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4,536);
-
-
-
-
[TV·연예] 뉴비트, 공식 팬클럽 창단
[스타뉴스 | 문완식 기자] 그룹 뉴비트가 글로벌 팬덤과 본격적인 소통에 나선다. 뉴비트(NEWBEAT, 박민석·홍민성·전여여정·최서현·김태양·조윤후·김리우)는 오는 7일 낮 12시부터 31일 오후 11시 59분까지 플러스 챗 멤버십을 통해 'NEWBEAT 1ST GLOBAL OFFICIAL MEMBERSHIP' 1기 회원 모집을 진행한다. 이번 팬클럽 창단은 뉴비트의 꾸준한 팬사랑 행보의 연장선이다. 이들은 지난 5일 새 싱글 'Cappuccino'(카푸치노)를 발매하며 깜짝 선물했고, 'KCON LA 2025'에서 신곡 무대를 최초 공개해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끈 바 있다. 이어 공식 팬클럽을 통해 팬들과 더욱 가까이 소통하며 관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뉴비트 멤버십 가입자에게는 풍성한 혜택이 제공된다. 실물 및 디지털 회원카드, 멤버십 키트(KIT), 단독 콘서트 및 팬미팅 선예매 혜택, 방송 및 팬 이벤트 우선 참여 기회 등이 포함된다. 또 플러스 챗 내에서만 공개되는 전용 콘텐츠, 월간 비하인드 포토, 보이스 메일, 멤버별 생일 축하 메시지 등 온라인 전용 콘텐츠도 다양하게 마련됐다. 가입자 중 추첨을 통해 친필 사인 폴라로이드, 엽서, 생일 축하 영상 편지 등 스페셜 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처럼 다채로운 혜택으로 팬들과 더 가까이 만날 뉴비트의 행보에 기대감이 고조된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108/0003354394
-
[TV·연예] 뉴비트, 신곡 '카푸치노' 발매…강렬한 매력 예고
뉴비트가 신곡 '카푸치노(Cappuccino)'를 발표한다. 그룹 뉴비트(NEWBEAT, 박민석·홍민성·전여여정·최서현·김태양·조윤후·김리우)는 5일 정오 각종 온라인 음원사이트를 통해 새 디지털 싱글 'Cappuccino'를 발매한다. 'Cappuccino'는 지난 3월 발표한 정규 1집 '러 앤 래드(RAW AND RAD)'의 선공개 곡 'JeLLo(힘숨찐)'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곡이다. 젤리 대신 카푸치노를 마신 멤버들이 각성한 뒤 처음 마주한 설렘과 미묘한 감정을 담았다. 뉴비트의 음악적 정체성을 담은 이 곡은 올드 스쿨을 기반으로 강렬한 비트와 중독성 있는 랩 플로우가 매력적인 곡으로, 초호화 작가진이 대거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KZ, HONEYSWEAT, Andreas Öhrn, Didrik Thott가 작곡에 이름을 올렸고, HONEYSWEAT이 편곡을 맡아 세련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특히 이번 신곡은 컴백 활동 곡이 아닌 팬들을 위한 깜짝 선물로 준비됐다. 앞서 뉴비트는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KCON LA 2025'에서 'Cappuccino' 무대를 첫 공개해 뜨거운 반응을 얻었으며, 동시에 정식 음원 발매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뉴비트는 지난 3월 정규 1집 'RAW AND RAD'로 데뷔해 Mnet 데뷔 쇼와 SBS 팬 쇼케이스를 통해 글로벌 주목을 받은 신인 그룹이다. 이후 '2025 러브썸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페스타 개막 기념 서울 원더 쇼', 'MyK FESTA', '2025 여수 K-메가아일랜드 페스티벌', 'KCON' 등 굵직한 무대에 오르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437/0000451415
