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306);
-
-
-
-

[엽기유머] 스압)최근 본 올드카들
가끔 글쓰는 차붕이임다 ㅇㅅㅇ 저번 글 메인 보내줘서 ㄱㅅㄱㅅ 오랜만에 길가다가 본거 올려봄 재규어 XJR 일반 XJ는 90년대 수입되어서 꽤 많이 남아있는데 얘는 진짜 보기 힘든 슈퍼차져 달린 XJR 기아-머큐리 세이블 1세대는 국내에 남아있는게 얘 포함 두대라고 들었음 푸조 306 카브리올레 페이즈1 90년대 푸조 수입해오던 동부 산업이 들고왔던 306중에 하나 같음 97년식이던데 IMF때 사업 철수 직전에 팔린듯 갤1 요새 5등급정책 덕택에 많이 사라진듯 이거 법원에서 위법으로 판결났던데 ㅋㅋㅋㅋ 벤츠 w124 마스터피스 1995년 단종 직전의 한정판으로 내장재에 호두나무 원목을 사용한게 특징임 얘 플랫폼으로 탄생한게 쌍용 체어맨 후기형 지프 체로키. 경남 번호판에 등화관제등까지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음 독특한 컬러의 초기형 체로키 아쿠아 펄이라는 순정색상인데 체로키 색 중에 저게 제일 맘에 듬 ㅋㅋ 휀더미러가 눈에 띄던 닛산 세드릭 일본가면 택시로 종종 보이던 차라 반가웠음 ㅋㅋ 전두환과 김정일이 사랑한 애마였던 메르세데스 SEL. 지금도 마니아들 덕에 꽤 많이 남아있는것 같음 미군불하 K5 블레이저 투박한 미군불하차를 깔끔하게 리스토어 하신 차주분의 정성이 느껴짐 서울 한자리 번호판이 인상적이었던 롤스로이스 실버스퍼. IMF 이전 인치케이프라는 영국계 회사에서 들여왔었는데, 당시 판매가가 2억이 넘었다네요 참고로 89년도 강남 40평대 아파트가 1~2억이었음 일본택시의 대명사인 컴포트의 베이스가 된 10세대 토요타 크라운 대구 지역번호판이었는데, 어느나라에서 넘어온건지 좌핸들이었음 아마 10세대 크라운이 수출나갔던 대만이나 필리핀 같은 나라에서 들어온게 아닌가 싶음 출시 당시 광고와 카탈로그 표지를 장식했던 자주색/담갈색 투톤의 스포티지 콩코드 2.0DOHC 엔진을 얹은 MRDi 트림이었음 서울 지역판 그랜드체로키 저 블록쌓기 해둔 해드램프는 묘하게 끌림 뉴엘란트라 예전 집 차 생각이 나서 보일때마다 찍는듯… 엘란트라 1세대 아우토반에서 포르쉐 발라버리는 광고로 워낙 유명했던지라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는것 같음 기아 하이베스타 EST 지붕에 루프캐리어가 있는데 EST 트림부터 선택 가능했던 순정 옵션이라고 함. 레저층을 공략한다고 4륜구동까지 내놨는데, 실적은 별로였음 토요타 마크 2 예전엔 한국에 중고로 꽤 많이 수입됐었는데, 이제는 많이 사라진듯 ㅠ 로버 미니 1959년에 출시해서 2000년까지 거의 반세기를 큰 변화없이 판매한, 아이코닉한 클래식 미니. 로버 그룹이 BMW 산하에 있던 1998년식인데, 오스틴 룩을 하고 있었음 센과 치히로에서 부모님 차로 나오는 A4. 거기서는 콰트로 달린 4륜이 나오던데, 얘는 그냥 1.8인듯 미야자키 하야오도 꽤나 차덕이던데 영화에 나오는 A4 엔진음도 본인 소유 A4 소리를 녹음한거라고… 포르쉐 993 카레라 강남구 지역번호판이 달려있었는데 꽤 오래전에 한국에 들어온 차인듯;; 란치아 카파 한국에는 꽤나 낯선 브랜드인데, 국내 수입 당시에도 판매량이 많지 않았다고 함 그나마 카파가 제일 많이 팔렸고, 데드라는 8대 팔렸다는 얘기가… 미니와 비슷하게 생긴 다이하츠 미라 지노. 