), 김경숙(무용), 김경숙(음악), 김경숙(전통예술), 김경옥(영화), 김경원(연극), 김경주(문학), 김경진(영화), 김경호(음악), 김경호(전통예술), 김경호(영화), 김경화(미술), 김경화(전통예술), 김경환(전통예술), 김경환(전통예술), 김경희(문화일반), 김경희(방송), 김경희(전통예술), 김계중(영화), 김광민(영화), 김광민(영화), 김광선(문학), 김광수(사진), 김광수(영화), 김광식(영화), 김광일(영화), 김광자(전통예술), 김광진(영화), 김광철(방송), 김광태(영화), 김광회(애니메이션), 김귀옥(전통예술), 김귀옥(전통예술), 김귀자(문학), 김규나(문학), 김규오(영화), 김규옥(영화), 김규형(문화일반), 김규희(전통예술), 김근수(방송), 김근수(영화), 김근원(음악), 김근태(미술), 김기동(영화), 김기락(방송), 김기문(영화), 김기반(미술), 김기봉(문화일반), 김기수(영화), 김기연(영화), 김기영(연극), 김기옥(출판), 김기자(방송), 김기태(영화), 김기태(영화), 김기형(음악), 김기호(영화), 김기홍(문학), 김기훈(영화), 김길자(영화), 김길태(영화), 김나영(문학), 김나영(영화), 김나현(영화), 김낙현(음악), 김남균(영화), 김남수(미술), 김남숙(영화), 김남술(미술), 김남주(영화), 김남형(음악), 김남호(영화), 김남희(애니메이션), 김노영(영화), 김다래(음악), 김다롱(영화), 김다운(애니메이션), 김다정(영화), 김다혜(영화), 김다홍(영화), 김단희(방송), 김대규(영화), 김대규(영화), 김대림(영화), 김대범(영화), 김대복(전통예술), 김대상(영화), 김대석(방송), 김대성(영화), 김대승(영화), 김대열(영화), 김대엽(방송), 김대영(영화), 김대욱(영화), 김대윤(전통예술), 김대인(영화), 김대일(음악), 김대중(전통예술), 김대진(영화), 김대호(영화), 김덕순(전통예술), 김덕진(미술), 김덕진(영화), 김도순(전통예술), 김도연(문학), 김도연(영화), 김도엽(영화), 김도일(연극), 김도현(영화), 김도형(전통예술), 김도형(영화), 김도훈(방송), 김동건(영화), 김동규(음악), 김동규(영화), 김동균(영화), 김동민(영화), 김동범(영화), 김동선(영화), 김동수(전통예술), 김동원(전통예술), 김동윤(전통예술), 김동인(영화), 김동주(영화), 김동주(영화), 김동주(영화), 김동진(미술), 김동진(영화), 김동혁(영화), 김동호(전통예술), 김동환(전통예술), 김동효(영화), 김동훈(영화), 김두구(전통예술), 김두성(미술), 김두헌(영화), 김륭(문학), 김리아(출판), 김만곤(영화), 김만동(전통예술), 김만수(미술), 김명(영화), 김명관(영화), 김명근(방송), 김명수(사진), 김명옥(미술), 김명윤(영화), 김명찬(영화), 김명하(영화), 김명호(문학), 김무경(음악), 김무성(방송), 김무열(무용), 김무진(영화), 김문수(전통예술), 김문영(영화), 김미경(문학), 김미경(전통예술), 김미라(문학), 김미선(전통예술), 김미선(영화), 김미숙(전통예술), 김미숙(전통예술), 김미영(음악), 김미영(영화), 김미원(음악), 김미월(문학), 김미자(전통예술), 김미자(전통예술), 김미정(문학), 김미향(연극), 김민(영화), 김민경(영화), 김민경(영화), 김민규(영화), 김민기(영화), 김민석(영화), 김민성(영화), 김민성(영화), 김민세(전통예술), 김민수(영화), 김민수(영화), 김민영(영화), 김민욱(영화), 김민재(영화), 김민정(문학), 김민정(방송), 김민정(영화), 김민정(영화), 김민중(영화), 김민지(방송), 김민지(영화), 김민철(방송), 김민형(영화), 김민호(영화), 김민홍(사진), 김민화(영화), 김바다(영화), 김바올라(문학), 김방죽(미술), 김배화(전통예술), 김범석(영화), 김범우(영화), 김범준(영화), 김병국(영화), 김병국(영화), 김병선(음악), 김병수(음악), 김병수(영화), 김병용(문학), 김병주(전통예술), 김병찬(음악), 김병철(영화), 김병철(영화), 김병한(영화), 김병호(문학), 김병호(문학), 김보경(영화), 김보경(영화), 김보승(영화), 김보현(영화), 김복심(전통예술), 김복희(영화), 김봉균(문학), 김봉술(전통예술), 김봉식(영화), 김봉연(영화), 김봉환(미술), 김부철(영화), 김분(영화), 김분희(전통예술), 김비채(영화), 김삼중(방송), 김상기(영화), 김상범(영화), 김상범(영화), 김상서(영화), 김상수(영화), 김상연(영화), 김상영(영화), 김상옥(미술), 김상우(영화), 김상우(영화), 김상윤(영화), 김상철(영화), 김상화(영화), 김서경(미술), 김서련(문학), 김서령(문학), 김서희(영화), 김석권(전통예술), 김석민(영화), 김석애(전통예술), 김석주(미술), 김선구(영화), 김선국(영화), 김선규(영화), 김선민(영화), 김선범(영화), 김선숙(영화), 김선웅(방송), 김선이(문화일반), 김선자(미술), 김선자(전통예술), 김선자(전통예술), 김선정(음악), 김선주(전통예술), 김선태(음악), 김선필(영화), 김선화(영화), 김선희(영화), 김설희(문학), 김성권(영화), 김성근(영화), 김성기(영화), 김성년(영화), 김성림(문화일반), 김성민(미술), 김성민(영화), 김성민(영화), 김성범(영화), 김성수(영화), 김성숙(미술), 김성숙(전통예술), 김성식(영화), 김성아(전통예술), 김성연(미술), 김성열(방송), 김성원(무용), 김성은(전통예술), 김성익(건축), 김성진(영화), 김성진(영화), 김성철(영화), 김성한(영화), 김성현(전통예술), 김성현(영화), 김성호(문학), 김성호(영화), 김성호(영화), 김성훈(영화), 김성훈(영화), 김성훈(영화), 김성희(연극), 김세연(문학), 김세윤(영화), 김세정(영화), 김소나(영화), 김소리(영화), 김소연(연극), 김호연(영화), 김소영(전통예술), 김소인(문학), 김손분(전통예술), 김솔(영화), 김송이(영화), 김수경(영화), 김수림(영화), 김수빈(영화), 김수아(영화), 김수아(영화), 김수연(무용), 김수완(영화), 김수용(무용), 김수우(문학), 김수웅(영화), 김수진(방송), 김수진(영화), 김수진(영화), 김수현(영화), 김수화(문학), 김수희(전통예술), 김숙자(미술), 김숙자(전통예술), 김숙정(영화), 김숙향(전통예술), 김숙현(문학), 김순(영화), 김순기(전통예술), 김순덕(전통예술), 김순득(미술), 김순모(영화), 김순용(영화), 김순자(미술), 김순자(전통예술), 김순천(문화일반), 김승권(영화), 김승민(영화), 김승준(영화), 김승태(방송), 김승해(문학), 김승현(영화), 김시무(영화), 김시숙(미술), 김시안(문학), 김시현(문학), 김신(만화), 김신성(영화), 김신효(문화일반), 김아영(애니메이션), 김애란(문화일반), 김애란(영화), 김애리(전통예술), 김양규(영화), 김양자(미술), 김언중(전통예술), 김연(음악), 김연갑(음악), 김연봉(미술), 김연수(영화), 김연용(전통예술), 김연우(전통예술), 김연주(영화), 김연주(영화), 김연황(영화), 김열(문학), 김영국(영화), 김영균(영화), 김영기(방송), 김영동(영화), 김영리(전통예술), 김영미(문화일반), 김영미(전통예술), 김영미(영화), 김영민(미술), 김영민(영화), 김영배(미술), 김영범(출판), 김영범(문학), 김영복(영화), 김영부(공연), 김영산(전통예술), 김영서(문학), 김영석(미술), 김영석(전통예술), 김영석(영화), 김영선(영화), 김영성(영화), 김영숙(전통예술), 김영숙(전통예술), 김영순(방송), 김영식(출판), 김영욱(전통예술), 김영웅(영화), 김영자(전통예술), 김영주(영화), 김영준(음악), 김영중(미술), 김영지(영화), 김영진(영화), 김영진(영화), 김영진(영화), 김영천(영화), 김영철(영화), 김영철(영화), 김영현(영화), 김영호(방송), 김영호(영화), 김영호(영화), 김영환(영화), 김영훈(애니메이션), 김영훈(영화), 김영희(전통예술), 김옥란(전통예술), 김옥숙(문학), 김옥영(방송), 김옥철(영화), 김옥희(연극), 김완곤(영화), 김완동(영화), 김완석(전통예술), 김외남(문학), 김요섭(영화), 김요아킴(문학), 김요한(영화), 김요환(영화), 김용락(문학), 김용락(문학), 김용목(무용), 김용상(영화), 김용선(영화), 김용성(영화), 김용성(영화), 김용수(영화), 김용수(영화), 김용수(영화), 김용순(전통예술), 김용완(영화), 김용운(영화), 김용진(영화), 김용태(미술), 김용한(방송), 김용한(영화), 김용훈(영화), 김우석(영화), 김우성(영화), 김우승(영화), 김우주(영화), 김우준(영화), 김우진(영화), 김우태(방송), 김욱(영화), 김운경(방송), 김운성(미술), 김운성(영화), 김운열(영화), 김원모(영화), 김원석(영화), 김원선(음악), 김원섭(영화), 김원조(전통예술), 김원중(방송), 김원중(음악), 김원직(영화), 김유경(영화), 김유미(영화), 김유미(영화), 김유신(영화), 김유진(영화), 김유진(영화), 김유진(영화), 김유화(영화), 김윤곤(영화), 김윤기(미술), 김윤례(방송), 김윤숙(전통예술), 김윤영(문학), 김윤영(영화), 김윤정(영화), 김윤지(영화), 김윤창(영화), 김윤태(영화), 김윤하(전통예술), 김윤향(전통예술), 김윤희(영화), 김윤희(영화), 김윤희(영화), 김은경(미술), 김은령(문학), 김은미(문화일반), 김은미(영화), 김은숙(연극), 김은영(영화), 김은정(영화), 김은주(영화), 김은지(방송), 김은혜(무용), 김은호(영화), 김은희(영화), 김의열(미술), 김의원(문학), 김이석(영화), 김이정(문학), 김이하(문학), 김인각(전통예술), 김인규(사진), 임인규(영화), 김인기(문학), 김인선(문화일반), 김인섭(영화), 김인수(전통예술), 김인순(전통예술), 김인지(문학), 김인태(영화), 김인호(출판), 김인호(문학), 김일동(영화), 김일석(영화), 김일수(음악), 김일안(영화), 김일지(문학), 김일태(영화), 김일형(영화), 김일호(전통예술), 김자연(문학), 김재광(영화), 김재규(전통예술), 김재근(영화), 김재민(문화일반), 김재민(영화), 김재영(전통예술), 김재영(미술), 김재영(영화), 김재영(영화), 김재윤(영화), 김재종(영화), 김재진(전통예술), 김재현(영화), 김재형(영화), 김재형(영화), 김재호(영화), 김재홍(문화일반), 김재홍(미술), 김재훈(영화), 김전진(영화), 김정길(영화), 김정동(영화), 김정란(음악), 김정미(전통예술), 김정미(전통예술), 김정미(영화), 김정민(영화), 김정배(문학), 김정석(음악), 김정섭(공연), 김정수(사진), 김정수(연극), 김정숙(영화), 김정순(전통예술), 김정순(전통예술), 김정아(영화), 김정영(영화), 김정옥(미술), 김정옥(전통예술), 김정우(영화), 김정욱(음악), 김정욱(영화), 김정원(영화), 김정태(만화), 김정태(영화), 김정태(영화), 김정태(영화), 김정태(영화), 김정헌(미술), 김정혁(영화), 김정현(방송), 김정현(영화), 김정현(영화), 김정호(영화), 김정회(전통예술), 김정훈(영화), 김정훈(영화), 김정희(문화일반), 김제영(문학), 김종광(문학), 김종국(영화), 김종기(전통예술), 김종기(영화), 김종기(영화), 김종도(미술), 김종련(연극), 김종만(연극), 김종민(영화), 김종범(영화), 김종석(전통예술), 김종석(전통예술), 김종성(연극), 김종숙(문학), 김종순(방송), 김종우(영화), 김종원(연극), 김종윤(영화), 김종윤(영화), 김종일(영화), 김종진(영화), 김종표(미술), 김종학(영화), 김종호(영화), 김종훈(방송), 김종훈(영화), 김종훈(영화), 김주경(영화), 김주리(영화), 김주민(영화), 김주양(영화), 김주영(영화), 김주영(전통예술), 김주완(영화), 김주원(연극), 김주일(영화), 김주한(영화), 김주현(영화), 김주현(영화), 김주현(영화), 김주호(영화), 김준겸(영화), 김준권(미술), 김준기(문학), 김준모(전통예술), 김준영(영화), 김준형(영화), 김중한(영화), 김중현(출판), 김지나(패션), 김지선(문학), 김지성(영화), 김지연(영화), 김지연(영화), 김지영(미술), 김지우(방송), 김지운(영화), 김지원(전통예술), 김지윤(영화), 김지은(애니메이션), 김지은(영화), 김지헌(영화), 김지현(무용), 김지현(문학), 김지혜(영화), 김지호(영화), 김지훈(영화), 김지훈(영화), 김지희(영화), 김직수(전통예술), 김진(음악), 김진경(문학), 김진경(영화), 김진기(영화), 김진남(영화), 김진래(영화), 김진렬(영화), 김진묵(영화), 김진문(방송), 김진석(문화일반), 김진성(출판), 김진성(영화), 김진성(영화), 김진수(방송), 김진수(문학), 김진숙(방송), 김진식(영화), 김진아(음악), 김진아(영화), 김진아(영화), 김진영(문화일반), 김진영(영화), 김진완(문학), 김진철(영화), 김진하(영화), 김진한(영화), 김진형(음악), 김진희(미술), 김진희(영화), 김진희(영화), 김찬성(전통예술), 김찬중(미술), 김참(문학), 김창곤(연극), 김창미(영화), 김창수(문화일반), 김창수(영화), 김창이(전통예술), 김창호(문학), 김채운(문학), 김천수(영화), 김철겸(미술), 김철규(전통예술), 김철규(전통예술), 김철균(영화), 김철용(영화), 김철웅(영화), 김철웅(영화), 김철준(전통예술), 김치성(영화), 김치윤(영화), 김태경(사진), 김태경(전통예술), 김태균(음악), 김태기(영화), 김태만(문학), 김태민(전통예술), 김태성(음악), 김태수(영화), 김태엽(무용), 김태영(음악), 김태영(영화), 김태완(전통예술), 김태용(출판), 김태우(출판), 김태우(영화), 김태일(영화), 김태일(영화), 김태진(영화), 김태철(전통예술), 김태헌(출판), 김태형(만화), 김태형(문학), 김태형(영화), 김태호(영화), 김태환(영화), 김태훈(영화), 김태훈(영화), 김태훈(영화), 김태희(영화), 김택상(영화), 김택주(영화), 김판산(전통예술), 김판조(전통예술), 김평기(영화), 김평삼(연극), 김평수(문화일반), 김필규(영화), 김필남(문학), 김하나(영화), 김하늬(미술), 김학례(문학), 김학재(전통예술), 김학준(영화), 김한나(영화), 긴한별(무용), 김한성(영화), 김한예(미술), 김한철(방송), 김항열(영화), 김해경(문학), 김해곤(영화), 김행숙(전통예술), 김행운(전통예술), 김향교(전통예술), 김향자(영화), 김헌근(연극), 김헌철(영화), 김현(영화), 김현겸(방송), 김현경(영화), 김현경(영화), 김현규(전통예술), 김현규(영화), 김현근(영화), 김현란(전통예술), 김현성(방송), 김현성(영화), 김현숙(전통예술), 김현영(전통예술), 김현우(영화), 김현정(무용), 김현정(영화), 김현정(영화), 김현준(방송), 김현철(음악), 김현철(영화), 김현철(영화), 김현태(영화), 김현호(영화), 김현호(영화), 김현회(영화), 김현희(영화), 김형구(음악), 김형대(미술), 김형모(방송), 김형미(문학), 김형민(영화), 김형민(영화), 김형배(만화), 김형석(음악), 김형석(영화), 김형용(영화), 김형주(영화), 김형주(영화), 김형준(영화), 김형준(영화), 김형준(영화), 김형준(영화), 김형철(영화), 김형현(영화), 김혜린(연극), 김혜선(미술), 김혜진(영화), 김호규(음악), 김호룡(영화), 김호석(영화), 김홍기(애니메이션), 김홍기(영화), 김홍목(영화), 김홍민(출판), 김홍민(영화), 김홍식(영화), 김홍은(영화), 김홍천(영화), 김화범(영화), 김화선(영화), 김화섭(영화), 김화수(영화), 김화숙(문학), 김화영(영화), 김화자(전통예술), 김화정(영화), 김화준(영화), 김환(문학), 김환복(미술), 김회식(영화), 김효균(영화), 김효석(애니메이션), 김효신(방송), 김효정(영화), 김효진(영화), 김훈(영화), 김훈(영화), 김훈곤(미술), 김희목(영화), 김희상(미술), 김희선(전통예술), 김희수(문학), 김희수(영화), 김희재(영화), 김희정(문학), 김희정(영화), 김희진(방송), 김희진(영화), 김희태(영화), 김희태(영화), 나두열(영화), 나무(음악), 나소옥(영화), 나애숙(전통예술), 나영필(영화), 나용국(영화), 나일선(영화), 나정호(영화), 나종영(문학), 나종희(미술), 나준영(영화), 나진국(영화), 나혜영(영화), 나홍균(출판), 남경민(영화), 남경우(영화), 남기협(영화), 남기호(영화), 남대한(영화), 남도희(영화), 남명희(미술), 남상진(문학), 남상철(방송), 남성식(영화), 남순랑(방송), 남승미(출판), 남승석(영화), 남시욱(영화), 남연우(영화), 남영우(영화), 남우미(영화), 남은영(영화), 남정욱(영화), 남진우(영화), 남현수(영화), 남현아(영화), 남현우(영화), 남희섭(영화), 노경란(문화일반), 노계순(전통예술), 노광래(미술), 노무환(영화), 노성숙(전통예술), 노성언(영화), 노수환(영화), 노슬기(영화), 노승수(영화), 노승욱(영화), 노영아(영화), 노원희(미술), 노원희(미술), 노윤아(영화), 노일환(영화), 노재석(미술), 노정희(문학), 노준철(영화), 노준호(영화), 노지영(문학), 노태련(전통예술), 노학수(영화), 노해인(영화), 노현수(문학), 노현숙(미술), 노혜영(영화), 노효봉(전통예술), 단운철(영화), 도동준(영화), 도승철(출판), 도정일(문학), 도종환(문학), 돈재철(방송), 동길산(문학), 득산스님(미술), 라장흠(전통예술), 라현(영화), 라희찬(영화), 류근영(영화), 류기봉(문학), 류명선(문학), 류선규(영화), 류선아(전통예술), 류소담(영화), 류시율(전통예술), 류영수(전통예술), 류영향(방송), 류영훈(영화), 류옥순(문학), 류인서(문학), 류정환(문학), 류종진(영화), 류준화(미술), 류쥬형(영화), 류지희(미술), 류진경(영화), 류충렬(미술), 류충렬(방송), 류현주(전통예술), 류형진(영화), 류희백(영화), 마연근(영화), 마호순(전통예술), 명규일(영화), 명제(음악), 모성진(영화), 모종혁(영화), 문경남(영화), 문경환(영화), 문금정(영화), 문나영(미술), 문대남(문학), 문대현(음악), 문동옥(음악), 문명진(영화), 문미란(문화일반), 문미숙(문화일반), 문병용(영화), 문병학(문학), 문성경(영화), 문성권(영화), 문성근(미술), 문성욱(영화), 문성해(문학), 문수영(영화), 문신(문학), 문양희(방송), 문영수(영화), 문예원(방송), 문용군(영화), 문재홍(영화), 문정모(방송), 문정미(영화), 문정미(영화), 문정숙(방송), 문정우(영화), 문정후(만화), 문종오(문화일반), 문주리(영화), 문주연(영화), 문철배(음악), 문철배(영화), 문필규(영화), 문해청(문학), 문현성(영화), 문형욱(영화), 문호영(사진), 문홍기(전통예술), 문희정(영화), 민경권(영화), 민경민(영화), 민규홍(영화), 민들레(전통예술), 민병길(사진), 민병수(영화), 민병채(영화), 민보건(미술), 민성원(영화), 민슬아(애니메이션), 민연숙(전통예술), 민웅재(영화), 민정기(미술), 민지영(영화), 민철식(영화), 민현기(문화일반), 민현선(영화), 박가은(음악), 박건우(영화), 박건웅(만화), 박건호(영화), 박경민(영화), 박경수(방송), 박경숙(전통예술), 박경애(미술), 박경원(문학), 박경조(문학), 박경희(문학), 박경희(문학), 박관병(영화), 박관서(문학), 박관석(영화), 박광석(영화), 박광성(영화), 박광연(전통예술), 박권수(문학), 박권영(음악), 박규복(전통예술), 박균수(영화), 박근남(출판), 박근홍(영화), 박금화(전통예술), 박기성(방송), 박나미(영화), 박남준(문학), 박남준(문학), 박노경(영화), 박노출(영화), 박누리(영화), 박대건(영화), 박대경(영화), 박대한(방송), 박대호(영화), 박대희(영화), 박동석(전통예술), 박동식(전통예술), 박동욱(전통예술), 박동주(영화), 박동한(영화), 박동화(전통예술), 박란(영화), 박란주(영화), 박래옥(음악), 박령순(음악), 박만진(음악), 박명래(미술), 박명수(방송), 박명환(영화), 박미경(전통예술), 박미라(미술), 박미서(무용), 박미숙(전통예술), 박미정(방송), 박민경(영화), 박민상(영화), 박민수(방송), 박민수(영화), 박민희(공연), 박범규(영화), 박범수(영화), 박범진(영화), 박병선(전통예술), 박병은(영화), 박병익(영화), 박병창(음악), 박병호(음악), 박보건(전통예술), 박보근(영화), 박복순(영화), 박봉수(영화), 박부귀(영화), 박부식(영화), 박사현(영화), 박상규(영화), 박상덕(전통예술), 박상민(영화), 박상순(전통예술), 박상욱(영화), 박상철(영화), 박상현(영화), 박상훈(애니메이션), 박샛별(영화), 박서영(문학), 박서영(영화), 박서원(문화일반), 박석광(영화), 박선민(전통예술), 박선주(문학), 박선주(영화), 박선주(영화), 박선희(무용), 박설희(영화), 박성남(영화), 박성영(영화), 박성우(문학), 박성우(문학), 박성욱(영화), 박성일(영화), 박성진(영화), 박성진(영화), 박성진(영화), 박성택(영화), 박성필(영화), 박성하(전통예술), 박성호(전통예술), 박성호(전통예술), 박성훈(영화), 박성훈(영화), 박세문(영화), 박세승(영화), 박세준(영화), 박세진(영화), 박세희(영화), 박소담(미술), 박소연(영화), 박송열(영화), 박송이(영화), 박송이(영화), 박수남(전통예술), 박수서(문학), 박수영(영화), 박수정(전통예술), 박수정(영화), 박수형(영화), 박수화(영화), 박수훈(미술), 박순연(전통예술), 박숙이(전통예술), 박숙희(출판), 박순구(만화), 박순옥(전통예술), 박순호(문학), 박순호(문학), 박순홍(영화), 박승민(문학), 박승환(영화), 박시백(만화), 박시향(음악), 박시헌(무용), 박신자(방송), 박아연(문학), 박아형(영화), 박야일(미술), 박여진(방송), 박연주(영화), 박영(영화), 박영(영화), 박영균(미술), 박영균(미술), 박영미(방송), 박영미(문학), 박영민(음악), 박영민(영화), 박영봉(영화), 박영선(영화), 박영준(영화), 박영태(영화), 박영희(전통예술), 박영희(전통예술), 박예리(영화), 박예분(문학), 박예지(방송), 박옥임(전통예술), 박옥조(전통예술), 박용찬(음악), 박용태(영화), 박용하(문학), 박우식(미술), 박우식(영화), 박웅희(영화), 박원선(전통예술), 박원준(영화), 박원희(문학), 박위성(전통예술), 박유선(영화), 박윤규(문학), 박윤남(영화), 박윤수(전통예술), 박윤형(영화), 박은주(연극), 박은주(문학), 박은태(미술), 박응주(미술), 박이규(영화), 박인수(전통예술), 박인수(영화), 박인철(영화), 박일두(연극), 박일아(문학), 박일아(문학), 박자현(미술), 박장근(영화), 박장혁(영화), 박재만(영화), 박재성(영화), 박재숙(전통예술), 박재인(영화), 박재준(영화), 박재현(영화), 박재형(영화), 박재홍(영화), 박정곤(음악), 박정관(영화), 박정근(영화), 박정기(전통예술), 박정기(영화), 박정모(출판), 박정민(영화), 박정범(영화), 박정숙(전통예술), 박정애(문학), 박정애(영화), 박정우(영화), 박정은(미술), 박정준(영화), 박정호(영화), 박정화(전통예술), 박정환(영화), 박정훈(사진), 박정훈(영화), 박정훈(영화), 박제욱(영화), 박제현(영화), 박종경(전통예술), 박종관(연극), 박종근(영화), 박종락(영화), 박종석(전통예술), 박종수(방송), 박종수(영화), 박종순(문학), 박종연(전통예술), 박종열(영화), 박종영(영화), 박종원(영화), 박종원(영화), 박종일(영화), 박종한(영화), 박종호(전통예술), 박종환(전통예술), 