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615);
-
-
-

[스포츠] 2024-2025시즌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프로농구단 홈 개막전 19일 열려
부산시는 내일(19일) 오후 2시 사직실내체육관에서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프로농구단의 홈 개막전이 열린다고 밝혔다.이번 홈 개막전은 케이씨씨(KCC) 이지스 프로농구단이 지난 시즌 챔피언결정전 우승 이후 펼치는 정규시즌 개막 첫 경기로, 당시 챔피언결정전에서 맞섰던 수원 케이티(KT) 소닉붐과 또다시 승부를 가른다.이날 개막전에는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구단주와 단장, 비엔케이(BNK) 썸 여자농구단 구단주, 1만여 명 이상의 농구 팬과 부산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농구단의 이번 시즌 우승을 위한 중요한 시작점이 될 첫 경기가 치러질 예정이다.경기장을 직접 찾은 많은 농구 팬과 부산시민이 함께 시즌 첫 개막전을 축하하고 농구 열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개막전 경기에 앞서 당일 오후 1시부터 다양한 사전 축하 행사가 열린다.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농구단 소개 동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농구단 승리를 기원하는 치어리더의 공연과 혼성 5인조 아카펠라 그룹 ‘엑시트’의 열정적인 축하공연이 이어진다.축하공연 이후에는 이날 경기에서 맞붙는 홈팀과 원정팀 선수단 소개,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농구단 구단주의 개회사, 한국프로농구(KBL) 총재의 개막선언으로 농구 시즌의 시작을 알리며, 마지막으로 시 행정부시장의 시투로 사전 행사는 마무리된다.이후 오후 2시부터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는 사직실내체육관 주경기장에서 운명의 라이벌 수원 케이티(KT) 소닉붐을 상대로 부산시민의 응원과 함께 승리를 위한 첫 공식경기를 치른다.한편, 2024-2025시즌 케이비엘(KBL) 정규리그는 내일(19일)부터 내년 4월 8일까지 팀당 54경기(홈 27, 원정 27)를 펼치고, 최종 6위 팀까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된다.개막전 티켓은 케이비엘(KBL) 통합 누리집 또는 케이비엘(KBL) 앱(스마트 티켓 입장 가능)에서 온라인으로 예매하거나 경기 당일 현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부산 케이씨씨(KCC) 이지스 농구단은 27년 만의 부산연고 프로구단 우승이라는 쾌거를 달성한 저력의 농구단으로 부산의 자랑이다”라며, “챔피언결정전 우승의 여세를 몰아 올해도 프로농구 정규리그를 압도하는 최강팀으로 군림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태무진칸작성일
2024-10-18추천
0
-
-
-
-
-
-
-
-
-
-
-
-

[영화] 밤비 시리즈 (1923) 1942 애니판, 1985 실사판 무료 공개 중
* 아직 밤비 시리즈를 읽거나, 보신 적이 없는 분들에게는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밤비 시리즈는 1923년에 펠릭스 잘텐의 동물 문학, 환경주의(더 가디언에 따르면 반유대주의로 고난을 겪던 이들을 은유한 주제도 담겨있다는 해석도 존재) 소설로 낸 작품이 평론적, 상업적으로 좋은 반응을 얻어 이후 같은 배경의 속편 작품들, 스핀오프 작품들도 나왔습니다.