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697);
-
-
-
-
-
-
-
-

[엽기유머] 스압)최근 본 올드카들
가끔 글쓰는 차붕이임다 ㅇㅅㅇ 저번 글 메인 보내줘서 ㄱㅅㄱㅅ 오랜만에 길가다가 본거 올려봄 재규어 XJR 일반 XJ는 90년대 수입되어서 꽤 많이 남아있는데 얘는 진짜 보기 힘든 슈퍼차져 달린 XJR 기아-머큐리 세이블 1세대는 국내에 남아있는게 얘 포함 두대라고 들었음 푸조 306 카브리올레 페이즈1 90년대 푸조 수입해오던 동부 산업이 들고왔던 306중에 하나 같음 97년식이던데 IMF때 사업 철수 직전에 팔린듯 갤1 요새 5등급정책 덕택에 많이 사라진듯 이거 법원에서 위법으로 판결났던데 ㅋㅋㅋㅋ 벤츠 w124 마스터피스 1995년 단종 직전의 한정판으로 내장재에 호두나무 원목을 사용한게 특징임 얘 플랫폼으로 탄생한게 쌍용 체어맨 후기형 지프 체로키. 경남 번호판에 등화관제등까지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음 독특한 컬러의 초기형 체로키 아쿠아 펄이라는 순정색상인데 체로키 색 중에 저게 제일 맘에 듬 ㅋㅋ 휀더미러가 눈에 띄던 닛산 세드릭 일본가면 택시로 종종 보이던 차라 반가웠음 ㅋㅋ 전두환과 김정일이 사랑한 애마였던 메르세데스 SEL. 지금도 마니아들 덕에 꽤 많이 남아있는것 같음 미군불하 K5 블레이저 투박한 미군불하차를 깔끔하게 리스토어 하신 차주분의 정성이 느껴짐 서울 한자리 번호판이 인상적이었던 롤스로이스 실버스퍼. IMF 이전 인치케이프라는 영국계 회사에서 들여왔었는데, 당시 판매가가 2억이 넘었다네요 참고로 89년도 강남 40평대 아파트가 1~2억이었음 일본택시의 대명사인 컴포트의 베이스가 된 10세대 토요타 크라운 대구 지역번호판이었는데, 어느나라에서 넘어온건지 좌핸들이었음 아마 10세대 크라운이 수출나갔던 대만이나 필리핀 같은 나라에서 들어온게 아닌가 싶음 출시 당시 광고와 카탈로그 표지를 장식했던 자주색/담갈색 투톤의 스포티지 콩코드 2.0DOHC 엔진을 얹은 MRDi 트림이었음 서울 지역판 그랜드체로키 저 블록쌓기 해둔 해드램프는 묘하게 끌림 뉴엘란트라 예전 집 차 생각이 나서 보일때마다 찍는듯… 엘란트라 1세대 아우토반에서 포르쉐 발라버리는 광고로 워낙 유명했던지라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는것 같음 기아 하이베스타 EST 지붕에 루프캐리어가 있는데 EST 트림부터 선택 가능했던 순정 옵션이라고 함. 레저층을 공략한다고 4륜구동까지 내놨는데, 실적은 별로였음 토요타 마크 2 예전엔 한국에 중고로 꽤 많이 수입됐었는데, 이제는 많이 사라진듯 ㅠ 로버 미니 1959년에 출시해서 2000년까지 거의 반세기를 큰 변화없이 판매한, 아이코닉한 클래식 미니. 로버 그룹이 BMW 산하에 있던 1998년식인데, 오스틴 룩을 하고 있었음 센과 치히로에서 부모님 차로 나오는 A4. 거기서는 콰트로 달린 4륜이 나오던데, 얘는 그냥 1.8인듯 미야자키 하야오도 꽤나 차덕이던데 영화에 나오는 A4 엔진음도 본인 소유 A4 소리를 녹음한거라고… 포르쉐 993 카레라 강남구 지역번호판이 달려있었는데 꽤 오래전에 한국에 들어온 차인듯;; 란치아 카파 한국에는 꽤나 낯선 브랜드인데, 국내 수입 당시에도 판매량이 많지 않았다고 함 그나마 카파가 제일 많이 팔렸고, 데드라는 8대 팔렸다는 얘기가… 미니와 비슷하게 생긴 다이하츠 미라 지노. 사진속 차는 미라 지노의 1000cc 고성능 버젼인데, 일본 경차 규격인 660cc를 넘어버린 탓에 소형차로 분류되어버려서 2004년 단종까지 고작 1200대 정도 팔린 나름 레어템이라네요. 