박종희(문학), 박주석(영화), 박주영(영화), 박주영(영화), 박주형(영화), 박준(영화), 박준상(만화), 박준식(영화), 박준열(영화), 박준용(영화), 박준형(전통예술), 박준호(영화), 박중보(전통예술), 박지선(영화), 박지선(영화), 박지성(영화), 박지연(영화), 박지영(영화), 박지영(영화), 박지은(영화), 박지현(영화), 박지혜(전통예술), 박지혜(영화), 박지희(영화), 박지희(영화), 박진(음악), 박진(영화), 박진수(방송), 박진우(영화), 박진태(영화), 박진화(미술), 박진희(미술), 박찬섭(만화), 박찬섭(음악), 박찬세(문학), 박찬윤(영화), 박찬주(미술), 박찬희(무용), 박찬희(영화), 박창구(전통예술), 박창근(문화일반), 박창기(문학), 박창덕(전통예술), 박창섭(미술), 박창식(전통예술), 박창원(영화), 박채익(영화), 박철영(문학), 박철진(영화), 박철환(미술), 박철훈(무용), 박철희(출판), 박청년(전통예술), 박청미(전통예술), 박청자(전통예술), 박초연(영화), 박춘석(문학), 박춘식(방송), 박타미(영화), 박태건(문학), 박태성(만화), 박태성(전통예술), 박태식(전통예술), 박필연(전통예술), 박해금(출판), 박해일(영화), 박향희(음악), 박혁수(영화), 박현규(영화), 박현선(방송), 박현수(영화), 박현수(영화), 박현욱(영화), 박현주(문학), 박형섭(영화), 박형윤(영화), 박형주(영화), 박형준(문학), 박형진(미술), 박형진(문학), 박혜경(전통예술), 박혜란(영화), 박혜림(영화), 박혜림(영화), 박혜진(영화), 박호신(영화), 박호율(영화), 박호진(영화), 박홍규(영화), 박홍수(영화), 박홍열(영화), 박홍준(영화), 박효진(영화), 박후기(문학), 박후기(문학), 박훈정(영화), 박휴종(영화), 박흥순(미술), 박흥식(미술), 박흥식(문학), 박흥주(출판), 박희선(문학), 박희영(영화), 반기리(방송), 반민순(연극), 반민환(영화), 반효주(영화), 방극진(전통예술), 방범석(영화), 방승인(애니메이션), 방승혁(영화), 방영식(전통예술), 방영혜(전통예술), 방윤태(음악), 방재환(영화), 방정아(미술), 방준식(영화), 방지애(영화), 방지환(전통예술), 방진희(영화), 방현용(영화), 배철(음악), 배경진(음악), 배길남(문학), 배나애(영화), 배노훈(영화), 배미정(미술), 배상철(영화), 배서진(영화), 배성근(영화), 배성식(미술), 배세웅(영화), 배소현(영화), 배수자(전통예술), 배수진(영화), 배수한(영화), 배수환(영화), 배순천(전통예술), 배시몬(영화), 배영선(전통예술), 배영수(영화), 배영한(영화), 배용제(문학), 배우리(음악), 배은미(전통예술), 배일혁(영화), 배장수(영화), 배재경(문학), 배재원(영화), 배정률(영화), 배정민(영화), 배정옥(전통예술), 배종현(영화), 배지숙(영화), 배창희(음악), 배초롱(무용), 배태종(영화), 배태학(전통예술), 배표원(전통예술), 배현진(영화), 백가흠(문학), 백건호(영화), 백경원(영화), 백경인(영화), 백광용(영화), 백권분(전통예술), 백금자(영화), 백대현(연극), 백두원(영화), 백마강(영화), 백성원(출판), 백성호(영화), 백수진(영화), 백순덕(전통예술), 백순득(전통예술), 백승일(영화), 백연이(전통예술), 백영묵(음악), 백완승(출판), 백운홍(영화), 백월선(전통예술), 백윤석(영화), 백윤식(영화), 백은경(문학), 백재영(영화), 백종현(전통예술), 백주옥(영화), 백지원(음악), 백지훈(방송), 백진동(영화), 백창우(음악), 백태길(방송), 백향기(미술), 백형숙(전통예술), 백형태(전통예술), 범현이(미술), 변동규(전통예술), 변명환(방송), 변병준(만화), 변봉선(영화), 변영민(영화), 변영호(전통예술), 변웅필(미술), 변원기(전통예술), 변인수(미술), 변인천(영화), 변재혁(영화), 변정욱(영화), 변종임(전통예술), 변준석(영화), 변호갑(전통예술), 변희호(전통예술), 봉명필(음악), 사공희(영화), 서가혜(영화), 서경호(영화), 서귀환(영화), 서규년(전통예술), 서규정(문학), 서금순(전통예술), 서기천(방송), 서덕구(무용), 서동실(영화), 서동호(전통예술), 서동훈(문학), 서명성(영화), 서명정(영화), 서무태(전통예술), 서문교(영화), 서미지(미술), 서민교(영화), 시민성(무용), 서범종(영화), 서상환(미술), 서상환(미술), 서서방(음악), 서서희(영화), 서선자(무용), 서성란(문학), 서성원(영화), 서수연(영화), 서수찬(문학), 서순임(전통예술), 서순희(문학), 서승권(영화), 서승종(영화), 서연수(문학), 서영식(문학), 서영식(전통예술), 서왕지(영화), 서용석(영화), 서유미(문학), 서은정(영화), 서인석(영화), 서재복(애니메이션), 서재순(방송), 서정덕(공연), 서정원(문학), 서정표(영화), 서제교(영화), 서종욱(영화), 서진연(문학), 서진호(영화), 서창경(전통예술), 서창환(영화), 서철원(문학), 서하나(영화), 서해림(영화), 서호영(영화), 서홍관(문학), 서화석(전통예술), 서효숙(영화), 석경순(영화), 석경인(방송), 석대형(영화), 석명선(전통예술), 석재호(영화), 석현(미술), 석형징(영화), 선경희(영화), 선제(음악), 설경애(미술), 설미미(영화), 설인재(영화), 설정배(영화), 설지원(영화), 성경자(방송), 성군경(문학), 성명숙(전통예술), 성보희(영화), 성영재(영화), 성의현(출판), 성재준(영화), 성정훈(영화), 성지경(무용), 성지은(영화), 성태경(영화), 성하은(영화), 성홍주(영화), 소병호(영화), 소보은(영화), 소은호(영화), 소일천(전통예술), 소향(음악), 손동오(영화), 손문(영화), 손민구(영화), 손민정(영화), 손병군(영화), 손병휘(음악), 손봉수(영화), 손삼웅(영화), 손상원(연극), 손상준(영화), 손선옥(영화), 손순옥(미술), 손신향(전통예술), 손양숙(전통예술), 손영규(영화), 손영성(무용), 손영익(미술), 손영주(전통예술), 손용수(음악), 손용훈(영화), 손은경(영화), 손은진(영화), 손장섭(미술), 손재서(연극), 손정구(영화), 손정기(영화), 손정분(전통예술), 손지혜나(영화), 손진아(영화), 손진옥(문학), 손혁(영화), 손혁재(문화일반), 송경민(영화), 손계숙(문학), 송광호(영화), 송기자(전통예술), 송기정(영화), 송기호(영화), 송길영(문화일반), 송대중(영화), 송동일(영화), 송래현(영화), 송명섭(영화), 송명재(미술), 송미경(미술), 송민주(영화), 송반달(문학), 송복쇄(음악), 송복임(전통예술), 송상현(영화), 송상호(영화), 송상훈(영화), 송석영(영화), 송석조(전통예술), 송성열(영화), 송순희(전통예술), 송승엽(영화), 송영리(영화), 송영찬(방송), 송예진(영화), 송용혁(영화), 송우동(전통예술), 송윤형(영화), 송은미(무용), 송인수(영화), 송재덕(영화), 송재영(영화), 송재호(영화), 송정훈(방송), 송준수(영화), 송준호(영화), 송지은(영화), 송지혜(무용), 송진(문학), 송진세(미술), 송진아(영화), 송진욱(영화), 송찬호(문학), 송창용(영화), 송창훈(방송), 송철호(문화일반), 송춘자(전통예술), 송태웅(문학), 송해근(방송), 송혁재(영화), 송혁조(영화), 송현창(영화), 송현혜(영화), 송혜경(영화), 송혜영(미술), 송호연(영화), 송홍종(영화), 송희자(전통예술), 신경렬(출판), 신경림(문학), 신경순(만화), 신길순(전통예술), 신나영(영화), 신다영(영화), 신도영(영화), 신동각(방송), 신동기(방송), 신동수(영화), 신동엽(영화), 신동원(영화), 신동일(음악), 신동희(문학), 신민경(영화), 신민재(영화), 신범(전통예술), 신상숙(전통예술), 신상훈(음악), 신석민(미술), 신선명(문화일반), 신선미(전통예술), 신선의(영화), 신성민(공연), 신성선(영화), 신세연(영화), 신세용(영화), 신소남(전통예술), 신수빈(영화), 신숙경(영화), 신숙희(전통예술), 신승열(전통예술), 신흥호(영화), 신승훈(영화), 신식희(전통예술), 신연욱(만화), 신영복(전통예술), 신영은(방송), 신영일(영화), 신영주(음악), 신영택(전통예술), 신옥남(전통예술), 신왕선(건축), 신용남(영화), 신용목(문학), 신용선(공연), 신용식(전통예술), 신용태(영화), 신원희(문학), 신유진(영화), 신윤섭(방송), 신윤희(영화), 신은영(영화), 신은주(영화), 신은진(영화), 신응재(음악), 신이수(영화), 신인정(영화), 신일식(문화일반), 신장식(전통예술), 신재희(영화), 신정민(문학), 신정철(영화), 신정훈(영화), 신종훈(영화), 신지연(영화), 신지영(영화), 신지용(영화), 신지해(음악), 신지현(영화), 신찬비(영화), 신창남(전통예술), 신철(미술), 신철욱(영화), 신태섭(영화), 신태호(영화), 신태호(영화), 신현옥(전통예술), 신현주(전통예술), 신현철(영화), 신형식(문학), 신혜원(영화), 신희교(문학), 심규홍(영화), 심동명(방송), 심문보(영화), 심민호(영화), 심상민(음악), 심상훈(영화), 심수환(미술), 심온(영화), 심은숙(영화), 심재원(영화), 심재협(음악), 심점환(미술), 심정수(미술), 심현보(음악), 심혜림(영화), 안교찬(영화), 안국진(영화), 안기웅(영화), 안덕근(음악), 안도경(전통예술), 안도현(문학), 안몽식(영화), 안병우(영화), 안병택(영화), 안병호(영화), 안상민(애니메이션), 안상승(영화), 안상학(문학), 안선애(전통예술), 안선영(영화), 안성덕(문학), 안성수(영화), 안성애(영화), 안성열(영화), 안성재(애니메이션), 안성환(영화), 안소이(영화), 안승권(영화), 안승주(영화), 안승호(영화), 안연옥(문학), 안영기(영화), 안영찬(미술), 안용대(건축), 안용대(미술), 안용섭(영화), 안유미(영화), 안유정(영화), 안재성(문학), 안재호(영화), 안재홍(방송), 안정민(영화), 안정원(영화), 안정훈(전통예술), 안종원(방송), 안중범(영화), 안지혜(영화), 안지혜(영화), 안지환(영화), 안진정(영화), 안창윤(영화), 안태구(영화), 안태인(미술), 안태인(영화), 안태준(영화), 안태훈(영화), 안태희(미술), 안학수(문학), 안현아(영화), 안희곤(출판), 안희성(영화), 양경복(영화), 양균상(영화), 양금열(전통예술), 양남기(미술), 양동욱(영화), 양동훈(출판), 양문창(무용), 양상용(미술), 양석열(방송), 양선예(미술), 양성주(음악), 양성준(영화), 양수희(영화), 양승용(영화), 양승욱(방송), 양애리(영화), 양언보(전통예술), 양여운(영화), 양윤식(영화), 양윤실(영화), 양일동(전통예술), 양재석(미술), 양재철(영화), 양재훈(영화), 양정은(영화), 양종곤(영화), 양준모(영화), 양지혜(영화), 양진화(방송), 양찬석(영화), 양창주(영화), 양환정(영화), 양희선(영화), 엄대용(영화), 엄소연(영화), 엄원섭(영화), 엄유나(영화), 엄의숙(미술), 엄정원(전통예술), 엄진화(영화), 엄태석(문학), 엄태식(영화), 엄태용(영화), 엄태헌(영화), 엄태화(영화), 엄현숙(영화), 엄홍렬(영화), 엄흥용(영화), 여광수(영화), 여미정(영화), 여병동(전통예술), 여상훈(전통예술), 여성구(영화), 여승욱(영화), 여운(미술), 여운철(영화), 여태천(문학), 염무웅(문학), 염민기(전통예술), 염승철(영화), 염은하(영화), 염정아(전통예술), 예정훈(미술), 예정훈(미술), 오갑숙(전통예술), 오경수(영화), 오규식(전통예술), 오규찬(문학), 오규철(음악), 오남경(영화), 오다윤(연극), 오대양(영화), 오동진(영화), 오득룡(방송), 오미라(문화일반), 오미옥(문학), 오미자(문화일반), 오민호(영화), 오병우(방송), 오병호(영화), 오복연(영화), 오상호(영화), 오석필(영화), 오선옥(전통예술), 오성복(방송), 오성자(전통예술), 오세경(영화), 오세일(방송), 오순분(미술), 오순점(전통예술), 오승희(영화), 오여나(영화), 오영림(영화), 오영묵(음악), 오영진(영화), 오영환(영화), 오옥란(전통예술), 오유성(영화), 오은진(영화), 오재영(영화), 오재호(영화), 오정균(미술), 오정수(전통예술), 오정순(전통예술), 오정애(전통예술), 오정요(방송), 오정우(영화), 오정택(영화), 오정환(문학), 오종현(영화), 오주연(영화), 오주환(음악), 오주연(영화), 오주환(음악), 오지수(영화), 오창렬(영화), 오춘옥(문학), 오태경(음악), 오태봉(영화), 오태승(영화), 오태혁(영화), 오하림(영화), 오현미(방송), 오현수(영화), 오현숙(영화), 오현옥(방송), 오현후(영화), 호형진(영화), 오혜련(미술), 오호숙(미술), 오홍록(방송), 오희선(문학), 옥금숙(전통예술), 옥성준(영화), 왕호상(영화), 왕희정(미술), 우경희(영화), 우무석(문학), 우상형(영화), 우새하(영화), 우석제(영화), 우성하(방송), 우영란(미술), 우영숙(전통예술), 우영하(영화), 우인범(영화), 우종기(영화), 우현정(음악), 우혜진(영화), 우효재(영화), 웁쓰양(미술), 원마에(음악), 원명해(전통예술), 원무현(문학), 원민우(영화), 원영준(영화), 원옥임(방송), 원재(영화), 원정현(음악), 원종백(영화), 원종호(영화), 원태산(영화), 위영희(방송), 위종만(미술), 위지웅(영화), 유강희(문학), 유경미(영화), 유경수(영화), 유경애(영화), 유광모(영화), 유근희(영화), 유기정(영화), 유길종(전통예술), 유다혜(영화), 유대현(영화), 유동식(영화), 유동열(영화), 유명환(영화), 유미정(영화), 유미향(영화), 유병열(방송), 유상태(영화), 유석문(영화), 유선희(음악), 유성균(영화), 유성일(전통예술), 유성진(영화), 유수경(문학), 유수경(영화), 우수영(전통예술), 유순상(방송), 유승만(영화), 유승영(영화), 유승진(영화), 유시춘(문학), 유아라(영화), 유연(영화), 유연수(영화), 유연식(출판), 유영민(영화), 유영석(영화), 유예은(영화), 유옥자(미술), 유용석(영화), 유용주(문학), 유용준(방송), 유용호(영화), 유은정(영화), 유인상(영화), 유인숙(문화일반), 유재건(출판), 유재국(전통예술), 유재규(영화), 유재명(애니메이션), 유재엽(전통예술), 유재영(만화), 유재일(미술), 유재중(미술), 유재천(영화), 유재혁(영화), 유재현(음악), 유재훈(영화), 유정순(전통예술), 유정주(애니메이션), 유정환(영화), 유종인(문학), 유종인(문학), 유종인(문학), 유주용(영화), 유준형(영화), 유지연(전통예술), 유창한(방송), 유청(영화), 유태종(영화), 유해옥(전통예술), 유혁준(영화), 유혁준(영화), 유현아(영화), 유혜경(영화), 유혜민(영화), 육근상(문학), 육정희(전통예술), 육종성(음악), 윤경현(영화), 윤광수(영화), 윤기호(영화), 윤길순(전통예술), 윤남주(영화), 윤단비(영화), 윤대녕(문학), 윤대용(영화), 윤대우(영화), 윤덕상(영화), 윤도연(영화), 윤동수(문학), 윤미라(영화), 윤미숙(문학), 윤미연(전통예술), 윤민경(영화), 윤민정(영화), 윤병선(영화), 윤보현(영화), 윤상길(영화), 윤상수(문학), 윤상순(전통예술), 윤상진(음악), 윤샛별(영화), 윤서영(영화), 윤석위(문학), 윤석정(문학), 윤석정(문학), 윤석조(영화), 윤석회(전통예술), 윤선주(방송), 윤성원(영화), 윤성재(영화), 윤성철(미술), 윤성택(문학), 윤성혜(영화), 윤성호(영화), 윤세영(영화), 윤세용(영화), 윤소일(영화), 윤소희(음악), 윤수비(영화), 윤수웅(영화), 윤수진(영화), 윤순희(전통예술), 윤아름(영화), 윤애자(문학), 윤영수(방송), 윤영수(영화), 윤옥희(전통예술), 윤용국(미술), 윤인우(영화), 윤인천(영화), 윤재성(영화), 윤재흥(영화), 윤정(영화), 윤정원(영화), 윤정윤(영화), 윤정중(방송), 윤종한(영화), 윤종현(영화), 윤주식(영화), 윤주원(방송), 윤주형(영화), 윤주훈(영화), 윤지영(영화), 윤지원(영화), 윤지혜(영화), 윤창숙(전통예술), 윤창숙(영화), 윤창완(영화), 윤창용(전통예술), 윤철호(출판), 윤태련(영화), 윤태호(만화), 윤필남(미술), 윤현기(영화), 윤현아(방송), 윤현용(영화), 윤현호(영화), 윤형민(영화), 윤혜란(미술), 윤호진(영화), 윤화중(음악), 윤희규(영화), 윤희순(미술), 윤희연(문화일반), 은영철(영화), 은종금(전통예술), 음두훈(영화), 음자경(영화), 이강순(영화), 이강화(영화), 이건우(영화), 이견주(전통예술), 이경석(영화), 이경순(전통예술), 이경순(전통예술), 이경순(전통예술), 이경순(영화), 이경아(영화), 이경일(문화일반), 이경자(미술), 이경재(방송), 이경재(전통예술), 이경재(전통예술), 이경진(방송), 이계택(연극), 이계훈(영화), 이공주(영화), 이광섭(방송), 이광순(영화), 이광영(전통예술), 이광진(연극), 이광희(영화), 이구영(미술), 이국화(영화), 이권숙(전통예술), 이권일(영화), 이귀덕(영화), 이규(방송), 이규곤(영화), 이규봉(영화), 이규석(영화), 이규열(문학), 이규학(영화), 이균옥(문화일반), 이균옥(전통예술), 이근석(방송), 이근수(미술), 이근우(영화), 이근호(영화), 이금순(전통예술), 이기범(영화), 이기상(방송), 이기승(영화), 이기원(방송), 이기원(영화), 이기자(문학), 이기호(방송), 이기홍(미술), 이기환(영화), 이길상(문학), 이길상(전통예술), 이길성(음악), 이길훈(영화), 이남식(영화), 이다연(영화), 이대교(무용), 이대규(문학), 이대수(영화), 이대엽(영화), 이대희(영화), 이덕규(문학), 이덕상(영화), 이덕자(문학), 이덕재(영화), 이덕화(전통예술), 이돈식(전통예술), 이동기(영화), 이동문(미술), 이동민(영화), 이동수(영화), 이동순(문학), 이동우(전통예술), 이동원(미술), 이동원(영화), 이동윤(영화), 이동은(영화), 이동진(영화), 이동현(영화), 이동현(영화), 이두례(전통예술), 이득춘(전통예술), 이리라(출판), 이만(영화), 이말다(미술), 이말숙(전통예술), 이말순(전통예술), 이말주(전통예술), 이명복(미술), 이명숙(전통예술), 이명재(문학), 이명준(영화), 이명호(영화), 이명희(문학), 이모례(영화), 이무룡(영화), 이문주(음악), 이미경(문화일반), 이미경(전통예술), 이미경(전통예술), 이미사(영화), 이미숙(전통예술), 이미숙(전통예술), 이미영(영화), 이미옥(영화), 이미정(음악), 이미화(무용), 이민경(영화), 이민상(방송), 이민식(영화), 이민재(전통예술), 이민정(영화), 이민주(영화), 이민호(문학), 이민호(영화), 이민호(영화), 이병무(방송), 이병삼(영화), 이병성(영화), 이병세(영화), 이병수(문학), 이병옥(전통예술), 이병용(방송), 이병창(문학), 이병천(영화), 이병초(문학), 이병헌(문화일반), 이병훈(문화일반), 이보경(영화), 이보라(영화), 이보현(영화), 이보현(영화), 이보현(영화), 이복순(방송), 이봉선(영화), 이봉숙(전통예술), 이봉용(출판), 이봉조(영화), 이빈나(영화), 이사범(미술), 이산복(영화), 이삼순(전통예술), 이상관(연극), 이상국(방송), 이상국(문학), 이상권(미술), 이상길(영화), 이상만(음악), 이상무(미술), 이상문(영화), 이상미(전통예술), 이상미(영화), 이상민(영화), 이상번(문학), 이상봉(미술), 이상수(음악), 이상수(영화), 이상수(영화), 이상승(전통예술), 이상영(음악), 이상영(전통예술), 이상용(영화), 이상우(연극), 이상욱(영화), 이상은(영화), 이상이(전통예술), 이상일(사진), 이상진(영화), 이상철(영화), 이상헌(문화일반), 이상현(영화), 이상훈(영화), 이상희(영화), 이상희(영화), 이석민(영화), 이석제(영화), 이석행(영화), 이석훈(출판), 이선경(전통예술), 이선규(출판), 이선민(영화), 이선숙(전통예술), 이선영(음악), 이선옥(문학), 이설야(문학), 이성경(영화), 이성국(영화), 이성규(방송), 이성래(전통예술), 이성문(영화), 이성수(건축), 이성술(전통예술), 이성아(문학), 이성아(문학), 이성열(음악), 이성열(전통예술), 이성우(영화), 이성우(영화), 이성우(영화), 이성원(무용), 이성원(영화), 이성은(사진), 이성제(영화), 이성중(영화), 이성진(영화), 이성창(영화), 이성창(영화), 이성택(영화), 이성현(출판), 이성환(영화), 이성희(문학), 이성희(영화), 이세완(문학), 이세현(미술), 이소미(영화), 이소영(영화), 이수미(전통예술), 이수연(전통예술), 이수일(영화), 이수정(영화), 이수준(전통예술), 이수진(영화), 이수진(영화), 이수진(영화), 이수철(사진), 이숙형(전통예술), 이순경(영화), 이순금(영화), 이순복(문화일반), 이순원(문학), 이순임(문학), 이순자(전통예술), 이순호(영화), 이순화(문학), 이스라(영화), 이슬기(영화), 이승규(영화), 이승규(영화), 이승란(방송), 이승민(영화), 이승민(영화), 이승불(영화), 이승빈(영화), 이승언(전통예술), 이승영(전통예술), 이승욥(영화), 이승우(영화), 이승원(영화), 이승의(영화), 이승제(영화), 이승준(영화), 이승철(음악), 이승택(영화), 이승현(영화), 이승혜(영화), 이승호(영화), 이승환(영화), 이승훈(무용), 이승훈(영화), 이시훈(영화), 이신애(영화), 이아름(영화), 이아영(영화), 이아타(문학), 이안규(영화), 이안숙(영화), 이안젤라(영화), 이억조(영화), 이연숙(전통예술), 이연실(무용), 이연호(영화), 이연화(영화), 이영광(문학), 이영미(전통예술), 이영숙(무용), 이영숙(전통예술), 이영옥(방송), 이영욱(영화), 이영은(전통예술), 이영이(전통예술), 이영진(영화), 이영현(전통예술), 이영훈(영화), 이예주(음악), 이예훈(문학), 이옥분(전통예술), 이옥수(전통예술), 이옥순(전통예술), 이용광(영화), 이용규(방송), 이용균(영화), 이용승(영화), 이용신(영화), 이용옥(영화), 이용우(영화), 이용주(영화), 이용철(영화), 이용철(영화), 이용훈(영화), 이용희(영화), 이우락(방송), 이우승(영화), 이웅규(영화), 이원(영화), 이원규(문학), 이원석(미술), 이원영(방송), 이원호(영화), 이원희(영화), 이원희(영화), 이원희(영화), 이유경(애니메이션), 이유라(전통예술), 이유리(영화), 이유리(영화), 이유만(영화), 이유미(영화), 이유선(영화), 이유영(영화), 이유진(영화), 이유진(영화), 이윤경(영화), 이윤경(영화), 이윤미(영화), 이윤선(영화), 이윤정(영화), 이윤정(영화), 이윤주(미술), 이윤형(영화), 이윤환(영화), 이윤훈(문학), 이은경(만화), 이은경(영화), 이은경(영화), 이은미(전통예술), 이은석(영화), 이은송(문학), 이은숙(전통예술), 이은영(음악), 이은영(영화), 이은이(전통예술), 이은정(전통예술), 이은정(영화), 이은정(영화), 이은주(문학), 이은천(영화), 이은혁(방송), 이은혁(방송), 이은희(방송), 이은희(영화), 이응록(전통예술), 이의태(영화), 이인규(영화), 이인선(무용), 이인선(전통예술), 이인순(전통예술), 이인원(음악), 이인원(영화), 이인철(미술), 이인철(미술), 이인철(영화), 이일우(사진), 이임정(영화), 이임조(전통예술), 이자은(영화), 이장희(영화), 이재건(영화), 이재규(방송), 이재규(문학), 이재남(영화), 이재민(전통예술), 이재석(문학), 이재성(문학), 이재숙(미술), 이재완(영화), 이재우(문학), 이재웅(영화), 이재윤(영화), 이재의(영화), 이재중(영화), 