(이 중 '페리' Perri 는 1957년에 실사판이 개봉해 역시 호응을 얻기도) 미디어믹스 작품들도 애니메이션 영화, 후술할 실사 영화, 서구권 코믹스, 데츠카 오사무의 만화, 그림책, 발레, 연극, 뮤지컬(어린이 예술활동 뿐만 아니라 정식 작품으로도 제작), 비디오 게임, 디즈니 100주년 특별영상 등을 포함 수차례 나왔으며, 이 중 1942년 애니메이션 영화는 흥행 성공 뿐만 아니라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위에서도 보실 수 있듯 무비콘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이렇게 장기간 인기를 끌어온 시리즈라 '데츠카 오사무'는 위에 언급한 밤비 애니판을 보고 감탄해 수십번 재감상하며 영향을 받아 '정글대제'(밀림의 왕자 레오)를 연재하기도 핶고, 밤비를 패러디한 '데이빗 린치'의 PS2 광고, '진나이 토모나리'의 스케치 코미디 (공식 채널에서 공개 중) 등 패러디 작품들도 여럿 나오며, 밤비에서 이름을 따온 밤비 어워즈가 수십년 째 진행되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 해왔으며, 구체적인 것은 아래 기사들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Bambi: cute, lovable, vulnerable ... or a dark parable of antisemitic terror?] https://www.theguardian.com/news/2021/dec/25/bambi-cute-lovable-vulnerable-or-a-dark-parable-of-antisemitic-terror [지배·착취 말고 ‘함께’ 살아가기···‘밤비’로 깨닫는 탈인간주의] https://news.zum.com/articles/79220577 [테즈카 오사무를 통한 만화의 재발견]https://www.artgy.or.kr/EH/EH0501M.aspx?mode=V&Boardid=funny_exhibit&CODE=30&DEPTH=a&PLACE=-1 아래 내용은 YES24의 원작 소설 작품 소개를 인용했습니다. ‘밤비’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기 사슴 밤비’로 만들어져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사랑받았던 월트 디즈니 사의 애니메이션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밤비 이야기의 주인공은 원래 노루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이 책은 한 노루가 태어나 부모의 가르침을 받으며 천천히 성장하여 어엿한 독립된 존재로 서기까지를 다룬 성장소설입니다. 저자 펠릭스 잘텐은 동물들을 단순히 의인화한 것이 아니라 동물들의 심리에 집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들이 동물에게 인정하지 않으려 드는 존재로서의 존엄성을 알려줍니다. 이 책은 인간이 저지르는 무자비한 자연 파괴 행위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시대를 앞선 생태 문학이라고 할 수 있지요.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지금의 생태계를 돌아보고 숲과 인간이 화해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위아애니멀스' 웹툰작가 "왜 동물의인화? 내가 목줄묶였다 생각하면"] https://www.news1.kr/articles/?3076839 동물 캐릭터들이 주인공인 작품을 실사 매체로 제작될 경우 여러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캣츠 뮤지컬판의 경우 배우들에게 수인분장을, 영화판의 경우 CG 기술을 사용했으며, 갈매기의 꿈 실사판의 경우 갈매기가 촬영스탭을 쪼아대거나, 디테일한 연기지도가 안 되는 등의 핸디캡을 감안하고 동물들 촬영 영상에 더빙을 하는 정도에서 타협을 봤으며, 연극 '로드킬 인 더 씨어터' 및 웹툰 '위아애니멀스'의 경우 작 중 모습은 사람으로 표현되나, 실제로는 동물이라는 컨셉으로 제작된 바 있습니다. https://gorkyfilm.ru/ 제목에서 언급한 밤비 1985년 러시아 실사판 영화는 사슴도 분명 나옵니다만 작 중 대부분은 인간 배우들이 연기하는 컨셉으로 제작됐으며,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고르키 스튜디오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이라 애니판, 실사판 본편을 아직 안 보신 분들은 주의 부탁 드립니다. 위에서 소개한 작품들 중 1942년 버젼의 경우 밤비의 어머니가 밀렵꾼의 총에 맞아 사망한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도 고려한 바 있으나, 지나치게 암울해질 수 있어서 최종편집본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며(위에 장면보다 순화된 개봉판도 당시 관객들이 슬퍼하며, 환경주의에 대한 관심이 더욱 늘었다는 분석도 존재) 대신 관련 스토리보드는 공개된 바 있으며 구체적인 것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worldofreel.com/blog//2016/11/storyboards-of-deleted-scene-from-bambi.html
