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841);
-
-
-
-
-
-
-
-
-
-
-
-
[영화] 현진건 '불' (1925) 1986년 실사판 공개 중 ft. 개벽 (1920)
https://ko.wikisource.org/wiki/%EB%B6%88 원작 소설 '불'은 위키문헌에서도 공개 중이니 위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1920년에 민족문화실현운동 차원에서 창간된 잡지 '계벽'은 안타깝게도 일제강점기 시기라 발매금지, 검열, 정간, 벌금 등 여러 수단의 탄압에 시달리다 폐간까지 당했으나, 이전에 언급했던 '빈처'를 포함해 '표본실의 청개구리', '진달래꽃',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 최소 수십년 내지 100년이 지나도 회자되는 명작들을 여럿 냈으며 이 중에는 故 '현진건' 작가님이 주인공이 농촌에서 민며느리로 가서 낮밤 모두 쉬지 못하는 15세 어린 소녀로서 고초를 겪는 내용을 다룬 단편소설 작품인 '불'도 1925년에 발표됐습니다. 이 작품은 위에 링크한 원문, 영상 모두 접할 수 있으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작품 관련 해설도 있으니 아래 링크 역시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901 '불' 실사판 TV 영화 (1986) 기존 단막극들이 1시간 전후 단막극도 여럿 있던데 비해 이 작품은 단편 소설인 원작을 당시 엄격한 방송 심의 상 일부 순화시키고 추가 내용을 넣어 장편 영화로 각색한 작품으로,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KBS 계열 채널에서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해당 채널에서 인용했습니다. ▶ TV 문학관 213화 불방송일: 1986년 1월 18일연출자: 김재순출연자: 김진태, 백수련, 조민수, 차철순, 박용식, 민지환, 김영기, 이계영, 김동완, 박건식, 최건호, 홍영자, 김종구, 김상락원작: 현진건극본: 이홍구줄거리: 산골에서 사람들의 감초처럼 강인한 생명력 그 대자연처럼 순수한 인간미와 한국인의 원초적인 로컬리즘을 구현한 작품 가난한 집에 태어난 18살 천덕꾸러기 순이가 노총각 만보에게 시집보내여져 겪는 답답함과 갈등을 그림
콩라인박작성일
2025-02-04추천
0
-
-
-
-
-

[영화] 1925년 소설 '벙어리 삼룡이' 관련 무료 공개작들 ft. '공부의 신'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다이렉트로 보고싶은 분들은 아래 '벙어리 삼룡이' 원작 소설 링크(퍼블릭 도메인 작품이라 위키소스에서 본편 전문 모두 무료 공개 중) 및 아래 무료 공개 중인 1964년 실사판 영화, 1983년 실사판 영화 영상을 우선으로 체크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ko.wikisource.org/wiki/%EB%B2%99%EC%96%B4%EB%A6%AC_%EC%82%BC%EB%A3%A1%EC%9D%B4 1925년 소설 '벙어리 삼룡이'는 제목에도 나오듯 장애가 있고, 막일하는 천한 신분의 고난 속에서도 선량한 성격을 지닌 '삼룡이'와 반면 풍족한 환경에서 길러줬음에도 만만한 사람들에게 폭행을 저지르는 악랄한 성격을 지닌 부자집 아들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실사판 영화 작품들도 여러차례 제작되어 1929년 작품 '벙어리 삼룡이'(안타깝게도 현시점에선 유실된 상황), 평과 흥행 양쪽 다 성공한 1964년 작품 '벙어리 삼룡', 이전 실사판처럼 변주를 주되 다른 방식으로 변주를 준 1973년 작품 '비련의 벙어리 삼용', 원작 소설의 일부 요소를 인용하되 70년대 배경 액션 영화로 대폭 각색한 1977년 작품 '삼룡이라 불러라', TV 방송용 단막극 영화로 제작된 1983년 작품 'TV 문학관: 벙어리 삼룡이', 코믹스판 만화, 작 중에 패러디로 인용한 '공부의 신' 한국 실사판 등 영상 매체로도 수차례 진출했습니다.(이 중 1964년 실사판 영화는 연령 제한을 걸어둔 형태로 무료 공개, 1983년 실사판 영화는 전연령 대상으로 무료 공개 중) 아래 내용은 '리디북스'에서 인용한 1925년 원작 소설 작품 소개입니다. 일제 강점기, 남대문 밖 연화봉 마을을 배경으로 한 나도향의 대표작이다. 사실주의 작품이지만 지극히 낭만적인 결말 때문에 낭만주의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사랑, 인간 감정에 대한 사실적 해부, 리얼리즘의 요소와 감상성 등 복합적 요소가 혼합된 작품으로 인물의 성격화가 돋보인다. 운명에 순종하는 전형적인 패배주의적 인물에서 자신을 자각하고 분노하고 싸우는 적극적 입체적 인물로 발전하는 과정 속에서, 돈과 신분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결정적인 약점을 지닌 사회적 약자들이 겪을 수밖에 없는 어두운 면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슬픔과 분노, 카타르시스가 동시에 일어나는 흔치 않은 작품이다. * 실사판 영화들과 관련해선 아래 링크들 및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벙어리 삼룡 A Deaf, Sam-ryong (Beong-eoli Samryong) ㆍ 1929 년 봉건지주 밑에서 머슴살이를 하는 벙어리 삼룡이가 주인댁 며느리를사랑하는 내용으로서 낡은 인습에 항거하는 인간성과 사랑의 진실성을 그려낸 작품. 