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143);
-
-
-

[엽기유머] 싱글벙글 세계 유튜브 구독자 TOP15
15위 추추TV (인도) 이 네트워크는 영어와 힌디어로 된 전통 동요를 특징으로 하는 2D 및 3D 비디오를 제공하고있다. 14위 블랙핑크 (한국) 지수,제니,로제,리사 총 4명의 멤버로 구성되어있다. 한국에서 단연 가장 성공한 걸그룹으로 평가받고있다. 13위 소니 SAB (인도) 처음에는 힌디어로 된 인도의 코미디 채널이였으나 소니가 2005년 인수합병하였고 급속한 성장을 거쳐 거대 엔터테인먼트 채널이 된것. 12위 스토크스 트윈스 (미국) 중국 태생이지만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 출신이며 쌍둥이다. 인터넷 유명인이며 코미디와 단편 브이로그가 주 장르지만 최근들어 미스터비스트와 컨텐츠 성향이 점점 비슷해지고있다. 그래서인지 구독자도 매우 빨리 늘어나는추세. 11위 골드마인 (인도) 인도의 유튜브 채널인데 여러모로 미스테리한 상황이다. 최근 급격한 구독자증가세를 보였지만 조회수는 거의 나오지않는 상황이고, 컨텐츠와 영상의 퀄리티도 매우 낮다. 10위 WWE (미국) 미국의 프로레슬링 프로모션이다. WWE는 글로벌 통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성장했기때문에 레슬링 이외에도 영화, 축구 및 기타 다양한 사업 벤처에도 진출했다. 현재 미국 미디어 기업 엔데버가 WWE를 소유하고있는 상태. 9위 퓨디파이 (스웨덴) 스웨덴의 게임 유튜버이자 코미디 유튜버이다. 유튜브 역사상 가장 오랜 시간동안 전세계 구독자 1위를 유지한 타이틀을 가지고있으며 현재는 브이로그, 뮤직 비디오등 컨텐츠가 확장되었다. 8위 지 뮤직 컴퍼니 (인도) 인도의 음악 레이블 회사. 주로 뉴델리에서 사업 활동을 수행하며 이 회사는 짧은 기간내에 발리우드 음악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게되었다. 그러나 어째서인지 스포티파이는 지 뮤직 컴퍼니의 모든 앨범을 삭제했고 그로인해 스포티파이에서 지 뮤직 컴퍼니의 음악은 들을수 없게됐다. 7위 라이크 나타샤 (러시아-미국) 러시아 출신의 미국 유튜버. 나타샤의 콘텐츠는 주로 아동 노래, 교육 엔터테인먼트, 제품 언박싱, 블로깅, 롤플레이 등이 있다. 나타샤의 아버지는 작은 건설회사를 소유했는데 유튜브를 시작하기위해 회사를 매각했고, 유튜브 채널은 성공적이였다. 2018년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이주하였고 2019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크리에이터중 한명이 되었다. 6위 키즈 다이애나 쇼 (우크라이나-미국) 우크라이나 출신의 미국 유튜버. 공교롭게도 위의 나타샤와 업종이 완벽하게 겹친다. 교육 엔터테인먼트와 언박싱, 블로깅, 롤플레이 등이 주 콘텐츠.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다이애나는 취미로 유튜브 동영상 제작을 시작했고 잠재력을 알아본 부모가 일을 그만두고 유튜브 활동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었다. 가족은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매미로 이사했고 2020년에는 미디어 기업들과 체결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유튜브외에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로쿠 컴퍼니 등에서도 애니메이션이 유통되는중. 5위 블라드 앤 니키 (러시아-미국) 구독자 = 약 1억 2800만명 놀랍게도 6위, 7위와 업종이 완벽하게 겹친다. 그러나 블라드 니키 채널같은 경우는 한술더떠 자신들의 브랜드를 내세운 장난감을 판매하는등 완구사업에도 손을 대고있다. 2019년 이 형제는 영상 하나당 약 31만달러, 한국돈 4억원정도의 돈을 벌어들여 영상 한편당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유튜버로 평가되었다. 