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664);
-
-
-
-
-
-
-
-
-

[엽기유머] 삼성전자, 메타 LLM에 견주는 '가우스2' 공개...그 비결은?
가우스2, 시간당 처리속도 최대 3.0배 증가 삼성전자가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코리아 2024(SDC2024)’에서 자체 거대언어모델 가우스(Gauss) 2세대 버전을 공개했다. 지난 SDC2023에서 삼성전자는 가우디1을 최초 공개한 뒤 1년 만에 급속도로 업그레이드했다. 가우디2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거대언어모델(LLM)과 비교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언어 처리량이 최대 3.0배에 달한다. 이 비교 대상은 메타의 라마(Llama)로 추정된다. 가우디2는 3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온디바이스용 ‘컴팩트’ △효율성과 안정성이 균형잡힌 ‘밸런스드’ △믹스쳐 오브 엑스퍼트(MoE) 기술 접목한 고품질 모델 ‘슈프림’이다. 기본 모델인 밸런스드는 가우디1 대비 파라미터(모델 크기를 결정하는 단위)가 절반에 불과하나, 언어와 코드와 이미지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이다. MoE는 전문가 모델을 동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가우디2가 어떤 전문적인 질문을 받으면 이에 적합한 전문가 하위 모델만 답하는 식이다. 모든 전문가 하위 모델이 동시에 작동하면 연산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된다. MoE는 필요한 전문가 모델만 선택하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큰 대형 모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돕는다. 구글의 스위치 트랜스포머 모델도 MoE를 탑재한다. 이 모델은 각 입력에 대해 소규모 전문가 하위 모델을 1~2개 활성화한다. 오픈AI는 GPT-4 내부 아키텍처를 자세히 공개하지 않았으나,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MoE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우디2는 ‘토크나이저(Tokenizer)’ 기술도 접목했다. 토큰은 텍스트의 작은 단위다. 예를 들어 “I love AI”라는 문장은 I, love, AI라는 세 개의 토큰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토큰화는 단어를 기준으로 삼을뿐 아니라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쌍에 기반하기도 한다. 이는 바이트 페어 인코딩(BPE)이라는 방법이며, 대부분 LLM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banana라는 단어를 토큰화할시 a와 n은 쌍으로 묶이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토큰으로 취급한다. BPE에 따르면 banana는 6개의 토큰이 아닌 b, anan, a와 같이 3개로 분류한다. 타사 모델은 대부분 토크나이저 기술이 BPE에 기반한다. 구글은 자체 토큰화 기술인 센텐스피스(SentencePiece)를 사용한다. 센텐스피스는 영어와 중국어, 아랍어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진 언어 간에 균형을 맞추는데 탁월하다. 삼성전자는 가우스2 개발에 필요한 페로스(PHAROS)와 스페이스(SPACE) 플랫폼을 공개했다. 페로스는 대규모 고품질 학습 데이터를 수집해 정제하는 플랫폼이고, 스페이스는 AI GPU 기반 대규모 GPU 클러스터다. 한편, 삼성전자는 가우디를 내부 시스템에 적극 활용 중이다. 대표적으로 프로그래밍 어시스턴트 ‘코드아이(code.i)’다. 코드아이는 2023년 12월에 출시해 DX 부문에 배포됐고. 사내 소프트웨어 개발자 60%가 활용 중이며 생산성을 4배 향상시켰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http://www.thelec.kr 출처 : https://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293
-
-
-

[엽기유머] 기아 EV5, 내년 3분기 광주서 만든다…“韓·中 투트랙 생산 체제”
EV5는 기아 전용 전기차 제품군 EV 시리즈 마지막 퍼즐로 꼽히는 핵심 신차다. 기아는 EV5 국내 생산을 계기로 EV3·EV4와 더불어 3종의 보급형 전기차 제품군을 완성하게 된다. 기아는 신차 프로젝트명 ‘OV1’으로 개발한 EV5를 내년 8월 말부터 광주 공장에서 양산하는 일정을 수립했다. 본격 판매는 3분기 중 이뤄질 전망이다.EV5는 광주에서 생산하는 첫 전용 전기차다. 기아는 국내 공장 3곳 중 광명에서 EV3와 EV4(내년 1분기 예정), EV9, 화성에서 EV6를 생산해 왔다. 광주는 EV5 생산을 맡아 전용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생산 거점으로 거듭난다.앞서 기아는 EV5 중국형 모델을 현지 옌청 공장에서 생산했다. 국내 광주 공장에도 EV5 생산 거점을 마련, 트럼프 리스크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대내외 수출 환경 변화에 대응할 방침이다. 중국산에 대한 관세에 비교적 자유로운 신흥국은 옌청,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한 국가는 광주 물량을 투입하는 투트랙 전략이다. EV5가 주목받는 이유는 기아가 처음 선보이는 준중형 SUV 형태의 전용 전기차로, 압도적 상품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당초 중국 전략형 모델로 개발한 EV5는 여유로운 공간과 합리적 가격을 바탕으로 현지에서 순찰차·택시로 도입되는 등 호응을 얻고 있다.EV5 차체 크기는 전장 4615㎜, 휠베이스 2750㎜로 스포티지와 비슷하며 실내·외 V2L(Vehicle to Load) ,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 등 첨단 장비를 갖췄다. 기아 안팎에서는 EV5가 올해 선보인 소형 전기 SUV EV3, 내년 나올 준중형 전기 해치백 EV4를 뛰어넘는 파급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에서 생산할 EV5는 중국형 모델와 배터리와 주행 성능에서 차별화된다. 가장 큰 차이는 배터리다. EV5 중국형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 강점인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반면에 내수형은 효율이 높은 삼원계(NCM) 배터리를 장착한다.EV5 배터리 용량은 82㎾h로, 1회 완충 시 400~500㎞ 사이의 주행거리를 확보한 전망이다. 가격은 5000만원대부터로 책정, 보조금 100% 지급 기준에 충족할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기아는 내년 1분기 광명에서 양산할 EV4의 유럽형 모델을 별도로 개발, EV5처럼 현지에서 생산하는 투트랙 전략을 검토 중이다. EV4 유럽형 생산 거점은 기아 슬로바키아 공장이 유력하다. 리튬 출처 : https://www.etnews.com/20241120000267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