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259);
-
-
-
-
-
-
-
-
[TV·연예] 황찬성·고경표·박진영·노정의·정건주 ‘디 어워즈’ 2차 시상자 라인업
[스포츠동아 = 허민녕 기자] ‘시상식의 아이콘’ 고경표, 채널A 야심작 ‘마녀’의 박진영-노정의 콤비도 디 어워즈에 출격한다. ‘제1회 디 어워즈(D Awards)’의 2차 프리젠터(시상자) 라인업이 공개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11일 ‘디 어워즈’는 가수 겸 작곡가 박선주와 2PM 황찬성을 비롯, 배우 고경표와 방민아, 가수 겸 방송인 강남, 배우 노정의와 박진영, 이학주와 조이현, 정건주, 서범준이 2차 프리젠터로 시상식 출연을 확정 지었다고 밝혔다. ‘시상식의 아이콘’ 고경표가 ‘디 어워즈’ 무대에 선다. 드라마는 물론 TV 예능을 통해 대표 K엔터테이너로 우뚝 선 그는 tvN 새 예능 ‘식스센스:시티투어’ 첫 방송을 앞두고 있다. 배우로 맹활약 중인 2PM 황찬성도 ‘디 어워즈’ 프리젠터로 출격, 후배 아티스트를 힘껏 응원한다. ‘원조 짐승돌’ 황찬성의 등장에 글로벌 팬들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15일부터 시청자들과 만나는 채널A 드라마 ‘마녀’의 주역 갓세븐 박진영과 노정의가 ‘디 어워즈’ 프리젠터로 함께 무대에 선다. 9일 종영된 채널A ‘체크인 한양’ 히어로 정건주도 디 어워즈 프리젠터로 멋진 수트 핏을 드러낸다. 3월 첫 방송되는 tvN 드라마 ‘감자연구소’ 이학주의 출연도 확정됐다. 화제의 뮤지컬 ‘틱틱붐’의 걸스데이 방민아도 ‘디 어워즈’ 프리젠터로 나선다. 안방극장 가장 빛나는 신성(新星)으로 꼽히는 조이현의 등장 또한 ‘디 어워즈’의 또다른 관전 포인트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100만 유튜버로 활약 중인 가수 겸 방송인 강남과 ‘미스터 트롯’에서 촌철살인 심사평으로 화제를 모은 가수 겸 작곡가 박선주도 ‘디 어워즈’ 시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KBS와 SBS ‘연기대상’ 신인 연기상 2관왕을 거머쥔 라이징 스타 서범준도 데뷔 첫 시상식 나들이에 나선다. 22일 오후 6시 시상식에 앞서 오후 3시 30분부터 진행될 식전 세리머니의 진행자도 확정됐다. ‘디 어워즈’ 프리(Pre) 오프닝 이벤트 MC는 K팝 아티스트들의 ‘최애 진행자’로 꼽히는 유재필이 낙점됐다. 앞서 ‘디 어워즈’는 차승원, 안은진과 채널A ‘체크인 한양’의 배인혁, 김지은 콤비 그리고 미미미누(김민우)를 1차 프리젠터(시상자) 라인업으로 발표했다. ‘디 어워즈의 얼굴’ 메인 진행은 배우 고민시와 이종원이 맡는다. ‘제1회 디 어워즈’를 빛낼 퍼포먼스 라인업엔 엔플라잉(N.Flying)과 피원하모니(P1Harmony), ENHYPEN(엔하이픈), 피프티피프티(FIFTY FIFTY), 트리플에스(tripleS), ZEROBASEONE(제로베이스원), 라이즈(RIIZE), 82메이저(82MAJOR), 영파씨(YOUNG POSSE), QWER(큐더블유이알), 투어스(TWS), NCT WISH(엔시티 위시), 유니스(UNIS), 킥플립(KickFlip)이 올랐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382/0001177278
-
-
[영화] 동서양이 만난 작품들 ft. 워리어스 웨이 (2010) 공개 중
https://archive.org/details/alexander-nevsky-1938 '알렉산드르 넵스키' 영화판 Алекса́ндр Не́вский Alexander Nevsky (1938) 러시아(당시에는 구 소련)의 국민적 영웅을 영화화한 역사극 작품으로 제목에도 나오는 13세기에 알렉산드르 넵스키가 몽골 대사의 회유를 물리치고, 독일(정확히는 신성 로마 제국)의 침략도 물리치는 내용을 유성 영화 초기 시기에 높은 완성도로 제작해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이후 다른 판본 및 타작품에서 인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며, 이 작품의 경우 모스필름에서 영어 자막과 함께 공개 중이고, 인터넷 아카이브에서도 공개 중입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했습니다. 13세기 러시아에 실존했던 민족 영웅 알렉산더 네프스키에 관한 이야기. 