4위 인도의 엔터테인먼트 기업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소니 픽처스의 자회사 소니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이 소유 및 운영하고있다. 현재 3위 코코멜론 (영국) 영국 미디어기업 문버그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 이 채널은 전통 동요와 오리지널 동요의 3D 애니메이션 비디오를 전문으로 다루고있으며 현재 유튜브 구독자 3위일뿐만 아니라 조회수로는 2위이다. 채널규모가 커졌다보니 넷플릭스 TV쇼, 특별 이벤트 및 지속적인 제품 다각화를 통해 여러 언어로 확장되고있다. 2위 T시리즈 (인도) 인도 음악 레코드 케이블이자 영화 제작사. 주로 힌디어 영화 사운드트랙과 인디팝 음악으로 유명해졌다. T시리즈는 현재 인도 최대의 음악 레코드 케이블로 인도 음악시장 점유율 35%를 차지하고있다. 1위 미스터비스트 (미국) 미국의 유튜버이자 인터넷 셀러브리티, 사업가이다. 그는 정교한 챌린지와 수익성 있는 경품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고품질의 비디오로 유명하다. 영상을 보면 느끼겠지만 스케일이 매우 크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에 나올법한 편집방식을 갖추고있다. 처음에는 저품질 무편집의 마인크래프트 게임영상을 올리는 개인채널이였으나 2017년 1부터 100000까지 세는 동영상을 편집없이 업로드해 큰 조회수를 얻었고 본격적인 바이럴이 되기시작했다. 그후 그의 비디오는 점점 더 웅장해졌고 사치스러워졌으며 수익의 절반을 컨텐츠에 재투자하다보니 스케일은 갈수록 커지고있다. UR 크리스티아노 (포르투갈) UEFA 챔피언스리그, 유럽 챔피언십, 유럽 네이션스리그 경력동안 총 33개의 트로피를 얻었으며 공식적으로 900번이 넘는 골을 기록하며 역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그는 이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총 10억명이 넘는 팔로워수를 보유하고있는 최초의 인물이지만 공교롭게도 유튜브에는 진출하지않다가 2024년 8월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으며 현재 3개월만에 구독자 7000만명 돌파를 앞두고있다.
-
-
-

[밀리터리] 데이터)실물로 보는 총기시대 유럽갑주의 변화
갑옷이라는 건 시대나 전장환경에 따라서 변하는데, 중세말 플레이트 메일이 본격적인 총기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알지만, 이게 정확한 무게나 제원이 어떻게되는지는 잘 안다루던 것 같습니다. 보다 더 많은 표본을 살펴보면 좋겠지만 여기서는 간략하게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품 7세트(부록까지 더하면 8점)를 살펴보며 대략 어떻게 변하는지 개략적으로 소개해볼까 합니다. 소개문까지 캡쳐되었으니 찾으실 분들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제원으로 찾아보시면, 원소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 저작권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습니다. 트렌지셔널 아머(Transitional Armor), 1400~1450년 이탈리아 사슬갑옷(Chain Mail)에서 플레이트 아머(Plate Armor)로 넘어가는 시대의 과도기적 갑옷이라고 하는 트렌지셔널 아머입니다. 흉곽에 붙은 흉갑은 브리간딘으로 알고있습니다. 천이나 가죽 등 유기물과 철편을 엮어서 만든 갑옷으로 원론적인 분류에서는 한국의 두정갑과 동일하다고 알고있습니다. 갑옷의 신장도 표시되어있는데 168.9cm고 무게는 18.6kg입니다. 매번 나오는 서양갑옷은 보기와는 다르게 가볍다는 갑옷의 예시라 할 수 있겠네요. 물론 자세히 보시면, 손은 가죽 건틀릿이고, 허벅지 보호구는 뒷허벅지랑 엉덩이가 비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승마 때문에 굳이 없어도 되서 뒷부분은 비어있는 것 같네요. 신발은.. 신발은 모르겠습니다. 저거도 브리건딘으로 쇠찰편이 있는지 없는지.. 직접 문의해봐야 알 것 같네요. 