-
-
[TV·연예] 뉴비트, ‘KCON LA 2025’서 신곡 ‘Cappuccino’ 무대 최초 공개…글로벌 팬심 저격
[스포츠서울 | 임재청 기자] 신예 보이그룹 뉴비트(NEWBEAT: 박민석·홍민성·전여여정·최서현·김태양·조윤후·김리우)가 오늘(1일)부터 3일까지 열리는 ‘KCON LA 2025’를 통해 신곡 무대를 최초로 공개하며 글로벌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뉴비트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KCON LA 2025’에 출연해 K-POP 루키다운 저력을 보여줄 예정이다. 첫째 날인 1일, 댄스 스테이지와 쇼케이스 무대에 오르며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3일에는 쇼케이스, 레드카펫, 프리쇼 등 다양한 무대와 이벤트를 통해 현지 팬들과 직접 만난다. 무엇보다 뉴비트는 오는 5일 정오 전 세계 동시 발매되는 디지털 싱글 ‘Cappuccino’(카푸치노)를 ‘KCON LA 2025’ 무대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이와 함께 정규 1집 ‘RAW AND RAD’의 타이틀곡 ‘Flip the Coin’과 ‘HICCUPS’ 무대도 선보이며 에너지 넘치는 퍼포먼스를 예고했다. 또한 뉴비트는 ‘Cappuccino’ 콘셉트로 꾸며진 아티스트 부스를 운영, 참여형 이벤트를 통해 팬들에게 특별한 체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부스를 찾은 관객들은 멤버들과의 소통은 물론, 뉴비트의 세계관을 더욱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다. 뉴비트는 지난 3월 정규 1집 ‘RAW AND RAD’를 발매하며 본격 데뷔했다. Mnet 데뷔쇼 ‘Drop the NEWBEAT’와 SBS 팬 쇼케이스 ‘힘숨찐 해부실’을 통해 대중에 얼굴을 알렸고, 이후 ‘2025 러브썸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페스타’, ‘KCON JAPAN 2025’, ‘MyK FESTA’, ‘2025 여수 K-메가아일랜드 페스티벌’ 등 굵직한 무대에 연이어 올라 주목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뉴비트는 ‘2025 K WORLD DREAM AWARDS’ 출연을 앞두고 있어, 대형 퍼포먼스를 통한 또 한 번의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한편 뉴비트는 오는 5일 디지털 싱글 ‘Cappuccino’를 발매한 뒤, 하반기 중 새 앨범으로 컴백할 예정이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468/0001166379
-
-
-
-
-
-
[영화] 판타스틱 4 특집 3. 2025년 실사판 타이인 프리퀄 코믹스 + @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판타스틱 4'는 1961년 원작 만화 '더 판타스틱 포' 연재로 데뷔한 이래 TV 시리즈, 토이라인, 더 씽 솔로 주연 스핀오프 애니메이션, PC 게임, 콘솔 게임, 휴대용 게임, 폭스의 실사판 홍보용 인터넷 BJ 특집 생방송, 식품 광고, 기념 사진 촬영 포토존, 웹 시리즈, 2025년 실사판 영화 등을 포함해 다양한 매체의 작품들로 전개되어 왔습니다. 2025년 실사판 영화 역시 영상화 작품들 (위의 웹 시리즈 및 후술하듯 업데이트가 용이한 모바일용 비디오 게임 작품들), 그리고 프리퀄 코믹스 작품 등을 통한 타이인이 전개됐으며 간략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982년의 크로스오버 이벤트 코믹스에서 이름을 따온 대전 격투 게임 '마블 컨테스트 오브 챔피언즈'(한국에선 '마블 올스타 배틀'이란 제목으로 수입했으며 모바일 게임으로 시작해 나중에 PC로도 이식)에선 판타스틱 포 계열 캐릭터들은 이미 데뷔해 있었던지라 대신 '판타스틱 포스'(원작에서 판타스틱 포의 스핀오프로 나온 시리즈)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CG 애니메이션 영상, 뉴스 보도 패러디 형식의 영상으로 발표했습니다.