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39);
      
                - 
                    
        
- 
                    
            [정치·경제·사회]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 531명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 531명..윤주경 '1번' 받나 미래한국당이 4·15 총선의 비례대표 공천신청자 명단 434명을 발표했다. 비공개(97명)을 더할 시 모두 531명(남 364명·여 167명)이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미래한국당 공천관리위원회는 30~40명가량 후보자 추천 명단을 쓸 것으로 보인다.21대 국회에서 비례대표 의석수가 47석이어서다. 예상 경쟁률은 최소 13대 1이다. 윤주경 전 독립기념관장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유영하 변호사, 박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대리인으로 활동한 황성욱 변호사 등이 비례대표 후보자 신청서를 썼다. 특히 윤 전 관장은 당 안팎에서 유력한 ‘1번 후보’로 꼽히고 있다. 길환영 전 KBS 사장, 김재철 전 MBC 사장 등 박근혜 정부 때 언론사 요직을 지낸 이도 포함됐다....미래통합당의 영입인사도 대거 신청했다. 탈북자 출신 북한인권운동가 지성호(39) 씨와 ‘체육계 미투 1호’로 알려진 테니스 선수 김은희(29) 코치, 김보람(36) 전 인사이트 CCO(최고콘텐츠책임자), 박대성(39) 페이스북 한국·일본 대외정책 부사장, 허은아(44) 한국이미지전략연구소장 등 청년층 영입 인사와 윤창현 전 한국금융연구원장,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 전주혜 전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등 법조계·학계 영입 인재도 신청서를 썼다. 새로운보수당에서 당을 옮긴 정운천(전북 전주을) 의원과 김경민 뇌성마비 피아니스트, 김세의 가로세로연구소 대표, 박정이 전 제1야전군사령관, 신원식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최승재 전 소상공인연합회장, 이종성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사무총장, 백대용 소비자시민모임 회장, 공익신고자 이종헌 씨도 명단에서 확인됐다....헤럴드경제 이원율 기자 https://news.v.daum.net/v/20200311071129485 면면이 아주 참신한 인물들로 구성이 됐습니다.만약 비례 공천을 받는다면.. 21대 국회에서 저들의 활약상을 보게 되겠네요. 훈훈합니다. 근데 비공개(97명)는 뭘까요?
             GitS작성일
                2020-03-11추천
                12 GitS작성일
                2020-03-11추천
                12
 
- 
          
                    
        
- 
          
                    
        
- 
          
                    
        
- 
          
                    
        
- 
          
                    
        
