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214);
-
-
-

[밀리터리] 소련 KGB가 압수한 스파이들의 장비들
소련 KGB와 러시아 FSB가 서방과 내부 스파이들에게서 압수한 장비들 지팡이칼 지팡이 안을 비워 칼집으로 쓰며 필요시엔 길게 펼쳐 창 처럼 쓸 수도 있다 칼 뿐 아니라 메이스 형태의 모델도 사용했음 은닉용 도구들 다양한 은닉 목적으로 사용 된 카드와, 신발, 파이프 등 은닉 된 카메라 라이터, 시계 등의 일상품에 장착한 소형 카메라로 냉전 시절 가장 많이 압수되던 스파이 장비 송신기 소련에서 활동하던 요원들과 통신할 때 쓰던 장비로 사진은 테이프 레코더에 무선 송신기를 장착 암호 해독 책자 암호화 시킨 정보를 해독하기 위한 해독 책자, 동화책, 소설, 기술 서적 등 다양하게 위장했다 펜 스탠드와 면도기 등 일상 용품에 카메라와 스파이 활동에 필요한 장비와 물건을 은닉 플라스틱, 금속,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든 은닉용 용기를 통해 요원들이 지령, 암호화 수단, 자금 등을 지원받음 스파이들이 센터로부터 정보를 전송하고 지시를 받는 데 사용한 무전기 적당한 크기로 서류 가방에 넣어 위장하기도 했다 요원들이 사용하던 스위치 블레이드 나무 블록으로 위장한 지폐와 코인, 이런 식으로 돈, 자료, 암호화 도구 등을 숨겼다고 한다 손전등으로 위장한 스턴건 요원들이 근접 전투, 호신용으로 쓰던 장비. 펜 건과 건즈 룰렛 프랑스산 'Le protector' 룰렛 형태로 안에는 10발의 탄약이 들어간다 숨기기 쉽고 근접에서의 화력이 좋아 펜 건과 더불어 많이 사용 1985년 소련 KGB는 레이더 관련 대형 방산 업체인 'Phazortron' 의 설계 엔지니어 아돌프 톨카체프를 체포함. - 아돌프 톨카체프 - 그는 CIA가 제공한 사진 속의 미니 카메라와 매뉴얼을 이용해 소련 레이더 관련 정보를 촬영 1979~85년 까지 기밀 자료를 넘겼으며 KGB에 검거, 1986년 총살형을 선고받음. 1986년 3월 모스크바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CIA 요원 '마이클 셀러스' 는 간첩 행위로 체포되었음, 사진 속 가발과 안경, 수염은 현장에서 위장용으로 썼던 물건 체포된 마이클은 이후 소련에서 추방. 동독 지역의 공군 기지 근처에서 발견 된 정보 전송 장치 당시 KGB에 검사에 의해서 나무 가지로 위장된 것이 발견되었고, 관련 정보는 서독의 NATO 정찰대로 수신되었다고 함. - 게나디 스메타닌 대령 - 1985년 KGB는 CIA에 정보를 제공하던 GRU 소속 대령 '게다니 스메타닌' 을 체포한다 CIA에 포섭되어 내통 중이던 그를 방첩대가 체포했고, 사진 속 안경은 독이 담긴 유리병이 내장된 것이나 스메타닌은 사용하지 못했고 체포 후 총살되었다. - 드미트리 폴리아코프 - 마찬가지로 CIA에 포섭되어 협력 중이던 인물인 GRU 소속 장군 드미트리 폴리아코프는 KGB에 체포, 88년 총살되었다 사진 속 여행, 낚시 가방은 암호 해독을 위한 코드 용지가 달려 있었고 이후 KGB가 압수. 콜롬비아 주재 소련 대사관에서 근무하던 '알렉산더 오고로드닉' 은 1970년대 초반 CIA에 포섭, 미국의 스파이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다 몇년 후 KGB에 체포되었고 77년 6월 취조 중 펜에 숨겨두었던 극약을 먹고 자살하게 된다 위의 사진은 당시 알렉산더가 사용했던 장비들. 