이재충(영화), 이재필(영화), 이재한(문학), 이재혁(영화), 이재혁(영화), 이재현(영화), 이재형(문학), 이재환(영화), 이점옥(전통예술), 이정근(방송), 이정근(미술), 이정미(영화), 이정민(영화), 이정민(영화), 이정배(방송), 이정분(전통예술), 이정석(영화), 이정세(영화), 이정숙(전통예술), 이정순(무용), 이정순(미술), 이정식(미술), 이정심(영화), 이정열(음악), 이정엽(전통예술), 이정욱(영화), 이정원(영화), 이정은(영화), 이정인(전통예술), 이정자(전통예술), 이정진(영화), 이정진(영화), 이정철(영화), 이정현(음악), 이정현(음악), 이정현(문학), 이정호(영화), 이정화(무용), 이정환(영화), 이정환(영화), 이정훈(전통예술), 이정훈(영화), 이정훈(영화), 이제우(영화), 이종근(미술), 이종두(영화), 이종모(미술), 이종문(영화), 이종민(문학), 이종삼(영화), 이종석(영화), 이종수(문학), 이종숙(전통예술), 이종열(영화), 이종우(영화), 이종우(영화), 이종욱(미술), 이종원(출판), 이종일(영화), 이종진(전통예술), 이종헌(미술), 이종헌(미술), 이종형(전통예술), 이종호(무용), 이종환(전통예술), 이종훈(영화), 이주생(영화), 이주석(영화), 이주연(미술), 이주영(영화), 이주원(음악), 이주행(영화), 이주현(방송), 이주환(영화), 이주환(영화), 이준규(미술), 이준규(영화), 이준동(영화), 이준식(영화), 이준엽(영화), 이준익(영화), 이준일(영화), 이준학(영화), 이준현(영화), 이준형(음악), 이준호(문학), 이준호(영화), 이중기(문학), 이지담(문학), 이지선(영화), 이지안(영화), 이지애(영화), 이지연(미술), 이지영(영화), 이지원(방송), 이지은(미술), 이지은(영화), 이지혁(영화), 이지훈(영화), 이진명(미술), 이진서(영화), 이진섭(영화), 이진아(미술), 이진영(영화), 이진우(영화), 이진환(영화), 이진희(영화), 이차연(영화), 이찬수(무용), 이찬수(영화), 이창국(영화), 이창동(영화), 이창만(영화), 이창영(영화), 이창현(전통예술), 이창호(영화), 이창희(방송), 이채린(영화), 이채윤(문학), 이천희(미술), 이철(영화), 이철로(출판), 이철재(미술), 이철진(방송), 이청길(전통예술), 이청훈(영화), 이춘근(전통예술), 이춘연(영화), 이춘희(방송), 이충엽(방송), 이충일(영화), 이충진(영화), 이충희(영화), 이쾌우(전통예술), 이큰솔(영화), 이태백(음악), 이태성(영화), 이태수(영화), 이태오(영화), 이태호(영화), 이태호(영화), 이택경(영화), 이택근(미술), 이평현(전통예술), 이필호(문학), 이필훈(영화), 이하나(영화), 이하석(문학), 이하선(영화), 이하송(영화), 이하은(영화), 이하준(방송), 이학권(영화), 이학재(영화), 이한걸(문학), 이한구(전통예술), 이한모(영화), 이한식(전통예술), 이한양(방송), 이함박(영화), 이해선(사진), 이해양(문학), 이해웅(문학), 이해원(영화), 이해창(전통예술), 이향숙(미술), 이향철(영화), 이혁(영화), 이혁상(영화), 이현경(영화), 이현경(영화), 이현명(영화), 이현명(영화), 이현석(문학), 이현수(문학), 이현수(전통예술), 이현수(영화), 이현정(영화), 이현조(문학), 이현주(미술), 이현주(전통예술), 이현주(영화), 이현진(영화), 이현철(영화), 이현화(영화), 이형로(음악), 이형빈(영화), 이형석(영화), 이형순(전통예술), 이형주(영화), 이형택(영화), 이혜경(무용), 이혜련(영화), 이혜원(영화), 이혜진(영화), 이혜헌(영화), 이호근(영화), 이홍기(영화), 이홍복(영화), 이홍원(미술), 이화성(전통예술), 이화숙(전통예술), 이화연(전통예술), 이환(영화), 이환원(영화), 이효경(영화), 이효국(문화일반), 이효민(영화), 이효재(전통예술), 이효재(영화), 이효춘(영화), 이후곤(영화), 이훈희(미술), 이휘빈(영화), 이희선(출판), 이희아(음악), 이희영(미술), 이희자(전통예술), 인병일(무용), 임경민(미술), 임경숙(전통예술), 임경호(영화), 임나무(영화), 임동(영화), 임동영(영화), 임동원(영화), 임동준(영화), 임동창(전통예술), 임동천(문학), 임록영(영화), 임명애(미술), 임명진(문학), 임무철(전통예술), 임미나(영화), 임미선(음악), 임미정(영화), 임민원(영화), 임병빈(영화), 임병삼(출판), 임병주(출판), 임보람(영화), 임상윤(영화), 임석희(방송), 임선미(연극), 임선빈(미술), 임선애(영화), 임성권(영화), 임성락(문화일반), 임성빈(영화), 임성용(영화), 임성훈(영화), 임세리(영화), 임세진(영화), 임술랑(문학), 임승미(영화), 임승진(영화), 임영규(영화), 임영락(방송), 임영선(미술), 임영수(영화), 임영진(영화), 임영호(영화), 임오섭(연극), 임오자(미술), 임우정(영화), 임원근(영화), 임원택(영화), 임은숙(전통예술), 임일영(영화), 임장묵(전통예술), 임재일(미술), 임정혁(영화), 임종민(전통예술), 임종석(미술), 임종세(영화), 임종우(방송), 임준우(영화), 임지수(영화), 임지영(영화), 임지우(애니메이션), 임진선(영화), 임진승(영화), 임찬섭(영화), 임찬영(영화), 임창일(무용), 임채연(영화), 임채훈(방송), 임철우(영화), 임태훈(문학), 임향님(음악), 임헌찬(전통예술), 임현수(방송), 임현식(영화), 임현희(미술), 임형균(음악), 임혜복(방송), 임혜숙(방송), 임혜영(영화), 임혜자(문화일반), 임혜훈(방송), 임호상(영화), 임호영(영화), 임호준(영화), 임훈(영화), 임흥(영화), 임희대(영화), 장건재(영화), 장경순(전통예술), 장권택(전통예술), 장길종(영화), 장덕재(영화), 장도훈(영화), 장동원(영화), 장동훈(영화), 장래경(영화), 장마리(문학), 장만오(전통예술), 장무령(문학), 장미나(음악), 장미선(영화), 장미자(방송), 장미정(음악), 장미호(전통예술), 장박하(영화), 장백중(전통예술), 장병국(전통예술), 장병원(영화), 장보윤(전통예술), 장서희(영화), 장석남(문학), 장석열(전통예술), 장석원(영화), 장선경(전통예술), 장성연(영화), 장성연(영화), 장성우(영화), 장세영(방송), 장소영(전통예술), 장순향(무용), 장승봉(전통예술), 장승태(전통예술), 장영미(전통예술), 장영숙(전통예술), 장영애(영화), 장영옥(전통예술), 장영일(미술), 장영재(영화), 장영환(영화), 장예원(영화), 장오중(미술), 장요수(문학), 장원석(영화), 장원석(영화), 장원욱(영화), 장원종(영화), 장원준(방송), 장유주(무용), 장윤경(영화), 장은연(영화), 장이규(영화), 장인수(영화), 장일석(영화), 장재권(영화), 장재승(출판), 장재승(연극), 장재영(영화), 장재용(방송), 장재희(전통예술), 장정도(영화), 장정수(영화), 장정숙(영화), 장정화(영화), 장종경(영화), 장지원(무용), 장지훈(영화), 장진(영화), 장진명(문학), 장창영(문학), 장철수(영화), 장태선(전통예술), 장태수(영화), 장한별(영화), 장혁재(영화), 장현근(영화), 장현남(영화), 장현모(문학), 장현우(문학), 장형모(영화), 장형숙(전통예술), 장형욱(영화), 장혜령(영화), 장호준(전통예술), 재연(문학), 재희(음악), 전광열(방송), 전기열(방송), 전길순(전통예술), 전다영(애니메이션), 전다형(문학), 전대성(방송), 전대호(영화), 전득수(영화), 전말선(전통예술), 전미경(미술), 전민자(전통예술), 전병원(영화), 전병준(전통예술), 전병진(전통예술), 전석경(영화), 전선영(영화), 전성빈(영화), 전성호(문학), 전성희(전통예술), 전수경(영화), 전수지(전통예술), 전순애(영화), 전승엽(영화), 전승휘(음악), 전신영(영화), 전영구(영화), 전영문(영화), 전영석(영화), 전영신(음악), 전영준(영화), 전영탁(전통예술), 전옥주(전통예술), 전완식(전통예술), 전용길(영화), 전용욱(영화), 전용원(영화), 전우병(영화), 전우진(영화), 전유진(영화), 전인걸(영화), 전인삼(전통예술), 전인선(미술), 전장호(영화), 전재영(영화), 전재우(영화), 전종민(영화), 전종우(방송), 전종철(미술), 전주일(영화), 전주현(영화), 전준호(미술), 전지성(영화), 전충룡(영화), 전태수(방송), 전푸르나(영화), 전행자(전통예술), 전현정(방송), 전현희(영화), 전혜선(방송), 전홍규(영화), 전희식(문학), 정민(문학), 정겨운(영화), 정경모(전통예술), 정경은(문학), 정계임(전통예술), 정고은나래(영화), 정광수(영화), 정광영(방송), 정금숙(전통예술), 정기석(문학), 정기순(전통예술), 정기영(만화), 정기완(영화), 정길선(방송), 정낙추(문학), 정남준(미술), 정다미(방송), 정다운(전통예술), 정다은(공연), 정대호(문학), 정덕희(영화), 정도성(영화), 정동수(영화), 정동수(영화), 정동욱(영화), 정동철(문학), 정두환(영화), 정득순(전통예술), 정득순(영화), 정만진(문학), 정만현(전통예술), 정명섭(영화), 정문구(영화), 정미선(영화), 정미정(영화), 정복승(영화), 정부경(방송), 정부일(영화), 정삼성(영화), 정상혁(영화), 정상훈(영화), 정상희(영화), 정석동(전통예술), 정석원(영화), 정석현(영화), 정선주(영화), 정성균(영화), 정성근(미술), 정성보(영화), 정성순(전통예술), 정성은(영화), 정성지(전통예술), 정성진(영화), 정성진(출판), 정세학(미술), 정소영(영화), 정소진(영화), 정수비(방송), 정수자(문학), 정수희(음악), 정순락(전통예술), 정순열(전통예술), 정순태(전통예술), 정슬기(영화), 정승권(영화), 정승은(영화), 정승천(문화일반), 정시학(전통예술), 정아름(영화), 정양(문학), 정연경(영화), 정연근(전통예술), 정연금(출판), 정연아(무용), 정연옥(전통예술), 정연탁(전통예술), 정연하(전통예술), 정영민(음악), 정영민(음악), 정영순(방송), 정영순(전통예술), 정영순(전통예술), 정영우(영화), 정영주(연극), 정영주(전통예술), 정영호(영화), 정영훈(영화), 정영희(전통예술), 정오덕(영화), 정옥경(전통예술), 정옥경(전통예술), 정옥선(전통예술), 정옥이(전통예술), 정완희(문학), 정요한(영화), 정용국(문학), 정용기(영화), 정용주(음악), 정용채(영화), 정우석(영화), 정우성(영화), 정우영(문학), 정우용(영화), 정원영(미술), 정월주(전통예술), 정유리(영화), 정윤천(문학), 정윤희(영화), 정은아(영화), 정은영(영화), 정은정(방송), 정음영(전통예술), 정의태(문학), 정이형(연극), 정익준(영화), 정익진(문학), 정인(문학), 정인숙(전통예술), 정일근(문학), 정일민(영화), 정일용(영화), 정임숙(전통예술), 정재승(영화), 정재식(영화), 정재영(영화), 정재우(영화), 정재욱(영화), 정재은(영화), 정재진(연극), 정재헌(영화), 정재호(영화), 정재훈(만화), 정정남(영화), 정정숙(전통예술), 정종섭(영화), 정종헌(영화), 정종호(출판), 정종호(영화), 정종화(문학), 정지숙(영화), 정지연(영화), 정지영(미술), 정지원(영화), 정지은(영화), 정지은(영화), 정진옥(전통예술), 정진옥(전통예술), 정진욱(영화), 정진철(영화), 정찬웅(방송), 정찬홍(영화), 정천영(미술), 정철규(전통예술), 정철성(문학), 정철임(전통예술), 정철호(영화), 정춘순(전통예술), 정태수(영화), 정태욱(영화), 정판기(미술), 정필진(영화), 정하나(영화), 정학권(영화), 정한선(영화), 정한솔(영화), 정한창(영화), 정해근(영화), 정해복(방송), 정해양(전통예술), 정해욱(영화), 정해운(전통예술), 정해익(음악), 정현복(영화), 정현숙(영화), 정현우(영화), 정현웅(영화), 정현일(영화), 정현주(영화), 정현진(영화), 정현철(영화), 정현태(영화), 정형래(영화), 정형수(방송), 정형진(방송), 정혜란(무용), 정혜영(영화), 정혜원(영화), 정혜진(전통예술), 정환민(미술), 정환석(방송), 정효정(영화), 정효진(영화), 정훈교(문학), 정희구(애니메이션), 정희성(문학), 정희태(영화), 제이(음악), 조광휘(영화), 조구희(영화), 조군원(영화), 조규영(영화), 조길성(문학), 조남선(전통예술), 조남선(영화), 조남준(영화), 조대근(영화), 조동범(문학), 조동헌(영화), 조동희(영화), 조두연(전통예술), 조란주(미술), 조말선(문학), 조미경(영화), 조미애(영화), 조미혜(영화), 조민아(영화), 조민영(영화), 조범근(영화), 조범철(영화), 조병욱(영화), 조복운(전통예술), 조봉석(방송), 조봉한(영화), 조삼현(방송), 조상원(영화), 조상준(방송), 조상현(영화), 조상환(영화), 조석현(영화), 조선령(미술), 조선명(영화), 조선미(영화), 조선오(음악), 조설경(영화), 조성국(문학), 조성권(영화), 조성민(방송), 조성상(영화), 조성우(문화일반), 조성익(영화), 조성익(영화), 조성일(문학), 조성제(영화), 조성지(미술), 조성진(연극), 조성찬(영화), 조성현(영화), 조성희(영화), 조소연(음악), 조송주(미술), 조수안(무용), 조수영(영화), 조승현(영화), 조시민(음악), 조신호(미술), 조아라(영화), 조아라(영화), 조아선(영화), 조양숙(전통예술), 조영상(영화), 조영자(방송), 조영천(영화), 조영화 (전통예술), 조옥명(전통예술), 조옥희(영화), 조용완(영화), 조용준(영화), 조용진(영화), 조용호(영화), 조용환(영화), 조운호(영화), 조원(문학), 조원준(영화), 조유수(영화), 조윤수(영화), 조윤아(영화), 조윤아(영화), 조은성(영화), 조은성(영화), 조은애(영화), 조은자(미술), 조익현(전통예술), 조인수(전통예술), 조일수(영화), 조장환(영화), 조재근(영화), 조재은(출판), 조재인(영화), 조재형(영화), 조점옥(전통예술), 조정태(미술), 조정현(영화), 조정호(영화), 조정희(영화), 조준형(영화), 조중연(문학), 조지철(공연), 조진영(영화), 조철현(문화일반), 조철현(영화), 조하연(영화), 조한주(영화), 조현기(영화), 조현민(영화), 조현수(영화), 조현승(방송), 조형래(영화), 조형진(미술), 조혜진(영화), 조혜진(영화), 조호천(영화), 조휘민(음악), 조희섭(영화), 조희정(영화), 조희진(영화), 종민철(영화), 좌경우(영화), 주권기(음악), 주만룡(전통예술), 주민례(애니메이션), 주병익(영화), 주보민(영화), 주연선(출판), 주영상(영화), 주영호(영화), 주용석(영화), 주을돈(영화), 주재호(문학), 주재환(미술), 주정관(출판), 주정현(영화), 주종호(영화), 주학진(전통예술), 지상화(영화), 지상훈(영화), 지성인(영화), 지성철(전통예술), 지성황(음악), 지요하(문학), 지윤정(영화), 지창주(영화), 지현정(영화), 지현호(영화), 지형식(방송), 지형주(영화), 지호성(영화), 지홍민(영화), 지효선(영화), 진덕화(영화), 진만석(영화), 진민경(영화), 진상길(음악), 진수완(방송), 진승환(영화), 진영민(음악), 진영우(영화), 진영호(미술), 진옥연(전통예술), 진용진(영화), 진창윤(미술), 진현경(전통예술), 진현숙(전통예술), 진현우(영화), 차대섭(영화), 차동신(영화), 차명주(방송), 차미진(영화), 차민석(영화), 차민철(영화), 차상균(영화), 차선영(미술), 차선옥(영화), 차수은(영화), 차승재(영화), 차유림(미술), 차은재(영화), 차재근(문화일반), 차태영(영화), 차택균(영화), 차현진(영화), 차호원(영화), 채명순(무용), 채성복(전통예술), 채수영(문학), 채수정(전통예술), 채영곤(음악), 채정석(영화), 채종호(미술), 채지영(영화), 채충희(영화), 채희윤(문학), 천민수(영화), 천수정(전통예술), 천종권(미술), 천지민(영화), 최경만(음악), 최경민(영화), 최경옥(전통예술), 최경화(전통예술), 최경희(영화), 최광(문학), 최광기(방송), 최광도(방송), 최광민(영화), 최광진(영화), 최광희(영화), 최구용(영화), 최규대(영화), 최근우(영화), 최근호(영화), 최기수(음악), 최기우(공연), 최기우(문학), 최덕수(영화), 최덕혜(전통예술), 최동숙(영화), 최동욱(영화), 최동원(영화), 최동혁(영화), 최동현(문학), 최두진(음악), 최만호(영화), 최말애(미술), 최명진(문학), 최명진(영화), 최문연(영화), 최미르(만화), 최미림(영화), 최미선(영화), 최미애(미술), 최민서(영화), 최민영(영화), 최병관(전통예술), 최병길(전통예술), 최병덕(영화), 최병진(미술), 최병철(영화), 최봉규(영화), 최상(문학), 최상원(방송), 최상현(영화), 최상화(음악), 최석원(영화), 최석준(영화), 최석태(미술), 최석평(영화), 최석필(영화), 최석현(영화), 최선영(영화), 최선화(영화), 최선희(영화), 최성룡(전통예술), 최성아(영화), 최성옥(문학), 최성일(영화), 최성진(전통예술), 최성진(영화), 최세규(영화), 최세나(영화), 최소담(영화), 최수정(영화), 최순식(영화), 최순영(영화), 최순자(전통예술), 최순조(전통예술), 최승복(출판), 최승철(문학), 최승환(영화), 최쌍점(전통예술), 최양현(미술), 최억(미술), 최연(영화), 최연근(영화), 최연호(연극), 최영선(영화), 최영심(영화), 최영애(문화일반), 최영욱(문학), 최영은(영화), 최영재(영화), 최영철(영화), 최영환(영화), 최영희(전통예술), 최용준(영화), 최용환(영화), 최용환(출판), 최우준(음악), 최우칠(음악), 최원욱(영화), 최월강(문학), 최위안(영화), 최유리(영화), 최유연(영화), 최유정(영화), 최윤(영화), 최윤만(영화), 최윤정(전통예술), 최윤정(영화), 최윤정(영화), 최윤진(영화), 최윤태(영화), 최윤필(전통예술), 최윤희(전통예술), 최윤희(영화), 최율(영화), 최율희(영화), 최은두(영화), 최은영(전통예술), 최은혜(영화), 최은희(무용), 최의덕(연극), 최익건(영화), 최인강(영화), 최임(영화), 최임식(영화), 최장진(전통예술), 최재우(연극), 최재희(영화), 최정규(만화), 최정민(영화), 최정순(영화), 최정식(영화), 최정애(전통예술), 최정원(전통예술), 최정원(출판), 최정필(영화), 최정화(영화), 최정희(전통예술), 최종례(문학), 최종문(무용), 최종민(전통예술), 최종천(문학), 최주연(영화), 최주영(영화), 최주일(방송), 최주현(영화), 최준(영화), 최준영(문학), 최중국(음악), 최지연(영화), 최지영(영화), 최지영(영화), 최지윤(영화), 최진규(전통예술), 최진규(전통예술), 최진영(영화), 최진영(영화), 최진용(영화), 최진욱(영화), 최진택(영화), 최진호(음악), 최진화(영화), 최찬열(무용), 최창열(영화), 최창우(영화), 최창원(무용), 최창윤(문학), 최철기(영화), 최철민(음악), 최철수(영화), 최태규(영화), 최태연(영화), 최태영(영화), 최필선(영화), 최한별(영화), 최해철(영화), 최혁규(영화), 최현석(영화), 최현실(전통예술), 최현심(전통예술), 최현아(영화), 최현용(영화), 최현자(전통예술), 최현준(영화), 최형락(영화), 최형진(영화), 최혜미(영화), 최혜성(전통예술), 최혜진(영화), 최호진(영화), 최홍란(전통예술), 최홍자(미술), 최효석(영화), 최효원(애니메이션), 최효진(영화), 최희용(영화), 추경엽(영화), 추경호(영화), 추말숙(연극), 추상록(영화), 추용현(영화), 추월호(전통예술), 추준호(음악), 탁영주(음악), 탁영호(만화), 탁윤환(영화), 탁현민(공연), 태윤재(영화), 편경우(영화), 표계수(전통예술), 표광소(문학), 표상권(전통예술), 표상우(영화), 표주향(전통예술), 표주희(전통예술), 표한빛(음악), 표효진(방송), 프롤로그(음악), 피재현(문학), 피현숙(전통예술), 하귀영(전통예술), 하기호(영화), 하달용(전통예술), 하미경(문학), 하미숙(문학), 하석원(미술), 하성란(문학), 하성민(영화), 하수민(영화), 하수정(방송), 하순희(전통예술), 하연화(무용), 하용현(전통예술), 하유미(영화), 하응백(문학), 하인숙(전통예술), 하장호(영화), 하재덕(방송), 하점숙(전통예술), 하정숙(전통예술), 하정은(문학), 하종욱(미술), 하지림(음악), 하지원(영화), 하진(영화), 하진경(영화), 하춘자(전통예술), 하효경(영화), 하효희(전통예술), 한결(영화), 한경애(출판), 한경탁(영화), 한경환(영화), 한계명(전통예술), 한광영(영화), 한규석(영화), 한기현(영화), 한남숙(전통예술), 한대수(연극), 한대진(전통예술), 한동엽(영화), 한동익(영화), 한동현(영화), 한동환(영화), 한두희(영화), 한명순(음악), 한명호(영화), 한문수(영화), 한미하(영화), 한미희(미술), 한민철(영화), 한봉수(공연), 한상구(영화), 한상길(영화), 한상만(출판), 한상용(영화), 한상일(음악), 한상준(음악), 한상현(영화), 한선화(음악), 한성근(영화), 한성수(영화), 한성일(전통예술), 한성훈(영화), 한세희(영화), 한송이(영화), 한순자(전통예술), 한승범(방송), 한승상(영화), 한승용(영화), 한승주(영화), 한승희(영화), 한신정(방송), 한아름(공연), 한아름(영화), 한영선(전통예술), 한영수(음악), 한영해(전통예술), 한용덕(전통예술), 한우용(영화), 한우용(영화), 한우진(문학), 한원(영화), 한유선(영화), 한윤아(영화), 한윤영(영화), 한재우(영화), 한전기(문화일반), 한정식(영화), 한정아(음악), 한정우(영화), 한정화(문학), 한정훈(영화), 한정훈(영화), 한종덕(건축), 한중대(영화), 한지선(문학), 한지윤(전통예술), 한지형(영화), 한창욱(영화), 한창훈(문학), 한태식(영화), 한현숙(전통예술), 한혜선(영화), 한호정(영화), 함민복(문학), 함복규(영화), 함성호(문학), 함세철(영화), 함수연(전통예술), 함영선(전통예술), 함종은(영화), 함철훈(영화), 허경대(영화), 허경자(전통예술), 허남성(영화), 허달용(미술), 허묘임(전통예술), 허무영(전통예술), 허미영(무용), 허삼준(전통예술), 허선미(영화), 허성호(영화), 허순옥(전통예술), 허승구(영화), 허영란(전통예술), 허영선(전통예술), 허우경(무용), 허유경(영화), 허윤경(영화), 허은영(전통예술), 허은희(영화), 허인경(영화), 허자연(영화), 허재형(영화), 허정길(전통예술), 허정무(방송), 허정우(영화), 허정욱(영화), 허정재(영화), 허정환(영화), 허존(영화), 허진찬(영화), 허채봉(전통예술), 허태연(문학), 현규석(영화), 현기영(문학), 현동훈(영화), 현명옥(전통예술), 현상규(만화), 현수연(영화), 현승원(영화), 현아름(영화), 현정훈(영화), 형남철(영화), 형대철(미술), 형성석(영화), 형영자(전통예술), 호상용(영화), 홍기석(영화), 홍기우(영화), 홍돌식(방송), 홍명교(영화), 홍상아(영화), 홍석준(음악), 홍성녀(전통예술), 홍성민(영화), 홍성완(영화), 홍성준(영화), 홍성진(영화), 홍성택(영화), 홍성호(영화), 홍수인(영화), 홍순연(전통예술), 홍승대(영화), 홍승완(영화), 홍승운(미술), 홍승철(영화), 홍승철(영화), 홍승표(영화), 홍승혁(영화), 홍애숙(전통예술), 홍영태(출판), 홍의수(영화), 홍이연정(영화), 홍인기(방송), 홍재식(영화), 홍정애(전통예술), 홍정현(영화), 홍종현(영화), 홍종협(영화), 홍주현(영화), 홍지수(영화), 홍지연(영화), 홍진필(영화), 홍코리(음악), 홍태경(영화), 홍태화(영화), 홍현기(영화), 황경석(영화), 황경택(만화), 황기욱(영화), 