- 
                    
            [정치·경제·사회] [팩트체크] "文 방미 때 박대당해, 외교적 참사"..사실일까?
             "문재인 대통령이 방북 땐 환대, 방미 땐 박대를 당했다" (강용석 변호사)"사실 이정도 되면 외교참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상후 전 MBC 시사제작국 부국장)'가로세로연구소'가 최근 유튜브 채널 내 뉴스 코너를 통해 전한 내용 중 일부다. 가로세로연구소는 김세의 대표(전 MBC기자)와 강용석 소장(변호사)이 우파의 가치와 이념을 새로 세우겠다는 취지로 함께 만들었다.이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3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참석 차 미국 뉴욕 JFK 국제공항에 도착한 당시 상황을 전하면서, 문대통령이 다른 나라 정상과 달리 미국으로부터 연거푸 '푸대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에도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 유엔본부를 방문했다. 국가 정상이 방문했는데 미국 측 환영객이 단 1명도 나오지 않았고 레드카펫도 깔려있지 않았다는 점은 환영받지 못하는 방문을 뜻하는 것이고, 문 대통령이 그런 '굴욕적인 외교'를 이끌고 있다는 것이 주장의 골자다.강 소장은 "평양 순안공항에서는 무려 10만 명의 인파가 문재인 대통령을 영접했다. 반면 미국 JFK 공항 도착 시에는 미국 측에서 아무도 영접을 나오지 않았다. 오로지 조윤제 주미대사 부부만 나와서 인사를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몇몇 인사들과 악수를 나누는 문 대통령 내외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여줬다.뉴스 진행을 맡은 박 전 부국장은 "원래 미국이 의전 문제에 그렇게 박한 편이 아닌데 유독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인색한 것 같다."며 당시 상황을 사실상 '외교적 참사'로 규정했다.김 대표는 특히 JFK 공항에 도착한 다른 나라 정상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작년 유엔총회에 참석한 중국, 인도, 일본, 독일, 영국 정상의 경우 의장대 의전과 레드카펫이 공항에 깔렸다. 심지어 박근혜 대통령 유엔방문 때도 의장대와 레드카펫, 미국 측 영접인사가 있었다."고 강조했다.유엔총회와 G20 금융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 내외가 20일 오후(현지시간) 뉴욕 JFK공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려오고 있다. (2009.9.21) 이명박 대통령과 김윤옥 여사가 20일(현지시간) 제66차 유엔 총회 참석차 케네디 국제공항에 도착해 한덕수 주미대사(왼쪽), 김숙 주UN 대사의 영접을 받고 있다. (2011.9.21)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4년 9월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했다. 역시 JFK 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당시 현장은 아래 사진에 나타나 있는 대로다.박근혜 대통령이 전용기에서 내린 뒤 의전차량에 탑승하고 있다.2015년 9월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했을 때의 풍경도 거의 비슷했다.박근혜 대통령이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5.9.26)유튜브에 소개된 타국 정상들 의전 사진의 정체는?과거 정권에서도 대통령이 유엔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경우 특별한 의전이 제공되진 않았다.그런데 가로세로연구소는 유튜브 방송에서 지난해 유엔총회에 참석한 타국 정상들은 의장대 의전과 레드카펫 등이 제공됐다고 주장했다. 근거가 되는 사진들도 화면에 띄웠다. 대한민국과 달리 타국 정상들에게는 또다른 의전규칙이 적용됐던 걸까? 방송을 통해 전한 타국 정상들의 JFK 공항 도착 사진을 면밀히 살펴봤다. 영상에 나온 사진은 좌상단부터 오른쪽으로 인도-독일-일본-중국-영국-한국 순이다.사진 출처: asiasentinel.com두 번째 사진은 2011년 6월 독일 메르켈 총리가 국빈방문했을 때의 모습이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유럽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메르켈 총리를 초청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메르켈 총리에게 `자유메달(Medal of Freedom)'을 수여하기도 했다. 이는 미국 대통령이 민간인에게 주는 최고의 영예로, 미국인이 아닌 사람에는 극히 소수에게만 수여됐던 것이다. (관련 기사: goo.gl/ZudhxU) 영상에 소개된 사진을 잘 보면 화면 우측 하단에 무언가를 살짝 지운 흔적이 남아있다. 전세계적인 사진 콘텐츠 전문업체의 로고를 지운 것이다. 원본 사진은 아래와 같다.세 번째 사진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15년 4월 27일 워싱턴 외곽에 있는 앤드류 공군기지를 방문했을 때 찍은 것이다. 당시 아베 총리는 6박 7일 간의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형식은 '공식방문'이었지만 사실상 국빈방문과 다를 바 없는 행사들이 이어졌다. 아베 총리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국빈만찬에 참석했다. 일본 총리로는 사상 처음으로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도 했다. 이 사진도 게티이미지에서 가져다 쓴 것으로 보인다. 위 사진과 마찬가지로 회사로고 부분이 지워져있다. 역시 유엔총회 참석과는 무관하다.사진 출처: xinhuanet.com 관련 기사다섯 번째 사진은 2012년 3월 데이비드 카메론 영국 총리 부부가 앤드류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환영행사를 참관하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 흰색 옷을 입은 여성은 미 국무부 최고의전실 관계자다. 카메론 총리는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란과 시리아 사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관련 기사: goo.gl/VbKP6z / goo.gl/m12ks9) 모두 유엔총회 참석과는 무관한 사진이다.
            
           
- 
          
                    
        
- 
                    
        
- 
          
                    
        
- 
          
                    
        
- 
          
                    
        
- 
          
                    
        
- 
          
                    
        
- 
          
                    
        
- 
          
                    
        
- 
                    
        
- 
                    
            [정치·경제·사회] MBC기자 166명 "미련없이 MBC 떠나겠다" 
            MBC기자 166명 "미련없이 MBC 떠나겠다" 
"후배 목 친 자들 생각하면 정말 몸서리 쳐져" 질타 
 