아참 본문과 상관없는 TMI 인데, 사슬 갑옷은 Mail이라고 하고, 판금 갑옷은 Armor라고 해서 영어에서는 이 둘이 따로 분리되고 섞어 쓰면 안되더라구요. 올해에 들어서야 알았습니다 ㅠ 이시대 실 갑옷의 활동성은 아래 동영상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플레이트아머 고딕양식, 15세기 후반 독일 1의 갑옷이 15세기 초중엽인데, 이 고딕양식 플레이트 아머는 15세기 후반추정 작입니다. 무게만 일단 보실건데, 투구를 제외한 전 갑옷의 무게는 20.53kg입니다. 그러면 투구를 포함하면 어느정도냐..? 이 유물이랑 똑같이 생긴 투구 무게를 참조하면 2.3kg 가량 추가되서.. 넉넉하게 봐서 총무게 23kg 될 것 같네요. 아래는 참고한 투구 유물입니다. 1과 다른 부분이라면 1과 달리 손가락까지 철제로 둘러싸는 건틀릿을 끼고있고, 허벅지 보호구도 뒤에까지 둘러싸여 있는데다, 신발부도 눈에띄게 철로 둘러쌓고있습니다. (1) 부록 : 막시밀리언1세 투구, 15세기 중엽~16세기 초반 독일 3. 플레이트 아머 1535년 독일 앞의 이탈리아 트렌지셔널 갑옷이랑 다르게 이친구는 관측사진이 홈페이지에는 이것밖에 없습니다. 뒷면사진도 보이면 좋을텐데 조금 아쉽습니다 ㅠ 표기에 As mounted h 77in이라고 써있는데 말에 탔을때 높이가 이정도인지 섰을때 높이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건 뭐 그러려니 넘어가고 무게에 집중하면 27.85kg 입니다. 1의 갑옷이 18~19kg이니까 10kg 가량 더 무거워서 조오금 육중해집니다.ㅎㅎ 유물 3점 정도를 살펴봤을때 알 수 있는 특징은 무게가 조오금씩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그래도 이후에 등장하는 본격적인 화기 시대에 비하면 변화정도가 미미?한 편에 속합니다. 흉갑기병이라거나 하카펠 기병이라거나 본격적으로 대포와 총기가 쓰이기 시작하면서 약소화?되었다는 갑옷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4. 퀴레시어 갑옷(1), 1610년 이탈리아 육안으로 확연하게 보이는 모습은 이제 허리랑 허벅지가 두꺼워져서 뚱땡이가 된 모습입니다 ㅎㅎ 정강이를 보호해주는 하반신 보호구인 그리브Greave와 발의 보호가 생략되고 손에 끼우는 갑옷인 건틀렛도 손가락부분은 제외된 모습입니다. 그러면 무게는..? 39.24kg… 이야 한 7~80년전 갑옷인 3이 무거워져서 28kg 조금 안되던 것에 비해 11kg 늘었습니다. 이무렵부터의 갑옷 특징은 보호구를 조금씩 줄이고 총탄을 맞을만한 부위의 두께를 늘리는 식으로 모양이 변화하게되는데, 부위가 집중되면 무게는 그대로일줄 알았는데, 두께가 늘어나니 당연히 무게도 한 11kg 늘어나네요 ㅠㅠ 아참, 정강이를 보호하는 그리브의 경우 2의 고딕갑옷 것이 944g입니다. 생각보다 이 부위를 제외한다고해서 경감할 수 있는 무게의 폭이라고 해봐야.. 많이쳐줘도 2~3kg? 일 것 같습니다. 5. 퀴레시어 갑옷(2), 1621년 네덜란드 이친구도 거의 별반 다를 바 없습니다. 아까보단 조오금 날씬해져서 36.45kg 입니다. 6. 퀴레시어 갑옷, 1623년 이탈리아 이친구는 위에 4~5에 비하면 그냥봐도 날씬한데,총무게가 명시가 안되어있어서 다 더해보자면.. 어… 22.876kg 입니다. 앞에 뚱뚱이들이 36~39kg이나 하는 덕택에 훨씬 가벼워보이지만, 1의 트렌지셔널 아머랑 비교해보면 정강이보호구가 없는데 4kg정도 더 무겁습니다. 나머지 4kg가 주요 피격부위에 더해졌다? 상상히면 될 것 같습니다. 7. 하카펠 기병 1683 ~ 1706년 포르투갈 국내에서 그냥 이렇게 입은 기병을 하카펠 기병으로 일컫기 때문에 이렇게 썼는데 박물관 도록에 나와있는 건 하퀘부시어(Harquebusier)네요. 원명칭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좀 부탁드립니다. 그냥 사전에서는 Arquebusier(총병)이란 같은 동의어라고 읽히는데 기병일 때는 어떻게 바뀌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그래도 17세기 초에서 20~30년까지는 갑옷으로 방어부위가 조금 되는 편이었는데, 위 사진에 해당되는 17세기 말 ~18세기 초가 되면 그것마저도 더 줄어듭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방어부위는 상반신 가슴을 가리는 흉갑, 투구그나마도 얼굴을 가리는 부위는 사라지고 건틀렛도 왼손만 남습니다. 