사진속 차는 미라 지노의 1000cc 고성능 버젼인데, 일본 경차 규격인 660cc를 넘어버린 탓에 소형차로 분류되어버려서 2004년 단종까지 고작 1200대 정도 팔린 나름 레어템이라네요. 미국 느낌 물씬 나던 구형 서버번 로우라이더 느낌의 휠이 인상적이었음 범상치 않던 프로 엑센트 대충 둘러본거만 해도 터보+인터쿨러에 실내에 롤케이지까지 있었네요 초기형 각그랜저 흔히 아는 갈메기 모양 데루등 대신 1990년까지 적용된 일자 데루등이 있음 와인색 시트가 기억에 남네요;; 요즘 부쩍 안보이는 포텐샤 후륜구동+수동 조합으로 드리프트 머신으로 마개조 당하는 차도 종종 있었음 기아 파크타운 1세대 출시계획이 엎어지고 2세대 크레도스를 바탕으로 출시되었는데, 판매량이 처참한거로 유명함 천대도 안팔렸다고… 현대 스쿠프 국내 최초 스포츠카라고 하기는 좀 그렇고 국내 최초의 쿠페 뭐 어쨌든 보험은 스포츠카로 들어간다던데;; 사진 속 차는 91년~92년사이 잠깐 판매된 초기형 마이너체인지 모델이었음 구아방 00년대 유행했던 지니어스 범퍼가 눈에 띄었음 어릴때 갖고놀던 핫휠 느낌의 쉐비밴 통창 개방감 끝장날듯;; 일본의 롤스로이스라 불리는 토요타 센추리. 실제로 보고 사이즈에 놀랐음;; 콩코드 백테타이어가 잘 어울리는듯 BMW Z3M 다카르 옐로우 컬러가 굉장히 눈에 띄었는데, 저 작은 차체에 직렬 6기통 3.2 엔진을 넣었다는게 상상이 잘 안감 폭스바겐 바나곤 Westfalia 폭스바겐 밴을 전문적으로 개조하는 업체로, 팝탑 방식이 유명함 설명하기 귀찮아서 12년전에 인터넷에 차주가 올린 동일차량 사진 올려봄 88년식 쏘나타 1.8 깡통급이라 그런지 무도색 플라스틱 범퍼가 달려있었음 잘 보면 범퍼 오른쪽에 영문 현대 음각로고가 있는데, 이 로고는 출고범퍼에만 있고, 사고나 파손으로 갈아끼우는 교체용 범퍼에는 이 로고가 없다고 함 폰티악 파이어버드 트랜스앰 원래 파이어버드에는 V6 엔진이 들어갔는데, 얘는 콜벳에 쓰던 V8 5.7L LS 엔진 얹어서 325마력 내는 귀한 스포츠버젼;; RX7 FD 로터리 엔진 관리가 어렵다던데 이 차는 진짜 로터리일지 궁금 94년식 코란도 롱바디 BMW E34 5시리즈 동유럽이나 러시아에서 드리프트 머신으로 종종 마개조 당하는 차 넘버는 어쩌다 영치당했는지 궁금함 토요타 MR2 리틀 페라리 라는 별명으로 유명한데, 이니셜D 팬이라면 이로하자카 배틀의 파란 MR2도 기억날듯 대우 넥시아 이름만 바꼈다뿐이지 사실상 르망 페이스리프트였는데, 이마저도 단종까지 르망이랑 같이 판매됨 라노스의 가지치기 모델인 5도어 줄리엣 당시 세단형 이외에도 로미오/줄리엣이라는 이름의 3, 5도어 해치백을 내놓았는데, 국내에선 인기가 그닥이었지만 FSO-대우가 진출해있던 폴란드나 중앙아시아에서는 꽤나 인기가 좋았던것 같음 위 넥시아의 후속으로 봐도 좋을듯 91년형 프라이드 베타 포드와 마쓰다가 공동개발한 포드 페스티바 해치백(마쓰다 121)의 생산담당이었던 기아가 1990년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세단형으로, 일본에 포드 페스티바 베타라는 이름으로 수출하기도 했음 닛산 스카이라인 Z32 이번에 국내 규제 강화되면서 검사통과 힘들어졌다는 얘기 들은것 같은데, 여러모로 아쉬움… 베르나 3도어 스포티 스포티의 카탈로그를 장식했던 차와 내외장재 조합이 완벽히 일치해서 꽤나 반가웠음 힙합레드 외장+오렌지 메쉬 가죽시트 조합인데, 내외장재 모두 유채식인 차는 흔치 않을듯… 거기다가 출시 초반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적용된 녹색번호판까지 이런 조합 한국에 또 있을까 싶음;;; 티뷰론 TGX 96년 10월 TGX 출시 당시 “노란 10월이 온다!”