몽고와 게르만의 침략을 동시에 받고 있던 당시 러시아에서, 알렉산더 네프스키는 농민군을 조직하여 침략자들과 전쟁을 벌인다. 노브고르드 인근 호수에서 발생한 실제 전투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로 에이젠슈타인이 만든 첫 유성영화이기도 하다. 이 영화는 에이젠슈테인이 "사운드 영화 선언"에서 주장한, 화면과 음향이 대위법적 효과를 내는 수직의 몽타주를 실천한 작품이며 또한 영화의 회화적 아름다움의 극치를 추구한 작품이기도 하다. (서울아트시네마) https://archive.org/details/my-name-is-shanghai-joe-action-hd-klaus-kinski-western-drama '내 이름은 상하이 조' 'Il mio nome è Shanghai Joe' 'The Fighting Fist of Shanghai Joe' 'To Kill or to Die' 'The Dragon Strikes Back' (1973) '황야의 죠'란 제목으로도 알려진 작품으로(위에서도 볼 수 있듯 외국에서도 여러 제목으로 알려진 상황) 이탈리아에서 제작한 스파게티 웨스턴 쿵푸 영화로 무술의 달인인 중국계 이민자가 미국에 갔더니 인종차별을 당하기도 하나 나중에 악랄한 노예 상인으로부터 노예들을 해방시키다 현상금이 걸리고, 노예상이 고용한 인물들과도 대결하는 내용을 다루어 여러 국가들로도 수출되어 이후 속편도 나왔으며(제목이 제목이라 한국에서도 '야인시대'와 엮여 컬트적 인기가 생기기도), 이 작품의 경우 컬트 시네마 클래식스에서 다국 언어 자막과 함께 공개 중이고, 인터넷 아카이브에서도 공개 중입니다. '워리어스 웨이' The Warrior's Way ㆍ 2010 년 한국과 뉴질랜드 합작으로 제작된 판타지 액션 영화로 과거 시대 배경의 액션을 그려내야 되는 작품인데 제작비는 동일 년도 로맨스 영화인 '하우 두 유 노우'보다 훨씬 적은 한계에서 제작했으나, 평론적으로 그냥저냥 볼만한 범작 내지는 카우보이에 닌자에 온갖 다채로운 매력이 담긴 작품이라는 호평들도 있었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스밍스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했습니다. 톱스타 장동건의 헐리우드 진출작. 서부시대를 배경으로 바다를 건너온 동양의 무사가 환상적인 퓨처리즘 액션을 선보이는 영화.세계 최강의 전사. 칼을 버렸던 그가, 서부 사막의 끝에서, 지켜야 할 사람들을 위해 다시 칼을 든다! 모든 이를 압도하는 냉혈 카리스마로 상대를 단칼에 베어버리고 '세상에서 가장 강한 전사'가 된 한 남자(장동건 분). 유일하게 남겨진 적의 혈육 '아기'를 보는 순간, 태어나 처음으로 마음이 흔들리며 칼을 내려놓게 된다. 자신을 쫓는 비밀 조직을 피해 서부의 외딴 마을로 향한 전사.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마을에 들어온 그는 말괄량이 처녀 ‘린’(케이트 보스워스 분)과 카우보이 출신 주정뱅이‘론’(제프리 러쉬 분)을 만나면서 잔인한 전사의 모습에서 아기와 여자를 지켜주는 평범한 남자로 서서히 변해간다. 한편, 어릴 적 ‘린’의 가족을 몰살시킨 악당 ‘대령’(대니 휴스턴 분)이 다시 마을을 위협해온다. 과거 무참히 당하기만 했던 마을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전사는 봉인됐던 자신의 칼을 꺼내 든다.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사막의 끝, 전사는 이제 죽이기 위함이 아닌, 모두를 지키기 위한 최후의 결전을 시작한다. 감독:이승무출연:장동건 케이트 보스워스 제프리 러쉬 대니 허스튼 토니 콕스 등급정보(1) 심의일자 2010-11-11 심의번호 2010-F467 관람등급 15세미만불가 상영시간 100분 개봉일자 2010-12-02내용정보_노트* 발레리노 액션<워리어스 웨이>의 명장면 중 하나는 장동건과 그를 쫓는 검객들이 싸우는 전투씬. 영화 속에서 검객들은 물에서, 때로는 빙하에서 뛰어오르며 파워풀한 와이어 액션을 펼친다. 여기에서 장동건은 장검 하나만을 지닌 혼자의 몸으로 이 수많은 사람들을 상대한다. <워리어스 웨이>의 이승무 감독은 "배우의 개인기와 합 맞춤이 중요한 액션과는 달리, 상황별 컨셉을 설계한 후 그 안에서 움직임이 아름다운 액션을 만들었다" 고 말했다. 함께 출연한 케이트 보스워스는 "이 영화의 전투는 아름답고 우아하기까지 하다"고 말했고, 프로듀서 배리 오스본은 "장동건의 액션은 마치 발레리노를 보는 것처럼 우아하다"고 표현해 그 느낌을 짐작할 수 있다. (보도자료)