황길엽(문학), 황다현(영화), 황덕하(전통예술), 황돈희(영화), 황동궁(영화), 황미애(연극), 황미연(영화), 황미희(영화), 황병목(문학), 황보성(영화), 황선만(문학), 황선열(문학), 황성록(영화), 황성욱(영화), 황성현(영화), 황수정(영화), 황순권(영화), 황승남(영화), 황승윤(영화), 황시운(문학), 황영준(영화), 황영지(영화), 황예지(영화), 황용주(영화), 황원준(방송), 황윤미(영화), 황은영(음악), 황이진(방송), 황정문 (음악), 황정숙(전통예술), 황정연(방송), 황정욱(영화), 황정현(영화), 황정혜(미술), 황정환(영화), 황준욱(영화), 황중현(영화), 황지인(영화), 황청연(미술), 황춘섭(음악), 황치환(음악), 황태민(영화), 황하민(영화), 황해순(연극), 황현미(방송), 황확성(영화) 2014년 6월 서울시장 선거 박원순 후보 지지 문화예술인 909명간성봉(미술), 강나루(기타), 강력(연극), 강명환(연극), 강보람(연극), 강성수(연극), 강소소(만화), 강신구(국악), 강애심(연극), 강요배(미술), 강유미(연극), 강제권(연극), 강지수(연극), 강지원(연극), 강지은(연극), 강진휘(연극), 강풀(만화), 강현아(만화), 강환규(무용), 고건령(연극), 고경빈(만화), 고아라(만화), 고연옥(연극), 고장환(만화), 고재귀(연극), 고준식(뮤지컬), 공상아(연극), 공재민(연극), 공재민(연극), 곽경묵(기타), 곽대원(미술), 곽동현(연극), 곽영화(미술), 곽용수(영화), 구경(연극), 구근회(연극), 구민정(연극), 구본진(연극), 구영희(기타), 구지현(만화), 구태환(연극), 구혜미(연극), 권겸민(기타), 권기대(연극), 권나연(연극), 권남희(연극), 권동희(기타), 권병길(연극), 권성선(연극), 권영석(미술), 권영심(국악), 권용택(미술), 권우경(기타), 권은경(만화), 권재현(기타), 권지현(뮤지컬), 권택기(연극), 권혁주(만화), 권형우(음악), 기국서(연극), 김건희(미술), 김경(만화), 김경래(만화), 김경익(연극), 김경일(만화), 김경주(미술), 김경진(애미메이션), 김경하(애니메이션), 김경호(만화), 김경희(국악), 김계도(연극), 김관(연극), 김근도(기타), 김기민(영화), 김기태(연극), 김기호(미술), 김나영(연극), 김낙균(연극), 김남수(미술), 김다슬(국악), 김달님(만화), 김대웅(기타), 김대현(기타), 김대호(애니메이션), 김덕수(기타), 김덕진(미술), 김도균(연극), 김도연(애니메이션), 김도영(연극), 김동순(연극), 김동완(연극), 김동욱(음악), 김동욱(연극), 김동원(연극), 김동원(음악), 김동찬(연극), 김동해(연극), 김동혁(기타), 김두범(성악), 김두성(미술), 김뢰하(연극), 김명기1(연극), 김명기2(연극), 김명정(연극), 김명집(사진), 김명집(연극), 김명현(만화), 김명환(연극), 김묘진(연극), 김무경(국악), 김미경(연극), 김미도(연극), 김미영(기타), 김미용(음악), 김미현(연극), 김미혜(미술), 김민정(연극), 김민정(작가), 김민지(기타), 김민하(연극), 김방죽(미술), 김병수(만화), 김보영(애니메이션), 김복만(기타), 김봉건(연극), 김상범(기타), 김상철(기타), 김상훈(국악), 김서경(미술), 김석원(애니메이션), 김석주(미술), 김선구(기타), 김선동(미술), 김선효(국악), 김성민1(기타), 김성민2(기타), 김성수(연극), 김성수(미술), 김성진(기타), 김성호(연극), 김세동(연극), 김수미(연극), 김수정(미술), 김수진(연극), 김수현(애니메이션), 김숙진(전통예술), 김순복(성악), 김숭늉(만화), 김승환(영화), 김신(만화), 김신기(연극), 김아람(연극), 김연수(만화), 김영(영화), 김영경(영화), 김영나(기타), 김영남(음악), 김영아(연극), 김영임(국악), 김영주(기타), 김영준(연극), 김영중(기획), 김영중(미술), 김영탁(출판), 김영훈(연극), 김예정(무용), 김왕근(연극), 김용(기타), 김용길(만화), 김용선(연극), 김용한(만화), 김우성(연극), 김운성(미술), 김원주(미술), 김유경(만화), 김유영(연극), 김유진(미술), 김윤기(미술), 김윤기(미술), 김윤수(미술), 김윤숙(미술), 김윤재(연극), 김윤태(연극), 김윤환(미술), 김윤희(연극), 김은경(연극), 김은숙(미술), 김은아(연극), 김이랑(만화), 김인(만화), 김인숙(연극), 김인숙(국악), 김인순(미술), 김인정(만화), 김일호(연극), 김장호(연극), 김재석(미술), 김재범(출판), , 김재엽(연극), 김재혁(연극), 김재홍(미술), 김재흠(연극), 김정림(국악), 김정선(기타), 김정수(만화), 김정은(연극), 김정헌(미술), 김정화(기타), 김조광수(영화), 김종도(미술), 김종범(만화), 김종선(기타), 김종진(만화), 김주현(기타), 김준권(미술), 김준삼(연극), 김준철(미술), 김준호(연극), 김중기(연극), 김지선(연극), 김지연(기타), 김지영(연극), 김지원(뮤지컬), 김지은(연극), 김지현(연극), 김지후(연극), 김진무(기타), 김진석(만화), 김진영(연극), 김진학(기타), 김진혁(음악), 김진호(기타), 김천(연극), 김천일(미술), 김철수(미술), 김태근(연극), 김태룡(기타), 김태성(연극), 김태수(연극), 김태완(연극), 김태용(영화), 김태웅(연극), 김태형(만화), 김태형(연극), 김태화(연극), 김하연(기타), 김한내(연극), 김한아(연극), 김헌기(기타), 김혁중(연극), 김현(기타), 김현우(연극), 김현종(연극), 김현주(연극), 김형배(만화), 김형수(문학), 김형찬(연극), 김혜나(연극), 김혜련(만화), 김혜연(연극), 김혜원(애니메이션), 김혜진(국악), 김호규(국악), 김홍기(미술), 김홍모(만화), 김환영(미술), 김효영(연극), 김희연(국악), 나기용(애니메이션), 나무밴드(음악), 나석환(만화), 나수아(연극), 나유진(연극), 나정인(애니메이션), 남긍호(연극), 남기영(만화), 남동진(연극), 남명렬(연극), 남수영(영화), 남윤길(연극), 남혜덕(성악), 노광래(미술), 노명희(만화), 노선영(만화), 노순자(문학), 노원희(미술), 노진영(기타), 노현우(연극), 다드래기(만화), 달빛(기타), 동용선(미술), 두시영(미술), 류승각(성악), 류연복(미술), 류재춘(영화), 류주연(연극), 류충렬(미술), 류현미(연극), 리기태(전통예술), 마노(만화), 마르스(이화성), (만화), 마린(음악), 맹봉학(연극), 명랑(만화), 모성진(영화), 무이(음악), 묵원(기타), 문규관(출판), 문병주(연극), 문삼화(연극), 문석(영화), 문영태(미술), 문욱일(연극), 문의영(연극), 문재숙(국악), 문지현(만화), 문진오(음악), 문창완(연극), 문택수(만화), 문형주(연극), 민경준(음악), 민경현(연극), 민상철(연극), 민정기(미술), 민찬흥(연극), 민형(만화), 바비언니(기타), 박가희(기타), 박건웅(만화), 박경미(국악), 박경옥(연극), 박경훈(미술), 박기원(연극), 박동현(만화), 박만두(만화), 박병규(만화), 박병기(음악), 박불동(미술), 박상천(음악), 박상현(연극), 박석주(기타), 박성식(만화), 박성연(연극), 박성우(만화), 박성희(연극), 박소정(연극), 박수정(연극), 박신희(기타), 박야일(미술), 박연화(연극), 박영균(미술), 박영우(출판), 박영희(전통예술), 박옥화(국악), 박용빈(미술), 박유진(기타), 박윤정(연극), 박윤희(연극), 박은태(미술), 박은화(전통예술), 박응주(미술), 박장근(미술), 박장렬(연극), 박재동(만화), 박재성(만화), 박재순(국악), 박재옥(애니메이션), 박재형(만화), 박재호(기타), 박재흥(연극), 박정곤(국악), 박정길(연극), 박정민(연극), 박정준(미술), 박정호(연극), 박종곤(국악), 박종근(기타), 박종철(국악), 박주영(애니메이션), 박준성(연극), 박지나(미술), 박지영(기타), 박지일(연극), 박진규(연극), 박진화(미술), 박진희(연극), 박진희(미술), 박찬국(연극), 박찬우(미술), 박찬욱(영화), 박찬울(음악), 박찬진(연극), 박찬현(연극), 박찬호(연극), 박창희(연극), 박춘근(연극), 박하늘(연극), 박혜영(연극), 박호빈(기타), 박호산(연극), 박흥식(미술), 박흥주(전통예술), 방승조(만화), 방승환(국악), 방지영(연극), 배미정(미술), 배선애(연극), 배수백(연극), 배순탁(기타), 배정민(영화), 배종남(미술), 백석현(연극), 백이슬(연극), 백현주(기타), 백훈기(연극), 변대섭(미술), 변정주(연극), 봉선옥(미술), 불친절(만화), 비비안(기타), 서나영(연극), 서민균(연극), 서민정(뮤지컬), 서성란(문학), 서수경(미술), 서이숙(연극), 서정민(국악), 서진(연극), 서찬휘(만화), 서한우(국악), 석우(만화), 선민(연극), 성기완(연극), 성노진(연극), 성시영(국악), 성주호(기획), 성춘석(미술), 성효숙(미술), 소희정(연극), 손경원(연극), 손병휘(음악), 손보민(기타), 손순옥(미술), 손영익(미술), 손장섭(미술), 손종학(연극), 손호성(연극), 송동근(만화), 송래현(만화), 송문익(미술), 송선후(음악), 송영학(연극), 송은영(기타), 송인효(음악), 송일석(미술), 송정희(국악), 송창(미술), 송현석(연극), 송현섭(연극), 송형종(연극), 송효섭(미술), 승정연(만화), 시수까스게리야라이녠(음악), 시즈(만화), 신경호(연극), 신금호(미술), 신덕호(연극), 신동일(음악), 신동훈(연극), 신만종(국악), 신성웅(국악), 신성환(연극), 신영희(만화), 신유경(만화), 신인규(기타), 신인선(기타), 신재환(연극), 신정만(연극), 신철진(연극), 신학철(미술), 신현실(연극), 신희영(국악), 심겸시(연극), 심세연(미술), 심영민(연극), 심윤보(연극), 심윤수(만화), 심정수(미술), 심철종(연극), 아모리(만화), 안광준(미술), 안민영(연극), 안소휘(문학), 안영수(기타), 안진의(음악), 안찬수(기타), 안태준(연극), 안현(연극), 안희주(연극), 양미애(기타), 양상용(미술), 양우석(감독), 양은영(연극), 양은주(연극), 양정화(영화), 양창용(연극), 양희성(미술), 억수씨(만화), 엄경환(연극), 엄순미(미술), 엄재경(만화), 엄재오(미술), 엄진선(연극), 여미정(기타), 여유(음악), 여태명(미술), 여호경(만화), 연제원(기타), 연제원(만화), 염모(만화), 오광열(기타), 오민애(연극), 오석훈(미술), 오세곤(연극), 오승진(음악), 오일룡(연극), 오종선(미술), 오주석(연극), 오현아(음악), 오호진(연극), 우디(기타), 우미화(연극), 우주소(연극), 우현아(뮤지컬), 원종철(연극), 위종만(미술), 유노(만화), 유담운(애니메이션), 유대수(미술), 유미(뮤지컬), 유성진(연극), 유승구(음악), 유승일(연극), 유승진(만화), 유승하(만화), 유종연(기타), 유진희(연극), 유창선(연극), 유창환(미술), 유현석(만화), 유호선(만화), 유희석(만화), 윤경령(만화), 윤돈선(연극), 윤상현(기타), 윤석남(미술), 윤소라(기타), 윤솔지(연극), 윤수애(연극), 윤수종(음악), 윤시중1(연극), 윤시중2(연극), 윤예인(연극), 윤용국(미술), 윤위상(연극), 윤정모(문학), 윤정환(연극), 윤종구(연극), 윤중강(국악), 윤지민(연극), 윤창업(영화), 윤태호(만화), 윤한솔(연극), 은행수(만화), 이가을(연극), 이경미(미술), 이경열(연극), 이경주(국악), 이경준(뮤지컬), 이계창(연극), 이구영(미술), 이규완(기타), 이근수(미술), 이기욱(연극), 이나경(미술), 이대복(연극), 이대연(연극), 이대희(기타), 이동민(연극), 이동선(연극), 이동영(연극), 이동주(기타), 이동준(연극), 이두성(미술), 이두희(미술), 이득현(기타), 이림(만화), 이말다(미술), 이명복(미술), 이명수(만화), 이명희(연극), 이무기(만화), 이문식(연극), 이미경(연극), 이미희(음악), 이민우(연극), 이부산(국악), 이상혁(연극), 이상희(연극), 이서연(연극), 이서율(연극), 이석호(연극), 이성구(연극), 이성용(연극), 이성은(기타), 이성일(연극), 이소영(음악), 이수진(음악), 이순도(국악), 이순조(국악), 이승도(기타), 이승동(기획), 이승불(기타), 이시현(만화), 이신영(연극), 이안(만화), 이애현(기타), 이양구(연극), 이영석(연극), 이영숙(연극), 이영은(연극), 이영학(미술), 이예성(기타), 이오연(미술), 이용녀(연극), 이원석(미술), 이원재(기획), 이유미(연극), 이윤기(미술), 이은하(만화), 이인철(미술), 이일균(연극), 이자순(연극), 이재교(출판), 이재성(연극), 이재윤(연극), 이재율(미술), 이재화(연극), 이재훈(연극), 이정미(연극), 이정헌(만화), 이정호(연극), 이정훈(국악), 이정희(미술), 이종구(미술), 이종규(만화), 이종근(미술), 이종무(연극), 이종범(만화), 이종헌(미술), 이종희(미술), 이주형(국악), 이주호(기타), 이준수(연극), 이준영(연극), 이준학(기타), 이중덕(무용), 이즐라(만화), 이지연(국악), 이지연(영화), 이지영(기타), 이지훈(연극), 이진구(기타), 이진석(미술), 이진수(국악), 이진우(국악), 이철수(미술), 이철은(연극), 이충호(만화), 이태경(만화), 이태섭(연극), 이태안(만화), 이태환(연극), 이필주(연극), 이하(미술), 이해성(연극), 이향우(만화), 이현주(만화), 이현주(연극), 이현찬(연극), 이혜린(기타), 이혜영(만화), 이호성(연극), 이호순(기타), 이호윤(애니메이션), 이홍원(미술), 이화성(기타), 이화진(연극), 이효은(기타), 이훈경(기타), 이희영(연극), 임근아(연극), 임덕영(만화), 임석남(만화), 임선빈(연극), 임선택(기타), 임수연(국악), 임순례(연극), 임승묵(음악), 임영선(미술), 임영욱(미술), 임옥상(미술), 임윤호(기타), 임인자(연극), 임정규(기타), 임정은(연극), 임정혁(연극), 임정희(연극), 임진순(연극), 임철빈(기획), 임춘섭(국악), 임평룡(국악), 임학순(연극), 장경호(미술), 장대현(만화), 장석진(기타), 장성익(연극), 장순일(미술), 장용철(연극), 장윤주(영화), 장진영(미술), 장찬우(연극), 장혁진(연극), 장형윤(애니메이션), 재수(만화), 전경옥(음악), 전경인(음악), 전국향(연극), 전선우(연극), 전소현(연극), 전승일(미술), 전영일(전통예술), 전인철(연극), 전진경(미술), 전진기(연극), 정광국(기타), 정규환(영화), 정나진(연극), 정낙묵(미술), 정남준(미술), 정명근(기획), 정명원(연극), 정문식(음악), 정민영(애니메이션), 정병호(연극), 정선영(뮤지컬), 정성완(만화), 정성훈(영화), 정세학(미술), 정세희(연극), 정소정(연극), 정수연(미술), 정안나(연극), 정양아(연극), 정연주(애니메이션), 정용연(만화), 정원영(기타), 정윤철(감독), 정의욱(기타), 정재훈(만화), 정재훈(연극), 정정엽(미술), 정종복(연극), 정종수(만화), 정주아(애니메이션), 정주희(연극), 정채열(미술), 정철희(기타), 정필원(만화), 정하니(연극), 정헌영(만화), 정현서(음악), 정형석(연극), 정혜용(만화), 정환희(연극), 조덕희(기타), 조만수(연극), 조문경(연극), 조성원(기타), 조수아(연극), 조승우(기타), 조신호(미술), 조원국(영화), 조은성(영화), 조은주(음악), 조은호(연극), 조재형(영화), 조정준(영화), 조정태(미술), 조지연(전통예술), 조판수(뮤지컬), 조한(기타), 주완수(미술), 주재환(미술), 주정훈(연극), 주호민(만화), 지건우(연극), 지성훈(연극), 지춘성(연극), 진영(연극), 진이자(연극), 진종민(기타), 진종민(연극), 진창윤(미술), 차성진(만화), 차순배(연극), 차일환(미술), 차재성(연극), 채승훈(연극), 천승효(국악), 천정하(연극), 최경아(만화), 최명수(연극), 최무인(연극), 최미환(음악), 최민승(기타), 최민화(미술), 최범(미술), 최병수(미술), 최세아(연극), 최수목(국악), 최수환(미술), 최승일(연극), 최신호(기타), 최연택(기타), 최영미(음악), 최영주(연극), 최우칠(국악), 최유진(애니메이션), 최윤진(만화), 최윤철(연극), 최인규(기타), 최인선(만화), 최일순(연극), 최임수(연극), 최재희(만화), 최정규(만화), 최정화(기타), 최종원(연극), 최지연(연극), 최지훈(연극), 최진영(연극), 최평곤(미술), 최한결(연극), 최현용(영화), 최호인(기타), 최효정(연극), 쿠키문(만화), 큐브스(만화), 클라리(만화), 탁영호(미술), 하경화(연극), 하민석(만화), 하응백(국악), 하지숙(기획), 하현주(음악), 하효진(국악), 한명순(국악), 한범택(국악), 한상희(성악), 한승열(연극), 한유진(미술), 한일경(뮤지컬), 한정수(연극), 한지혜(애니메이션), 한철희(무용), 한형민(연극), 한혜수(연극), 함종호(미술), 함형숙(만화), 함형식(연극), 해츨링(만화), 행수(기타), 허달용(미술), 허만재(애니메이션), 허일두(국악), 허정숙(음악), 현대철(연극), 현은영(연극), 현희(만화), 호두용사(만화), 홍성웅(미술), 홍예성(뮤지컬), 홍윤희(연극), 홍재승(만화), 홍정혜(연극), 홍준표(애니메이션), 홍철희(연극), 황건(연극), 황경태(만화), 황미영(연극), 황선화(연극), 황애자(연극), 황영찬(만화), 황윤예(미술), 황윤희(연극), 황재형(미술), 황준호(만화), 황중선(만화)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36823 주요인사 목록 윤태호(만화)강풀(만화)문정후(만화)송강호(영화배우)김태우(영화배우)김혜수(영화배우)명계남(영화배우)문소리(영화배우)문성근(영화배우)박해일(영화배우) 김지운(영화인)박찬욱(영화)백윤식(영화)양우석(감독)주호민(만화)장진(영화)배순탁(기타)류승완(영화감독)김기덕(영화감독) 믿고보는 예술인이 많은듯
-
-
-
-
-
-
-
[정치·경제·사회] 이런거 보면 진짜 알바가 있는거 같아
나나리타 ?@Kjhworker7시간민통당 뿌리는
종북 조폭 마피아다
살인으로 뒤범벅된 오만가지 사기는 죄다 다벌려온
지구파괴 테러조직들아 RT @nocutnews 김한길 `새누리당 뿌리는 독재와 쿠데타`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7LiTH1 펼치기 답글 리트윗 관심글 담기 더 보기나나리타 ?@Kjhworker7시간멀정하다가도 민통당대장을 맡으면 헛소리를 하는것은 왤까?
남한에서 종북들이 해외... RT @nocutnews 김한길 `새누리당 뿌리는 독재와 쿠데타`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7LiTH1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7시간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종북 막장박가여우는
온갖 군침흘릴 뇌물/먹이을 준비해놓고
구어삶는 ... RT @kyunghyang 김재연 “국정원, 나를 소환한다면…” #KHAN http://wkh.kr/14v0GC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7시간종북들은 선거에 지기도 전에 질것을 알아서
미리 오만가지 사건음모를 해
선... RT @hani_reply 김한길 “새누리당 뿌리는 독재정권, 틈만 나면 종북몰이” #한겨레 http://bit.ly/14uYOK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7시간새누리가 정권을 이어받은지 불과 반년도 안되었고
그사이에 계속해서 종북들의 ... RT @hani_reply 김한길 “새누리당 뿌리는 독재정권, 틈만 나면 종북몰이” #한겨레 http://bit.ly/14uYOK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시간우리나라에서 퇘치해야하는 종교들은
신천지 옴마니 하늘정신련회 사... RT @PRESSIAN_news 종교는 정신 좀먹는 바이러스? 이젠 과학에 물어볼 때! #PRESSIAN http://bit.ly/1dOQYyn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시간종교야말로 천태만상이다
좋은 종교도 많지만 어이없는 막장종교
특... RT @PRESSIAN_news 종교는 정신 좀먹는 바이러스? 이젠 과학에 물어볼 때! #PRESSIAN http://bit.ly/1dOQYyn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시간그물이 그물인것은 역사서를 쓰는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자리를 놔누어먹기때문이다
꼭 문인들이 종북... RT @dailiannews 교학사교과서 논쟁은 `서막` 역사전쟁 시작되다 http://bit.ly/14uoQN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0시간김한길도 종북이맞다
오늘도 터져버린 선박 침... RT @ohmynews_korea 김한길 `새누리 뿌리가 독재정권... 틈만 나면 종북몰이` - 오마이뉴스 모바일 #오마이뉴스 http://bit.ly/17L5RJ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0시간시대착오적 활동을 벌리는것은 남한만 있는 맹추같은 종북들이다
오늘도 ... RT @ohmynews_korea 사상의 자유시장에 이석기를 내놓기 위하여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4uMwB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0시간요새는 세상이 변해서 간첩질을 간첩만 하는게 아니라
종북여우가 구어삶은 일반인이 잔돈받고... [“원세훈의 국정원, 총선 직전 직원까지 간첩 만들었다”] #mediatoday http://bit.ly/17lLox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0시간저렇게 뻔뻔하니까 천안함이나 터트리지
물론 이석기가 작전을 ... RT @newsis 이석기, `국정원 공개사과` 요구하며 사흘째 묵비권::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4uZzD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4시간한편으로론 더러운 드라마로 성문란 성폭력을 조장하고
또한편으론 무자격쉬운 시험으로 훈련도 거치지않... RT @maekyung 경찰대 졸업하자마자 파출소장 이젠 옛말 #매경닷컴 http://bit.ly/17DP8I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종북검찰이 종북 검찰인것은
이나라가 도둑질을 당해 2800조원이란 거금이
... RT @hani_reply 채동욱 총장, 국정원 수사 ‘반발 세력의 보복’ 판단한 듯 #한겨레 http://bit.ly/13ntg6l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아무리보아도 비정상적인 종북검찰
상식적인 이들의 행동이 전혀 이해가 안간다
... RT @hani_reply 채동욱 총장, 국정원 수사 ‘반발 세력의 보복’ 판단한 듯 #한겨레 http://bit.ly/13ntg6l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광기어린 종북촛불!