콩라인박작성일
2023-12-05추천
0
-
-
-

[자동차·바이크] 드림카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긴글주의)
안녕하세요.오렌짱공 눈팅유저입니다.예전에 E63AMG 유지비에관해 글올린적있는데 차량을 그당시구입을못하게되고덜컥 아파트 청약이 되버려서 그거 해결하고 입주까지 완료하고 얼마전에 꿈에 그리던저의 드림카를 입양해오게되었습니다. 운행한지는 이제 2주가 채안된거같아요.입양전 차량이 골프7세대 GTD 튠차량이었는데 소유해본 차량이 많지 않다보니비교할게 골프밖에 없네요;; 골프를 15년도에 신차를 사서 여지껏 정말 정들이고 돈도많이들여서 풀튜닝까지하였지만 연식이 있다보니 수리비가 꽤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정도떨어지고결국에는 처분하게 되어서 바로 페밀리세단을 영입하였습니다. E63AMG 가 우리나라에 마지막들어온 물량이 19년12월식(20년식) 인데 딱 30,000KM뛴놈을 데려왔네요. 첫 영접했을때 그감동이란정말 잊혀지지않습니다. 남들은 그돈주고 중고차를 사느냐 주위에서 말들이 정말 많았지만…이돈이면 E300 4메틱 신차를살수있으니;; 남들이보기엔 정신나간짓이긴하나 어쩌겠습니까..ㅋㅋ우리나라에 들어온 마지막 8기통 E63AMG 가될수도 있어서 더욱 놓치기 싫었습니다.일단 기본 적으로 편의옵션은 훌륭한편입니다. 벤츠의 차선이탈은 폭바의 차선이탈기능과는 조금다르더군요. 폭바는 차선이탈시 어느정도 자동으로 조향을 해주는 반면 벤츠는 한번툭 치고 마는정도입니다ACC를 작동하였을때는 조향도 함께되긴하지만 평소 일반주행을 할때는 툭툭 치는게 조금 불편하였습니다.이건 폭바께 더좋았어요.그리고 욕을 제일많이 먹는 부분이 통풍시트와 커맨드시스템+터치안되는 스크린입니다.통풍시트가 있지만 다들 고장이 났는지 유무만 확인하는 기능일뿐 통풍시트로서 기능을 거의 못하는수준입니다.정말 안타깝게 벤츠의 통풍은 바람을 흡입하는방식입니다. 왜이렇게 만들었는지 도무지 이해도 안되고..다만 요즘나오는 EQS전기차나 신형모델들은 드디어 내뱉는 방식으로 바꼇다고 하더군요..액정터치안되는건 정말 노답입니다. 운전을 하면서 콘솔에 있는 커맨드라는 마우스 기능 비스무리한게 있는데여간불편합니다. 지금은 적응이 되서 어느정도 사용은 하고 있지만 액정터치에 비해 정말 비효율적입니다.이것도 페리모델부턴 터치모니터로 바꼇더군요. 폭스바겐에 비해 의외였던게 바로 라이트 기술인데멀티빔 멀티빔 벤츠까페에서는 극찬들을 하시던데..이미 폭스바겐은 15년도에산 골프에도(전장튜닝함) 있던기능이라 막상써보고 다를바없었어요..ㅠㅠ 명성에 비해 살짝 실망했어요.. 라이트명가 아우디 형제이다보니 폭바의 라이팅기술도나쁘지 않았습니다.(우리나라에서 전장튜닝 해야함) 이거왜에는 내장제 마감이나 차량이곳저곳의 마감상태가 정말 좋더군요.올플라스틱으로만된 차만타봐서 저에겐 완전고급져보였습니다;;문짝에도 고무몰딩이 4중이나 붙어있어서 엄청난 차폐능력과 방음 능력을 보입니다.골프탈때는 가뜩이나 디젤에 시끄럽던터라 세단을 정말 오랜만에 타서그런지 차내부의 고요함이 적응이 안되네요;;달리기실력은 뭐 말안해도 V8 4000cc 571마력 76토크 제로백 3.5초 제원이 설명해주듯합니다.처음 차량을 타고 엑셀을 밟았을때 엄청 묵직하고 핸들링도 엄청 묵직합니다.골프도 스포츠모드하면 살짝무거워져서국산차보다 무겁다고 생각했는데 이놈은 엄청 무겁습니다. 3~4배는 무거운듯싶어요.고속안전성이 뛰어나다는이야기를 많이들 하시는데 아마도 이거때문인게 아닌가 싶어요. 기본적으로 핸들자체가 무겁고 속도가 높아질수록더무거워 집니다;; 광폭타이어의 영향도 있을겁니다. 앞 265 ,뒤 295 엄청무식한 사이즈입니다.평소 골프로 코너링 맛집을 즐겨타던터라. 얼마나 잘돌아가나 솔직히 큰기대는 안했습니다.크기도 크고 중량이 2100kg 이나 나가거든요. 출력만 높고 직빨만 좋을줄 생각했습니다.제생각은 오산이었습니다. 이덩치가 생각보다 엄청날렵합니다. 솔직히 골프코너링정도는 가볍게 더 높은속도로 제껴나갈정도입니다. 여기서 충격이 컷어요..골프탈때 출력높고 덩치큰차들 무시했거든요;;아닙니다. 4륜, amg라이트 컨트롤(바디컨트롤), 에어서스펜션, 기계식LSD 등 고급장비로 중무장해서인지몸놀림이 엄청가볍습니다. 