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4,367);
-
-
-
-

[정치·경제·사회] 용인자연농원에 대한 고찰
안녕하세요 안티기독 아니고, 안티자연농원인 유저입니다. 짱공의 새로운 ‘차단’ 기능으로 용인자연농원은 제 시야에서 한동안 사라졌고(제가 차단당해서), 붸상, 재짱, 자연농원 셋이 안 보이니 편안한 마음으로 짱공을 하고 있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쩌다 한 번씩 길거리에서 보이는 강아지의 분변처럼 다시 불쾌감을 조성하고 있어서 청소하는 마음으로 글을 끄적여 봅니다.최근 극우 개신교를 비판하는 게시글을 가끔씩 올리며 정상인 코스프레를 하고 있던데, 왜 이런 게시글이 일반인의 입장에서 호소력이 없는지, 개신교의 자정 작용이 왜 유의미하게 느껴지지 않는지, 용인자연농원은 왜 비판받는지에 대해서 제 생각을 적어봅니다. 최근 용인자연농원의 개신교 글을 보면 몇 가지 형태가 보입니다. 첫 번째는 ‘이단 지정’입니다.‘극우 사랑침례교회 정동수 목사 이단으로 규정’ ‘이단 지정’이 호소력이 없는 이유는 권위와 실효성이 부재하다는 점입니다.일반인들은 "누가 누구를 이단으로 지정할 권한이 있는가?"라는 근본적 의문을 가집니다. 개신교는 중앙집권적 권위 구조가 아니라서, 특정 종파나 교단이 다른 교회나 목사를 이단으로 지정하는 것이 의미가 없습니다. 일단 자신의 세를 불렸으면 스스로의 교회를 세워서 목회 활동을 이어나가면 됩니다. 기존 신도들의 충성심을 바탕으로 성장한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다음의 링크(http://www.hdjongkyo.co.kr/news/sub.html?section=42264&category=42268)를 보면 이단으로 지정된 대표 및 단체가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잘 먹고 잘 사는 걸 보면 얼마나 실효성이 없는걸까요. 두 번째는 ‘징계’ 혹은 ‘징계 촉구’입니다. ‘이단 지정’과 마찬가지로 권위와 실효성이 없는데다 오히려 화제성과 관심만 증가하게 됩니다. 분리와 독립을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징계가 어설프다면 ‘제 식구 감싸기’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잠깐만 쉬었다가 돌아와” 세 번째는 ‘사이비 종교, 입법으로 강력 규제. 사이비 종교 규제법 제정 범국민 서명운동 촉구’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황당한 게시글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헌법 제20조에서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는 매우 강력한 기본권입니다. 국가가 종교의 내용이나 교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헌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사이비의 해악은 이루 말할 필요가 없지요. 저 역시 가까운 사람이 사이비로 인해 인생이 무너지는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종교를 새로운 입법으로 규제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입니다. 기존 법(사기죄, 강요죄, 아동학대 등)으로 제한할 수는 있겠지만요. 네네 잘 알고 있습니다. 개신교 내부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무엇이라도 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지성으로 개신교를 옹호하고, 비판하는 사람들을 싸잡아 안티기독이라고 손가락질 하고, 나쁜 개신교는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하며, 개신교가 미치는 해악에 대해서는 눈 감고 귀 막고 있던 사람이 무슨 ‘이단 지정’과 ‘징계 촉구’를 운운합니까? 제 추측으로는 ‘이단 지정’과 ‘징계 촉구’가 용인자연농원의 세계에서는 대단한 일인 겁니다. “우와, 우리 개신교가 징계를 촉구하고 심지어는 이단으로 지정까지 하다니, 대단해”처럼 말이죠.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그래서 뭐 어쩌라고, 그 사람들 다시 또 기어나올 텐데” 입니다만. “그럼 어쩌라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네가 말해봐라”라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겠지요. 맞습니다 어려운 일입니다. 다만, 겸손한 모습으로 내 종교의 구조적인 모습과 역사, 흐름을 잘 알아야겠죠. 그래야 내 종교를 사회에 비추어보면서 옳음과 그름, 사리분별을 판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이재명도 진화론은 안 믿을 겁니다"와 같은 쌉소리를 하지 않으면서요). 예전 아루리님의 ‘[자작]한국교회목사님들이 절대 말 안해주는 한국교회이야기’ 시리즈를 추천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세 줄 요약차단 기능은 좋다.그럼에도 정상인 코스프레 중인 자연농원이 보인다.무지성으로 개신교를 옹호하고 비판자들을 안티기독으로 매도하며 개신교의 해악을 외면했던 사람이 이제 와서 위선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링링아빠작성일
2025-09-26추천
13
-
-
-