이땅에 혼란과 사기를 불러오는 기만의 상징이다
막장박가여우가 진두지휘... [`새누리당 해체`에 열광, 중앙선관위 책임론 본격 제기] #mediatoday http://bit.ly/1dQ2hq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언론 미디어어 침투한 종북세력들이 상당히 문제다
이들의 편파적인 보도 거짓기... RT @newdailynews 하태경 vs MBN, “이석기 종북이라 부르면 극우?”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법원 오원춘 사건 담당 경찰간부 징계 타당 http:// 오원춘 사건을 제대로 조사를 하지않았다는 정황이 역력하다 왜 오원춘에게 송금한 구좌를 정확하게 조사하지 않는가? 누군지 모른다고 오리발 내미는 은행이나 경찰관 모두 종북박가 여우한테 매수된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서울시, 졸음사고 부르는 버스 변칙 교대근무 금지 http:// 이런 막장짓을 장려해온것이 바로 종북세력들이다 이들은 농어민 노동자 택시운전사 모두 억울하게 생고생을 과잉으로 하도록 유도한후 사회혁명이랍시고 부추기고 다닌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정부가 진행한 사대강 사업을 펌하하고
고의로 강물을 더럽히는 ... RT @ohmynews_korea 4대강 사업 지지한 사람이 4대강 평가위원장?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7IqhDc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5시간北, 열흘 만에 공식 반응.."이석기-북 연계 주장, 용납 못할 도발" @// 도발 좋아하네 이석기와 무관하다면서 자체적으로 못된짓하는 범죄조직을 체포수사하는데 왜 참견인가?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6시간이렇게 멀정한 법조인들... RT @kukminilbo [얼굴 그간, 궁금했습니다] 김태정 전 법무부장관 “무죄 받았지만, 하나님 앞에 지금도 부끄럽습니다”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7KqnK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6시간귀뚜라미 미국 도심 습격, “영화가 아니라 현실이라고?” 경악 h//그런데 이런 이상한 곤충들의 비정상적인 증식도 막장막가여우들이 관련이있는 업체들 소행이라고 한다
서울에 지나치게 많은 모기 이상한 벌레/살인진드기등 증식도 이들짓이니까 말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6시간자국민이나까 맘대로 죽여도 된다고들 생각하나본데
이런 한심한 생각을 왜 하고들 있는것일까?
... [오바마, `시리아 전쟁` 필요성 강조…`안보 위협` 거론] #SBS8뉴스 http://bit.ly/17JYbY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16시간아프리카 아이들까지 한국사람들이… http://news.donga.com/NewsStand/3/all/20120806/48397238/1 … 개고기의 진실 “먹으면 정말 정력 좋아지나?”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종북들의 또다른 자작극
막장박가여우들은 아예 스토커짓에다가
가짜 신천지 ... RT @hani_reply 국정원 “김현희처럼 살게 해줄게, 오빠가 간첩이라고 말해” #한겨레 http://bit.ly/17GLEob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이들이 진짜교회신자가 아닌것은 이름만보아도 나타난다
얼마나... RT @ohmynews_korea 김조광수·김승환 결혼식장에 기독교인 난입해 `물의` - 오마이스타 #오마이뉴스 http://bit.ly/17Hkih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오마이가 무진장 좋아하는 비리기독교인 사건들
사탕처... RT @ohmynews_korea 김조광수·김승환 결혼식장에 기독교인 난입해 `물의` - 오마이스타 모바일 #오마이뉴스 http://bit.ly/17Hkih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北, 열흘 만에 공식 반응.."이석기-북 연계 주장, 용납 못할 도발" @// 북한도 싫어하는 남한 종북들 막장박가여우가 미친것은 이미 북한에서도 소문난 진상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또 신천지들 자자극이다
전혀 관심도 없는 동성애자 결혼식... RT @ohmynews_korea 김조광수·김승환 결혼식장에 기독교인 난입해 `물의` - 오마이스타 #오마이뉴스 http://bit.ly/17Hkih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있으나마나한 더러운 사법인들
좋은 법조인들을 중상모략으로 죄다 쫒... RT @kukminilbo ‘침묵의’ 이석기… 국정원이 물어도 ‘...’ 진술 거부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7HfGb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법조인들 종북 이정희 심재철 박원순 조국 문제인 그리고 다수 종북검... RT @kukminilbo ‘침묵의’ 이석기… 국정원이 물어도 ‘...’ 진술 거부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7HfGb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이정희도 처포당할때 침묵작전으로 일관하더니
아예 지독하게도 구는것이... RT @kukminilbo ‘침묵의’ 이석기… 국정원이 물어도 ‘...’ 진술 거부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7HfGb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범죄예방으로 만든 CCTV를
종북 막장박... RT @segyecom 누군가 날 지켜보고 있다면…찜찜한 감시사회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 #세계일보 http://bit.ly/1dPlyH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7일조선후기에 개고기를 국민들이 먹엇다고 생거짓말 하지마라
아주 정확한 소식에 의해서 일제시대때 서울 야산에서 고기를 파는 정육점이 전혀없던 차에 외국인 사제가 몰래 개를 잡아 먹은것을 훔쳐보던 사람에 의해서 처음으로 퍼지게 된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박원순이 스스로는 빚투성이라면서 무슨돈의로 지원을 했는가?
국고를 그런데 쓰라고 하는 나라... RT @dailiannews `민노총 15억 지원` 박원순에게 `정파적`이란? http://bit.ly/1dOsSU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그때는 그때고 지금은 지금이다... RT @ohmynews_korea 국회 `똥물 투척` 김두한 의원의 내란음모5단계 폭력혁명-폭발물 등장했지만 무죄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OHkM4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김일성을 태양신으로 만들려는 종북들은
종교가 암이라고 주장을 하... RT @PRESSIAN_news 종교는 정신 좀먹는 바이러스? 이젠 과학에 물어볼 때! #PRESSIAN http://bit.ly/1dOQYyn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하는것마다 사악하고 생각하는것마다 범죄인
종북막장 박가여우를 ... RT @newsis 대림동 주택가, ㅇㅁ으로 용변보는 남성 `출몰`::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dOI3g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건축자제로 둔갑하여 소음방지나 내열성이 뛰어나다는
실내 내벽용 ... RT @newsis 대림동 주택가, ㅇㅁ으로 용변보는 남성 `출몰`::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dOI3g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바로 이런 비정상적인 행동을 종북 신천지/옴마니교도들이 시킨다
... RT @newsis 대림동 주택가, ㅇㅁ으로 용변보는 남성 `출몰`::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dOI3g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이 박원순등 종붓들은 남한인돈을 말아먹어
외국에다가 전산처리를 송금해놓고는
그돈을 쓰지... RT @dailiannews `민노총 15억 지원` 박원순에게 `정파적`이란? http://bit.ly/1dOsSU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대체 세계 어느시장이 국가돈을 시민정당에 기부를 하는가?
종북시장의 종북단체 활성에만
국... RT @dailiannews `민노총 15억 지원` 박원순에게 `정파적`이란? http://bit.ly/1dOsSU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이석기뿐만 아니라 내란모의는
계속 진행되어온 공공연한 사실이다
RT @newsis 국민 10명중 6명 `이석기 내란음모 사실일 것`::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3mZoa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개고기 사건은 완전 날조된 종북들 문화역사 사기다 개고기 시작은 한일합방시절 푸주간이 없어 고기를 구하지 못하던 외국사제들에 의해서 처음 야산에서 개고기를 구어 먹은것으로 전국에 유행처럼 번져 나간것이다 그전에는 소잡는것도 천민으로 취급되는 불교문화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표절만 문제인게 아니라 개념없는 영화를 만드는게 문제이다
남한을 썪게 만드는 종북막장박가여우들이 만드는 영화들과
그들이 함께 벌리는 알카에다 테러조직은 극과 극... #한국일보 http://bit.ly/17H1Be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오만가지 협박을 하는구나 RT @nocutnews 민주, 이석기 제명요구에 `신중해야`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dOxB8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리아 공격받으면 도울 것 h//t남자가 한입가지고 두말하다니 ? 분명 며칠전에는 확실히 화학무기 사용을 증명한다면 시리아를 용서하지 않는다고 했고 프랑스 터어키 미국 유엔등지에서 증거를 내밀었던 것이다 어디 두고봐야지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시리아 국회의장, 美하원에 // 시리아에도 국회도 있고 대통령도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국민 600만명이나 난민을 만들면서 수천명 가스학살까지 하는가? 독가스범인이나 잡지 뭘하는지?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적은돈으로 지구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꾸밀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억지로 망하게 만들고 소수만 우주로 이민을 가겠다는 식인
종북 테러집단의 야욕은 지구황폐의 근본이유... #한국일보 http://bit.ly/17GYDX3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자국은 이미 실패하고서 남나라까지 망하게 만들
궁리를 하는 시대의 유물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개심들을 해야한다
하나뿐이 없는 지구를 마구잡이로 황폐시키고서
... #한국일보 http://bit.ly/17GYDX3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재산이 너무많아 죽을때까지 써도 못쓰는 사람들의
해외재산 도피는 망국의 병이다
이들은 한번 빼간 재산은 그들이 죽으면 외국에 자동 기증된다는
기초적인 생각도... #한국일보 http://bit.ly/1dOtrxB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한국이 경제적으로 어려운것은
금융 고리대금업자들만 돈을 벌고
생산업투자는 절대하지 않으려 들며
돈버는 족족 은행에 묶어두는 얌체족들 때문이다
돈을 가진사람들... #한국일보 http://bit.ly/1dOtrxB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전반적으로 여성이 신체적으로 힘이모자라는데
똑같은 중량의 무기를 들고 뛰게 만들면서 성차별이 없... RT @kbsnewstweet 노르웨이 여성 징병제 실시…진정한 양성평등 http://bit.ly/17EEkc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경제 사기조직 종북들은 종북 법조인들에 의한 조작 위증 문서들과 날림법 조작으로부터 기인한다 ,,, 법가지고 법을 기만하는 막장박가 여우들은 모두 법을 전공한 파렴치한 인간들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영국 대학생들 누드 달력 제작 이유가...// 자선펭계 대지마라 더러운 청년들이 영국의 장래를 망치는것이다 좀비와 뱀파이어로 좀먹어들어가는 영국젊은이들 정신병!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만일 그런게 사실이면 국정원과 경찰이
간교한 종북으로부터 이나... RT @kyunghyang [속보]국정원 댓글 수사…서울청, 중간결과 발표 시나리오 미리 짰었다 #KHAN http://wkh.kr/17CuMi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더이상 진통당과 민통당일부의 농간에
국민들이 속아서는 안된다
물고문을 시켜서라도 이들이 훔쳐서... [박원순 “새누리당, 최소한의 균형 감각 잃었다”] #mediatoday http://bit.ly/17CFXb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위선으로 가득찬 박원순은 종북세력을 구성하여
수도없는 불법자금을 형성하고 기술적으로 해외에 불... [박원순 “새누리당, 최소한의 균형 감각 잃었다”] #mediatoday http://bit.ly/17CFXb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박원순시장이 2000억원가지고 농간을 피울때
그지하조직원들은 남한을 통채로 말아... RT @maekyung 서울시, 2천억 빚내 무상보육…지방채 발행 부족분 충당 #매경닷컴 http://bit.ly/17BLVs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끊임없는 농간을 피워
국가를 도살하게 만들어온 종북세력과
그 바람잡이 민통당은
지금껏 저질... RT @dailiannews 김현장 `이석기 제명, 국회에 인공기 꽂는 것` http://bit.ly/17DeHc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남한전체를 사기로 말아먹은 막장박가여우 종북세력의
불법자금을 찾아내고 이들이 해외송금시킨 무... RT @dailiannews 김현장 `이석기 제명, 국회에 인공기 꽂는 것` http://bit.ly/17DeHc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남한전국에 넘쳐나던 방화 살인 대형사기
대리인을 위장하여 해외에 송금된 2800조원이나 되는 ... RT @dailiannews 김현장 `이석기 제명, 국회에 인공기 꽂는 것` http://bit.ly/17DeHc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6일국가번영을 해칠 종북형 범죄인들이 대거로 들어가있는 통진당을 해체하라
아무런 대책도없이 이들 ... RT @dailiannews 김현장 `이석기 제명, 국회에 인공기 꽂는 것` http://bit.ly/17DeHc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종북들이 한 가장큰 일들은
기업들을 협박하여 자금을 빼낸것과 국민등을 사기... RT @newsis 이석기 의원 구속수감…향후 수사는?::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7BPte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이중 적어도 절반이 종북들이 국민에게 훔쳐낸 돈들이다
세계단연 일위인 조세피난처
안보가 불안한 이유이기도 하지만 불법 사기 도둑질한 돈이라서
해외유출 시킨것도 많다
2800조나 될지는 나도 몰랐네
#한국일보 http://bit.ly/13jZpM1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하하 !
종북 막장박가여우가 무슨짓을 하고다니는지
북한이 확실하게 안다면
그... RT @maekyung 김정은 옛애인, `음란물 촬영` 처형… 강력한 매음 단속 #매경닷컴 http://bit.ly/17BNVB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다 만든 양화이중대교가 나쁘다고 생떼를 쓰더니 헐게만들고
7500억원을 아무렇... RT @maekyung 서울시, 2천억 빚내 무상보육…지방채 발행 부족분 충당 #매경닷컴 http://bit.ly/17BLVs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새로만든 다르를 얼고 7500억원이나 들여서 새로만든 한강다리비용
당장 물어내라
... RT @maekyung 서울시, 2천억 빚내 무상보육…지방채 발행 부족분 충당 #매경닷컴 http://bit.ly/17BLVs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애시당초 자격없던 이석기와 김재연을
국회입성을 허락한것이 바로 화근이다
종북세력들의... RT @newdailynews 이석기 세비와 보좌진 월급 계속 주게 생겼다!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이번 국사편입자도 시원치 않은 자가 껴잇다
말같지도 않은 소리를 역사서에 하고있는것을 보니
친일종북이 껴있구나 RT @hani_reply 명성황후 시해, 일제 입장서 생각해보라고? #한겨레 http://bit.ly/13iVxL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박원순은 얼렁뚱땅 재정도둑이다
아름다운 단체로 모든 자선기금을 훔쳐다가
제멋대로 주물... RT @hani_reply 박원순 “무상보육 위해 2000억 지방채 발행” #한겨레 http://bit.ly/17ysMr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그정도 양이면 러시아나 미국보다도 많은
화학무기를 갖고있다는 것이다
#한국일보 http://bit.ly/13lnyC9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국정원이 조작한게 아니라
사건축소를 너... RT @kukminilbo “야, 이 도둑놈들아” 이석기 의원 세차례 욕설… 수갑 찬채 격앙, 수원구치소 수감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3jaGw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그렇지 양심이 있다면
이석기보다 중죄인이 누군지 뻔히 아는것이다
악질종북은 죄다 빠지고 ... [박지원 “이석기 체포동의안 몰표 보고 가슴이 아팠다”] #mediatoday http://bit.ly/17xVjg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남한에 종북들과
옴마니교도인 막장박가여우가 있다는것 자체가 불행이다... RT @PRESSIAN_news `이석기 사태 공안정국으로 가면 박근혜 불행해진다` #PRESSIAN http://bit.ly/17xWs88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누가 누구를 변호하나?
감옥에 갈짓은 이석기가 아니라
이정희가 더 많이 했는데
범죄조... RT @kyunghyang 이정희 대표, 이석기 의원 공동변호인단 합류 #KHAN http://wkh.kr/13gr0xN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5일바로 이런종류의 법인카드가 종북들의 사기인 것이다
막장박가여우가 개인적인 욕심으로 쥭어라 괴... RT @kyunghyang 검찰, 김재철 전 MBC 사장 소환 조사 #KHAN http://wkh.kr/17yjbB8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방송국과 영화 드라마 모두 된장들이다
왜 그렇게 갈수록 최신장비를 가지고 저질만 만들어내면서
자작심사로 ... [방통위, 종편심사에 또다시 `무뎌진` 칼날] #inews24 http://bit.ly/13d7Qc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모여서 혼음이나하는 옴마니 종북들이
물론 단결하고 잇겠지
몸까지 ... RT @PRESSIAN_news 이석기 `우린 역사의 정방향으로 간다`…당원들 환호 #PRESSIAN http://bit.ly/13fK4f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전국을 살인천국으로 만드는것이 역사의 방향이라면
지구종발이 역사의 ... RT @PRESSIAN_news 이석기 `우린 역사의 정방향으로 간다`…당원들 환호 #PRESSIAN http://bit.ly/13fK4f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영화계는 더이상 영혼을 악마에게 팔아먹는 작품으로만 돈벌... RT @ohmynews_korea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임권택 전편부터 하정우 감독까지 - 오마이스타 #오마이뉴스 http://bit.ly/17w6ZA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끝까지 정의와 진실을 남발한다면
네들 말대로 진실이 밝혀질것이다
추악한... RT @newsis 이석기 `정의와 진실은 반드시 승리`::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3fRzD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미래에셋에 종북세력이 잔뜩 들어잇다
이렇게 주식회사들이 농간을 하게하는 것이
바... RT @maekyung M 증권사 직원, 고객 계좌서 무려 수십억원을…감쪽같이 #매경닷컴 http://bit.ly/13fQYS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이게 바로 종북들의 머리속이다
이렇게 가공할정도로 더러운 생각... RT @kyunghyang [리뷰]논란의 중심 <뫼비우스> 직접 보니 “강하다” 왜?” #KHAN http://wkh.kr/17w4xt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이런 통계치가 종북들이 국민한테 빼앗아간
사기자금의 결과라고 보면 딱 정확한것이다
평생을 모은 은퇘자금까지 사업할려고 모은 적은 돈까지
죄다 사기군을 붙여... #한국일보 http://bit.ly/13fJpu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그토록 오만가지 범행 다벌리고 안들킨게 기적이다
국민을 몰살시킬 이들 1% 악마들이 6000만 ... RT @kyunghyang 이석기 “진보정치에 대한 체포동의안” #KHAN http://wkh.kr/17tJJDB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오만가지 범죄가 하나도 안들킨게
다 네 지랄맞은 잔꾀 덕분인것 다안다
고만 엿같은 소리를 하여라
사람들을 죽이기를 파리잡듯이 해온 오만가지 살인광란
전국을 누... #한국일보 http://bit.ly/13fq78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그동안은 종북시대였던 것이다
얼마나 많은 범죄가 일어났었는지?
네들... RT @hani_reply ‘강제구인’ 50분 대치…국정원 30명-진보당원 뒤엉켜 욕설 난무 #한겨레 http://bit.ly/13drXX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이정희가 얼굴마담으로 데려온 김재연
이제 정신을 ... RT @kukminilbo 국정원·통진당 몸싸움… 김재연 의원 실신… 이석기 의원실 앞 ‘아수라장’ #국민일보쿠키뉴스_ http://mku.ki/17vSFb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광주는 한국인의 얼을 빼앗겨
사교인 일본 옴마니교에 세뇌된 ... RT @ohmynews_korea 찌질한 광주광역시, 광주 시민인 게 부끄럽습니다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3cZrp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역겨운 오마이 여왕이라 하고는 실제론 하녀취급을 하는것이... RT @ohmynews_korea 이석기 `체포동의안 처리, 박근혜 여왕 통치의 시작`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3dnvIk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이렇게 상식밖의 포악한 살인마들이... RT @segyecom 펜션 女주인 살해 일당 `여성 60명 죽이려 했다`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 #세계일보 http://bit.ly/17to1Q3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과거의 북한은 이런 가공할 무기를 정신없이 만들어내던
끔찍한 군부를 갖고잇었다
이제 그 ... RT @nocutnews 北, 화학무기연구소 위치는?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3fzd5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종북들은 절대 증거를 남기지 않는다
과거에 진행시킨 모든 사건들을 남겨놓지않는다
이석... RT @newdailynews 이석기 배후에 [더 쎈 놈]이 있을 수 있다?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그렇게 많은 범죄를 저질러오고도
단순히 농담이었다고 하다니 거짓말도 이쯤되면 살인적이라할수 밖에..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뉴스플러스] 숨겨진 도심 폭탄 싱크홀, 대책은? //상하수도가 문제라고 해도 지난 일년동안 발생한 싱크홀 수효가 지나치게 많다 글쎄 이것이 단순히 상하수도 문제일지? 의심이 간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불쌍한 김정은이 사기군 종북 공산당들한테 고만속고
진화론이 얼마나 사기인지를 알아차리고
하나님을... RT @dailiannews `정청래, 북한 김정은도 고생한다 위로하지` http://bit.ly/13bo2K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이말은 종북 이들은 칼을 갖고다니면
사람을 대낮 길복판에서... RT @kyunghyang 체포동의안 표결 前 이석기 “칼 가지고 다니지 마시라는 말이 총기지시로” #KHAN http://wkh.kr/17sfwEO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날 복장을 치게 하는말
진보가 가진게 도덕성뿐이라니... RT @PRESSIAN_news 진중권 `이정희, 이제 와서 '농담'? 누가 믿겠나` #PRESSIAN http://bit.ly/13cx0Yk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총기 시설파괴는 노상해오던 짓들이면서 뭔 딴청인가? 종북들이 불태우고 폭파하고 공사사고 불산가스 노출등으로 죽인 사람들만 수천명이 족히 된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증거가 남지않앗다고 계속 우기는 모양인데
만에하나 증거가 ... RT @kyunghyang 체포동의안 표결 前 이석기 “칼 가지고 다니지 마시라는 말이 총기지시로” #KHAN http://wkh.kr/17sfwEO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얼마지나지 않아서 모래들은 다시 쌓일것이니
보헐자는소린 집어쳐라 RT @PRESSIAN_news `이명박 망가뜨린 낙동강, 보 허물어도 글렀다` #PRESSIAN http://bit.ly/16Mp3K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갓난애 있으니 지하조직 아냐”… 이정희ㆍ이석기 ‘궤변 이어달리기//살인테러 현장에 민간인들을 당사자들도 모르게 끌고들어가는 종북 마녀솜씨는 전세계를 교란할 수준인것은 맞지만 살인을 대놓고 하지도 못하는 것이 지하조직이 맞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얼마나 못되먹었으면 국민의 4%도 못되는 지지율을... RT @ohmynews_korea 이석기 의원 체포동의안 가결... 찬성 258표 반대 14표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7rLL6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4일국회의원 285명이 찬성표를 던졌다는데도
이런 소리나 하는 종북 망아지들
망아... RT @hani_reply ‘이석기 체포동의안’ 찬성 258, 반대 14 ‘가결’ #한겨레 http://bit.ly/13chBa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남한의 암적인 존재들
아무리해도 절대 없어지지않은 독사의 자식들이다
이들은 추방이 ... RT @nocutnews 통합진보당 해산, 어떻게 생각합니까?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7qozp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뭘 모금까지 할까
훔쳐둔 돈 잔뜩한데
모금처럼 훔친돈들을 지금으로 돌려 빼내서 쓰겠지 RT @SeoulShinmun [이석기 체포동의안 처리 초읽기] 진보당 4일 대규모 회견…10억 모금운동 착수 #서울신문 http://bit.ly/17qFIQ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종북세력들은 블러그등을 만들어서
농담처럼 가장한 명령을 내린다
웅변같은 썰을 막장박가여우가 펼치면
알아서 조직원들이 명령을 수행하는 식이다
다단계로 나눠진 ... #한국일보 http://bit.ly/13b89U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막장박가여우는 이름이 너무 많다
태어나길 박가로 태어났으나 하도 많은 가명과 많은 얼굴과
신분들을 갖고 있어서 그냥 막장박가여우로 불러진다
하지만 중요한 결정... #한국일보 http://bit.ly/13b89U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농담좋아하네
그동안 살인한 사건만 대체 몇명이나 죽였는지
아무도 알아볼수도 없을 지경이다
신문에 난 살인사건의 절대 다수가
이들 조직에 의한것이 아닌지?