(작 중 새로운 횡스크롤 미니 게임 발표 때도 판타스틱 포가 나온 건 덤) 턴제 전략 게임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에선 고전 레트로 컨셉의 나레이션 소개 영상 및 인형극 영상으로 2025년 실사판 영화와의 타이인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디지털 카드 게임 '마블 스냅'에선 애니메이션 영상 및 고전 흑백 TV 쇼를 패러디한 영상으로 타이인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한국 게임 마블 퓨처 파이트에선 판타스틱 포 및 실버 서퍼 (샬라-발 버젼) 타이인 업데이트를 인게임 영상으로 발표했습니다. 제목처럼(Mystic) 초자연적 요소가 비중 있게 나오는 전략 RPG 게임 '마블 미스틱 메이헴'에서도 모션 코믹스 + 인게임 영상으로 타이인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화제작들과 자주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진행해온 3인칭 슈팅 게임 '포트나이트'에서도 타이인 이벤트를 발표했습니다.(장르가 장르라 도구 사용을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3인칭 슈팅 게임 '마블 라이벌즈'에서도 실사판과의 타이인으로 슈트, 이모트, 스프레이 업데이트가 이뤄졌습니다.(깜찍한 팝콘의 섭취자는 덤) 그리고 위에서 언급했듯 프리퀄 코믹스 작품도 나왔는데, The Wrap의 뉴스 가사에서도 상세히 다뤄 이를 바탕으로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설정 상으로는 지구 828에도 마블 코믹스가 존재하여 판타스틱 포가 활동 4주년을 기념해 퓨처 파운데이션 단체의 허락을 받고 판타스틱 포의 초기 활약을 증언과 자문을 바탕으로 교욱 자료 용도의 만화책으로 제작됐으며, 60년대 원작 이슈 1과 마찬가지로 실사판의 프리퀄 코믹스 역시 60년대를 연상시키는 배경에 우주 광선을 접하여 능력을 얻은 뒤 지하에 살아 '몰맨' (두더지 인간)으로도 불리는 '하비 엘더'가 이끄는 '몰로이드' 세력에 맞서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 과정에서 주목할만한 점들 역시 여럿 다루어졌는데 이 버젼에선 판타스틱 포의 능력을 준 우주 광선이 이 자굼에선 '천체 방사선' (Celestial radiation)으로 불려 원작 만화에도 나온 우주적 존재 '셀레스티얼'을 연상시키는 명칭이 된 점 '리드 리처즈'가 개발한 신기술이 세계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이바지를 하며 인류 사회에 기여하게 될 것을 암시하는 점 '수 스톰'이 과거 작품들처럼 무력하게 납치당해 인질 역할 하는 나약한 인물이 아니라 유능하고 행동력 있는 인물로 그려진 점 작 중 설정 상 이전에 수 스톰의 할아버지 존. F. 스톰과 만나 큰 깨달음을 얻은 바 있는 몰맨도 무조건 사악한 빌런이 아니라 지상 세계에서 함부러 짓는 공사 등으로 인해 지하 세계가 붕괴되는 사고가 반복되어 위협을 받자 자신들의 터전을 지키고자 했던 인물임이 밝혀지는 내용도 포함된 점 판타스틱 포 역시 단순히 적이란 이유로 상대를 박살내고 죽이는 것이 아니라 대화가 통할 상대면 설득도 하는 이들이기에 이 작품에서도 수 스톰이 지하 사람들과 평화 협상을 하면서 이들이 UN을 통해 주권 확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 위의 '서브테라니아' (지하세계, Subterannea)과 평화적 공존을 이뤄낸 해결에서도 나오듯 판타스틱 포는 새로운 사람들, 새로운 세계, 새로운 문화를 만나면서 