콩라인박작성일
2025-02-06추천
0
-
[영화] 1959년 소설 '오발탄' 실사판 (1961) + @
* 미성년자들이 보기에는 부적절하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1959년 10월 '현대문학'에서 발표된 단편 소설 작품 '오발탄'은 전쟁이 끝난 후 나라를 위해 목숨 걸고 싸웠으나 가난한 상이군인이 되어 삐뚤어져가는 인물도, 암울한 상황에서도 양심을 지키고자 하는 선량한 인물도 고통을 겪은 시대를 현실적으로 묘사해 1961년에 동인문학상(東仁文學賞)을 수상했으며 해당년도에 후술할 실사판 영화도 개봉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교보문고에서 인용한 원작 소설 작품 소개입니다. ◇ 책소개이범선의 「오발탄 」은 1950년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이다. 이범선은 인간의 실존적 조건을 인정하면서도 여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현실과의 고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른 작가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의 대표작인 「오발탄 」은 바로 1950년대 문학이 전쟁의 상처에서 벗어나 현실을 서사적으로 그리려는 고투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 시리즈는 90번까지의 한국 대표 작가들의 단편작을 한영대역으로 번역하여, 국내와 해외 독자들에게 세계 문학에 버금가는 한국문학 작품선을 소개하여 왔다. 이번에 새로 출간된 [바이링궐 에디션 한국 대표 소설] 세트 7은 이상, 김유정, 채만식, 황순원 이효석, 주요섭 등 근대를 장식한 작가들의 대표 작품들을 20편 담아내어 110권까지의 한국 문학 전집을 완성했다.전후 허무주의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대다수 전후 작가들이 이처럼 인간 실존의 근원적 불합리성을 삶의 보편적인 조건으로 파악하는 허무주의적 세계 인식에 빠져 있었음에 비해, 이범선은 인간의 실존적 조건을 인정하면서도 여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현실과의 고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른 작가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의 대표작인 「오발탄 」은 바로 1950년대 문학이 전쟁의 상처에서 벗어나 현실을 서사적으로 그리려는 고투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시대와 문학을 웅숭깊게 읊어낸 아시아 문학 전집이상, 김유정, 채만식, 황순원 등 한국 근대 문학의 르네상스 작가들의 문학 세계를 다시 만나다현대 21세기의 한국과 한국인의 급변하는 삶의 양태를 다각도로 조명해 낸 그간의 작품들과는 달리, 이번 세트 7에는 한국 근대 문학 태동기의 문학 작품들을 수록하였다. 현대의 문학작품과 다른 시대성과 문학성을 담고 있어 시대가 흘러도 변치 않는 주옥같은 작품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자주 실리는 20세기 한국 문학 작품들의 영어 번역본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나 한국문학에 관심이 많은 해외의 저명한 번역가들이 참여하여 번역의 질을 높였다.전통에서 근대화로 급변하는 시대와 제국주의자들의 사상과 전횡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그 안에서 이념의 혼돈과 대립을 겪으면서도 삶다운 삶을 살고자 했던 한국인들의 모습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세트 7에 수록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벙어리 삼룡이] [맥] [소나기] [등신불] 등의 문학작품들이 이미 이전에 영어로 번역되어 해외에 소개된 바가 있는 것은 바로 한국 근대 문학 작가들의 근대적 진취성과 한국인으로서의 주체성이 그들의 농도 짙은 개성, 치열한 고민, 열정과 함께 문학을 통해 고스란히 투영되어 무한한 감흥을 안겨주기 때문일 것이다.