어... #한국일보 http://bit.ly/13b89U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국정원에 기어들어간 종북세력
어디나 거머리들같이 끼어들어가 물고문을 한다 RT @ohmynews_korea `내란음모` 확인 후 100일 침묵...국정원 미스터리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7nxat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이런 개념없는 종북들
비겁하게 남한에 살면서 남한피를 빠는 짓들만 골라한다
거머리같은 이들을 모두 북한... [피의자들 함께 봤다는 北 `월미도` 어떤 영화?] #SBS8뉴스 http://bit.ly/17qYLK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조폭들과 감옥을 굴러다니던 깡패들을 전도하여 만든
신천지 사기군 목사 전도사들을 조심하라
국제살인마... [[현장21] `그날 난 죽었습니다`…까말라의 눈물] #SBS8뉴스 http://bit.ly/13b9aM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막장 빅가여우는 수많은 신천지 사기군 목자를 양성한 장본인이다
이들은 기독교를 가장한 옴마니교도로서 ... [[현장21] `그날 난 죽었습니다`…까말라의 눈물] #SBS8뉴스 http://bit.ly/13b9aMH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종북은 이석기가 만든 단체만 있는게 아니다
신문사 곳곳에 위장편입한 종북기자들이 바로 그들실... [통합진보 ‘박해’ 받는데도 왜 ‘진보민심’ 잃었나] #mediatoday http://bit.ly/17n5oN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종북인 미디어 오늘등이 위험한 이유는
이같이 자기들이 어쩌다가 걸린 범행도 미화를 하면서
허위... [통합진보 ‘박해’ 받는데도 왜 ‘진보민심’ 잃었나] #mediatoday http://bit.ly/17n5oN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3일서천 해양자연사박물관 전소…전시물 15만여점 피해 htt// 두말할것도 없이 종북들 짓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살인공화국이 또 되엇구나
RT @segyecom 펜션 여주인 성폭행 살해후, 시신에 절까지…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 #세계일보 http://bit.ly/17lSoa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그정도가 아니다 이 맹추야 RT @kyunghyang “국정원장, 사이버활동 강화 지시” 시인… ‘종북 기준’ 묻는 재판장의 질문엔 침묵 #KHAN http://wkh.kr/1aebxD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종북개념을 모른다면 남한인이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 RT @kyunghyang “국정원장, 사이버활동 강화 지시” 시인… ‘종북 기준’ 묻는 재판장의 질문엔 침묵 #KHAN http://wkh.kr/1aebxD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기부의 천사를 질투하다 못해 멘붕을 시킬려고
막장박가여우 신천지들이 국회에 괴... [[한수진의 SBS 전망대] 세금 폭탄 맞은 가수 `김장훈` 또 나오나?] #SBS8뉴스 http://bit.ly/17lyoW1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서울창녀가 저리많다고 보는 견해는
신천지 주부들의 멋대로 탈선 때문이다
강남주부들의 카페에는 온갖 음란시트가 창궐을 하고
막장박가여우가 조직한 아르바이트 주부... #한국일보 http://bit.ly/17lxuc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민통당은 가지만 자르지 말고 진심으로 회개하라
남한이 아직도 망... RT @ohmynews_korea 강경한 민주당 `이참에 종북 이미지 극복하자`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adx0N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북극해 근처에서 수많은 화재를 고의로 불지르고 다진 자들이 바로 범인이다
미국전역에 불질르고 다니는 종북/아랍... [점점 줄어드는 북극 얼음…위성 영상 공개] #SBS8뉴스 http://bit.ly/17l90Q6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세계 자살일일위 공화국, 살인공화국 , 노인권박탈국에... RT @nocutnews [Why뉴스]`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정원 개혁 왜 멈출 수 없나?`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acMMb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종북들이 주장하는 국정원 개혁이 아니라
진정한 국정... RT @nocutnews [Why뉴스]`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정원 개혁 왜 멈출 수 없나?`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acMMb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국민들에게 사양심이나 심어주는 막장저질 드라마를
제발 국영방송에서 방영하지 말라... RT @nocutnews ′관상′ 김혜수 블랙 시스루 한복 화제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7l5tB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공부도 제대로 안한 다윈이
가난한 청년의 자료를 돈주고 사서 만든 진화론
떠돌... RT @hani_reply “이석기, 국회를 남한 사회주의 혁명투쟁 교두보 인식” #한겨레 http://bit.ly/17irHU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현대사의 가장 실패한 정책인
유물사회론적인 공산사회 국가론자들이
자본주의가 실... RT @hani_reply “이석기, 국회를 남한 사회주의 혁명투쟁 교두보 인식” #한겨레 http://bit.ly/17irHU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정신병자적은 막후테러로 된 정치를 구상하려는
공산사회주의자들이 정정당당했더라면... RT @hani_reply “이석기, 국회를 남한 사회주의 혁명투쟁 교두보 인식” #한겨레 http://bit.ly/17irHU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반공이 열받는 사항이라면 그런야당의원들은 종북이다 #한국일보 http://bit.ly/17kZjB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그동안 한 검찰소행을 눈여겨보면 검찰들이야말로
종북 뇌물 받는 증상이 가득한것이다... RT @newdailynews 한심한 일부 검사-판사! 이석기 제대로 다룰까?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천인공로할짓은 이정희 단독으로 더 많이 저질렀던 것이다 RT @yonhaptweet 이정희 "체포동의안 처리는 즉결처분"…단식농성 돌입(종합) #yonhap http://yna.co/17gYtF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이들은 심지어 과자에다가 마약성분을 넣어 제조해서 판다고들 한... RT @kyunghyang 윤여준 "통합진보당 무슨 환각제를 먹은 것도 아니고" #KHAN http://wkh.kr/1acRDJ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우습게도 종북은 북한산 마약과 환각제를 팔아줘야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도 종종한다 RT @kyunghyang 윤여준 "통합진보당 무슨 환각제를 먹은 것도 아니고" #KHAN http://wkh.kr/1acRDJ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2일어디다가 감추었는지는 정확하게 몰라도
종북들은 분명 무기를 구입해오고 있엇다
사... RT @maekyung 李, 전쟁임박 판단 광우병처럼 선전전·美軍 정보수집하라 #매경닷컴 http://bit.ly/1adz9Z2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1일인터넷에 즐비한 사제폭탄 제조법들은
종북들도 다수 올린것 투성이다
이들은 이런 사제폭탄제조법을
청소년들한테 전수할 목적으로 전문적인 방법들을 조사해
익명을... #한국일보 http://bit.ly/17fAdU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9월 1일김한길 헌정질서 파괴하는 모든 세력과 싸울 것 ht// 헌정질서위배 이말의 뜻을 제대로 알고 싸용하는것인지 정말 의심스런 민통당괴수야 법만 공부한 종북실세들의 법망을 피한 위조실력 위법실력을 몽땅갖춘 네들이 바로 헌정질서 파괴범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뉴스플러스] 무차별 대량 살상 화학무기의 위험성 http:/왜 한국기자들은 시리아 사망자숫자를 줄여서 말하는가? 죽은자들만 1450명이 넘는데 400명이라고 줄여말하는 의도를 밝혀라 북한과 시리아의 화학무기를 당장 철폐하라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나도 김대중이 대통령이 되면 뭔가 다를줄 알았지용
다르긴 뭘 !
박정희보다도 한참 뒤떨어진... RT @hani_reply 니 전라도가? 유령처럼 떠도는 불멸의 낙인 #한겨레 http://bit.ly/1dv0LJ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저런 핵공장들은 선제공격해서 부셔버려야 마땅하다
두고두고 원흉이될 지구파괴의 전초가 아니고 데ㅐ체 뭔가
원숭이들보다 미련한 종북들과 북한 위정자들은 분명 창조된인간이 아니라
돌물에서 진화한 침팬지 후예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지령을 받고안받고보다도 그 내용자체가 중요하다
이자들이 생각하고 행동하는것 자체가 ... RT @newdailynews 내란음모 이석기, 북한 지령 받았나가 최대 쟁점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종북들잉 막장종교를 퍼트린 이유는 남한을 전북시킬려고 꾸민 짓이다
이들은 자신들도 믿지않은 시스템종교같은... [수상한 조서…309동 집단 성폭행 사건의 진실] #SBS8뉴스 http://bit.ly/1dvkxo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1일이아이들이 감염된게 바로 막장박가여우가 포교하고 다니는
일본옴마니/신천지사교에서 자란아이들이다
부모들이... [수상한 조서…309동 집단 성폭행 사건의 진실] #SBS8뉴스 http://bit.ly/1dvkxo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내란 음모 혐의 통합진보당 간부 3명 구속영장 http:// 종북 순악질들은 다빠지고 신참내기들만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이게다 북한산 조직들 수법이다
이구 더러워라 RT @segyecom [S 스토리] `특공대밀수` `커튼치기`…밀수꾼 수법 날로 교묘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 #세계일보 http://bit.ly/1duRPny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이석기는 명령을 받고 행동에 옮기는 자중에 하나다
명령을 하는 주체종북세력의 최고 참모가 누구인지... RT @dailiannews 이석기 해명 기자회견도 북한 주장과 똑같다? http://bit.ly/1dtYq1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김재연도 맛이갔다 우선 이녀남편이 종북총수 괴물 아들이다 RT @kyunghyang 김재연 의원 “전부 다 황당무계한 소설들” #KHAN http://wkh.kr/1drOuFK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심각한것은 막장 박가여우 종북들은 사제위성들을 갖고잇으며
정보능력이 생각보다 뛰어나... RT @newdailynews 내란음모 이석기, 북한 지령 받았나가 최대 관점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당연히 북한한테 지령을 받지만 옛날처럼 문서로 남기는 따위는 할필요가 없는
진보된... RT @newdailynews 내란음모 이석기, 북한 지령 받았나가 최대 관점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서울경찰청이 네들을 죽이려 한게 아니라
종북 네들이 서울경찰청을 죽이... RT @ohmynews_korea `서울경찰청이 나를 죽이려고 하는구나`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ttS06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내란음모는 뭘
그냥 이정희등한테 사기당해서 혼자 뒤집어 쓴것이지뭐... RT @edaily_news 이석기 `내란음모 납득못해.. 사법절차 당당히 임할 것`(종합) #이데일리 http://bit.ly/1dsWXZ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북한이 고문하고 죽인 정치범들ㅇ\하ㅓ고 비교를 하면 안될까... RT @hani_reply “박정희 때도 반체제 인사 탄압·고문” 뉴욕타임스 ‘내란죄 수사’ 비판 보도 #한겨레 http://bit.ly/1873qm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소설은 진보당이 쓴다
온갖 모의다하고나서 기록도 없을꺼라 자부심으로 대단하다만... RT @hani_reply 오전엔 “100% 소설·모략” 오후엔 “모임은 열렸었다” #한겨레 http://bit.ly/18actD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빨갱이들이 잔인한 이유가 바로 가족은 인질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북한에 납... RT @PRESSIAN_news `대한민국은 지금도 전쟁 중이다!` 그 상대는… #PRESSIAN http://bit.ly/1duLUz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자기가 말하는 죄송하다는 말도
스스로 재능을 인정받지 못했다는 식인 이자
도대체 자기모친까지 망신시키는 작품을 만들고도
종북앞잡이 영화감독자리가 너무도 자랑... #한국일보 http://bit.ly/1duJWh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쓸개빠진 김기덕은 임성헌의 사주를 받아서
영화제작을 해오던 허수아비감독이다
번번히 더러운 작품으로 세계의 이목을 받아온 여무 막장박가종북이
상을 거머지게 되었다... #한국일보 http://bit.ly/1duJWh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세계어느나라에서도 그따위 모친과 XXXX하는 영화따위를
만들 생각을 한 사람들이 없다
이 정신병자는 영화를 만든것도 모잘라 한국인 행세를 하여
국제적으로 남... #한국일보 http://bit.ly/1duJWh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전국에 살인 살육은 종북들이 자행해온 공공연한 사실이다
수많은 경찰서장들이 이유도 없... [권은희 “서울청이 날 죽이려 한다” 수서서장 ‘충격’ 증언] #mediatoday http://bit.ly/1dt9KL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막장박가여우와 종북들은
몇년전부터 이미 전쟁시나리오까지 치밀하게 짜서 전쟁준비를 해오고... RT @hani_reply 이석기 “내란음모는 날조, 의원직 사퇴 안해” #한겨레 http://bit.ly/18agcB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종북들은 청와대의 비밀통로까지 만들었다고 청와대 근처 새건물지하를 이용하여/미술관
서울곳... RT @hani_reply 이석기 “내란음모는 날조, 의원직 사퇴 안해” #한겨레 http://bit.ly/18agcB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이들은 전쟁시나리오로 아주 기발한 아이디어들을 갖고있다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소형비행기를... RT @hani_reply 이석기 “내란음모는 날조, 의원직 사퇴 안해” #한겨레 http://bit.ly/18agcB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종북 주사파와 동부연합은 갈수록 남한의 독충들이 되어가고 있다
게릴라전을 꿈꾸며 전쟁이나... RT @hani_reply 이석기 “내란음모는 날조, 의원직 사퇴 안해” #한겨레 http://bit.ly/18agcB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이정희 선거비리로 쫒겨났어야할 이석기
그때도 절대 안나간다로 난리치더니
결국은 하는짓... RT @hani_reply 이석기 “내란음모는 날조, 의원직 사퇴 안해” #한겨레 http://bit.ly/18agcB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이런 연유로 투표도 안하고 어부지리로 국회에 들어간
종북 이석기와 김재연이 ... RT @kbsnewstweet 이석기 의원, ‘주한 미군’ 자료 등 정부 자료 3백 건 요구 http://bit.ly/1dthDk8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학교도 다니지않고 집도없는
가출학생 27만명이 바로 촛불운동마다 끌려... RT @hani_reply “이석기 사건과 국정원 개혁은 별개다”…시민단체들 “촛불 계속” #한겨레 http://bit.ly/1870ea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다단계에 걸려들어 강제 세뇌교육받고
촛불운동과 농성장마다 끌려다니는
주거불명 청소년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라 RT @hani_reply “이석기 사건과 국정원 개혁은 별개다”…시민단체들 “촛불 계속” #한겨레 http://bit.ly/1870ea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촛불운동에 끌려다니는 다단계청소년들과 일진/왕따들과
집 RT @hani_reply “이석기 사건과 국정원 개혁은 별개다”…시민단체들 “촛불 계속” #한겨레 http://bit.ly/1870ea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종북 막장박가여우들도 국정원 개개인을 감시하고
가가호호 방문해서 사교로 ... RT @SeoulShinmun [단독]국정원, 이석기 지하조직 3년간 감청 대화 수집 #서울신문 http://bit.ly/1dpjIg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30일지령받는 단계가 지나 아예 적극적으로 남한을 죽일 안건을 내고
자체적... RT @PRESSIAN_news `北 지령받는 종북은 없다…자생 친북세력일 뿐` #PRESSIAN http://bit.ly/1dstrm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속보] 통진당 "녹취록 내용 지하조직 아닌 당원 모임" // 종북당원이 종북조직이지 뭐 물론 못된짓할때는 익명으로 바꾸겠지만 이들이 실제 본명을 사용하는지도 알아봐야 한다 수많은 가짜이름으로 행세하는 당원들 주소도 불명한 자들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미친종북들
나가서 다시는 남한에 들어오지 말라
빨리 꺼져라 RT @dailiannews `미국놈 몰아내는 전쟁 시작` 이석기 발언 일파만파 http://bit.ly/188TI3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무속신천지들의 포교방식이다
이런식으로 므명을 가장하여 선행을 베푸는척 하면서
결국은 슬며시... [음식 놓고 가는 우렁각시는 누구?…‘궁금한이야기 Y’ 추적] #SBS8뉴스 http://bit.ly/188Vfq1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원래부터 종북세력은 물증을 남기지 않는다
이나마 찾아냈다면 완전 빙산의 일각인 것이다
이들이... [`정치·군사적으로 전쟁 준비하자`…이석기 사전구속영장 청구] #SBS8뉴스 http://bit.ly/1drRnG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러시아 해군 함정 지중해 이동,미군과 맞붙을까? @ 글쎄다 시위를 하는척하겠지 러시아가 골이비엇나? 막장종북들이 아무리 뇌물을 갖다가 바쳐도 새발에 피인 격인것이다 러시아야말로 공산혁명으로 가장 비참한 피해를 당한 당사자들이기 때문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법조인들로 구성된 종북실세들은
물론 이런 내란죄가 성립이 안된다... RT @PRESSIAN_news 문제의 '녹취록' 공개…내란죄 성립될까? #PRESSIAN http://bit.ly/188SdSz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단독] “경기동부연합 6~7명 최소 2차례 몰래 북한 들어갔다” http 종북들은 수시로 이렇게 북한을 들락거린다 종북세력의 거의 다가 이렇게 북힌을 다녀왓을 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끊이지 않는 토익 부정행위…음성변환 스마트폰 앱 이용 http://이자들이 범행에 사용한 방법이 바로 종북들이 사용할수잇는 방법들과 일치한다 이런식으로 테러범죄에 이용을 할수있았다는 말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김남일기자 종북기자의 알량한 썰!
북한도 떠는 종북사기군들을 열혈 지지해온
주제파악... RT @hani_reply ‘내란 음모 정국’ 공안 올드보이 4인방이 주도 #한겨레 http://bit.ly/186KHa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땅값 집값을 마구잡이로 떨어트려서
친인파와 종북중국인들에게 마구잡이로
헐값에 넘... RT @fnnewscom 오선화, 한국 비하하더니 제주도 땅 매입 드러나 #FNNEWS http://bit.ly/185X7j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어리석은 김재원
종북의 알량한 얼굴마담으로 뽑힌것을 축하라도 해줄가?
헛약았다는 것이다
자... [김재연 “내가 비밀조직 회원? 허위사실…고소할 것”] #mediatoday http://bit.ly/186Ezi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단독>이석기 ‘아리랑5호’ 비밀 모두 파악...//
나로호 1/2호가 격추를 당한것도 종북들 짓이다 3호도 여러번에 걸처서 방해를 했으나 천신만고 끝에 겨우 성공을 한것이 기적이라 하겠다
남한의 우주게획 자체를 수단방법 가리지않고 방해를 해온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어리석은 이두사람
통일후 포상받을 욕심에
남한을 팔아먹는 매국짓을 잘란척 진행시켜온 것이다... RT @dailiannews `우린 붉은기를 지키리라` 이석기가 적기가를... http://bit.ly/186ji97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수십년전에 일본여자들의 무개념적인 성문란이 대두되어 욕바가... RT @sportsseoulcom [영상] 女아이돌 `성행위 댄스` 헉! 허리 숙이고 엉덩이 흔들고 #스포츠서울 http://bit.ly/1doveJt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이석기가 종북들의 몸통자체는 아니다
이석기를 이용하여 종북연합을 ... RT @ohmynews_korea `코 꿰인 국정원, 제대로 한 번 싸워보자`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85FErl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오만가지 헛소문으로 남한인사들을 옥죄어 오고 왕따를 시키고 교회마다 들어가서 방해를... RT @kyunghyang [사설]통합진보당 수사 마녀사냥식 여론재판 안된다 #KHAN http://wkh.kr/1dpK02E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마녀사냥은 종북들이 남한인에게 해오던 비열한 방식이다
여당은 단체도 혐회도 거의 없... RT @kyunghyang [사설]통합진보당 수사 마녀사냥식 여론재판 안된다 #KHAN http://wkh.kr/1dpK02E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러시아 해군 함정 지중해 이동,미군과 맞붙을까? @ 속보이는 러시아! 일부 테러종북세력으로부터 뇌물이 통하는 것이다 시리아의 자국민 살해극과 이해타산이 맞아떨어진다면 아주 곤란한 지경이 아닐까?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비열하게 숨어서 못된짓으로 테러를 범해오던
이들이 일으킨 헤... RT @nocutnews 이석기 `남한서 모든 행위는 반역…군사적 체계 잘 갖춰라`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88AM4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스스로도 잘알고 있는 반역행위만 해온 것이다
이렇게 뻔뻔한 족... RT @nocutnews 이석기 `남한서 모든 행위는 반역…군사적 체계 잘 갖춰라` - 노컷뉴스 #nocut http://bit.ly/188AM4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인간을 존중하는 창조론자들과 반대로
인간을 침팬지라 격하시켜... RT @newsis 경찰관 2명, 빌라서 나체로 투신한 여성 받아 구조::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86B9f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일즈일동안 나체커플 배회등
나체여자들 시위가 곳곳에서 이뤄... RT @newsis 경찰관 2명, 빌라서 나체로 투신한 여성 받아 구조::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86B9f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희대의 사깃군인 이정희가 청와대와 국정원 정부조직을
계속해서 기만하고 가지고 놀아도 잡아낼 재주가 별... [이정희 `靑·국정원, 희대의 조작극 벌인 것`] #inews24 http://bit.ly/186iSz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거짓말을 너무 잘해서 그런것도 장기라고
의기양양하구나
그러니 수많은 살인극도 무사히 완전범죄로 넘어가... [이정희 `靑·국정원, 희대의 조작극 벌인 것`] #inews24 http://bit.ly/186iSz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이들이 미래를 위해서만 일을 벌려온것이 아니라
이미 과거에도 현재에도 끊임없이 ... RT @hani_reply ‘내란 음모’ 유죄 되려면…‘추상적 합의’만으론 부족 #한겨레 http://bit.ly/185Lx7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전쟁후 이승만이 풀어준 반공포로 수만명
이들이 종북이... RT @kyunghyang [속보]"유신헌법 반대" 백기완 통일연 소장 39년만에 무죄 #KHAN http://wkh.kr/1doQIF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그당시에는 경찰들이 실력이 없어서 아마도 가짜만 잔뜩 ... RT @kyunghyang [속보]"유신헌법 반대" 백기완 통일연 소장 39년만에 무죄 #KHAN http://wkh.kr/1doQIF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막장박가여우한테 포섭당한 이석기와 김재연
한심하다못해서 어이가 없는 종북들이 된것이다
얼뻐진게 꼭 사교에 세뇌당한 종북행동파들
주사파이면서도 살인을 함부로 자... #한국일보 http://bit.ly/185l8X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막장박가여우나 잡을일이지
박영선은 뭐하러 ?
막장박가여우는 태어나길 박씨로 태어나서... RT @newdailynews 민주당의 꼴불견, [앙심-막말] 박영선 구하기 #뉴데일리 http://bit.ly/YayT5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남한에서 일어난 알수없는 혹은 원인불명
사건사고 화재 폭파 건물파괴 부실공사 석유관털취
지... RT @dailiannews `우린 붉은기를 지키리라` 이석기가 적기가를... http://bit.ly/186ji97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남한에서 온갖 편의를 다 누리면서 살면서 남한을 증오하고다니는
오만가지 불법만을 일삼아온 이... RT @dailiannews `우린 붉은기를 지키리라` 이석기가 적기가를... http://bit.ly/186ji97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9일살인마들이 살인을 공모하여도 무죄고
사람을 죽인다음에는 오리발로 무죄고 ?
그런... RT @hani_reply ‘내란 음모’ 유죄 되려면…‘추상적 합의’만으론 부족 #한겨레 http://bit.ly/185Lx7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사기가 절반인 심리학자들
참 과학이란 미명하에 수많은 재산만 갖다바치는 지구가 불쌍한 것이다 #한국일보 http://bit.ly/185YGOb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오해를 만들려고 만든 영화 천안함 다큐는
망가진 심장에... RT @ohmynews_korea `천안함 사건 유족들, 이 다큐 보면 오해 풀릴 것` - 오마이스타 #오마이뉴스 http://bit.ly/1dnSIy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그래!국정원에다가 이런 정보를 준것도 종북세력이겠지... RT @ohmynews_korea 이석기 `모든 것은 날조... 총기 준비? 기가 막힌다`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85FErl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자작극의 대명사 이정희
고만 웃겨라
자작극은 네가 한 ... RT @newsis [종합]이정희 `내란음모 국정원 주장, 허무맹랑 조작극`::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85CbsO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세계어느나라나 있는 국가보안법이 우리나라만 삐걱거린다
법조계에 종북들만 가르키는 법조... [국정원 내란음모죄 적용… 법조계 “현실적으로 적용 어려워”] #mediatoday http://bit.ly/1dmjoP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오원춘사건 피해자 국가 책임 있다...배상금 1억 지급 // 종북들이 일으킨 사건이 무슨 국가책임인가? 번번히 애꾿은 국가에다가 책임전기하는 얌체같은 종북들과 더러운 묻지마 살인사건들! 오원춘을 이용하여 애꾿은 경찰총장만 나가게 된것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잡히기전에 힐일이 많은게지슘겨야할것도 많고 ㅇ없애야할것도 많고도리어 뒤집어 씌워야할것도 많고
http://me2.do/5IbKHEc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종북들의 은닉장소는 헤아릴수도 없는 지경이다
이들 조직이 그동안 국민한테 빼앗은 사기친 자금으로
해외에 빼돌린 거대한 자금은 국가를 세우고도 남을 지경이다
게다... #한국일보 http://bit.ly/1dm2ot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종북세력들은 총기를 직접 생산하려고 무척이나 애를 쓰다가
장남감 권총 총기만... RT @kyunghyang 국정원 “이석기, 총기 준비 지시” 통진당 “용공조작극” #KHAN http://wkh.kr/183t4J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북힌이 수십년동안한 악행보다도 곱절 못된짓을 벌려온
종북수뇌 이... RT @ohmynews_korea 통합진보당 지도부, 압수수색 국정원과 대치중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lMHCk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빈대도 낯짝이 있다던데 이정희는 그토록 무지막지하고
끔찍한 오만... RT @ohmynews_korea 통합진보당 지도부, 압수수색 국정원과 대치중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lMHCk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선거때부터 괴롭히기를 서슴치 않던 이정희는 대통령들마다 괴롭히고 다닌 괴물이다 내곡동 땅사건으로 수많은 청와대 직원들을 무고하게 옥고를 치루게 한것도 이녀짓이다 전두환도 마찬가지고 수많은 나라영웅들을 깎아내려온것도 이녀 종북들 역사조작짓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KTX를 얼마나 괴롭혀왔던것일까?
물론 KTX에서 일어난 ... RT @PRESSIAN_news 50여 명 죽인 '돈 먹는 하마'…한국 철도도? #PRESSIAN http://bit.ly/1dlYpwI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8일들키지않는다고 그토록 많은 공장/창고 방화 가스누출등을 위시하여... RT @PRESSIAN_news 30년 만에 부활한 내란음모죄…이정희 `아버지나 딸이나` #PRESSIAN http://bit.ly/1dlOw1Y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7일홍도 해상에서 어선 좌초…선체에 구멍 뚫려 http:또 바다에다가 기름 유출시킬려고 했었던것 아닌지? 왜 홍도까지 그많은 기름을 운반해서 가서 배에 구멍을 냈는지 자세히 조사를 하지?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7일사돈에 며느리까지 줄소환 예고 // 사돈이 가지고 있던 재원도 전두환것이라고 우기지는 않겠지? 국민한테 훔쳐간 종북들의 거대한 검은돈이나 찾아내라 막장박가여우가 시켜서 사기를 쳐온 종북사기단이 빼앗은 천문학적인 불법자금 해외에 빼돌린것 말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7일종북 은 이성을 없애는 정치 선동…소멸시켜야 할 표현 http://종북이 이성을 없애는 정치선동이라고?
종북스스로가 만들어온 자기들 이미지인데도?
