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152);
-

[정치·경제·사회] 이참에 고위공무원 싹다 한번씩 털자
2025년 정치인 재산 순위 BEST 30 1. 안철수 의원(국민의힘): 1,367억8,982만 원2. 박덕흠 의원(국민의힘): 535억320만 원3. 전봉민 의원(국민의힘): 395억5,949만 원4.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340억5,035만 원5.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333억487만 원6. 이주환 의원(국민의힘): 258억8,094만 원7. 윤상현 의원(국민의힘): 240억5,523만 원8. 한무경 의원(국민의힘): 191억8,345만 원9. 정우택 의원(국민의힘): 175억6,792만 원10. 강기윤 의원(국민의힘): 120억2,305만 원11. 서병수 의원(국민의힘): 110억5,678만 원12. 김은혜 의원(국민의힘): 105억3,214만 원13. 조경태 의원(국민의힘): 98억7,654만 원14. 김기현 의원(국민의힘): 95억2,341만 원15. 이채익 의원(국민의힘): 90억1,234만 원16. 김태흠 의원(국민의힘): 85억6,789만 원17.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 80억4,567만 원18. 이명수 의원(국민의힘): 75억3,210만 원19. 성일종 의원(국민의힘): 70억9,876만 원20. 이철규 의원(국민의힘): 65억4,321만 원21. 신원식 (국민의힘) - 60억 2,135만 원22. 유의동 (국민의힘) - 58억 9,762만 원23. 박대출 (국민의힘) - 55억 4,120만 원24. 이종배 (국민의힘) - 50억 1,987만 원25. 김영식 (국민의힘) - 48억 7,541만 원26. 정진석 (국민의힘) - 45억 2,873만 원27. 최형두 (국민의힘) - 43억 6,589만 원28. 윤영석 (국민의힘) - 41억 9,305만 원29. 김선교 (국민의힘) - 40억 2,134만 원30. 장제원 (국민의힘) - 38억 7,456만 원 상위 30명 중 28명이 국짐ㅋㅋ 한때 하위 4위였던 사람한테 뭐하는거고ㅋㅋ 국힘 이새x들은 뭐 자괴감이 좀 안드는가ㅋㅋ 한번 싹 같이 털고털리자ㅋㅋ민주당도 몇명 걸릴지언정 너네는 80%이상 다 털린다고 장담한다
-
-
-
-
-
-
-
-
-
-
[정치·경제·사회] 우리나라는 결국에 이민을 받아들일겁니다.
이미 많은 학계에 학자들과 경제 전문가들은 이렇게 예측합니다.솔직히 안 그러면 답이 안 나오거든요, 얼마 전 국회 보고서에서 계속해서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면2072년 나라 빚이 7천 조를 넘어설 것 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지금 당장 모든 신혼부부들에게 아이 둘 이상 낳으면 수도권에 아파트 한채씩 공짜로 준다고 해도지금의 저출산 추세를 반등 시키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 할때는 솔직히 기성 정치권에서 청년들에 대한 관심이 너무나도 없어요청년들 일 열심히 하고 연애하고 결혼하고 잘 살게끔 해주려면, 지금이라도 부동산 중심의자산 구조를 국가 주도로 서서히 바꿔가야 합니다. 근데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랬던 것처럼다주택자들 건물주들이 떵떵 거리며 그들의 자산을 불려주기 바빴고, 서울 수도권 몰빵 경제 체제로지방은 말라 죽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쭈욱 청년들에 대한 관심도 없으며, 지방이 죽거나 말거나 아무 상관 안 할 겁니다.왜냐? 우리나라 유권자 과반 이상이 서울 수도권에 몰려 살며 그들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이니까요정치인은 표를 먹고사는데, 부동산 잘못 건드렸다가는 표 다 떨궈버리니까요 자 그럼 대한민국이 저출산 고령화에서 살아남을 방법이 무엇인가요?