MBC기자 166명이 5일 박성호 기자회장 해고 등에 반발에 김재철 사장이 퇴진하지 않는 한 집단 사직서 제출도 불사하겠다고 선언했다.지난 1995년 이후에 입사한 취재·카메라기자 166명은 이날 '사직을 결의하며'라는 성명을 통해 "박성호 기자와 양동암 기자, 그들은 우리와 함께 뉴스를 만들던 동료이자 선배였고, 우리가 직접 뽑은 우리의 대표였다"며 "그들은 괜찮다며 오히려 우리를 다독인다. 미안하다. 그들의 얼굴을 차마 볼 수가 없다"고 김 사장의 행태에 분개했다.이들은 "일신의 안락(安樂)과 영화(榮華)를 위해 후배의 목을 친 자들을 생각하면 정말 몸서리가 쳐진다"며 "다짐한다. 박성호 기자가 돌아올 수 없다면 우리도 더 이상 마이크와 카메라를 잡지 않겠다"고 선언했다.이들은 "그래서 한 장, 두 장... 여기 모인 기자 166명이 각자의 다짐을 담아 사직서를 쓰기 시작했다. 박성호 기자의 목을 친 자들을 몰아낼 수 없다면, 그래서 그가 우리 곁으로 영영 돌아올 수 없다면 우리도 미련 없이 MBC를 떠나겠다"며 집단 사퇴를 경고했다.노조는 이와 관련, 총파업 특보를 통해 "이 정도면 MBC 구성원들이 스스로 몸을 던지는 '분신 정국'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라며 "이미 침몰하고 있는 김재철 사장 체제는 급속히 고립무원의 상태에까지 빠지고 있다"고 단언했다.노조는 "김재철 사장은 매일매일, 순간순간 자신이 물러나야 할 이유만 자구 확인하게 될 것"이라며 "한시라도 빨리 퇴진해야 한다. 그게 조금이라도 덜 비참해지는 유일한 길"이라며 김 사장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사측은 그러나 이날 오전 인사위원회를 열어 최일구 앵커 등 8명에 대한 중징계를 단행한다는 입장이어서 MBC 사태는 더욱 파국적 상황으로 치닫는 양상이다.다음은 기자 166명의 선언 전문.사직(辭職)을 결의하며박성호 기자와 양동암 기자, 그들은 우리와 함께 뉴스를 만들던 동료이자 선배였고, 우리가 직접 뽑은 우리의 대표였습니다. 그리고 그 짐을 짊어진 채 무너진 MBC 뉴스의 공정성을 다시 세우기 위해 우리 앞에 섰습니다. 아니, 어쩌면 비겁했던 우리가 그들을 앞세웠습니다. 그런데 한 명은 해고됐고, 또 다른 한명은 정직 3개월의 중징계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괜찮다며 오히려 우리를 다독입니다. 미안합니다. 그들의 얼굴을 차마 볼 수가 없습니다. 불의(不義)가 정의(正義)를 심판하고, 탐욕(貪慾)이 양심(良心)을 해고하는 걸 끝내 막지 못했습니다. 억울합니다. 가슴이 답답하고, 화가 치밀어 오릅니다. 일신의 안락(安樂)과 영화(榮華)를 위해 후배의 목을 친 자들을 생각하면 정말 몸서리가 쳐집니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일터였던 MBC가 어쩌다 이렇게 거꾸로 서버린 겁니까. 다짐합니다. 박성호 기자가 돌아올 수 없다면 우리도 더 이상 마이크와 카메라를 잡지 않겠습니다. 아니, 잡을 수가 없습니다. 공정성과 기자적 양심이 이토록 처참하게 유린된 MBC에서 어떻게 우리가 단 하루라도 뉴스를 만들 수 있겠습니까.그래서 한 장, 두 장... 여기 모인 기자 166명이 각자의 다짐을 담아 사직서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박성호 기자의 목을 친 자들을 몰아낼 수 없다면, 그래서 그가 우리 곁으로 영영 돌아올 수 없다면 우리도 미련 없이 MBC를 떠나겠습니다. 권순표 나준영 김소영 성장경 송록필 박종일 이동애 이성주 이태원 이승용 이상호 최장원 최호진 (28기, 95년 입사) 금기종 이세훈 이용마 이언주 연보흠 김종경 황상욱 (29기) 김연국 김필국 박범수 문소현 여홍규 이성일 조승원 김주하 김수정 이창순 (30기) 고현승 김주만 김재용 전영우 성지영 김정호 이상현 허지은 장재현 이창훈 (31기) 김희웅 김시현 김해동 한동수 정승혜 유재광 양효경 최형문 (32기) 권희진 김혜성 노재필 민경의 박충희 박찬정 왕종명 이재훈 전봉기 지영은 현원섭 민병호 김현경 전재호 박지민 정연철 최경순 (33기) 김병헌 김수진 이정신 이해인 이세옥 백승은 허유신 손재일 방종혁 정우영 (34기) 장준성 양윤경 백승우 정규묵 김재영 현영준 정시내 노경진 김우철 이형빈 서현권 (35기) 강민구 임명현 박민주 윤효정 이호찬 장미일 박영회 이필희 조효정 전훈칠 김준석 김세진 김기덕 박동혁 (36기) 권지호 구본원 김경호 김세의 김두영 남상호 박선하 신지영 유충환 오령 이정은 전준홍 조영익 조윤정 최훈 (37기) 김지경 이학수 강연섭 정준희 엄지인 전종환 서두범 김태효 김신주 (38기) 이지선 이용주 박주린 오해정 임현주 임소정 전동혁 박주일 현기택 (39기) 강나림 김재경 고은상 박종욱 송양환 신은정 오현석 장인수 조국현 조재영 조현용 김신영 이종혁 정인학 (40기) 공윤선 조의명 이남호 서혜연 김민욱 양효걸 임경아 박주영 이성재 (41기) 박소희 나세웅 곽승규 남형석 염규현 김정인 (42기) 손병산 배주환 이준범 고헌주 (43기) 이상 166명 
 