이를 때려부수는 게 목적인 인물들이 아니라 싸움을 하게 되더라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싸움들을 하는 인물들이며, 이들은 미지의 세계와 대면하는 탐험가이며, 모험가이자, 과학자이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족이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 등과 같은 내용이 그려졌으며, 보다 자세한 것은 아래 뉴스 기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thewrap.com/fantastic-four-first-steps-1-comic-revelations-mcu-movie/
콩라인박작성일
2025-07-27추천
0
-
[영화] 슈퍼맨 특집 6. '스틸' 샤킬 오닐과 새로운 맨 오브 스틸이 만나기까지 ft. 블리자드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1990년대에 DC 코믹스의 작가진은 슈퍼맨과 로이스의 결혼 에피소드를 계획했으나, 워너에서 당시 로맨스 요소를 대폭 넣으며 새로 밀어줄 TV 시리즈 '로이스 앤 클라크: 뉴 어드벤쳐즈 오브 슈퍼맨'이 결혼식까지 진행해기 전까진 김 샐 일 (?) 없게 원작 코믹스에서도 결혼식 에피소드를 쓰지 말도록 지침이 정해지면서, 대신에 세간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슈퍼맨의 죽음과 부활' 스토리 아크가 1992년부터 1993년에 걸쳐 다양한 타이틀의 작품으로 릴레이 식으로 연결되며 연재됐습니다.(액션 코믹스 이슈 684호, 어드벤쳐즈 오브 슈퍼맨 이슈 497호, 저스티스 리그 아메리카 이슈 69호 등등과 같은 구성으로 스토리가 진행) 알프레드, 로빈, 루터 등등에 아예 메타몰포처럼 사망한지 얼마 안 되어 금방 부활한 선례들도 존재하는 등 이전에도 캐릭터의 죽음과 부활은 수차례 써먹은 마케팅 전략인지라 업계의 사정을 이미 알고있는 코믹북 판매 소상공인 등은 책 팔려면 결국 다시 살려낼 것이란 반응도 보인 반면, 유명 캐릭터의 죽는 내용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연재하자 당시 순진한(?) 이들 중에서는 이에 놀라는 반응을 보이며 뉴스 방송도 이뤄졌습니다.(비슷한 사례로 1회성 이벤트로 캐릭터 사망 및 다시 설정이 리셋된 적이 한두번이 아닌 TV 시리즈 '심슨'도 주인공 중 한명인 마지 심슨이 죽은 에피소드가 방송될 때 심슨을 자주 안 챙겨본 사람들이 깜짝 놀라자 방송 뉴스에서 이를 보도한 사례도 존재) 이후 슈퍼맨의 죽음과 부활은 전체 혹은 일부 요소가 애니메이션, 실사 매체, 블리자드에서 제작한 게임판 등 여러 매체에서 각색됐으며, 슈퍼맨이 사망한 이후 부활하기 이전에 슈퍼보이, 사이보그 슈퍼맨, 이래디케이터, 그리고 후술할 스틸 등 4인이 슈퍼맨의 후계자(정확히는 사이보그 슈퍼맨은 자신이 진짜 슈퍼맨이라 주장)로 활동하며 특히 스틸은 데뷔하니 얼마 안 되어 후술할 실사판 영화도 제작됐습니다. '스틸' 실사판 영화 Steel (1997) 스틸은 위에서 언급했듯 DC 코믹스에서 슈퍼맨이 사망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 새로운 슈퍼맨 4인들 중 한명으로 슈퍼맨 시리즈 55주년 (1993년)에 데뷔한 캐릭터이며 설정 상 과거에 슈퍼맨 덕에 생명을 건진 '존 헨리 아이언스'가 슈퍼맨이 사망하자 그를 기리며, 슈퍼맨의 의지를 이어갈 슈퍼히어로로 활동하게 되는 배경을 지닌 캐릭터였으며, 1930년대부터 데뷔해온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슈퍼히어로인 캐릭터들 중에서는 상당히 후배 뻘 (?) 