그나마 왼손 건틀렛은 방패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유물은 특이하게도 흉갑부가 3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방/후방 으로 2부분, 그리고 전방부에 보강철판이 하나 더붙어서 앞부분 철판만 사진에 나오듯이 2개입니다. 그래서 무게는 가볍냐? 흉갑무게만 19.6kg, 투구무게 4.354kg, 건틀릿 953g 으로 총무게 24.907kg 입니다. 장갑, 투구, 가슴판, 장갑만 낀게 다인데 거의 25kg이죠. 14~15세기경인 1의 트렌지셔널이 18~19kg, 2의 고딕갑주가 23kg, 3이 28kg이 조금 안되는거 감안하면, 방어부위도 저렇게밖에 안되는데 더럽게 무거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ㅎㅎ 사실상 방탄의 목적으로 더 적게 보호하고 두꺼워져서 무거워진거라 볼 수 있겠습니다. 이시대 이후에는 이마저도 갑옷이 싹 사라지거나 흉갑 앞부분이랑 투구만 쓰거나 아니면 그것조차 안입고 다니다가 18세기말 19세기초 나폴레옹 시대에 가서야 흉갑과 투구가 부활한 퀴레시어로 재탄생하게됩니다. 물론 이마저도 다시 시대가 흐르면 싹 사라집니다 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줄요약 : 총기 등장이후 갑옷이 면적이 줄어들지만 두께랑 부피는 늘어나 무게는 더욱 증가 참고출처 : https://www.metmuseum.org/
-
-
-

[엽기유머]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시리즈]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시리즈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3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4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5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군붕이들 ㅎㅇ 오늘도 국군 프라모델 정리하려고 왔음. 현재 남은 건 오늘 다룰 해상장비랑 피규어, 그리고 미처 못 다룬 키트들인데…미처 못 다룬 키트가 꽤 되더라고. 특히 에어로(항공장비) 부분이 그럼. 그래서 해상장비 먼저 쓸지, 항공장비 또 쓸지 고민했는데 그냥 해군 꺼 먼저 쓰려고 함. 왜냐면 해상장비 기다리는 친구들 꽤 있을 거 같고 또 키트가 너무 적어서 금방 다룰 수 있을 거 같거든. 그럼 ㄱㄱ~ LPH-6111 독도급 대형수송함 1/700 독도함 키트는 인젝션으로 나왔음. 역시 아카데미에서 발매했고 헬기 총 3기(링스, 블랙호크, 수리온) 포함임. 참고로 MCP 사양이라 도색 없이도 그럭저럭 만들 순 있음. 예전에 이마트 콜라보 한정판이 나온 적도 있었음. 얘는 에칭 포함임. 할인도 했는데 재고가 아직 있으려나? 예전에 아트웍스에서 에칭을 발매했는데 그건 구하기가 어려워졌음. 그 대신 대용품으로 테트라모델에서 에칭을 내놓았음. 다만 일부 모형샵에서만 팔고 있으니 알아두셈. 파인하비라든가. 또한 1/700 레진으로도 출시된 적 있음. 오랜지하비에서 도크도 열리게 만들었음. 마찬가지로 오렌지하비에서 동스케일 LCAC에 K-711A1, K-9, K1A1, K-21, AAV-7A1 등등을 부가상품으로 내놓았음. 2. PKG-711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놀랍게도 나왔음. 단, ⅓50이나 1/700이 아닌 1/87 스케일임. 나보모델(NB Model)에서 3D 프린트로 뽑아낸 키트임. 그래서인지 제품도 굉장히 큼. 참고로 이 회사는 앞으로 더 소개할 해군 장비 일부와 거북선, 왜선 등등도 판매하니 알아두셈. 3. DDG-991 세종대왕급 구축함 울프팩에서 출시한다고 예고했는데 아직 안 나옴. 1/700 스케일임. 그래도 레진으로 나오긴 했음. Salv Model에서 1/700으로 출시함. GG Model에서도 동스케일로 내놓았고. 4. PCC-772 포항급 초계함 우리가 아는 그 유명한 천안함 맞음. 북한이 공격해서 침몰해버린 바로 그 함. 