미국 느낌 물씬 나던 구형 서버번 로우라이더 느낌의 휠이 인상적이었음 범상치 않던 프로 엑센트 대충 둘러본거만 해도 터보+인터쿨러에 실내에 롤케이지까지 있었네요 초기형 각그랜저 흔히 아는 갈메기 모양 데루등 대신 1990년까지 적용된 일자 데루등이 있음 와인색 시트가 기억에 남네요;; 요즘 부쩍 안보이는 포텐샤 후륜구동+수동 조합으로 드리프트 머신으로 마개조 당하는 차도 종종 있었음 기아 파크타운 1세대 출시계획이 엎어지고 2세대 크레도스를 바탕으로 출시되었는데, 판매량이 처참한거로 유명함 천대도 안팔렸다고… 현대 스쿠프 국내 최초 스포츠카라고 하기는 좀 그렇고 국내 최초의 쿠페 뭐 어쨌든 보험은 스포츠카로 들어간다던데;; 사진 속 차는 91년~92년사이 잠깐 판매된 초기형 마이너체인지 모델이었음 구아방 00년대 유행했던 지니어스 범퍼가 눈에 띄었음 어릴때 갖고놀던 핫휠 느낌의 쉐비밴 통창 개방감 끝장날듯;; 일본의 롤스로이스라 불리는 토요타 센추리. 실제로 보고 사이즈에 놀랐음;; 콩코드 백테타이어가 잘 어울리는듯 BMW Z3M 다카르 옐로우 컬러가 굉장히 눈에 띄었는데, 저 작은 차체에 직렬 6기통 3.2 엔진을 넣었다는게 상상이 잘 안감 폭스바겐 바나곤 Westfalia 폭스바겐 밴을 전문적으로 개조하는 업체로, 팝탑 방식이 유명함 설명하기 귀찮아서 12년전에 인터넷에 차주가 올린 동일차량 사진 올려봄 88년식 쏘나타 1.8 깡통급이라 그런지 무도색 플라스틱 범퍼가 달려있었음 잘 보면 범퍼 오른쪽에 영문 현대 음각로고가 있는데, 이 로고는 출고범퍼에만 있고, 사고나 파손으로 갈아끼우는 교체용 범퍼에는 이 로고가 없다고 함 폰티악 파이어버드 트랜스앰 원래 파이어버드에는 V6 엔진이 들어갔는데, 얘는 콜벳에 쓰던 V8 5.7L LS 엔진 얹어서 325마력 내는 귀한 스포츠버젼;; RX7 FD 로터리 엔진 관리가 어렵다던데 이 차는 진짜 로터리일지 궁금 94년식 코란도 롱바디 BMW E34 5시리즈 동유럽이나 러시아에서 드리프트 머신으로 종종 마개조 당하는 차 넘버는 어쩌다 영치당했는지 궁금함 토요타 MR2 리틀 페라리 라는 별명으로 유명한데, 이니셜D 팬이라면 이로하자카 배틀의 파란 MR2도 기억날듯 대우 넥시아 이름만 바꼈다뿐이지 사실상 르망 페이스리프트였는데, 이마저도 단종까지 르망이랑 같이 판매됨 라노스의 가지치기 모델인 5도어 줄리엣 당시 세단형 이외에도 로미오/줄리엣이라는 이름의 3, 5도어 해치백을 내놓았는데, 국내에선 인기가 그닥이었지만 FSO-대우가 진출해있던 폴란드나 중앙아시아에서는 꽤나 인기가 좋았던것 같음 위 넥시아의 후속으로 봐도 좋을듯 91년형 프라이드 베타 포드와 마쓰다가 공동개발한 포드 페스티바 해치백(마쓰다 121)의 생산담당이었던 기아가 1990년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세단형으로, 일본에 포드 페스티바 베타라는 이름으로 수출하기도 했음 닛산 스카이라인 Z32 이번에 국내 규제 강화되면서 검사통과 힘들어졌다는 얘기 들은것 같은데, 여러모로 아쉬움… 베르나 3도어 스포티 스포티의 카탈로그를 장식했던 차와 내외장재 조합이 완벽히 일치해서 꽤나 반가웠음 힙합레드 외장+오렌지 메쉬 가죽시트 조합인데, 내외장재 모두 유채식인 차는 흔치 않을듯… 거기다가 출시 초반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적용된 녹색번호판까지 이런 조합 한국에 또 있을까 싶음;;; 티뷰론 TGX 96년 10월 TGX 출시 당시 “노란 10월이 온다!”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전용 컬러로 내새웠던 레몬색 외관이 적용되어 있음 구형 외교번호판을 달고 있던 7시리즈. 한국에서 외교관으로 오래 계셨던 분인듯… 아시아 하이 토픽 이제는 죄다 수출/폐차당해서 전국에 몇대 안남았다고 함 항상 느끼는건데 뒷모습 무슨 하회탈 닮음;; 50장 제한 걸려서 여기까지 ㅠ ㅊㅊ 해주시면 매우 ㄱㅅ