그동안 이 시리즈에는 한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들이 참여하여 작품들마다의 평론을 덧붙였는데, 이번 세트 7에서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한국문학 교수 브루스 풀턴, 한국문학 번역가 케빈 오록, 토론토 대학교 교수 자넷 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일본 문학 교수 크리스티나 이 등 해외의 문학 평론가들과 번역가들이 작품의 해설을 집필하여 해외 독자들에게 한국문학을 균형 잡히면서도 창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해주었다. '오발탄' 실사판 Aimless Bullet ( Obaltan ) ㆍ 1961 년 본래 단편 소설인 원작에 일부 오리지널 캐릭터들 및 전개도 일부 추가하는 구성으로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으로 제작에 난항을 겪어 후술하듯 출연진 중에도 최저 비용만 받는 무보수로 연기한 배우 분들도 나오시는 등 온갖 고생 끝에 완성된 작품이며, 개봉 후에도 한 때는 호응을 못 얻거나 상영 금지 처분을 받는 고난이 이어지기도 했으나 이후 긍정적으로 재평가받아 호평을 받고, 한국영상자료원에서도 해외 수출된 판본으로 복원 작업을 하여 다중 언어 자막 기능이 지원되는 본편 영상 및 관련 영상들을 공개 중입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했으며, 관련글들 및 관련 사료들도 공개 중이니 링크 역시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계리사 사무소 서기인 철호(김진규)는 전쟁통에 미쳐 “가자!”를 외치는 어머니(노재신), 영양실조에 걸린 만삭의 아내(문정숙)와 어린 딸, 양공주가 된 여동생 명숙(서애자), 실업자인 퇴역군인 동생 영호(최무룡), 학업을 포기하고 신문팔이에 나선 막내 동생 민호를 거느린 한 집안의 가장이다. 그러나 계리사의 월급으로는 한 가족을 먹여 살리기도 빠듯해, 철호는 치통을 앓으면서도 치과에 갈 엄두를 못 낸다. 영호는 비관적인 현실을 타개하기 위하여 은행 강도를 저지르지만 실패한다. 철호는 경찰로부터 영호가 은행을 털다 붙잡혔다는 전화를 받는다. 영호를 면회하고 집으로 돌아온 철호는 아내가 아이를 낳으려고 한다는 소식을 듣고 병원으로 가지만 아내는 숨을 거둔 뒤다. 잇따른 불행에 좌절한 철호는 아내의 시신을 보지도 않고 병원을 나와 길거리를 방황하다 치과에 들러 이를 뺀다. 발치에 따른 출혈과 고통으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철호는 택시에 올라타 무기력하게 “가자”고 중얼거린다. 등급정보(1) 심의일자 1961-04-13 심의번호 제1713호 관람등급 미성년자관람불가 상영시간 107분 개봉일자 1961-04-13내용정보_개봉극장국제노트■ 전형화된 인물들을 통해 전쟁이 남긴 상처와 전후의 궁핍한 사회상을 그린 영화. 특히 주인공 철호의 무기력과 좌절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시대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몽타주, 표현주의와 같은 서구모더니즘에서 할리우드 갱스터 장르의 관습까지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여러 차례 한국영화 최고걸작에 선정된 바 있다.