명확한 해결책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댓글에 남겨주세요정말 아쉽게도, 아이 낳는데 국가 주도로 전폭적인 지원을 해도 지금 시기는 자발적으로출산율을 늘려서 인구 부양하기가 어렵습니다. 당연히 외부에서 인구를 땡겨와야 한다는 결론 밖에 안 나옵니다.제가 일전 게시글에 해외에 한국 교포들을 고국으로 전폭적인 지원으로 정착해서 먹고 살게 끔 하거나남북한 통일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남북 통일은 아마 우리 생에 정말 쉽지 않아 보이고재외 동포를 고국으로 정착하게 하는 방법도 쉽지 않습니다. 그럼 한국으로 이민 오기 원하는 외국인들을 최대한 받아들여야 합니다.아니 방법이 없습니다. 이것도 뭔가 해결책이 있다고 생각 하시는 분은 댓글 좀 달아주세요유럽처럼 미국처럼 난민들이나 불법 이민자들 막 마구 잡이식으로 받아 들이는게 아니라 고학력 혹은 기술을 가진 이민자들을 우대하되, 한국 사회에서 동화 되어 구성원으로 열심히 일하며 기여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시스템으로 최대한 선별하여 받아들이면 됩니다.이민해서 한국에 살면서도 여러가지 교육과 관리로 최대한 한국사회에 동화되어 살수 있도록지속적으로 케어 해줘야 합니다. 외국인 방송인 중에 샘해밍턴이나 조나단, 알베르토, 타일러 처럼외국인 이지만 한국 사람처럼 정착해서 잘사는 분들 처럼 만들면 분명히 국가 동력에 이바지하는 핵심 인적자원이 될 겁니다. 우리나라는 당장에 이민청도 없고, 외국인들이 정착해서 살기에는 환경이 그다지 좋은 나라가 아닙니다.지금이라도 귀화를 원하는 이민자들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며, 이민청 설립부터 준비해야 할겁니다.이 타이밍 마저 놓쳐버린다면, 진짜 한국은 소멸 하는 겁니다. 근데 그런 어리석은 선택은 절대 하지 않을 겁니다.그래서 모든 학자들이 이미 한국은 다문화 사회이며, 인구소멸 문제로 앞으로 이민을 적극 받아들이는방향으로 전환 할 거라고 예언합니다. 만약에 한국이 정말 인구가 천만 언더로 떨어져서, 인구 소멸 문제가 부각된다면 부자들은 이미자산 전부다 매각하고 달러로 전환하여 외국으로 이민 갑니다. 외국인 투자자들 한국에 투자 자금죄다 빼버리고, 여기서 더 나아가면 치안 국방 안보 제대로 국가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무정부 상태로멸망 할 겁니다. 그런데 아직도 여기 짱공에서도 이민자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하면, 동남아 갱단들이 범죄를 저지르고다녀서 치안이 불안정해지고, 아랍 이슬람 교도들이 한국에 국교를 이슬람으로 만들려고 한다고극단적으로 생각하시는분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이민 받아 들이는게 극단적인 PC주의라고하는 개소리를 하시는 분도 계셨고요 호주가 인구가 2천만 정도인데, 이민자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고, 1인당 GDP가 꽤 높은부국 입니다. 미국은 다 민족 국가로써 세계 최강 대국이 되었습니다. 지금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G7국가일본 제외하고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영국 전부 다민족 국가입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지금 굶어 죽을 위기에 있는데 빵이냐 밥이나 이거 저거 가릴 처지가 아닙니다.일단 뭐라도 먹고 살아남아야 합니다. 지금 처지가 그래요, 그래서 우리 모두 이민에 대해진지하게 토론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
-
-
[영화] 19세기, 1900년대 작품들 ft. 영화의 이해 TV특강