황무라비작성일
2024-11-25추천
5
-
-

[엽기유머] 삼성전자, 메타 LLM에 견주는 '가우스2' 공개...그 비결은?
가우스2, 시간당 처리속도 최대 3.0배 증가 삼성전자가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코리아 2024(SDC2024)’에서 자체 거대언어모델 가우스(Gauss) 2세대 버전을 공개했다. 지난 SDC2023에서 삼성전자는 가우디1을 최초 공개한 뒤 1년 만에 급속도로 업그레이드했다. 가우디2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거대언어모델(LLM)과 비교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언어 처리량이 최대 3.0배에 달한다. 이 비교 대상은 메타의 라마(Llama)로 추정된다. 가우디2는 3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온디바이스용 ‘컴팩트’ △효율성과 안정성이 균형잡힌 ‘밸런스드’ △믹스쳐 오브 엑스퍼트(MoE) 기술 접목한 고품질 모델 ‘슈프림’이다. 기본 모델인 밸런스드는 가우디1 대비 파라미터(모델 크기를 결정하는 단위)가 절반에 불과하나, 언어와 코드와 이미지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이다. MoE는 전문가 모델을 동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가우디2가 어떤 전문적인 질문을 받으면 이에 적합한 전문가 하위 모델만 답하는 식이다. 모든 전문가 하위 모델이 동시에 작동하면 연산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된다. MoE는 필요한 전문가 모델만 선택하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큰 대형 모델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돕는다. 구글의 스위치 트랜스포머 모델도 MoE를 탑재한다. 이 모델은 각 입력에 대해 소규모 전문가 하위 모델을 1~2개 활성화한다. 오픈AI는 GPT-4 내부 아키텍처를 자세히 공개하지 않았으나,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MoE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우디2는 ‘토크나이저(Tokenizer)’ 기술도 접목했다. 토큰은 텍스트의 작은 단위다. 예를 들어 “I love AI”라는 문장은 I, love, AI라는 세 개의 토큰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토큰화는 단어를 기준으로 삼을뿐 아니라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쌍에 기반하기도 한다. 이는 바이트 페어 인코딩(BPE)이라는 방법이며, 대부분 LLM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banana라는 단어를 토큰화할시 a와 n은 쌍으로 묶이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토큰으로 취급한다. BPE에 따르면 banana는 6개의 토큰이 아닌 b, anan, a와 같이 3개로 분류한다. 타사 모델은 대부분 토크나이저 기술이 BPE에 기반한다. 구글은 자체 토큰화 기술인 센텐스피스(SentencePiece)를 사용한다. 