■ 제 11회 베를린 영화제 출품작으로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선정된 것에 대해 <오발탄>에 더 높은 점수를 줘야했다며 영화계에서 논란이 벌어짐 [경향610426(석4), 한국610430(6)]■ 제작비 8백만 환에, 제작을 맡은 기술협회장이자 영화조명계의 거장이었던 김성춘 조명감독, 촬영감독 김학성, 유현목 감독이 모여 동인제 형식으로 제작했으며, 다른 스탭들과 김진규, 최무룡, 윤일봉, 문정숙, 김혜정 등의 스타배우들도 최저의 생활비만 받고 무보수로 출연 [조선600423(4), 서울600819(석4)]■ 광복30주년 한국영화감상회 선정작품/5.16 후에 한때 문교부 상영허가가 취소되기도 함/이범선의 동명소설 영화화한 흑백영화/1984년 영화진흥공사의 "광복40년 베스트10"에 1위 기록/1998년 조선일보 선정 '대한민국 50년 - 영화, 영화인50선'에 1위/1999년 한국일보 선정 '21세기에 남을 한국의 명작(영화)'1위/1999년 월간 <스크린> 창간 15주년 기념 '한국영화 베스트20'1위/1999년 KBS TV선정 '20세기 한국 톱-영화'1위/1999년 MBC TV선정 '20세기를 빛낸 한국영화 및 영화인 조사'1위■“나아갈 길 없는 현실을 장렬하고 철저하게 묘사한 점에서 한국 리얼리즘의 절정을 이루는 영화”(이영일)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산증인인 유현목 감독의 대표작. 여러 차례의 선정 집계에서 ‘한국영화 최고걸작’으로 선정된 바 있다. 데뷔 이후 서구 영화언어의 실험에 몰두했던 유현목 감독은 자기 현실이 담보되지 않은 형식 실험이 갖는 공허성을 깨닫고 한국사회에 눈을 돌리는데, 이러한 모색의 과정에서 나온 영화가 바로 <오발탄>이다. <오발탄>은 한 가족 구성원들을 통해 전쟁이 남긴 상처와 전후의 궁핍한 사회상을 그려내고 있다. 이들은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지만 현실과의 싸움에 패배하고 방향을 잃는다. 영화는 특히 주인공 철호의 무기력과 좌절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시대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철호는 가족 성원들의 좌절과 고통을 지켜보기만 할뿐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다. 아내가 죽은 후 극도의 무기력에 빠진 그는 이빨을 뽑아내고 택시 안에서 미친 어머니처럼 “가자”를 외친다. 그들의 비극적 상황을 담아낸 영화의 사실적인 접근과 빼어난 영상 표현은 유현목에겐 작가로서의 길을, 한국영화에게는 한국 리얼리즘의 한 전형을 제시한다(권용민). 유현목은 철호와 가족의 출구 없는 현실을 그려내는데, 몽타주, 표현주의와 같은 서구 모더니즘에서 할리우드 갱스터 장르의 관습까지 다양한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미학적 측면에서도 유현목 감독의 최고작이다.■ 제작후일담- <오발탄>은 1961년 4월13일에 개봉됐지만 당시는 그다지 대중들의 호응을 받지 못했다. 그후 1961년 7월17일 두번째 상영됐으나 5·16 군사 정권에 의해 상영 중지 처분을 받았다. <오발탄>이 본격적으로 관객의 관심권에 들어선 것은 1963년 3차 개봉에서였다. 샌프란시스코영화제에 출품되면서 가능했던 재개봉이었다.- 제작비 8백만 환에, 제작을 맡은 기술협회장이자 영화조명계의 거장이었던 김성춘 조명감독, 촬영감독 김학성, 유현목 감독이 모여 동인제 형식으로 제작했으며, 다른 스탭들과 김진규, 최무룡, 윤일봉, 문정숙, 김혜정 등의 스타배우들도 최저의 생활비만 받고 무보수로 출연했다. 그러고도 제작비가 부족해 제작에 13개월이 걸렸다고.■ <오발탄>은 분단의 비애와 실향의 좌절감, 이산의 고통을 실성한 노파의 절규를 통해 표출한 리얼리즘 영화의 수작으로, 유현목 감독의 시대정신과 작가 의식이 돋보인다.(김종원 영화사 연구자・평론가, 영화천국 61호)■ “가자!” 노모의 목소리가 화면을 잠식하다 이윽고 스크린 바깥으로 뿜어져 나온다. 이범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은 6・25전쟁 전후 한국 사회의 그림자를 조망하고 부조리를 관통한다.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시금석으로 거론되는 작품이지만 형식적으론 도리어 과감한 몽타주, 사운드와 이미지의 충돌 등 여러 실험적 요소가 돋보인다. 시적이면서 동시에 사실적인, 현실 반영으로서의 영화미학. 리얼리티가 아닌 리얼리즘. 그 본령을 제대로 담아낸 걸작.(송경원 「씨네21」 기자, 영화천국 61호)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0641
콩라인박작성일
2025-01-31추천
0
-
-
-
-
-
-
[자유·수다] 한자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모두 뜻이 통하는 훌륭한 문자 입니다아?