위의 장비와 함께 아래쪽 사진은 CIA에서 근무하던 '마사 피터슨' 이 알렉산더 오고로드닉에게 넘겨준 장비들 당시 모스크바의 한 다리에 숨겨 알렉산더에게 넘겼고, 이후 마사 피터슨은 KGB에 발각 추방된다. 2000년대 초반 FSB의 방첩요원들은 의심스러운 자동차 한 대를 발견한다 이후 거기서 녹음 장비를 노획했는 데 이것은 에스토니아 정보부의 것으로 확인됐다 피터 포포프는 GRU 소속 대령으로 1953년 미국과 접촉 해 스파이가 된 인물 1953년에 첫 정보를 제공 이후 쭉 미국 쪽 스파이 활동을 하다 1959년 KGB에 발각, 1960년 총살형에 처해졌다 사진 속 장비들은 피터 포포프가 사용했던 암호 코드 문서와, 위장용 솔, 나이프 등. 1935년 12월 두 명의 소련 여성이 일본 외교관의 여행 가방에 물건을 넣어 탈출하려함, 다행히 수색에선 걸리지 않았으나 소련 - 폴란드 국경에서 한 명이 노출되어 둘 다 체포 이후 구금됨. 사진은 나무 그루터기로 위장한 정보 녹음/전송 장치로 KGB가 발견 해당 물건은 모스크바 근처 미사일 기지에 근처에 나무 그루터기로 위장되었고 정보를 미국 정찰 위성으로 전송하고 있었다고 함. 1942년 소련 방첩요원들이 일본 스파이에게서 압수한 나이프와, 미니 카메라. 1962년 소련 KGB는 미국 CIA와 영국 MI6의 스파이 역할을 하던 GRU 소속 '올렉 펜코프스키' 를 체포함. 사진 속 장비는 그가 사용했던 컴팩트 미녹스 카메라와, 암호 코드, 장비들로 5000장 이상의 소련 무기 자료들을 촬영해 서방에 넘김 체포된 후 1963년 5월 총살. 정치/경제학 교과서 안에 숨겨놓았던 헝가리제 권총 2차 세계 대전 시작 전 독일 스파이에게서 압수했다고 함. 1960년 5월 1일 소련 영토를 정찰 하던 U-2 정찰기가 격추되었고 조종사 '프랜시스 게리 파워즈' 가 생포된다. 사진 속 장비는 파워즈가 생포됐을 때 압수 된 하이 스탠다드 22구경 소음총, 펜 형태의 독침, 손전등.
-
-
-
-
-
-
-
-
[엽기유머] psg 이강인 위상
https://x.com/Lokiblc/status/1857454942132334846?s=19 낫배드 https://m.sports.naver.com/wfootball/article/413/0000187280 뉴스 : 네이버스포츠 m.sports.naver.com 사진 멋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측면과 중앙을 오가면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21일 툴루즈전 사전 기자회견에서 루이스 엔리케 감독은 이강인을 두고 “이 스쿼드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건 다재다능한 선수들이 얼마나 많이 있는지다. 다양한 포지션에서 뛰는 선수들이 많으면 상대는 예측하기 어렵다. 그런 능력은 이 스쿼드에서 중요하며 이 프로젝트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포지션당 2명은 매우 뛰어난 선수를 보유하고 있기를 바란다. 경쟁 수준이 뒷받침되어야 팀이 발전할 수 있다”라고 하며 멀티성을 추켜세웠다. 이강인과 PSG 공격진을 구성하는 바르콜라는 킬리안 음바페가 떠나 생긴 득점력 공백을 채우고 있다. 바르콜라는 11경기에 나와 10골을 기록하면서 리그앙 득점 1위에 올라있다. 바르콜라, 이강인과 함께 뎀벨레는 리그 10경기에 나와 5골 4도움을 올렸다. 지난 시즌 공격 포인트도 제대로 기록하지 못했던 뎀벨레도 달라진 모습이다. 이강인, 바르콜라, 뎀벨레와 겨루는 후보들 면면은 쟁쟁하다. 하피냐,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라민 야말(이상 바르셀로나), 마이클 올리세, 해리 케인, 자말 무시알라(이상 바이에른 뮌헨), 제레미 도쿠, 엘링 홀란, 필 포든(이상 맨체스터 시티), 노니 마두에케, 니콜라 잭슨, 콜 팔머(이상 첼시), 호드리구, 음바페, 비니시우스 주니오르(이상 레알 마드리드)가 있었다. 첫골-르아브르(현 17위 강등위기) 두번째골-몽펠리에(현 18위 꼴지) 세번째골-스타드렝(현7위) 네번째골-스트라스부르(현11위) 다섯번째,여섯번째골-앙제(현15위)
-
-
-
-
-
-
-

[엽기유머] 싱글벙글 왜 외신은 전부 미국/영국발인걸까?