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전용 컬러로 내새웠던 레몬색 외관이 적용되어 있음 구형 외교번호판을 달고 있던 7시리즈. 한국에서 외교관으로 오래 계셨던 분인듯… 아시아 하이 토픽 이제는 죄다 수출/폐차당해서 전국에 몇대 안남았다고 함 항상 느끼는건데 뒷모습 무슨 하회탈 닮음;; 50장 제한 걸려서 여기까지 ㅠ ㅊㅊ 해주시면 매우 ㄱㅅ
황무라비작성일
2024-11-25추천
5
-
-
-
-
-
-
-
-
-
-

[엽기유머] 싼타페 후면 디자인 이야기
안녕하십니까? 외노자 디자이니어(designeer)입니다. 왜 다 식은 싼타페 후면 이야기를 다시 꺼내느냐 하실 분들이 있으시겠지만, 요즘 제가 있는 미국 동네에 싼타페 신형이 팔리기 시작하면서 종종 보이고 전에 굴당에 글로 썼던 것처럼 미국 동료도 구매하는 바람에 근래에서야 실차를 보게 되었습니다. 뭐 한솥 데이타임 러닝라이트는 그렇다해도 전체적으로 잘 나온 차라고 생각하는데, 왜 후면을 그렇게 디자인을 했을까 이전부터 늘 궁금했었습니다. 전 다른 분들이 많이 지적하셨던 것처럼 램프가 너무 아래 있는 것도 거슬리긴 했지만 그것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후면의 비례적 안정감이 깨진데에 있다라고 봅니다. 마치 이런 버블헤드 굴욕샷을 보는 느낌이랄까요? (요즘 미국에서 애들끼리 이런 사진 찍는게 유행입니다) 차는 동적인 물건이고 디자인적 안정감이 주는 신뢰감이 중요해서, 무게 중심이 낮고 차 폭이 비례적으로 넓게 디자인 하려 하며, 그런 차들은 흔히 말하는 자세가 나온다고 하죠. 바로 이 부분을 이야기하면 머릿 속에 떠오르는 차량이 이거죠. 반면 이번 싼타페는 요즘 미국 아이들의 최신 트랜드를 따라가는 버블헤드 후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후면이 이렇게 나오는건 원래 디자인을 하다보면 나올 수 밖에 없는 문제이고 이걸 해결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이 별별 디자인 꼼수를 씁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바디 옆면을 수직으로 만들 수 없으니 (그렇게 하면 너무 심심하고 면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바디 옆면을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떨어뜨리는데, 그 라인을 쭉 뒤까지 이으면 이런 싼타페 후면같은 모양이 되는거죠. 이 싼타페 후면 디자인의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는 다른 차량이 있으니 그게 테슬라 싸이버 트럭입니다. 싸이버 트럭의 경우, 외판을 스태인레스 절곡으로 하다보니, 보통의 자동차 디자인이 하는 꼼수를 쓸 수 없고 정말로 옆 라인이 그대로 뒤로 이어지다보니 버블 헤드 후면이 완성되었죠. (이거 실제로 뒤에서 보면 정말 이상합니다.) 위에 언급했 듯, 이 문제는 승용차에도 존재하는데, 승용차는 상대적으로 후면이 낮고 후면의 옆면이 거의 범퍼 라인과 닿아 있어서 이런 문제가 적은데, suv는 차고가 높아지다보니 자칫 잘 못 하면 이런 버블 헤드 후면을 갖게 되는거죠. 