위치에 있으면서도 데뷔 바로 다음 년도에 영상화 작품인 비디오 게임에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나오고, 데뷔 4년 후에는 TV 시리즈 출연 및 당시 90년대 인기 스타 샤킬 오닐을 주인공으로 캐스팅해 스틸이 주연인 실사판 영화과 실사판 영화 설정과 디자인으로 그려낸 홍보용 코믹스판까지 나오는 등 미디어믹스 작품 제작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보면 스틸은 데뷔 4년 만에 빠르게 영화화된 건 주목할만하나, 영화판이 나올 당시인 1997년을 기준으로 1930년대부터부터 거의 60주년의 짬밥을 쌓아온 슈퍼맨은 물론이고, 1950년대부터 슈퍼맨 시리즈의 스핀오프로 시작해 거의 40년의 짬밥을 쌓아온 카라 조엘 버젼 슈퍼걸과 비교해도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쌓아온 시기가 훨씬 짧았던 캐릭터였던지라 당시 나온 영화판도 워너의 슈퍼맨 시리즈 및 같은 슈퍼맨 스핀오프인 슈퍼걸 실사판과 비교해볼 때, 슈퍼맨의 죽음과 부활 이벤트 때 데뷔한 새로운 슈퍼맨 캐릭터들 중 스틸 반응이 좋으니 사람들 관심에서 잊혀지기 전에 유명인 캐스팅에 나머지는 저예산으로 제작해 극장에는 미개봉하거나 잠깐만 개봉하고, 유명인 나오는 작품으로 어필해 홈미디어의 부가 수익으로 수지타산을 맞추는 작품들 유형에 더 가까웠습니다.(이전에 소개한 헐크 호건 주연의 저예산 영화들과 얼추 비슷한 패턴이라 코미디 영화 '카잠'의 경우 나중에 인터뷰에서 개그 소재가 되기도) 실제로 이 작품의 제작 여건 역시 당시 기준 물가로도 열악했던 처지라 같은 워너의 슈퍼맨 계열 작품들 기준으로 제작비는 고작 1600만 불에 불과해 표면 상으로는 70년대 1편 제작비의 30%에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12%도 안 되는 수준이었고 # (역대 가장 저예산인 캐논 영화사의 슈퍼맨 4, 동시기 호러 영화 및 코미디 영화보다도 제작비가 부족했던 상황) 주연인 샤킬 오닐은 분명 유명 인기인이지만 덩치가 워낙 커 비슷한 키의 스턴트맨을 찾기 힘들어 운동 선수로 바쁘게 살아오느라 당연히 액션 연기를 전문적으로 쌓아온 경력이 없는 샤킬 오닐이 직접 다 연기를 해야되는 마당에, 정작 샤킬 오닐도 올림픽 출전 등 본업으로 바쁜 처지라 촬영을 차분하게 계획적으로 진행할 여유 없이 시간에 쫓겨 빨리 급조해야 하는 등 사실 상 정상적인 제작 자체가 불가능했던 상황에 처했고, 70년대 슈퍼맨 1편이 위의 상황처럼 제작비의 88%가 삭감되고, 12% 미만으로만 제작할 경우 동일년도 스릴러 호러 영화 '매직'보다도 제작비가 부족해질 지경의 악조건이었습니다.(DC 코믹스 세계관에 맞춰 비유하면 제작비 부족으로 인해 특수효과 비용 많이 드는 슈퍼맨은 진작에 토이맨의 인형이 휘두른 크립토나이트 단검에 찔려 사망하고, 토이맨이 로이스 레인까지 노리는 스릴러 호러로 내용을 바꿔야될 지경) 내용 역시 당시 워너 및 DC에서도 위에서 언급했듯 슈퍼맨의 결혼식을 TV판보다 나중에 해야된다거나, 비디오 게임에서 슈퍼맨은 발차기를 하면 안 된다거나 # 하는 등 슈퍼맨 캐릭터 사용에 있어 엄격하게 굴던 시절이어서인지, 저예산 영화인 이 작품에서는 슈퍼맨과 관련된 이야기가 모조리 삭제되어 주인공이 자신이 개발한 무기가 악용당하자 갑옷을 만들어 슈퍼히어로가 되어 자신이 직접 나서 해결하는 내용으로 각색됐고, 슈퍼맨 관련해선 작 중 잠깐 비유적 의미라는 뉘앙스로 언급되는 정도의 이스터 애그 정도로만 넘어갔습니다.(내용 면에서는 아이언맨 실사판, 유명 원작과 연계해 인기를 얻은 캐릭터인데 정작 실사판에선 유명 캐릭터 이야기가 삭제되고 다른 탄생기로 대체됐다는 점은 베놈 실사판 등의 선배격인 셈) 당시 워너에선 슈퍼맨의 영화 출연 프로젝트를 슈퍼맨의 죽음과 부활을 다룬 영화 '슈퍼맨 리브즈'에 집중하고 있었고, 이 작품은 여러 각본가들을 거치며 내용이 여러 버젼들로 바뀌며(기존의 전통적 분위기와 코스튬을 버리고 당시 대히트친 배트맨 실사판처럼 사람 죽는 내용도 나오고, 어두운 분위기에 갑옷풍 코스튬과 마스크를 장착하는 버젼이라든지, 북극곰과 거미 로봇을 출연시키려한 버젼이라든지, 슈퍼맨이 둠스데이에게 죽고 다시 부활한다든지, 브레이니악이 루터의 몸을 차지하는데 성공한다든지, 니콜라스 케이지도 단발 머리 버젼과 장발 머리 버젼, 갑옷 코스튬 버젼을 각각 테스트 