 
MBC 해외특파원들도 "김재철 사퇴하라" 
"MBC, 김재철 때문에 만신창이가 돼가고 있다" 
 
MBC 해외특파원들도 4일 김재철 사장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윤도한 MBC LA 특파원 등 특파원 7명은 4일 '사장의 결단을 촉구한다'라는 성명을 통해 김 사장 퇴진을 요구했다. 해외특파원들이 사장 퇴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MBC는 물론, 한국 언론사상 초유의 일이다.가족들과 함께 해외에서 근무하는 까닭에 국내 소환 등의 징계를 받을 경우 자녀들도 학업 등을 멈추고 귀국해야 하는 불이익을 감수하면서까지 해외특파원들이 사장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는 것은 김 사장이 사내에서 완전 외톨박이가 됐음을 의미하는 또하나의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윤도한 이호인 도인태 박장호 김경태 임영서 박상권 등 7명의 MBC 특파원들은 성명을 통해 김 사장의 박성호 기자회장 해고 조치 등을 거론한 뒤, "대의를 위해 가시밭길을 마다하지 않았던 댓가로 돌아온 것은 해고와 정직이라는 가혹한 칼부림이었다"며 "공정 보도는 기자의 기본이다. 이것을 요구하는 기자들의 총의를 대변하여 행동한 것이 해고와 정직의 사유가 될 수 있다는 말인가"라고 반문했다.이들은 "불공정 방송으로 상처입은 공영방송 MBC의 자긍심은 편가르기식 파행 인사를 비롯한 온갖 납득할 수 없는 조치들로 이제 만신창이가 돼가고 있다"며 "이 사태의 총체적인 책임은 김재철 사장에게 있다"며 김 사장의 즉각 퇴진을 요구했다.다음은 성명 전문.<사장의 결단을 촉구한다>사태는 더이상 침묵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박성호,양동암이 누구인가? 공정방송이라는 MBC 기자 전체의 시대적 소명을 앞장서서 짊어진 이들이고, 그들에게 십자가를 져달라고 요구한 것은 바로 우리들이었다.하지만 대의를 위해 가시밭길을 마다하지 않았던 댓가로 돌아온 것은 해고와 정직이라는 가혹한 칼부림이었다.공정 보도는 기자의 기본이다. 이것을 요구하는 기자들의 총의를 대변하여 행동한 것이 해고와 정직의 사유가 될 수 있다는 말인가. 기자들을 제작 거부라는 막다른 선택으로 내몬 것은,계속되는 불공정 보도에 대해 시정을 호소해온 기자들의 절절한 외침을,지속적으로 외면하고 묵살해온 보도국 책임자들과 경영진들이다.경영진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직에서 사퇴하고 후배들의 충정을 함께 한 보도국 간부들에게도 징계의 칼날을 겨누고 있다. 감정적이고 무자비한 보복인사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불공정 방송으로 상처입은 공영방송 MBC의 자긍심은 편가르기식 파행 인사를 비롯한 온갖 납득할 수 없는 조치들로 이제 만신창이가 돼가고 있다. 이 사태의 총체적인 책임은 김재철 사장에게 있다. MBC의 명예와 전통을 훼손하고 선배,후배,동료들을 등 돌리게 하는 소모적인 대립과 충돌의 상황을 언제까지 끌고갈 생각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본인이 수십년 몸담아온 MBC에 대해,그리고 앞으로 MBC를 이끌고 가야할 후배들에 대해 조금이라도 애정이 남아있다면 결자해지의 차원에서 물러나는 것이 옳다. 그 시기는 빠를수록 좋다.2012.3.4윤도한 이호인 도인태 박장호 김경태 임영서 박상권 
 
--------------
 
버틴다 싶다..
아무리 재철이 네가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해도 그렇지...
이건 아니다...씨바. ...........
아직도 청와대에서 윤허가 없었더냐???
             가자서작성일
                2012-03-05추천
                7 가자서작성일
                2012-03-05추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