* 가능하면 이전과 중복되지 않는 작품들 위주로 소개하려 했으나 일부 중복된 내용도 있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현존하는 필름 가운데 역사상 가장 오래된 영화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1888년 단편 영화 '라운드헤이 가든 씬' (역사 상 최초의 영화이 어느 작품인지는 추가로 재발견되는 작품이 나올 때마다 갱신되는 중),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영화화한 1899년 단편 영화 '킹 존' 실사판, 우주 진출 소재의 소설을 영화화한 1902년 단편 영화 '달 세계 여행'과 1908년 영화판 등 19세기부터 영화는 다른 분야 작품들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단편 영화, 후술할 장편 영화, 원작 연극의 실사판, 실화의 영화화, SF 소설의 실사판, 일부 프레임에 수동으로 컬러 작업, 리메이크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이후의 변천사에 대해선 위의 TV 특강 영상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19세기, 1900년대 작품들 중 가능하면 이전과 중복되지 않게 일부나마 소개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할머니의 돋보기' Grandma's Reading Glass (1900) 기존에는 마치 연극처럼 풀샷으로 촬영한 경우들도 자주 있었으나, 1900년에는 클로즈업 등 다른 시도를 실험해본 영화들도 여럿 있었으며 이 작품 역시 돋보기를 사용한다는 내용으로 클로즈업 연출이 자주 나왔습니다. '푸른 수염' 실사판 'Barbe-Bleue' 'Blue Beard' (1901) 동명의 인기 프랑스 동화를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으로 사악한 귀족의 집에서 계속 여성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희생된 뒤 주인공이 8번째 아내로 가게 되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이 뒤의 내용에 대해선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www.directors.co.kr/bbs/board.php?bo_table=old_review&wr_id=574 '걸리버 여행기' 실사판 'Le Voyage de Gulliver à Lilliput et chez les Géants' 'Gulliver's Travels Among the Lilliputians and the Giants' (1902) 동명의 인기 소설을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으로 다른 작품들이 소인국 이야기만 다루는 경우도 흔했던데 비해 이 작품은 원제에서도 눈치채실 수 있듯 거인국 이야기도 다뤘습니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실사판 Uncle Tom's Cabin (1903) 선량하지만 고통받는 흑인 노예 톰을 통해 노예제의 비참함을 다룬 소설(후대에는 아무래도 톰이 수동적으로 보인다는 점이 당시 한계로 여겨진다는 반응이 나오기도)이 큰 인기를 끌자 이를 영화화한 실사판 자막으로 한국어 자막 영상으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없어진 아이' 영화판 The Lost Child (1904) 당시 기준으로는 최신(?) 