집에 불이 붙은 라스트 신은 당시로서는 대단한 촬영시도라 하여 높이 평가되었음. * 독립유공자로도 선정된 '나운규' 선생님의 1929년 실사판은 위에 언급했듯 유실되었으나 이 작품을 다룬 '조선극장 주보' 72호, 77호, 79호는 PDF 전자문서로 백업되어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들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kmdb.or.kr/history/leaflet/3062 https://www.kmdb.or.kr/history/leaflet/3064 https://www.kmdb.or.kr/history/leaflet/3065 벙어리 삼룡 Deaf Samryongi ( Beongeori Samryong ) ㆍ 1964 년 착하고 선량한 머슴인 벙어리 삼룡이(김진규)는 오갈 데 없는 자신을 거두어준 오생원 영감의 은혜를 잊지 않고 주인 일가를 성심껏 섬긴다. 어느날 돈에 팔려 순덕(최은희)이 난폭한 주인의 아들 광식(박노식)에게 시집온다. 식모로 일하는 추월(도금봉)에게 정신이 팔린 광식은 순덕을 심하게 구박한다. 삼룡은 남편 때문에 눈물로 세월을 지새는 순덕 아씨가 안쓰러워 남몰래 연모한다. 삼룡은 광식과 추월이 물레방아간에서 정사를 나누는 것을 발견하고는 기절초풍해 이 사실을 추월의 남편에게 알린다. 이 일로 해서 그렇지 않아도 아씨를 두둔한다고 눈 밖에 났던 삼룡은 광식에게 죽도록 두들겨맞고 집에서 쫓겨난다. 삼룡이 쫓겨나던 날 밤, 오생원의 집에는 원인 모를 불이 난다. 삼룡은 불기운을 이기지 못해 쓰러지기 직전인 집으로 뛰어들어 아씨를 구해낸다. 목숨을 구한 아씨가 광식이 안에 있다며 어쩔 줄 몰라하자 삼룡은 다시 집안으로 뛰어든다. 그리고 삼룡은 집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 1964년 실사판은 베니스 영화제 수상작이 됐으며, 1964년 실사판과 관련해선 아래 링크들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영화예술' 1966년 4월호 https://www.kmdb.or.kr/history/magazine/3219 [한국영화걸작선]벙어리 삼룡: 11월의 영화 Ⅱ https://www.kmdb.or.kr/story/10/5490 비련의 벙어리 삼용 A Deaf Mute Sam-Yong-Yi in Sad Love (Bilyeon-ui beong-eoli Samyong) ㆍ 1973 년 섬마을 선주이고 지주인 오생원의 하인인 벙어리 삼룡이는 자신을 길러준 은혜를 갚기 위해 주인집에 충성한다. 그러다가 오생원의 아들 광식이 순덕과 혼인하여 첫날밤부터 학대하자 삼룡은 그런 순덕을 가엾게 생각하며 한편으로는 그녀에게 모성애를 느낀다. 그러나 순덕과 삼룡의 사이를 어이없게 오해하여 삼룡은 쫓겨나고, 광식의 부정을 본 범실의 남편이 오생원 집에 불을 지른다. 아우성 소리에 삼룡은 오생원 집으로 달려가 이미 숨져간 순덕의 시체를 안고 하염없이 바다로 떠난다. * 1973년 실사판은 영어 더빙판을 영상도서관 VOD 형태로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2688/own/videoData 삼룡이라 불러라 Call Me Sam-ryong (Samryong-ila bulleola) ㆍ 1977 년 벙어리인 삼룡과 이룡은 시골에다 철공장을 세우고 기술을 연마하겠다는 일념으로 상경하여 고향친구인 구산을 찾아가지만, 구산의 꼬임에 빠져 가지고온 돈을 사기당하고 만다. 형을 잃어버린 삼룡은 피리소리로 형을 찾겠다고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열심히 피리를 불다가 돌이와 친해져 돌이 엄마인 윤희가 경영하는 술집 '피노키오'에 취직이 된다. 한편 이룡은 암흑가의 두목 강유진 밑으로 들어가고, 강유진은 자신이 경영하는 '싸파이어'의 영업이 부실하자 온갖 수단을 다해 '피노키오'의 윤희를 못살게 군다. 윤희가 강유진에게 잡혀가자 삼룡은 그녀를 구하러 뛰어들고, 이룡도 삼룡과 함께 그들 일당을 일망타진한다. * 1977년 액션 영화 '삼룡이라 불러라'는 영상도서관 VOD 형태로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3092/own/videoData * 위에서 언급한 '공부의 신' 한국 실사판은 공영방송 KBS 작품이라 전편을 무료 공개 중이며, '벙어리 삼룡이' 패러디 장면은 7화에 포함되어 있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program.kbs.co.kr/2tv/drama/gongsin/pc/list.html?smenu=a51fb5
콩라인박작성일
2025-01-03추천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