북괴 씹새끼들. 아주 예전에 아카데미에서 ⅓50 한정판 키트를 발매했었음. 에칭도 포함해서. Doggy industries에서도 1/700으로 발매했음. 5. SS 손원일급 잠수함(독일 214급 잠수함) 얘도 나왔음. 레벨에서 1/144라는 큰 걸로 냈음.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도 가능한 듯. ⅓50으론 울프팩이 내놓았음. 형상이 다른 레진 함수와 슈퍼링스 2대도 동봉함. 원본 214급도 내놓음. 얘도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 제작 가능. 6. DDH-II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얘도 1/700 GG Model에서 출시됨. 7. DDH-I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1/700 GG Model 출시. 8. LST-1 운봉급 전차상륙함 놀랍게도 인젝션으로 발매됨. 먼저 ⅓50으로는 Type-2 사양으로 AFV 클럽에서 내놓음. 참고로 동사에서 바다 베이스도 판매하니 알아두고. 1/700으론 일본 업체 피트로드(Pit-Road)에서 발매했음. 구성은 대충 요럼. M4 셔먼 전차, ½ 트럭, ¾ 웨폰캐리어, LCVP 등등. 9. DD 충북급 구축함(미국 기어링급 구축함) 완전 똑같은 사양은 아니지만 ⅓50으로 나옴. 드래곤제 기어링급(셔벌리어함)으로 출시됨. 다만 난간 부품이 없고 개조가 좀 필요함. 또 동스케일 오렌지하비의 대만 함정 De-Yang(DDG-925)으로도 얼추 맞음. 얘도 기어링급이거든. 오렌지하비 1/700 데양에도 기어링 함포 붙이고 개조 좀 하면 재현 가능하대. 10. PC-701 백두산함 (미국 PC-461 구잠함) 6.25 전쟁 때 활약한 백두산함임. 1/87로 나보모델에서 만들었음. 참고로 미국 거와 한국 게 다른 점이 좀 있음. 제일 대표적인 것이 바로 후방에 탑재된 3인치 함포임. 백두산함은 함포를 제거하고 대신 중기관총을 거치함. ⅓50은 Hellenic Ship Model에서 나온 게 있음. 그리스 업체고 2023년도에 나왔는데 PC-461 사양임. 1/700으론 Five Star Model 상품이 있음. 11. DD 충무급 구축함 (미국 플레처급 구축함) 완전히 같진 않더라도 키트로 나옴. 미국 업체 Aquacraft Models에서 1/72로 만들었음. ㅈㄴ 클 듯. 레벨에서도 1/144로 나왔음. 근데 요새는 잘 안 보이는 듯. ½00 사양은 트럼페터에서 뽑음. ⅓50으로는 타미야, 트럼페터에서 출시함. 트럼페터는 DD-537 술리반함임. 피트로드, 트럼페터, 타미야에서도1/700으로 뽑았음. 피트로드 건 자위대 사양임. 12. DD 대구급 구축함 (DD-692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Blue Ridge Models, Iron Shipwrights 등등에서 ⅓50으로 내놓음. 근데 동스케일은 찾기가 좀 어려워보임. 1/700은 역시 피트로드가 뽑음. 벌써 50장 다 채웠음. 담에는 배 약간하고 포탑, CIWS 등등으로 다시 오겠음. 끝까지 읽어줘서 ㄱㅅ!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0640
-
-
-
[엽기유머] 강대국들이 내걸었던 슬로건.jpg
포르투갈 제국 -단결은 이제와 항상 영원히 가장 강력한 힘이다.(Vis Unita Maior Nunc et Semper)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하느님이 우리편에 계시니 그 누가 대적하리오(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 러시아 제국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계시노라!(Съ нами Богъ! / С нами Бог!) 이탈리아 왕국 -F.E.R.T *F.E.R.T가 무엇인지는 제대로 밝혀지지 않음 독일제국 -신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라질수도 없고 분열될 수도 없다( 네덜란드 왕국 -나는 유지할 것이다.