[영화] 예수정 (1955) 주연 실화 바탕 영화 '69세' (2019) 기간 한정 공개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끔찍한 범죄 행위를 포함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69세' An Old Lady (2019) 끔찍한 범죄 실화를 기반으로 하여 극적 내용도 결합시켜 영화화하여 평론적으로 찬사를 받은 작품으로 영화제 수상작이기도 하며, 잇츠뉴에서 명목 상으로는 금, 토, 일 (실질적으로는 월요일 아침까지) 기간 한정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69세서울독립영화제2019 (제45회)특별장편임선애 | 2019 | Fiction | Color | DCP | 99min 36sec (E)SYNOPSIS69세 효정은 병원에 입원 중에 남자 간호조무사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혼자 괴로워하던 효정은 동거 중인 동인(69세)에게 사실을 말하고 경찰에 신고하지만, 간호조무사의 나이가 20대라는 사실에 담당형사는 효정을 믿지 못하는 눈치다. 또한 간호조무사가 합의하에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하자 효정은 물론 동인 역시 큰 충격에 빠진다. 며칠 후 그의 구속영장마저 기각되자, 동인은 혼자만의 계획을 세운다.DIRECTING INTENTION우리 사회에 만연한 성폭력 문제, 그러나 성폭력 문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노인과 여성을 따로 떨어뜨려 보려는 사회적 편견과 인간으로 태어나 스스로의 명예와 존엄을 지켜내는 일에 그 어떤 차별이 존재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말하고 싶었다.FESTIVAL & AWARDS2019년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KNN 관객상DIRECTOR임선애임선애2004 <나쁘지 않아>2007 <그거에 대하여>STAFF연출 임선애제작 박관수프로듀서 이승복각본 임선애촬영 박 로드리고 세희편집 이영림조명 김병욱음악 강민국미술 김지민출연 예수정, 기주봉, 김준경, 김중기, 김태훈 관련 실화 및 영화에 대해선 아래 기사 및 칼럼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Narrative Report] 황혼의 청천벽력…몹쓸 짓 당했건만 돌아온 건 손가락질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31211/59483989/1 "아줌마를 왜 건드리겠어?" 피해자에게 묻는 사회 https://v.daum.net/v/20181009135502404 [초이스]69세 임선애, 2019 https://www.kmdb.or.kr/story/238/5467
콩라인박작성일
2025-09-21추천
0
-
-

[영화] 샤론 테이트 (1943~1969) 출연 '바라바' 영화판 (1961) 공개 중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끔찍한 범죄 등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1943년에 탄생한 배우 '샤론 테이트' (Sharon Tate)는 18세인 1961년부터 후술할 '바라바'를 포함해 영화 및 TV 시리즈에 단역으로 시작해 점점 영화계에서 비중 있는 배우로 성장하며, 인기 역시 성장하고, '로만 폴란스키'와도 결혼했으나 안타깝게도 임신 중이던 1969년에 마약을 이용해 '찰리 맨슨'에게 세뇌당한 광신 집단에게 살해당하는 끔찍한 범죄의 피해자가 됐습니다.(남편인 로만 폴란스키가 이 사건에서 충격을 받으며 모든 것이 무너진 것으로 보는 관점도 존재) 이후 사후 30년이 되는 1999년에는 다큐멘터리 '샤론 테이트의 마지막 날들'(CCC에서 다중 음성 및 한국어 자막 포함 다중 자막과 함께 공개 중), 50년이 되는 2019년에는 주인공이 맨슨 패밀리가 살인 범죄를 저지른 집에 갔다가 벌어지는 내용을 다룬 호러 영화 '맨슨 패밀리'(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 V 미디어 계열 채널에서 공개 중), '마고 로비'가 샤론 테이트 역을 연기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헐리우드'가 나왔습니다.(이 중 후자 쪽은 일종의 추모 차원에서 실제 사건에 대한 비틀기가 들어간 내용이 나오기도) '바라바' 영화판 Barabbas (1961) 리차드 플라이저 연출작, 안소니 퀸, 실바나 만가노, 아서 케네디, 그리고 단역으로 나온 샤론 테이트 출연작으로 1950년 작품을 원작으로 삼아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이며(원작에선 기독교에 우호적인 감독관이 주인공을 풀어주는 내용이 영화에선 다른 전개로 바뀌거나, 소설에는 안 나온 검투사 관련 내용이 나오는 등의 각색도 존재), 예수가 처형될 당시 석방된 인물이 겪는 풍파를 다루는 내용으로 평론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무비콘에서 공개 중입니다. 아래 내용은 키노라이츠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바라바는 예수 대신 석방되어 도적질과 폭력으로 가득했던 예전의 삶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그가 총애하던 창녀 라헬은 기독교도가 되었다 돌에 맞아 죽는다. 사람을 죽이고 도둑질을 일삼는 삶을 계속하던 바라바는 다시 체포되어 평생동안 광산 노역을 선고받는다. 바라바는 광산에서 기독교도인 사하크를 만나고, 바라바를 알아본 사하크는 그를 공격하려 들지만 둘은 얼마 안 가 친구가 된다. 바라바는 광산에서 20년을 일하며 죽음을 선고받았던 때의 고통과 예수의 희생에 대한 기억으로 고통받는데... KMDB에선 이 작품에 대해 다룬 바 있는 영화 잡지 '스크린' 1964년 9월호도 공개 중이니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kmdb.or.kr/history/magazine/3192
콩라인박작성일
2025-09-18추천
0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