그럼 suv 디자인의 정답지와 같은 랜드 로버는 어떻게 해결 했는지 한 번 보시죠. 이 디펜더의 경우 뒷바퀴 펜더를 지나면서 면을 교묘히 바꿔서 바디 사이드 프로파일을 따라가지 않고 후면을 거의 직각으로 세웠죠. 싼타페 후미등을 아래로 내릴 수 밖에 없었다라는 이유로 그렇게 디자인 해야 후면 해치를 넓게 열 수 있다라고 하는데, 애초에 이런 역 사다리꼴로 만들지 않았더라면 후면 폭이 넓어져서 애초에 그런 고민을 할 필요가 없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그런 의미로 오리지날 디자인과 (윗사진) 역 사다리꼴을 그냥 수직으로 떨어뜨린 수정본 (아래 사진)을 올려 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스포츠] 토트넘 핫스퍼, 손흥민 계약 연장 옵션 발동 예정
https://www.telegraph.co.uk/football/2024/11/04/son-heung-min-to-sign-new-tottenham-contract/ 토트넘 핫스퍼는 손흥민의 계약에 포함되어 있는 1년 연장 옵션을 발동 시켜, 클럽에 더 남게 할 예정이다 토트넘과 손흥민은 지난 2021년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었고, 구단에게는 계약을 1년 연장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토트넘은 계약을 연장 할 시, 그저 선수측에 통보만 해주면 되며, 텔레그래프 스포츠가 이해하기론 전적으로 그렇게 할 의사가 있다. 이는 2015년 레버쿠젠에서 이적료 약 22m으로 이적하며 최근 토트넘 이적시장에서 가장 성공한 영입으로 평가 받는 손흥민이 10년 이상을 소화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앙제 포스테코글루는 요리스의 이탈 이후, 구단이 챔피언스리그에 자주 진출하는 팀으로 올라서기까지 큰 역할을 한 손흥민을 주장으로 임명했다.손흥민은 첫 시즌을 제외한 모든 시즌에서 두 자리 수 득점을 기록했고, 123 득점을 기록하며 현재 프리미어리그에서 뛰는 선수들 중 3위에 위치하고 있다. 오직 모하메드 살라 (164 득점), 제이미 바디 (140 득점) 만이 앞서 있다.손흥민은 이번 시즌 초, 그의 계약에 대한 질문을 받았고, 그는 새로운 계약보다는 2008년 이후 토트넘의 트로피 갈뭄을 끝내는 것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답했다. "저는 그저 이번 시즌에만 집중하고 있고, 선수들을 포함한 모두가 받아 마땅한 무언가를 들고 싶어하고 있을 뿐입니다""제가 집중하고 있는 것은 그것 뿐입니다.""미래엔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모르지만, 저는 구단에서 벌써 10년이란 시간을 보냈고 항상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지금도 모든 것을 바칠 생각입니다.""저는 여전히 구단과 계약이 남아있고, 저는 그저 계약이 만료될 때까지 최선을 다하고 싶을 뿐입니다."
로보트카작성일
2024-11-05추천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