촬영해본다든지 등등) 당시로선 예산 부담이 커진 내용의 각본이 되자, 당시 역대 각본 담당자들 중 한명으로 고용된 '댄 길로이'가 예산이 덜 드는 내용으로 수정한 판본에선 '샤킬 오닐'의 카메오 출연 장면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예산은 많이 들어갈 프로젝트인데 당시 워너 상황도 여유롭지 않아 해당 프로젝트는 무산됐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뉴스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아이러니하게도 결과적으로 극장 개봉한 슈퍼맨 관련 영화의 계보는 스핀오프 영화인 스틸 덕에 계보가 끊기지 않고 이어지기도.) https://www.cbr.com/what-was-the-final-nail-for-nicolas-cage-and-tim-burtons-superman/ 당시 이 작품은 위에 언급한 헐크 호건의 저예산 영화들처럼 대부분의 평론가들에겐 슈퍼맨 관련 영화들 중 스틸은 싸구려 B급 영화 취급이었는데, 극장에서 잠깐 개봉한 뒤 바로 VHS (비디오테이프), LD (레이저디스크)를 출시하는 등 홈비디오 시장을 메인으로 노리는 전략으로 전환했고, 부가 수익에서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두었는지 이후 시대가 흐르면서 새로운 광매체 및 디지털 판매 등도 이루어졌고, 2010년대에 '샤킬 오닐' 본인도 '카잠' 때와는 달리 스틸은 다시 연기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데 이어, 2020년대에는 팟캐스트 토크쇼 FIBW처럼 이 작품을 즐겁게 봤다면서 컬트적 지지를 보내는 이들도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들도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www.thewrap.com/every-superman-movie-ranked/ https://www.thewrap.com/shaquille-oneal-bad-news-kazaam-fans-good-news-anyone-liked-steel/ https://feeds.captivate.fm/filmsinblackandwhite/ 아래 내용은 TMDB에서 인용됐습니다. 금속 전문가인 존 헨리 아이언즈(John Henry Irons/Steel : 샤킬 오닐 분)은 그가 개발한 최신의 일급 초강력 무기가 도난을 당해 L.A.의 범죄조직에게 넘어가 악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L.A의 경찰국의 타락한 경찰 나다니엘 버크(Nathaniel Burke : 주드 넬슨 분)가 아이언즈의 무기를 스트리트 펑크족들에게 팔아넘긴 것. 사실을 알게된 아이언즈는 이를 막기 위해서 컴퓨터 천재와 철제 공장 일꾼과 의기투합하여 무적의 철갑을 개발하고 직접 나선다. 자신이 만들어낸 무기를 몸으로 막아낼 수 있는 방법은 그 자신이 철의 사나이로 변해버리는 것 밖에는 없었다. 아이언즈의 활약으로 점차 거리의 범죄는 없어지고, 이제 범죄 조직과의 최후의 일전만이 남는다. 이후에도 스틸은 계속 실사판, 애니판, 게임판에 나오며 슈퍼맨과 같은 작품들에도 나오며, DC 코믹스 90주년에 나온 DCU판 슈퍼맨 광고에선 드디어 '스틸'에 주연 배우로 나온 샤킬 오닐이 DCU의 새로운 맨 오브 스틸을 만나는 광고도 촬영했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뉴스 기사도 참고해주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msn.com/en-us/tv/news/shaq-meets-the-new-man-of-steel-in-latest-superman-ad/ar-AA1zbDxF?ocid=BingNewsVerp
콩라인박작성일
2025-07-26추천
0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