실화를 영화화한 작품으로 잠시 한눈판 사이에 아이가 개집에 들어가있는 동안, 아이가 갑자기 없어진 걸로 여겨져 벌어지는 소동을 다뤘습니다. '립 반 윙클' 실사판 'La légende de Rip Van Winkle' 'Rip's Dream' (1905) 유럽 작품들을 실사화한 바 있는 조르주 멜리에스의 작품들 중 하나로 이번에는 미국의 1819년 소설 및 이를 원작으로 삼은 오페레타, 양쪽 다 원작으로 삼았으며 주인공이 20년 간 낮잠을 자다 깨어난 뒤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켈리 강도단 스토리' 영화판 The Story of the Kelly Gang (1906) 과거에 미국, 유럽 작품들 위주로만 이야기될 때는 1910년대 작품이 최초의 장편 영화인거마냥 오해받기도 했으며, 호주 작품들도 재발견 및 복원되면서 최초의 장편 영화 자리를 차지하게 된 작품으로 실존 강도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일부 장면이나마 복원되기도 했습니다. 이 작품에 관해선 아래 칼럼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최초의 장편 극영화 <켈리 강도단 스토리>가 상영되다 1906년 12월 26일 https://www.kmdb.or.kr/story/177/4797 '바다 밑 200마일 혹은 어부의 꿈' 'Deux Cents Mille Lieues sous les mers ou le Cauchemar du pêcheur' 'Under the Seas' (1907) 제목에서 볼 수 있듯 인기 소설 2만리를 패러디해 바다 밑 가지각색 풍경을 보여주다 실은 꿈인 걸로 밝혀지는 내용의 작품으로 후대처럼 여러 작품들 보며 패턴이 익숙해져 신선한 패턴을 원하는 매니아들이 나타나게 되는 시기와 달리 당시에는 제목으로 대놓고 스포일러(?)를 하기도 했습니다.(안타깝게도 이 글을 쓴 시점 기준으로 불완전한 복원판만 남은 상황) '기즈 공작의 암살' 영화판 'La Mort du duc de Guise' 'The Assassination of the Duke of Guise' 앙리 3세가 기즈 공작을 암살한 실화를 연극과 같은 형식으로 촬영한 예술 영화 작품으로 보다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악명 높은 ‘필름 다르’의 고전 <기즈 공작의 암살>이 개봉하다 1908년 11월 17일 https://www.kmdb.or.kr/story/17/1396 '올리버 트위스트' 실사판 'Oliver Twist' (1909) 불우한 처지의 고아가 주인공으로 주변에 주인공을 데려와 범죄에 악용하려는 사악한 인물 및 주인공을 데려와 도우려는 선량한 인물이 나타나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콩라인박작성일
2025-02-11추천
0
-
-
-
-
-

[엽기유머] 페이트)그시절 타입문의 우당탕탕 페스나 제작기
2001년 10월 TYPE-MOON 스튜디오 작업실 개설 (창립멤버: 나스 키노코, 타케우치 타카시, 키요베, 하가 케이타, OKSG) Fate/stay night 기획 스타트. 나스 키노코: 플롯 제작, 타케우치 타카시: 캐릭터 디자인 개시 시나리오 제작할 때는 혼자 있고 싶다고 어리광을 부려 사무소 제일 안쪽에 자리 배치 2002년 1월 코야마 히로카즈 영입. 작업 중의 손의 움직임을 디지털 카메라로 포착할 수 없었던 일화로 갓핸드 코야마라는 이명을 부여 2002년 2월 멜티블러드 시나리오 완성 2002년 3월 Fate 플롯 거의 완성 2002년 4월 첫 사원 온천여행 (군마현) 타케우치, 나스의 운전실력 “살아서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어”라고 각오를 다짐 나스, 장난으로 두부가게 근처서 드리프트했을 뿐 발언 OKSG, 차 안에 이니셜D CD 갖다 둔거 누구냐? …난가 발언 키노코, 여행지에서 Fate 플롯 나눠줘도 아무도 안봐주자 킬 리스트에 전원의 이름을 새김 2002년 8월 Fate 발매예정일 그 첫 번째. 원래는 동인게임으로 여름 코믹마켓에서 판매 예정이었음 코믹마켓에서 바스타월 제작 찬성파(타케우치) vs 반대파(나머지)의 대입으로 타입문 해산 위기 나스, 세이버루트 클라이맥스 직전 수술로 입원 BLACK 영입 "저 열심히할게요! 와, 이게 스케줄표인가요! …어라? 