하지만 조지면서 타면서 느꼇습니다. 전자장비만 믿다간 이러다 한방에훅가겠구나 싶었어요. 너무 고중량이다보니 아직 차량의 한계치를 모르는상황이라 무작정 잡아돌리기는 쉽지않았어요. 어지간하면 차량이 모두 잡아준다고들 하나 좀 두렵기도 했습니다. 방음능력때문에 속도감도 더딥니다.AMG 에 끌리게된 이유가 배기음소리 때문인데. 살짝실망감도 있습니다.이차에는 전차주가 가변배기를 달아놔서 적당히 존재감을 과시합니다. 진짜는 스포츠 플러스 모드일때이긴하나막히는 길에서는 에메합니다. 문제는 내가 내차 배기음을 듣고싶은데 창문을 닫으면 안들린다는겁니다;;창문을 열어도 그렇게 안들립니다;; 아주낮은 중저음만 웅~ 거릴뿐 평소에 지나가는 63소리는 운전석에서 듣기힘들더군요;; 스포츠플러스로 뻥뚤린 도로달릴때나 아 소리좋네 정도 였어요..연비는 막히는도로는 3~4 , 고속도로는 8~9 정도 나오는듯합니다. 다른분들은 스플하면 2 도나온다는데아직 그렇게까지는 못밟아봤습니다..기름통이 80L 인데 구멍하나 뚫고 다닌다 생각하면 될거같습니다..출력이 차고 넘치다보니 100키로 항속중이다가 악셀치면 y50(리밋) 거침없이 올라갑니다. 출력이 좋다보니 누구보다 다음 신호등까지 먼저가서 좋은자리 섭렵할수있어서 좋긴합니다;;고출력차량의 장점중의 하나가 속도가 꼭빨라서도 있지만 많은분들이 오해하시는게 속도가 빠른것보다 자기차량을 원하는곳에 손쉽게 가져다 꼽기가 훨신수월해서 운전하기가 훨씬편해집니다. 이건 가벼운차량에 200마력대 만되어도 느낄수 있어요.또 한가지 마음에드는건 19년식 이후부터는 핸드폰 벤츠어플로 자신의 차량을 어느정도 컨트롤이 가능하다입니다.타회사들도 있다고 알고있어요. 원격시동,자동주차,네비업데이트,공기압체크,운행데이타,차문 여닫기,창문여닫기,등생각보다 편하긴하지만 1년내지 3년 이용권을 구매해야합니다;;그리고 벤츠는 카페나 튜닝이런게 정보얻기가 힘드네요..구매자 연령대들이 높아서 인지 정보자체가 거의 없네요..가족들과 탈차라 승차감도 필요한데 골프가 일체형서스가 꼽혀있습니다. 매우딱딱한편입니다. 저희 가족들은 처음부터 딱딱한 차를 타서인지 차가 원래 딱딱한줄만 압니다. ㅠㅠE63에는 에어서스펜션이 들어가있지만 기타 E400,E450같은 안락함은 없습니다.모드를 4가지를 지정할수있는데 컴포트,스포츠,스포츠플러스,인디 입니다.다른 E클레스에는 에코모드도 있다고하는데이차에는 그딴건 없네요 ㅠㅠ 대신 컴포트 모드로 일정속도 항속하면 8기통에서 4기통으로 변신해서 연료소비에어느정도 효율을 넵니다. 평소에는 가장소프트한 컴포트에 놓습니다. 승차감은 골프 GTI 나 GTD 순정서스 정도 느낌납니다.차량크기와 중량을 생각해보면 조금 더 편한건 맞습니다. 스포츠는 조금더 딱딱해지고 엔진반응이 조금 날카로워집니다.스포츠플러스 가장 단단합니다 일체형서스 차량보다도 더 하드합니다. 스플모드에서는 엔진과 미션반응이 최고조이고기본RPM도 1000까지 높아집니다. 배기 플랩도 모두 열려서 가변보다 더 거친 사운드와 묵직한 8기통 팝콘이터져나옵니다. 차체도 1cm 정도 낮아집니다. 120이상항속하면 1cm 정도 더내려간다고하네요.저에게 있어서는 정말 팔방미인 차량인거같습니다. 평소에는 데일리로 다른차량을 타고 주말외출이나 가족나들이 할때만 타고다닐거같은데 이만한 차량이 없는거 같습니다.솔직히 이급에서는 선택지가 많았습니다. M3, 340i, 550i,M5 까지..BMW가 좀더 스포티한성향의 차량이고옵션이나 성능도 좀더우위라는건 알지만..글쌔요..그정도의 성능을 가려낼만한 도로나 상황자체가 거의 없을거라고 판단하여 V8호랑이 사운드 , 떡벌어진 오버휀다, 운전석에 앉으면 머슬카를 연상시키는본넷 의 파워돔 를 택했습니다. 또한가지 단점이 있다면..밋션이 조금 멍청합니다.모드변경후 빠른악셀전게시 허당끼가 있어요.한템포느리다고들 하시고 벤츠의 차량세팅이라고합니다..이유는 좀더 우아하고 고급지고 편안함때문이라는데;;수긍이 가지는 않습니다;; 저단에서는 골프뺨치는(DSG미션종특) 울컥거림 심합니다. 보통 스플모드에서 1단출발 때문이라고해요 밋션이 9단이다보니 초반 1~3단까지는 순식간에 변속되거든요.스포츠나,컴포트는 2단출발이라 그렇지 않은데 스플모드에서는 이같은 말타기는 요즘벤츠 종특이라고하네요..이상 자랑같은 시승기? 를 마치겠습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곧팔려갈 골프GTD 와 신입 집근처 세차장에서.. 집근처 세차장에서.. 집근처 세차장에서 첫째와 둘째..엠비언트때문에 휘양찬란해서 아이들이 마냥좋아하네요;;
스톰작성일
2023-10-01추천
3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