이같이 이성을 망가트려온 곳이 바로 종북들이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7일미주국민이면 뭘하는가?
아예 상식이 뭔지도 모르고
종북들 유... RT @ohmynews_korea `미주 동포들 분노 크다... 박근혜 결단해야`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aL5Qf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유롭에 여자장관들은 흑인들이 대다수다
왜일지? 궁금하지 않은가? [이탈리아 흑인 女장관 이번엔 `매춘부`와 비교당해] #SBS8뉴스 http://bit.ly/180clp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노래를 하는 김한길
대체 무슨 욕심으로 양자회담을 하자는가?
북한 대포인것도 아니면서?
고만 웃... RT @kbsnewstweet 김한길 대표, 先양자회담, 後다자회담 역제안 http://bit.ly/1aKntM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그래도 혹시라도 야당중에도 착한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그나머지는 죄다 강물에 처다 밖아도 된다 RT @kyunghyang ‘원’의 위험한 발언들 “야당을 강에 처박아야… 판사도 적” #KHAN http://wkh.kr/1c9JbY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아사드를 당장 공개처형을 시키고
그가갖고있는 화학공장을... RT @ohmynews_korea `시리아 용납 못해`... 돌변한 미국 태도, 왜?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aKmooe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현대가 망할지 안망할지 실험중인 종북들
이들은 천몇백만원 월급을 받고있는 노조임원들의
불치병환자들이다... [겨우 8시간 파업에 ‘현대차’가 망한다고?] #mediatoday http://bit.ly/19C9W6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문제는 무엇을 해도 종북세력이 간섭을 해서 망하게 만든다는것... RT @PRESSIAN_news '박정희 폐해' 해결책이 사유화? 잘못 짚었다 #PRESSIAN http://bit.ly/1802KiY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삼성을 망하게 하려는 기업들은 참으로 오래전부터 계획을 진행시켜왓다
미움받을 짓을 한점도 있는 삼성은 태안기름유출 사고때
지나치게 짠돌이 역활을 하더니 고약한... #한국일보 http://bit.ly/15p5W91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희망버스 좋아한다
희망이런 글자를 아주좋아하는 민통당 종북 막장박가여우들은
희망을 절망으로 둔갑시키는 괴물들이다 RT @maekyung 울산에 희망버스 또 온다…民心 최악 #매경닷컴 http://bit.ly/1aK20Ud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야당이 미끼로 던진 단독회담이 대체 무슨 관심거리나 되는가?
자... RT @kyunghyang 전병헌 “박 대통령 5자회담 재(再)제안 동문서답이자 정치실종 선언” #KHAN http://wkh.kr/17ZTCL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서울을 쫄닥 망하게하고는 사탕같은 소리나 하는 무상급식
나쁠것도 없지만 ... RT @PRESSIAN_news 새누리당, 박원순 비판 발언에 `잘했어!` 환호 #PRESSIAN http://bit.ly/1aK0nW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요금을 과감히 올려서 택시운전사들에게 돌아가도록하라
이것은 배불띠기 택시업주... RT @edaily_news 서울시 택시요금 큰폭 오른다..기본요금 3000원 유력 #이데일리 http://bit.ly/1aK6x9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정신이 오락가락하는 좌익 종북들
남한이 우익들이 만든 자유민주주의 국가라는 것을 까맣게 잊고사는... RT @dailiannews 교학사 역사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악몽의 2개월 http://bit.ly/15ovVgY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녹조라떼를 만든것은 종북 막장박가여우들이다
네들과 한패인 프레시안의 여우... RT @PRESSIAN_news 녹조는 재앙의 시작…`낙동강은 영원히 사라졌다` #PRESSIAN http://bit.ly/1aJP1l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허구헌날 자유를 박탈당하고 겨우 연명이나 하면서
언제죽을지 몰라서 전전궁궁... RT @hani_reply 원세훈 “판사도 다 똑같은 놈들”…사법부까지 ‘종북 딱지’ #한겨레 http://bit.ly/15pfdh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종북에는 차별없다?
웬 헛소리
종북이야말로 완잔 계급사회인것이다
네들 한걸... RT @hani_reply 원세훈 “판사도 다 똑같은 놈들”…사법부까지 ‘종북 딱지’ #한겨레 http://bit.ly/15pfdh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우리나라 사법부는 너무 썪었다
완전 종북들로 넘쳐난다
사건이 일어나면 범인들... RT @hani_reply 원세훈 “판사도 다 똑같은 놈들”…사법부까지 ‘종북 딱지’ #한겨레 http://bit.ly/15pfdh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다망하고 망하지않은 소수의 기업중에 하나인 현대자동차
이것이 배아픈 종북들이 만드는노조사태... RT @dailiannews 현대차 파업 손실 2조 `차라리 개성공단이 낫겠다` http://bit.ly/15oqsqt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6일종북들하고 정치를 해야하는것은
비극중에 비극이다
이들과 함께하는 세상은... RT @PRESSIAN_news 까고 또 까도 나오는 부패, MB 개인 탓인가? #PRESSIAN http://bit.ly/1c8mfZ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5일전두환대통령과 아들을을 엮어서 괴롭히지 말라
같은 죄목으로 ... RT @newsis [종합]檢, 이번주 전두환 아들·딸 줄소환 `관심`::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뉴시스 http://bit.ly/1dEl5q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5일사대강에다가 그어느 민족도 하지못한 가장 끔찍한
강물오염을 시킨 막장종북여우를 잡아서
사법... [“4대강 녹조에서 ‘간질환 유발 물질’ 검출됐다”] #mediatoday http://bit.ly/1c5rrx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녹조를 스스로 만들고도
뻔뻔한 충청도 사이비 환경대원들
머... RT @ohmynews_korea 비단 물결 어디 가고... 여기가 정말 금강 맞나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7VKG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말같지도 않은 이런법은 예회를 두어야한다
정상적이지 않은 행정처리
이것은 법이 아니라 스스로 위법이다
... [26년 군 복무 했는데…이제 와서 입대 무효?] #SBS8뉴스 http://bit.ly/19BGDR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남한의 모든... RT @PRESSIAN_news '박근혜 청와대' '오보 소동', 그리고 MB정부發 '원전게이트' #PRESSIAN http://bit.ly/1dafEkC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종북들의 계획적인 방화다
대체 주차해있는 차들이 왜 저절로 불타는가?
이런짓을 할자들은 막장박가여우들뿐이 남한에 없다 [[영상] 지하 주차장 `활활`…차량 15대 전소] #SBS8뉴스 http://bit.ly/19Dg1A3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뉴욕타임스지는 대체 어느나라 신문이길래
자국의 비밀을 적에게 넘겨주려는가? [가디언, 영국 정부 탄압 피해 NYT와 `스노든 자료` 공유] #SBS8뉴스 http://bit.ly/19DfQVu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구린내가 나서 안보앗길 망정이지
만에하나 내가 보았더라면 네들은 죽은 목숨인줄 알거라
걸핏하면 인육이... RT @edaily_news 한화투자증권, 설국열차 되나 #이데일리 http://bit.ly/156opK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배고프다고 사람을 잡아먹어야지 된다는
논리는 대체 어디서 나오는가?
미친작가를 잡아서 바베큐를 해먹으라고 해야겠다 RT @edaily_news 한화투자증권, 설국열차 되나 #이데일리 http://bit.ly/156opK5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3일녹조현상이 너무 넓다
나노섬유로된 필터그물을 제조해서
녹조... RT @ohmynews_korea 시궁창 돼버린 낙동강 식수원...이게 안전하다?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9vPh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2일얼굴에 다 써있다
권은희 표독스런 얼굴을 봐라
누가 무슨짓을 했는지?
신천지 종북 국정원들 행세로 자작극을 펼친것이다 [박근혜의 대선개입 출구전략... “개혁안만 던지고 끝낼 것”] #mediatoday http://bit.ly/19B3gG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2일별 탄생 순간 포착, ‘지구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서의 신비로운 모습//이것은 별의 탄생이 아니라 별이 폭팔한 구름운이며 nebleuse라고 부른다 신비한 색갈은 초신성이 폭팔한 후에 생기는 구름띠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2일별 탄생 순간 포착, ‘지구서 1400광년 떨어진 곳에서의 신비로운 모습’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201308230100216820011973&cDateYear=2013&cDateMonth=08&cDateDay=23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2일박근혜후보를 우롱한것은 종북세력이다
국민은 그녀를 수십년... RT @ohmynews_korea `박근혜 국민 우롱...교수들, 국정원 앞으로 간다`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 http://bit.ly/1d7aq90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1일일본에 핵사고가 나면 북한바다가 오염된다
하는짓마다 머저리인 여우수작질이 ... RT @PRESSIAN_news 후쿠시마 지옥문, 여의도에서 닫을 수 있을까? #PRESSIAN http://bit.ly/1d6EAJv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1일완전히 한통속 종북/북한이엇던 것이다 그러면서 뻔뻔하게 온갖 주장은 다 펼치다니
만약에 종북들이 하고다니던 테러를 북한지지하에 한다면 북한과의 그어떠한 경제협략도 진행시켜서는 안된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1일악랄한 종북 막장박가여우들이
국정원을 가진대로 교란을 하고나서 한다는 말이
국정원이 필요없다고... RT @dailiannews 국정원 국조의 유일한 결론은 `국조 무용론` http://bit.ly/18IJiIt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1일시리아 내전에서 화학무기 공격…1,300여명 사망 // 그러게 뭐하러 화하무기를 만드는가?
자국의 어린이들을 살생하려고 만든것이나 다름없는것이다 이같이 가공할 생화학무기를 생산하는 나라와 과학자들은 즉결에 넘겨서 종신형을 살게해야 한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이런말이 바로 막장박가여우가 하고다니는 짓들을 보면 들어도 아주 싸다
종북들과 북한이 중국에 밉보여 당당하지 못하고 뒤로 시궁창짓만
하고다니는 것이다
이들이 ... #한국일보 http://bit.ly/18IlULf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기후걱정하는자들
아주 간단한것을 가지고 전세계사람들 허리를 조이는 것이다
현대과학으로 북극 남극을 얼리는게 무슨 문제나 되는지? #한국일보 http://bit.ly/18IJDea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국정원은 전력을 다시정비하고
일부 물갈이도 하여 제대로 일을 하여야할것이다
있으나마나한 국정원이... RT @dailiannews 국정원 국조의 유일한 결론은 `국조 무용론` http://bit.ly/18IJiIt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단독] "무단이탈 육사생도 9명 아닌 40~50명 된다// 종북 막장박가여우들이 신천지일진들을 군대로 보내서 교란을 시작하는 것이다
육사를 뽑거나 여군을 지망하는 자들속에도 종북 신천지들이 다수 들어가 있다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바로 그가 종북검사기 때문에
김일성을 악담한죄로 종북검사가 ... RT @PRESSIAN_news '김정일=암세포' 비유한 내가 종북이라고요? #PRESSIAN http://bit.ly/1d2NFmG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경찰시험법을 대폭 축소하여 훈련도 제대로 안된
신천지 ... RT @SeoulShinmun 국정원 청문회 후폭풍… ‘광주의 경찰’ 발언 비난 꿋꿋했던 ‘왕따’ 응원 #서울신문 http://bit.ly/18GYci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남해바다까지 시멘트 페기물을 가져다가 버리던 북한 선박들
그리고 심심치않게 죽은사람들을 살고있던 북한 ... RT @kbsnewstweet 강원 동해안까지 적조 확산…피해 속출 http://bit.ly/172X2h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바다를 다시살릴려면 하루빨리 비밀/사설 공사된
인분/똥 하수구를 찾아내서 폐기를 하고
이를 바다에 ... RT @kbsnewstweet 강원 동해안까지 적조 확산…피해 속출 http://bit.ly/172X2h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뜨거운 열대바다도 적조가 안일어나는데
수슨 날씨가 덥다고 적조가 일어난다고 사기를 치는가?
적조를 일... RT @kbsnewstweet 강원 동해안까지 적조 확산…피해 속출 http://bit.ly/172X2h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이자들은 앞으로 20년동안 나라를 말아먹을 궁리인가보다
그래 네들이 지금처럼만 행동을 한다면 세월이 지난다고
우리가 더 잘살리가 없지
종북들농간에 남한마저 북... #한국일보 http://bit.ly/18HkIr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유관순을 펌하시커도 유분수지!
미치고자빠진 것들이다 RT @dailiannews 권은희가 유관순? 민주당 창피한줄 모르네 http://bit.ly/18H44Ir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ㅇ;래서 성직자들은 정치에 초연한것이 바람직하다
세속의 악마들이 얼마나 교활하다는것을... RT @hani_reply “국정원 청문회때 국회 ‘뇌사’…70년대로 회귀” #한겨레 http://bit.ly/18HeS9J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20일보다시피 권은희는 종북끄나플인 것이다
신천지 세력이 국정원에 들어가서
기밀을 빼내고 ... RT @kyunghyang “권은희를 지켜내야 우리 민주주의가 소생한다” #KHAN http://wkh.kr/18HbUSm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그레시안 종북신문과 종북매체들 그리고 막장박가여우들잉
함... RT @PRESSIAN_news '원·판·김·세' 수상한 5일, 대선을 주물렀다 #PRESSIAN http://bit.ly/18GqFFc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경찰청 사이버수사대 ‘국정원 댓글 수사 CCTV 대화’ 분석해보니 http://bit.ly/19uieO4 시기군 종북세력이 있는한
이같은 난잡한 사기막장 정치극은 절대로 사라지지않을것이다
교활하고 복잡하며 사람의 인내심를 바닥나게 만드는 철...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국정원이 무력한것은 이대통령 임기내내 익히 보았다
이들은 청와대도 온갖모략질로 일관했... RT @hani_reply 청문회 소신 발언 권은희 “국민 경찰” 응원 봇물 #한겨레 http://bit.ly/1d1fwD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보아라
바로 이런자가 국정원의 종북세력인 것이다
시킨다고 핑계를 대고 하면서
지금은 ... RT @hani_reply 청문회 소신 발언 권은희 “국민 경찰” 응원 봇물 #한겨레 http://bit.ly/1d1fwDP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개방된 남한하고 교역하면서
자국의 개방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탄압하는 북한은 믿을수기 없... RT @dailiannews 노 전대통령 방북때 김정일, 당간부 100명 숙청했다 http://bit.ly/16nJHzQ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NH농협에 미친사람 투성이다
참으로 이상한것은 꼭 약올리려 전화질을 단체로 한다는것이... RT @maekyung 김나운 집, 넓은 거실에 작은 연못까지..‘초호화’ #매경닷컴 http://bit.ly/16oDwLS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신천지 권은희
뻔뻔하구나
네가 양심이 있었으면 시킨다고 하지않앗겠지
물론 제대로 도와줄려고 ... RT @kbsnewstweet 권은희 경찰, 부정한 목적으로 중간수사 발표 http://bit.ly/16oizAX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끝도 없어요
핵무기부터 피기하고 그런것 요구를 하지
얼마나 얌체근성인가?
남한 말아먹을려고 하지말고 상부상조하면 좋겠다 #한국일보 http://bit.ly/16oCcI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가격경쟁을 해서 중소기업들이 망하기를 밥먹듯이 하는 풍조를
남나라까지 가지고 가서 교란하다니 참 양심없다
누가 가계를 내면 그옆에다가 내서 꼭 타인들을 망하게... #한국일보 http://bit.ly/1cZgCQw 펼치기나나리타 ?@Kjhworker8월 19일그렇게 남에게 오명을 뒤집어 씌우기 좋아하는 세력도 없는 것이다
종북들은 언제나 저질적인 음모로 ... RT @hani_reply 님부터 ‘치유하는 용기있는 리더십’을 #한겨레 http://bit.ly/16ofeln 펼치기나나리타 ?@'국정원 대선개입 규탄' 촛불집회 4만 5천여명 참여: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8. 14.Kjhworker. 2013-08-15 09:39:31. 추천0. 반대0. 촛불 농성자들의 이중얼굴. 종북 사기다단계에 걸려든 수많은 청소년들. 학교도 그만 ...[영상] 시뻘건 불길이 '활활'…가구 공장 불: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8. 14.반대순. Kjhworker. 2013-08-15 10:17:40. 추천0. 반대0 ?어빠진 종북들의 방하질은 너무 오랫동안 남한을 괴롭혀왔다. 이렇게 미친 ...아시아나 사고기, 동체 윗 부분 그을린 이유는?: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7. 7.Kjhworker. 2013-07-12 11:23:37. 추천0. 반대0. 동체윗부분이 그을려서 몽땅타버려야지 증거인멸을 하기때문이다. 댓글달기. 신고 ...[한수진의 SBS 전망대] 세금 폭탄 맞은 가수 '김장훈' 또 나오나?: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5일 전Kjhworker. 2013-09-03 11:19:42. 추천2. 반대1. 기부의 천사를 질투하다 못해 멘붕을 시킬려고. 막장박가여우 신천지들이 국회에 ...[영상] 지하 주차장 '활활'…차량 15대 전소: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8. 21.Kjhworker. 2013-08-24 14:06:08. 추천0. 반대0. 종북들의 계획적인 방화다. 대체 주차해있는 차들이 왜 저절로 불타는가? 이런짓을 ..."섬 팅 웡" 아시아나 조종사 이름, 의도된 조롱?: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7. 14.Kjhworker. 2013-07-14 11:04:35. 추천2. 반대0. 겨우 조롱으로 끝이나는게 말이나 되나? 살인을 불러오는 의도된 사고는 파헤쳐야 ...[단독] "대통령 전용기 극비 항로, 인터넷에 노출":SBS뉴스??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2013. 8. 8.Kjhworker. 2013-08-09 09:01:00. 추천0. 반대0. 신천지 창녀들이 미국에 대거로 흘러들어가서. 이제 자리를 잡은모양. 이들이 사용 ...이런 사람들은 뭐하는 사람들임?기사에 하나 하나 댓글 달고 시간이 남아 돔?
-
-

[자유·수다] 기레기가 팀웍 망가뜨렸다고 하는데.
기레기가 자꾸 팀웍 화해시켰느니, 애당초 성격이 글러먹었다니 말씀하시는데,기레기의 sns트윗질이 잘했다고 하는말이 아닙니다. 모든 책임이 기레기에게 있는것처럼 말씀들하시는데 그럼 기레기가 포함됐던 올림픽대표팀은 어떻습니까? 올림픽최초 메달획득한 홍명보호가 전부 해외파로만 구성됐습니까? 홍명보호 역시 대부분 국내파와 대학소속선수 일부 해외파를 갖고 선수운용을 했습니다. 그럼 그때도 기레기가 팀웍해치고 난리쳤습니까? 하늘같은 홍명보라는 대선배이자 감독에게 이렇게 사진찍어서 보내는거보면 올림픽대표때도 이렇게 자유분방하게 행동하는건 똑같죠. 해외파만 저런게 아니라 국내 K리그 젊은선수들또한 저렇게 자유분방합니다. 해외파/국내파의 갈등이아니라 젊은선수와 고참선수들간의 갈등으로 봐야합니다. 최강희가 마지막 A매치 3연전에 해외파 부상 어쩌니하면서 부르지도 않고 K리그에서 불러온 선수가 김남일입니다. 김남일또한 우즈벡에서 부상을 당하고 회복세였는데 대표팀에 불러들인겁니다. 이거보면 답나오는겁니다. 해외파가 문제가아니라, 신/구 선수층의 다리역할로 김남일을 불러세운거죠. 최강희는 2011년 감독직 받으면서 국내 K리그선수들을 중용하겠다는 인터뷰도 했습니다. 같은 전북현대의 감독이자 선수인 최강희와 이동국의 유대는 남다를수밖에 없는겁니다. 조광래 감독이 이동국 불러놓고 쓰지도 않고, 최강희는 감독이되자마자 이동국부터 불렀습니다. 기레기를 비롯한 해외파가 팀웍을 해쳤다면, 해외파를 제외하고 그만한 팀웍을 보여줬어야죠.승리는 못하더라도 팀웍만큼은 훌륭한 경기를 해야하는데, 경기력이 어땠습니까? 팀웍은커녕 패스연결도 안되고, 무조건 뻥축구만 해대는데 그게 팀웍이랑 상관이 있는지 묻고싶네요. 팀웍을 해치는 선수는 감독이 기용하지 않으면 그만입니다.기성용이 메시나, 호날두만큼됩니까? 아닙니다.기성용없이도 충분히 팀웍과 좋은 경기력 보여줄수있습니다.그런데 보여줬습니까? 그걸 못보여준게 전부 기레기 때문이고요? A매치 3연전 0골을 기록하면서도 끝까지 이동국만 고집하는걸 보면서TV화면으로만 보는대도 어이가없던데, 그건 최강희의 아집입니다. K리그 사상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불리며 승승장구하던 이동국과 최강희.최강희감독은 국민들앞에 이동국이 K리그뿐만아니라 세계에서도 통하는선수라는걸 증명하고 싶었던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그렇게 이동국에만 집착해서 경기를 운영할수없다고 봅니다.그런 감독의 모습에서 젊은 선수들이 무슨생각을 하겠습니까? 이동국의 카페베네 영상을 한번 쭉 보시면, 한경기 한경기가 다 주옥같은 경기고 골키퍼와 1:1 상황인경우가 많습니다. 이동국은 스피드가 빠른선수도 아니고, 수비력이 좋지도않고, 공간창출능력도 없습니다. 전형적인 타겟형 스트라이커인데, 타겟형 스트라이커는 골 결정력으로 말을해야합니다. 이미 이동국에게 충분히 많은 기회를 줬습니다.그런데도 계속 이동국만 고집한이유는 같은 전북현대의 감독-선수라는 유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국민들도 그렇게 느꼈을거리고 보면, 대표팀내외의 젊은 선수들이느낀 이질감은 더 컸을겁니다. 히딩크또한 자서전에서 이동국과 안정환을 비교하는 글을 남겼습니다. 이동국은 개인적으로 훌륭하지만 뽑지않은이유는 스트라이커로서의 움직임때문이라고 썼습니다. 그때가 이동국이 24살 전성기 시절입니다. 물론, 히딩크라는 사람이 뽑지않았다고해서 그 선수가 국대자격이 없는선수라는건 아닙니다. 다만, 히딩크는 유일하게 우리국대를 세계 4강에 올려놓은감독입니다. 그 감독의 시각이 이동국이라는선수가 세계축구에서 통할만한 선수인지 가늠해볼수있는 잣대역할은 할수있다고 봅니다. 최강희가 감독으로서 선수를 중용하는건 좋습니다. 국민들이 다들우려하는 상황에서35살의 노장 이동국을 쓴건 감독의 역량입니다.그만한 성적을 내면 논란은 수그러들테고, 그렇지않으면 욕을 먹는거겠죠. 홍명보는 어떻습니까? 런던올림픽때 병역논란이 일어난 박주영을 불러와서 함께 기자회견했죠.만약 박주영이 군대를 안가면 자신이 대신가겠다고. 박주영에대한 국민적 반감은 지금의 이동국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박주영은 3,4위전에서 선취골과 어시스트를 기록해서 2:0승리를 이끌고 한국축구사상 최초로올림픽 메달을 목에걸었습니다. 당연히 병역혜택을 받았고요. 그리고 논란도 같이 수그러 들었습니다. 결국 감독은 감독으로서 자신의 전략과 선수기용에 그만한 책임을 지는겁니다. 해외파때문에 팀웍이 엉망이됐다? 기레기때문에 팀웍이 망가졌다? 그걸 인정하는순간 감독스스로 자신이 무능했음을 인정하는것이라고 봅니다.
-
-

[자유·수다] 최강희 국대 파벌 논란
최강희감독이 해외파 선수를 기용하지 않으면서 해외파/국내파 간의 파벌이 있는게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근래 그 루머가 사실이라고 생각될만한 사건들이 계속 일어나고있습니다. 발단은 기성용의 SNS에서 비롯됐습니다. 기성용은 트윗으로 "리더는 묵직해야 한다. 안아줄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을 적으로 만드는 건 리더 자격이 없다"는 글을 남겨 이것이 최강희를 겨냥한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자설교말씀중 일부라고 밝혔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최강희 감독이 "기성용 트윗질 비겁하다"는 인터뷰로맞 받아쳐서 그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occer&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114310인터뷰 전문. 인터뷰내용요약1). 리더 자격 운운…용기 있으면 찾아왔어야2). 롱볼 축구? 조급함에 내 스타일 잃었었다3). 성실했던 김남일, 그렇게 예민할 줄이야…4). 수비수는 O형보다 집중력 강한 B형 제격 논란이 된것은 1번과 4번입니다. 기성용트윗에대한 반박과 더불어4번의 인터뷰가 다른 의미로 논란의 중심에서고 말았습니다. 최강희감독은 혈액형으로 대략적인 모든선수들의 특징을 파악할수있다고 말을했고,O형 수비수들은 덜렁거리고, B형이 집중력이 좋다는 얘길하면서이란전서 치명적실수로 실점의 빌미를 제공한 김영권을 언급하며 자신은 드리블 붙지말고 걷어내는쪽으로플레이하라고 얘기했지만, 결국 그런 실수가 발생했다고 인터뷰를 합니다.김영권의 혈액형은 O형입니다. 이 인터뷰가 나간후 퀸즈파크 레인저스 수비수 윤석영의 트윗이 또 한바탕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이라는 최강희감독의 혈액형인터뷰에대한 전면적 반박 트윗을 올렸습니다. 이 트윗을두고 설왕설래중인데요, 아무리그래도 연장자이자 감독인데, 이렇게 노골적으로 트윗을 남길수있느냐 건방지다는 의견과.최강희의 혈액형철학이 감독으로서 말이되는 소리냐, 괜찮다는 의견으로 나뉘어 또다시 인터뷰후폭풍은일파만파 커지고 있습니다. 이 SNS의 논란에 황선홍 감독도 입을 열었습니다." 제 얼굴에 침뱉기" 라고하면서 후배들의 경솔한 행동에 따끔한 일침을 가했습니다. 부상에서 회복된지 얼마안됐단 이유로 기성용,구자철등의 해외파 선수들을 부르지 않았던최강희감독이 마찬가지로 우즈벡전에서 부상을 입은 김남일은 다시 불러들인 모습에서 실제로 해외파간의 갈등이 존재하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았었습니다. 이번 SNS,인터뷰논란으로 해외파/국내파간의 갈등은 기정 사실이 된것으로 보여 씁쓸함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이번논란후 기성용은 트위터,페이스북 계정을 탈퇴했습니다.