여기에 적힌 발매 예정일 벌써 한참 지났잖… 우와, 뭐야 ㅇ…" BLACK 스탠딩CG 채색 업무 시작 (코야마 생존률 상승) 2002년 9월 나스, 세이버 루트 탈고 후 Fate 작업 동결 멜티블러드 작업에 돌입 2002년 10월 에비스의 독일 요리 전문점에서 타입문 상업화 결의. 이른바 에비스의 맹세 2002년 12 Fate 발매예정일 그 두 번째. 멜티블러드가 여름 코믹마켓 예정이었으니, 페이트는 겨울 코믹마켓에서 발매! 라고 의기투합했던 기억. 어느 쪽이든 실현하지 못했음 C63에서 멜티블러드 판매 나스, 겨울 코믹마켓 발매를 위해 어떻게든 린루트 탈고 성공 2003년 1월 코야마, 외주 준 배경이 전부 나와서 그 이후 오니처럼 전부 리터치. 하지만 이것도 전부 BLACK한테 맡겨버리자 발언 BLACK "이른 새해부터 코야마한테 선물 받았는데 이거 반송되나요?" 2003년 2월 Fate 발매예정일 그 세 번째. 겨울 이야기니깐 겨울에 발매하자라고 했지만 어김없이 연기 사쿠라 루트 플롯 재구성 키노코와 타케우치의 밀담에 의해서 용기를 내서 이리야 루트 컷하기로 결정. 굿바이 이리야 2003년 3월 츠키바코(월희 합본판) 제작. 미니미니 시나리오 추가. 앗, 설마 사츠키 시나리오? “가르쳐줘! 미니 알퀘 선생!” 이었음 2003년 4월 상업화에 어울리는 사무소 개설 츠쿠리모노지 영입 동인서클 타입문 활동 정지. 나스, 집에서 작업 시작. 사쿠라 루트 제작 개시 2003년 5월 홈페이지에 그래픽 담당 모집 BLACK, 냉정하게 말하면 그래픽 담당 2명은 좀 무모했음 발언 타케우치, 마릿수에 안드는 나 아오츠키 "가볍게 문의를 넣었는데 후일 선고의 통지 메일이… 어라?" 2003년 6월 아오츠키 타카오 영입 2003년 7월 그래픽 팀, 여름의 배수진. 스탠딩CG 작업 완료 BLACK, 스탠딩CG 너무 많아서 확인 작업에만 하루가 날아갈 정도 코야마, 난 살아남았다고 발언 사쿠라 루트 탈고. 키노코 해방되다 코야마 "츠쿠리모노지 연출을 눈으로 마주하니 사쿠라 루트도 수정해서 그림 소재를 늘리는 방향으로 결정… 또냐" 2003년 8월 나스, H씬 시나리오 작성. "아사쿠사 다리의 마츠리, 에도가와 불꽃놀이 대회의 소리를 들으면서 H씬 쓰다니 살려줘" 2003년 9월 F 나스, 텍스트 수정 그 첫 번째. 츠쿠리모노지의 연출에 활력을 넣기 위해 시시한 문장을 삭제. 분기 텍스트 작성 개시. 리미트는 3주간 2003년 10월 그래픽 팀, 겨울의 배수진. 기본 그림 소재 작업 완료. Fate 체험판 공개 각각 개별 파츠였던 Fate가 착실하게 게임으로 하나로 완성되는 중 츠쿠리모노지 “역시 연출은 수수한게 최고라구요!” 후회 중 BLACK “이제 돌이킬 수 없다네, 나무관세음보살” 2003년 11월 나스 생일에 맞춰서 추억보정 효과를 노려봤지만 연기 알파판 완성. 테스트 플레이 타케우치, 총 플레이 시간 60시간 이상이라 발각 키요베, 발생조건이 불명확한 버그가 나와 풀죽음 나스, ‘그것(정황상 타이가 도장)’을 작성 시작. 리미트는 3일. 그래픽 팀, 그것의 그림 소재를 작성 2003년 12월 게임 제작 작업 거의 종료. 남은 건 디버그디버그디버그디버그디버그디버그 초회판 특전 fate/side material 제작 개시 2004년 1월 마스터업 인쇄물 관련 제작 개시. 패키지 담당, 불같은 7일간 점포 특전 제작. 예정된 온천 여행 취소 코야마 “판촉용 전화카드랑 전화카드랑 전화카드랑… 안끝나” 타케우치 “이런 바보라 미안해…” 공식 통판 특전 제작 OKSG “우리들 언제고 이렇게 만들것 같은데…” 사장 “우리들은 죽을 때 까지 이럴거야” Fate/stay night 발매 돌고 돌아서 우연히도 당초 예정된 시기에 내보낼 수 있었다는 것으로. 타케우치 “TYPE-MOON은 결과적으로 올라잇 이라는게 좌우명이니깐” 전원 “타케우치가 기뻐하고있어!” -------------------------------------------------------------------------- 우당탕탕 대환장 제작기
코이스타작성일
2024-11-28추천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