(Je Maintiendrai) 소비에트 연방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미국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In god we trust 에스파냐 제국 -저 너머 프랑스 공화국 -자유, 평등, 우애(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 일본제국 -팔굉일우 * 나치 독일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대영제국 -신과 나의 권리(Dieu et mon droit) 강대국은 아니였지만 대한제국 光明天地(광명천지, 모든 땅에 밝은 빛을 내리리다.)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
[엽기유머] '실패한 잼버리 잊어달라'...전북, 42조 올림픽 승부수
【파이낸셜뉴스 전주=강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공식 선언했다. 환경과 사회에 친화적인 미래형 올림픽을 개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지만,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해결 과제가 산적해 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36회 2036년 하계올림픽 전북 유치를 선언했다. 전북이 제시하는 올림픽 핵심 개념은 3S(스마트 디지털·지속가능성·사회적 화합)와 4W(하드웨어·소프트웨어·스마트웨어·휴먼웨어)다. 디지털 혁신을 통한 효율적 운영, 친환경 인프라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대회, 세계가 참여하는 사회적 화합을 강조한다. 전주와 새만금 등을 중심으로 조성할 경기장은 저탄소·저비용 건축 방식으로 설계하며, 기존 경기장 22곳을 적극 활용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한다. 광주시와 충남도 등 인접 도시와 시설 사용을 협의해 신설 경기장은 4곳에 불과하다. 주경기장은 전주월드컵경기장을 증축해 사용하고, 스마트 교통시스템 ‘J-이지 패스’를 구축해 경기장, 선수촌, 미디어센터를 잇는 최적의 교통편의를 제공한다. IOC가 요구하는 4만 명의 대회 관계자 수용을 위해 1만7820명 규모의 숙박시설을 건립한다. 대학교 생활관과 연수원 등 유관기관 숙박시설로 1만4051명을 수용할 계획이다. 부족분은 시니어 레지던스 5000실을 3개 도시에 분산 건립해 올림픽 기간에 활용하고, 대회 종료 후 민간분양 및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올림픽 개최 예산을 10조2905억 원으로 추산했다. 재원 조달은 국비 2조278억 원, 지방비 7360억 원, 공공기관 2조6202억 원, IOC 지원금·스폰서십 3조665억 원, 사업수익 8047억 원, 라이선스·기부금 등 1조353억 원을 계획했다. 하계올림픽 유치로 예상되는 경제 파급효과는 42조 원이다. 관광객 증가와 인프라 확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전북의 국제 위상 향상이 기대된다. 다만 서울시와의 유치 경쟁이 예상되고, 지난해 새만금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 파행으로 부정적 이미지가 있는 전북이 초대형 국제행사인 올림픽을 유치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로 전북은 세계와 함께 도약하고, 지구촌의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는 장을 마련하겠다”며 “1년 반 전부터 치밀하게 준비했으며, 발표 시기를 한인비즈니스대회 이후로 잡았다”고 덧붙였다. 김관영 지사나 오림픽을 준비하는 전북인사들의 진지한 모습에 솔직히 우습기도 하고 한심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뭐….잘 해낸다고 다짐했으니, 잘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사람 다 빠져나가고 없는 전라북도에…뭘 유치하겠다고 저러는 것인지…그냥 한숨만 나올 뿐입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