센텐스피스는 영어와 중국어, 아랍어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진 언어 간에 균형을 맞추는데 탁월하다. 삼성전자는 가우스2 개발에 필요한 페로스(PHAROS)와 스페이스(SPACE) 플랫폼을 공개했다. 페로스는 대규모 고품질 학습 데이터를 수집해 정제하는 플랫폼이고, 스페이스는 AI GPU 기반 대규모 GPU 클러스터다. 한편, 삼성전자는 가우디를 내부 시스템에 적극 활용 중이다. 대표적으로 프로그래밍 어시스턴트 ‘코드아이(code.i)’다. 코드아이는 2023년 12월에 출시해 DX 부문에 배포됐고. 사내 소프트웨어 개발자 60%가 활용 중이며 생산성을 4배 향상시켰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http://www.thelec.kr 출처 : https://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1293
-
-
-
-
-

[엽기유머] 부산롯데타워의 역사
현재 부산 롯데백화점 광복점에는 아직 허허벌판 공사판인 부지가 있음. 그 부지는 바로 부산롯데타워 부지인데 이걸 알아볼라면, 1994년도까지 거슬러올라가야함. 1994년 롯데는 부산에 부지는 옛 부산시청부지. 그래서 부산시는 1995년 옛 시청 땅(중앙동7가일대)을 매각했고, 해양수산부도 일대 매립을 허가했음. 그렇게 1997년12월 교통영향평가를마치고, 1 2022년10월 부산롯데타워 부지는 위 사진처럼 철골로 방치됨. 그렇게 9월30일이 지났으니 위 철골은 철거를하고, 2022년12월30일 롯데측에선 부산시한테 부산롯데타워 건축허가 신청을함. 그렇게 2023년이 들어서자 건축허가 절차를 통과하고 기공식사진 그리고, 기공식당일날 부산롯데타워 새 조감도가 나옴. 새 조감도 (구마켄고설계) 그렇게 약 한달이지나고… 2023년9월 기공식 약 한달만에 부산롯데타워 부지에는 타워크레인이 설치됨. 그리고 약 9개월만에 부산롯데타워 부지엔 크레인2기가 설치됨. 이제 현장을보면 의문점이생길수있음. 바로 지상부공사가 하나도 진행이안됨. 이유는 바로 설계변경. 원래 부산롯데타워는 저층부에 판매시설 그리고, 고층부엔 전망대로 구성되어있었는데 즉, 타워중앙은 텅텅 빈공간이였다는 소리임. 하지만, 롯데측에선 안에 호텔,오피스를 추가로 넣음. https://m.newszoom.kr/1163966 [뉴스줌 ] 부산롯데타워 지상공사 착수…준공 2028년으로 2년 연기 지난해 8월 사업 시작 23년 만에 첫 삽을 뜨고도 공사 지연 논란이 불거졌던 ‘부산롯데타워’가 본격적인 지상공사에 들어갔다. 타워 설계 변경으로 준공 시점은 애초 2026년에서 2028년으로 2년 정도 미뤄진다. 2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롯데쇼핑은 최근 부산롯데타워 코어 공사를 위한 하도급 골조업체를 선정했다. 현재 부산롯데타워 공사 현장에는 타워크레인 2기를 설치 m.newszoom.kr 그렇게 기공식 후 약11개월, 2009년 착공 후 15년만에 지상부공사에 착수함. 다만 준공시점이 26년→28년으로 연기됨. 2024년8월3일 부산롯데타워 부지에 철골이 올라갔다는 소식이 들리게됨. 2024년8월16일 부산롯데타워 부지에 철골과 거푸집이올라감. 2024년10월 롯데측에선 또 조감도를 바꿈. 그렇게 현재 공사현황은……. 이렇게 코어부분 공사를 하고있음. 1층코어작업 마무리중에 있으며, 현재 ACS 작업중임. 현재 ACS(갱폼)을 붙이고있고, 코어2층부공사를 시작중임. 현재까지 공사현장은 아주 순조로운상태임. 커튼월테스트중이며,ACS조립중,자재들이 계속 추가되는중임. .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