-
-
-
-
-

[엽기유머] 박지성의 위대함
초창기
박지성은 1981년 2월 25일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신안리에서 태어났다.[1][2]
세류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축구를 시작하였고 6학년 때는 전국 대회에서 세류초등학교가 준우승을 차지해 5회 차범근 축구상을 수상할 정도로 축구에 재능을 보였다.안용중학교,수원공고를 거친 그는 명지대 김희태감독에 눈에 띄어 명지대학교에 진학하게 되었다.
[편집] 교토 퍼플 상가
[편집] 교토 퍼플 상가 이적
2000년에 명지대학교를 휴학하고 자신에게 스카웃 제의를 보낸 J리그의 시미즈 에스펄스 대신 연봉 5000만엔 (2000년 당시 한화 약 5억 원)이라는 파격적인 조건과 주전급 대우를 보장한 교토 퍼플 상가에 진출했다.[3] 당시에는 황선홍 등 나이가 어느 정도 있는 고참급 선수들이 높은 대우를 받으며 일본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박지성이 어린 나이에 당시 하위권이던 교토 상가로 입단하는 것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편집] 활약
이후 3년간 그는 교토 퍼플 상가에서 당시 동료들과 함께 맹활약을 펼쳤다. 팀이 2부로 강등된 후에도 팀에 잔류하여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면서 팀을 다시 1부 리그로 이끌었다. 2003년 1월 1일에는 일본의 FA컵 대회격인 일왕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가시마 앤틀러스를 맞아 0-1로 뒤지던 후반 7분 프리킥을 받아 헤딩으로 동점골을 성공시키면서 팀의 2-1 역전승을 도우면서, 교토 상가가 처음으로 우승컵을 안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 때, 박지성과 교토 퍼플상가의 계약은 2002년 12월 31일자로 종료되었으나 팀의 컵대회 우승을 위해 계약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에 출전해 팀을 우승으로 이끌어 찬사를 받은 바 있다.[4] 교토 퍼플 상가는 박지성을 잔류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그는 유럽 무대에 도전하기로 하였다.
[편집] PSV 에인트호번
[편집] PSV 에인트호번 이적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의 4강 진출에 크게 기여한 박지성은 거스 히딩크 감독의 부름을 받고 계약기간 3년 6개월에 연봉 100만 달러라는 조건으로 에레디비시의 PSV 에인트호번으로 이적했다.[5]
[편집] 2002-03 시즌
2003년, 이적 초기에는 월드컵 이후 소속팀에서 무리한 출전으로 인한 부상으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들쭉날쭉한 플레이를 펼쳤다.[6]
[편집] 2003-04 시즌
이 때문에 팀 동료인 마르크 판 보멀이 박지성의 서툰 네덜란드어 능력과 부진한 활약에 비판을 표할 정도였고, 심지어는 홈팬들로부터도 야유를 받을 정도에 이르렀으며 (당시 PSV의 사령탑이던 거스 히딩크 감독도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 그를 주로 원정 경기에만 투입하도록 배려하였다.) 이에 따라 플레이가 위축되는 극심한 슬럼프를 겪었다. 그러나 이후 차차 페이스를 끌어올리면서 점점 발군의 기량을 보이기 시작했고 이후 팀내 주요 선수로 발돋움했다.[출처 필요]
[편집] 2004-05 시즌
특히 윙어 아르연 로번과 골게터 마테야 케주만이 프리미어리그 첼시로 떠난[7] 에레디비시 04-05시즌, 리그 3위를 기록할 것이라는 네덜란드 언론의 예상을 뒤집고 PSV 에인트호번이 에레디비지에를 제패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또한 UEFA 챔피언스리그 4강에 입성함에 있어서 공격진의 핵심선수로서 활약하였다.[8][9]
이렇게 되자 마르크 판 보멀은 지난 시즌 불만을 표시했던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사과하는 인터뷰를 하였으며, UEFA 챔피언스리그 2004-05 16강 AS 모나코전과 8강 올랭피크 리옹전 당시 해설가들은 박지성의 활동반경과 위협적인 움직임에 대해서 내내 찬사를 보냈다. UEFA 챔피언스리그 4강 AC 밀란과의 원정 1차전 0-2 패배 이후,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박지성은 AC 밀란과의 2차전 경기 초반 지다의 640분 무실점 기록을 종결짓는 선제골을 기록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에서 최초로 골을 터뜨린 한국인 선수가 되었다.[출처 필요] 이 경기에서 PSV 에인트호번은 박지성의 선제골과 필립 코퀴의 2골을 포함 3-1로 승리하여, AC 밀란과 승점과 골득실 부분에서 모두 동률을 이루었으나, 원정 다득점원칙에 따라 결승에는 오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경기 내내 종횡무진 활약을 보였던 박지성은 외신들의 찬사를 받았고, 당시 박지성을 상대했던 선수인 젠나로 가투소는 박지성을 마크했던 일이 괴로운 기억이었음을 추억하는 내용의 에세이를 일본의 축구잡지에 송고했으며, 시즌 종료 이후 박지성의 거취가 화두에 오르자 주장이었던 필립 코퀴는 박지성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의 칼럼을 제기하였다.[출처 필요]
무엇보다 가장 극적이었던 것은 그렇게 박지성을 괴롭혔던 PSV 에인트호번 팬들의 야유가 열광적인 '위숭 빠르크' 송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환상적인 시즌을 보낸 박지성에게 들려온 소식은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부터의 관심이었다.[출처 필요]
[편집]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편집]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적
2008년 FC 바르셀로나와의 경기 후의 박지성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4-05 16강전에서 AC 밀란에 2연패를 당하며 탈락했다.[10][11] 두 경기 모두 0-1 패배로, 밀란의 두터운 수비벽을 뚫지 못한 것이 가장 큰 패인이었다. 그런데 이 대회에서 PSV 에인트호번 소속이었던 박지성은 AC 밀란과의 4강 2차전 홈경기에서 불과 전반 9분만에 순간적인 돌파를 통해 선제골을 기록하며 포효 하였고, 이것을 주목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 박지성 영입을 결심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편집] 2005-06 시즌
박지성은 2005년 6월 22일 계약을 하고서,[12] 2005년 7월 14일 입단식을 갖고 등번호 13번을 배정받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 공식 입단하였다.[13] 2005년 7월 23일 홍콩에서 열린 홍콩 프로 선발팀과의 친선 경기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입단 이후 첫 경기를 가졌고,[14] 7월 26일 중국에서 열린 베이징 현대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골을 넣었다.[15] 잉글랜드 무대에서는 2005년 8월 13일 에버턴 FC와의 프리미어리그 원정 경기에서 데뷔하였고,[16] 12월 21일 버밍엄 시티 FC와의 풋볼 리그 컵 원정 경기에서 잉글랜드에서의 첫 골을 넣었다.[17] 그리고 2006년 아스널 FC전에서 프리미어리그 첫 골을 뒤늦게 신고하였다.
[편집] 2006-07 시즌
2008년 2월 10일 맨체스터 시티와의 더비전에서의 박지성
박지성은 주로 오른쪽 윙어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왼쪽 윙어인 라이언 긱스와 번갈아가며 출전하였으며, 2006년 9월 10일 토트넘 홋스퍼 FC와의 경기에서 얻은 부상으로 수술후[18] 회복에 성공해 12월 18일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FC와의 원정경기에서 복귀했다.[19] 수술 후, 박지성은 우려와 달리 예전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줬다. 애스턴 빌라와의 경기에서 1골 1어시스트, 찰튼전에서 1골, 볼튼전에서 2골 (첫 멀티골) 2007년 3월 31일 블랙번 로버스 FC전에서 1골 1도움을 넣는 활약을 펼친 후,[20] 무릎 부상을 입어 선수 생명의 연장을 위해 2007년 4월 28일 미국 콜로라도에서 리차드 스테드먼 박사의 지도 하에 수술을 받았고,[21][22] 재활을 모두 끝마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공식 한글 홈페이지와의 인터뷰에서 "복귀전에서 골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말했다.
팀이 2006-07시즌에 우승함에 따라 아시아 선수 최초로 프리미어리그 우승 메달을 받았다.[23] (최초의 프리미어리그 우승 경험자는 2001-02 시즌 일본의 이나모토 준이치이다. 당시 이나모토는 아스널 FC 소속이었지만, 리그 경기의 4분의 1 이상 출전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해 메달을 받지 못했다. 둥팡줘도 같은 이유로 메달을 받지 못했다.)
[편집] 2007-08 시즌
2008년 3월 1일, 박지성은 긴 재활 기간에서 돌아와 풀럼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폴 스콜스의 크로스를 헤딩으로 연결하며 2007-08 시즌 첫 득점을 기록했다.[24] 하지만 부상 복귀 이후 3월 한달 간 꾸준한 선발 기회를 잡지 못했던 박지성은 국내에서의 출장 기회에 관한 논란[25]에도 불구하고 2008년 4월 2일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1차전 AS 로마와의 원정경기에 선발출장하여 후반 웨스 브라운의 크로스를 헤딩으로 연결하며 웨인 루니의 골을 어시스트 했다.[26] 또한 며칠 후인 4월 6일, 그는 미들즈브러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카를로스 테베스와 교체되어 들어가 웨인 루니에게 결정적인 동점골 어시스트를 함으로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패배의 위기에서 구출하였다.[27] 2008년 4월 9일,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린 UEFA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에서 다시 선발 출장한 박지성은, 엄청난 활동량을 보이며 공격은 물론 수비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28] 이로써 1-0 (총합 3-0)으로 승리한 유나이티드는 4강에 진출하였고, 박지성은 아시아 선수로서는 최초로 세 시즌 동안 UEFA 챔피언스리그 4강에 진출하는 기록을 이루어냈다. (2004-05 PSV 에인트호번, 2006-07·2007-08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4월 23일과 4월 29일, FC 바르셀로나와의 준결승전에서 두 경기 모두 선발 출장하였고,[29][3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는 합계 1-0으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으나, 정작 박지성은 5월 21일 첼시와의 맞대결로 결정된 결승전에서 갑작스런 명단 제외로 출전하지 못하였다. 그 경기에서는 박지성을 대신하여 오언 하그리브스가 출전하였고, 경기는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결국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맨유가 첼시를 6-5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31]
[편집] 2008-09 시즌
2008 11월 아스널과의 경기에서의 박지성
2008-09 시즌 초반에는 나오지 못하다가 2008년 9월 21일 첼시 FC과의 원정 경기에 시즌 첫 출장했고, 이 경기에서 시즌 첫 골이자 팀의 선제골을 기록하였다.[32] 2009년 3월 7일 풀럼 FC와의 FA컵 원정 경기에서 후반 36분 팀의 네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긴 골 침묵을 깼다. 5월 2일에는 미들즈브러 FC와의 프리미어리그 34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후반 6분 팀의 두 번째 골을, 5월 5일에는 아스널 FC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8-09 준결승 2차전 원정 경기에서 전반 8분만에 선제골을 성공시키며 두 경기 연속 골을 터뜨렸다. 이 경기에서 그는 후반 16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성공시킨 팀의 세 번째 골에도 관여하고 공수 양면에서 활약을 하며 90분 풀타임을 소화하였다. 2009년 5월 16일 올드 트래포드에서 벌어진 아스널과의 리그 37라운드에서 후반에 교체 출장하여 골 네트에 공을 꽂았으나 아쉽게도 오프사이드 판정을 받았다. 이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1부 리그 통산 18회, 프리미어리그 출범 이후 11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2009년 5월 27일, FC 바르셀로나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8-09 결승전에 선발 출전하여 66분간 활약함으로써, 이 대회 결승전에 출전한 최초의 아시아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맨유는 이 경기에서 0-2로 완패하여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33]
[편집] 2009-10 시즌
2010년 8월 22일 풀럼과의 경기에서의 박지성
2009-10 시즌에는 무릎 부상으로 초반 많은 경기를 뛰지 못하였고 복귀전은 베식타스와의 챔피언스리그 5차전에서 치렀다. 시즌 첫 골은 에미레이츠 스타디움에서 열린 아스날과의 라이벌전에서 터졌다.[출처 필요] 또한 아스톤 빌라와의 리그컵 결승에 선발로 출전하여 디미타르 베르바토프와의 합동 플레이로 여러번 팀의 공격을 주도하고 골대를 때리는 슛을 날리는 등 맹활약 하여 팀의 2-1 승리에 기여하였다.[출처 필요]AC 밀란과의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 경기에서는 시즌 2번째 골이자 자신의 챔피언스리그 통산 4호골을 터트렸고 팀은 4-0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박지성은 이날 경기에서 상대 핵심선수인 안드레아 피를로를 완벽봉쇄하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3일 후에 열린 풀럼 FC와의 리그 경기에서는 후반 교체 투입되어 디미타르 베르바토프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그 다음주에 열린 리버풀 FC와의 라이벌전에서는 후반전에 대런 플레처의 크로스를 받아 헤딩 골을 성공시키며 리버풀을 무너뜨렸고 시즌 3호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리그 최종전인 스토크 시티 FC와의 경기에서 시즌 4번째 골이자 팀의 마지막 득점을 올렸다. 그러나 팀은 첼시에 밀려 준우승을 거두었다.
[편집] 2010-11 시즌
2010-11 시즌에서는 9월 22일 스컨도프 유나이티드와의 칼링컵 3라운드에서 시즌 1호골을 기록하였고, 10월 26일에는 울버햄튼 원더러스과의 다음 라운드에서 시즌 2호골을 기록하였으며, 11월 6일 리그 11라운드 울버햄튼 원더러스와의 홈 경기에서는 선제골과 종료 직전 결승골을 박지성 자신이 모두 기록하였다. 11월 28일에 열린 블랙번 로버스전에서는 두번째 골을 넣어 자신의 시즌 5호골을 기록하였다. 또한 12월 14일 아스널 FC과의 홈경기에서 헤딩 결승골을 기록, 자신의 한 시즌 최다골을 기록하였다.[출처 필요]
챔피언스리그 8강전, 첼시와의 2차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2-1 승리를 이끔으로써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그리고 2010-11 시즌 리그 36라운드 첼시와의 홈 경기에서 전반 35초 경 다비드 루이스를 제치는 패스를 하비에르 에르난데스에게 연결해 줌으로써 선제골을 어시스트 하였다. 박지성의 활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19번째 우승을 확정하였다.[출처 필요]
그리고 2010-11 시즌 마지막 리그 경기인 38라운드 블랙풀과의 경기에서는 베르바토프의 패스를 받아 시즌 8호골을 넣었고, 안데르송에게 패스를 연결하여 시즌 6호 어시스트를 성공하며 팀의 4-2 승리를 이끌었다.[출처 필요]
2010-11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 선발 출장하여 93분 풀타임을 소화했지만, 팀은 바르셀로나에 3-1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편집] 2011-12 시즌
2011년 8월 12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박지성과의 2년 재계약을 2013년 6월까지 연장했다고 밝혔다.[34] 재계약을 체결하면서 박지성은 한화로 81억 4,300만원 상당의 연봉을 받게 되었으며, 이는 웨인 루니, 리오 퍼디낸드에 이어 팀 내 세 번째로 많은 것이다.[35]
2011-12 시즌 프리미어리그 4라운드 아스널과의 경기에서 애슐리 영의 패스를 받아 시즌 1호골을 기록했다. 팀은 8-2 대승을 거두었다. 노리치 시티와의 7라운드 경기에서 후반 43분 대니 웰벡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리그 1호 도움을 기록했다.
2011년 12월 27일 위건과의 18라운드 경기에서 선발 출장을 하여 전반 8분 파트리스 에브라의 패스를 받고 시즌 2호골을 기록하였으며 패널터킥도 얻어내어 리그 2호 도움을 기록하였다. 리버풀과의 FA컵 32강전에서 시즌 3호골을 기록하였지만, 팀은 1-2로 패배하였다.
2012년 2월 6일, 첼시와의 리그 23라운드 경기에서 후반 40분경 대니 웰벡과 교체 투입되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통산 200경기 출전을 하였는데, 이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역사상 92번째 기록이며, 아시아인으로는 최초의 기록이다. 2012년 2월 24일, AFC 아약스와의 유로파리그 32강전에서는 맨유 입단 후 최초로 선발주장 완장을 차고 경기에 나섰다. 7시즌 동안 총 205경기 출전, 통산 27득점을 기록하였다.
[편집] 퀸즈 파크 레인저스
[편집] 퀸즈 파크 레인저스 이적
2012년 7월 9일, 박지성은 이적료 500만 파운드 (약 88억원)로 2년 계약을 하며, 퀸즈 파크 레인저스로 이적하였다. QPR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박지성의 번호는 아델 타랍이 사용하던 등번호 7번으로 결정됐다고 발표했다. 원래 박지성은 QPR의 비어있는 5, 8, 14번 중 8번을 선택했으나 토니 페르난데스 구단주의 결정 하에 7번을 달게 됐다.[출처 필요] 7번은 박지성이 선호하는 백넘버이며, 팀내 에이스의 상징이기도 하다.[36][37]
[편집] 2012-13 시즌
박지성은 2012-13 시즌 팀의 새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프리미어리그 개막전에서 원정팀인 스완지 시티에게 5:0으로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2R에서는 노리치 시티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2012년 9월 26일 캐피털 원 컵 3라운드 레딩과 경기에서 첫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팀은 3-2로 패배했다.
2012년 10월 22일 프리미어 8 라운드 에버튼전에서 무릎 부상을 당하여 현재까지 부상자 명단에 올라있다. 가장 유력한 복귀전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로 알려저 있다.
[편집] 국가대표 경력
박지성은 2000년 4월 5일,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라오스와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6년 FIFA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출전하였다. 특히, 2002년 FIFA 월드컵에는 주전 미드필더로 맹활약하여 대표팀 4강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 직전 잉글랜드와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3차전 포르투갈전,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2차전 프랑스전에서 골을 넣으며, 강팀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특히 2002년 6월 14일, 인천에서 열린 포르투갈과의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3차전에서 예술적인 골을 성공시켜 팀의 1-0 승리를 이끌었는데, 이 골은 한국 축구팬들이 뽑은 '2002년 최고의 골'로 선정되기도 했다.[38] 스페인과의 8강전 승부차기에서는 2번째 키커로 나와 골을 성공시켰다.
2004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 박지성 차출을 놓고 대한축구협회와 PSV 에인트호번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결국 박지성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는 대신 2004년 AFC 아시안컵에 차출되었다.[39]
2008년 10월, 김남일이 경고 누적으로 명단에서 제외되자 국가대표팀 주장 자리를 이어받았고, 이후 국가대표 은퇴 직전까지 주장을 맡았다.[40]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5골로 대한민국 팀의 최다 득점자가 되었으며, 대표팀이 3승 3무라는 무패의 성적으로 본선 직행하는 데 기여하였다.[41] 2010년 5월 24일, 사이타마에서 펼쳐진 일본과의 평가전에서 전반 6분 득점을 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박지성은 1차전 상대인 그리스를 상대로 후반 7분 개인 드리블에 의한 두번째 골을 넣었다. 2002년 월드컵, 2006년 월드컵에 이은 월드컵 3개 대회 연속골로 이로써 안정환과 아시아 선수 중 월드컵 최다 골(3골)과 타이를 이루었다.
박지성은 2011년 AFC 아시안컵이 시작되기 전에 2011년 AFC 아시안컵이 끝나면 대표팀에서 은퇴하겠다고 하였다.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회 4강 일본전에서 박지성은 자신의 A매치 100번째 출장 기록을 달성, 대한민국 선수 중 역대 8번째로 센추리 클럽에 가입한 선수가 되었는데, 이 경기가 박지성의 마지막 A매치 경기가 되었다. 박지성은 우즈벡과의 2011년 AFC 아시안컵 3,4위전에는 뛰지 않았고, 2011년 AFC 아시안컵이 끝난 이후 그의 말대로 이영표와 함께 대표팀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011년 1월 31일 오전 11시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공식 은퇴 선언을 하며 11년간 뛰었던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였다.[42]
[편집] 경기 스타일
박지성은 최근,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이적 후, 포지션은 윙어 이다. 넓은 행동 반경과 많은 활동량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스태미너가 가장 큰 특징이며 중앙 미드필더로도 뛸 수 있다. '산소 탱크', '세 개의 폐(Three-lungs Park)'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다.[출처 필요]
전 소속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열심히 뛰는 선수로 인정받는다. 패싱 능력과 스피드도 수준급이며, 공을 다투는 경합 상황에서 집중력과 근성이 돋보인다. 특히 공간 활용 능력과 영리한 움직임으로 정평이 나 있어서 알렉스 퍼거슨 감독도 이 점을 수 차례 칭찬한 바 있다. 또한 박지성은 윙어임에도 불구하고 공격력 뿐만 아니라 수비적인 면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며, '수비형 윙어'라는 새로운 포지션의 장르를 개척한 다재다능한 면도 보이고 있다.[43][44] 공격 전개시에는 자신이 직접 볼을 처리하기보단 보다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패스하는 팀 플레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팀의 승리를 위해 헌신적으로 기여한다. 또한 2009-10 시즌 중반이 지나면서 팀의 측면 자원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중앙 미드필더로도 활약하며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AC 밀란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 1, 2차전에는 중원에 배치되어 상대 공격의 핵인 안드레아 피를로를 철저히 봉쇄했으며 리그에서는 리버풀 FC과의 홈경기에서 중앙 미드필더로 출장하여 결승골을 넣는 등 뛰어난 전술적 이해력도 보였다.
[편집] 별명
활동량이 넓고 경기장 전체를 폭넓게 뛰어도 체력이 남는 강철 체력을 소유했다는 의미로 '산소 탱크'라는 별명과 '멈추지 않는 심장'이라는 별명이 붙었다.[출처 필요]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 이적한 이후, 팀 동료들이 박지성에게 '지(Ji)'라는 애칭을 붙여주기도 하였다. 또 경기장 어디든지 순식간에 나타나 공을 뺏는 모습을 두고 그의 소속팀 동료 파트리스 에브라는 '유령'이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출처 필요] 최근 미드필드 중원에서의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센트럴 팍(Central Park)'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출처 필요]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봉산탈춤을 연상하는 세리머니로 봉산지성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편집] 경기 기록
클럽
시즌
리그
컵
리그 컵
UEFA 경기
기타[45]
합계
경기
골
경기
골
경기
골
경기
골
경기
골
경기
골
교토 상가
2000
13
1
1
0
2
0
?
16
1
2001
38
3
1
0
1
0
?
40
3
2002
25
7
4
1
0
0
?
29
8
합계
76
11
6
1
3
0
?
85
1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2년 ~ PSV
에레디비시 우승 2회 (2002-03 시즌, 2004-05 시즌)
에레디비시 준우승 1회 (2003-04 시즌)
KNVB 컵 우승 1회 (2004-05 시즌)
요한 크라위프 실드 우승 1회 (2002-03 시즌)
요한 크라위프 실드 준우승 1회 (2004-05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4강 1회 (2004-05 시즌)
똥쌌응작성일
2012-11-25추천
7
-
-
[유머·엽기영상] 한국 축구 역사상 최고의 도박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탈리아전 ...
부폰,말디니,자네티,델피에로,토티,잠브로타,비에리 ㅎㄷㄷ
선발라인업
후반 초반까지 ..
이탈리아의 빗장수비에
번번히 득점에 실패하자 ..
히딩크 감독은 승부수를 띄우게 된다 ...
--->
후반 18분 ...
문전에서의 공격력을 높히기 위해
김태영을 빼고 황선홍을 투입 ..
--->
후반 23분 ..
부상당한 김남일을 빼고 ..
공격수 이천수를 투입 ...
--->
후반 38분 ...
팀의 주장이자 수비수의 핵심 ...
홍명보를 빼고 ..
기동력을 높히기 위해 차두리를 투입 ...
박지성을 수비형 미드필더로 내리고
송종국을 센터백 오른쪽으로 배치 ..
이천수를 중앙에 프리롤 ...
그야말로 .. 도 아니면 모였던 전술 ..
결과
내가 한국대표팀을 이끌고
이탈리아전을 치를당시 후반 말미에
여기서 끝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게 사실이었다.
이탈리아 선수들도,감독도,국민들도,전세계가 이탈리아의 승리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였고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경기장을 가득메운 팬들은,그 사람들만은 포기하지 않았다
설기현이 동점골을 터뜨리고 난뒤 관중석에서 울면서 대한민국을
외치던 한 소녀의 모습은 나에게 말할수 없는 힘과 감동을 주었다
그떄 이탈리아를 상대로 공격수를 총투입했던 배짱도
한국팬들의 응원덕이였다고 아직도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이런 열성적인 팬들앞에서 축구를 하는 한국선수들이
부럽기 조차했다. 그런데 정작 자국리그에서는 팬들이 별로 없었던
것은 나로서는 납득이 잘 가지 않았다
팬들은 왜 축구장에 오지않는가? ...
그건 전적으로 선수들의 몫이다
선수들 스스로가 프로의식과 동업의식을 가지고 플레이
해야하며 감독들은 철저히 이들을 이끄는 조연이 되어야 한다
수많은 관중들을 기만하는 행위는 있을수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