우리는 한국에서 보도되는 외국 뉴스라던지, 속보라던지, 사건사고라던지, 국제정치 등등 출처를 보면 왜 항상 미국과 영국 두 나라에만 국한되있는지 한번쯤 궁금했을것이다. 전세계 선진 왜 하필 미국과 영국 두 나라 자료만 고집하는것일까?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미국과 영국의 미디어 관련 기업 아마 라인업을 보면 대충 왜 이 두나라 자료만 뽑아오는지 대충 납득이 될것이다. CNN (미국) 24시간 뉴스 채널의 선구자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지구적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매우 큰 언론사이다. 아마 못 들어본사람은 크게 드물것이다. BBC (영국) 한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스카이뉴스 (영국) 월스트리트 저널 (미국) 한국에서 가장 점유율이 높은 외국 신문사이며 무려 미국에서만 1000만명 가까이되는 구독자를 보유하고있다. 뉴욕 타임스 (미국) 한국에서 두번째로 점유율이 높은 외국 신문사이다. 더 가디언 (영국) 한국에서 세번째로 점유율이 높은 외국 신문사이다. 한국기준 T 텔레그래프 (영국) 한국에서 네번째로 점유율이 높은 외국 신문사이다. 즉 한국 외신뉴스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미국과 영국기업이 접수한것. 로이터통신 (영국) 블룸버그와 함께 전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금융 통신사 양대산맥이다. 세계 약 200개 지역에서 16개 언어로 기사를 발행하고있다. 2008년 영국 억만장자인 데이비드 톰슨이 로이터통신을 인수하였고, 그로인해 현재 데이비드 톰슨은 재산이 약 100조원이상의 거부가 되었다. 블룸버그통신 (미국) 로 정보력이 엄청 막강해서 주식 거래 플랫폼, 데이터 서비스, 뉴스와 같은 금융 소프트웨어 도구까지 제공하고있다. 미국 억만장자 마이클 블룸버그가 소유하고있으며 재산이 130조원이 넘는 거부다. 이코노미스트 (영국) 빌 게이츠, 에릭 슈미트, 도널드 트럼프 등 세계적인 거인들이 구독하는것으로 유명하다. 또 하나 주목할점은 이코노미스트의 지분구조를 보면 이탈리아 억만장자 아넬리 가문이 30% 지분을 소유하고있고, 영국의 유대인 가문으로 유명한 로스차일드 가문이 24% 지분을 소유하고있다. NBC (미국) CBS, 폭스뉴스와 함께 전통적으로 미국 빅3 미디어 자리를 굳히고있다. 그외에도 미국과 영국에는 수많은 거대 미디어기업이 있다. 그에비해 프랑스나 독일, 일본, 중국 등의 언론사나 미디어기업은 떠오르는 이름이 있는가? 많지않은것이 사실이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0877
황무라비작성일
2024-11-15추천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