1. 手紙 (수지 / 手紙, Shǒuzhǐ / てがみ, Tegami)한국어 (수지): 거의 안씀. 가끔: 고급 한지나 수제 종이를 의미중국어 (手纸, Shǒuzhǐ): 화장지, 즉 똥닦는 휴지일본어 (てがみ, Tegami): 편지 2. 勉強 (면강 / 勉强, Miǎnqiáng / べんきょう, Benkyou)한국어 (면강): 거의 안씀. 가끔 :"힘써 노력함"이라는 의미중국어 (勉强, Miǎnqiáng) : 억지로, 무리하게라는 부정적인 뉘앙스일본어 (べんきょう, Benkyou): 공부 3. 大丈夫 (대장부 / 大丈夫, Dàzhàngfū / だいじょうぶ, Daijoubu)한국어 (대장부): "큰사람" 또는 "훌륭한 남자"라는 의미중국어 (大丈夫, Dàzhàngfū) : 한국과 동일일본어 (だいじょうぶ, Daijoubu): 전혀 다른 의미로,"괜찮다", "문제없다"는 뜻 4. 先生 (선생 / 先生, Xiānshēng / せんせい, Sensei)한국어 (선생): 주로 교사나 스승을 의미.중국어 (先生, Xiānshēng): "남성에 대한 존칭", 즉 "Mr."의 의미일본어 (せんせい, Sensei): 교사뿐 아니라 전문가, 권위자에게도 쓰임 5. 愛人 (애인 / 爱人, Àirén / あいじん, Aijin)한국: 연인.중국: 배우자.일본: 불륜 상대. 6. 気 (기 / 气, Qì / き, Ki)한국어 (기): 에너지 또는 "기운"을 의미하며, 전통적이고 철학적인 맥락에서 사용중국어 (气, Qì): 한국과 유사하지만, 현대 중국어에서는 화"(화를 내다)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예: "他很生气" → "그는 매우 화가 났다."일본어 (き, Ki): 정신적 상태, 분위기, 기분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 7. 苦手 (고수 / 苦手, Kǔshǒu / にがて, Nigate)한국어 (고수) : 사용안함. 가끔: "고난을 겪는 손"이라는 뜻중국어 (苦手, Kǔshǒu): 사용안함. 고대 중국어는 "고난을 겪는 손"이라는 뜻으로 사용일본어 (にがて, Nigate): "서툴다", "좋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예: "彼は英語が苦手だ" → "그는 영어를 잘 못한다." 8. 勉励 (면려 / 勉励, Miǎnlì / べんれい, Benrei)한국어 (면려): 잘안쓰지만 "힘써 노력함"이라는 문어적인 표현으로 드믈게 사용.예: "학업에 면려하다."중국어 (勉励, Miǎnlì): "격려하다"는 뜻으로 사용되며, 한국어와 일본어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예: "勉励他努力学习" → "그를 열심히 공부하도록 격려하다."일본어 (べんれい, Benrei): 거의 사용안함 9. 学生 (학생 / 学生, Xuéshēng / がくせい, Gakusei)한국어 (학생): 학교에 다니는 모든 학생(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을 의미.중국어 (学生, Xuéshēng): 한국과 유사하게 모든 학생을 지칭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대학생.일본어 (がくせい, Gakusei): "학생"은 주로 대학생 이상을 가리킵니다.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은 각각 "小学生(しょうがくせい)", "中学生(ちゅうがくせい)", "高校生(こうこうせい)"이라고 따로 표현. 10. 水道 (수도 / 水道, Shuǐdào / すいどう, Suidou)한국어 (수도): 물을 공급하는 시설 또는 물줄기.중국어 (水道, Shuǐdào): 현대 중국어에서는 거의 사용안함. 고대 중국어: 관개시설일본어 (すいどう, Suidou): 수도관, 즉 현대적 의미의 물 공급 시설 11. 家内 (가내 / 家内, Jiānèi / かない, Kanai)한국어 (가내): "집안" 또는 "가정 내"를 의미하며, 문어체에서 사용예: "가내 평안하신지요?"중국어 (家内, Jiānèi): 사용 안함 (고대 중국어에서는 사용).일본어 (かない, Kanai): 현대 일본어에서는 "아내"를 뜻함예: "家内が料理を作っています" → "아내가 요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12. 時雨 (시우 / 时雨, Shíyǔ / しぐれ, Shigure)한국어 (시우): 고전 문학에서 "가을비"를 뜻하며, 현대 한국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중국어 (时雨, Shíyǔ): 주로 문학적 표현으로 "때에 맞게 내리는 비"라는 긍정적인 의미.일본어 (しぐれ, Shigure):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계절에 내리는 짧고 가벼운 비 며칠전 누가 애인뜻의 한중일 차이 올려놓길레 나도 생각 나서 올림. 그낭 그렇다고요 별뜻은 없어요…. 좋은 하루 되시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