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2,484);
-
-
-
-

[스포츠] ㄹㅇ 영화같은 꿀잼 커리어의 끝판왕
<모든 정보 출처: 킹무위키> 남미 축구 리그 휩쓸고 EPL 웨스트햄 입성 끝 없는 부적응 겪으면서 위기 허나, 후반기 살아나기 시작 30라운드부터 37라운드까지 5골 2어시스트 팀은 20등에서 17등으로 올림. 마지막 시즌 경기 38라운드, 리그 우승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결승골 집어넣으면서, 팀 잔류 성공 다음 해에는 맨유 임대 이적 <놈놈놈 시절>2007/08 시즌: 48경기(선발 39경기) 19골 6도움 2008/09 시즌: 51경기(선발 34경기) 15골 6도움 루니와 호날두, 긱스등과 황금편대 형성. 엄청난 공격력 보여줌. 당연히 완전이적 수순으로 넘어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음. 허나, 2008/09시즌 베르바토프 이적과 함께 벤치로 밀려남에 대한 불만과 동시에 소속이었던 써드파티(*훗날 EPL에서는 써드파티 소속을 금지시킴)와의 협상 트러블로 인해 이적하게 되는데 <맨시티> 이적 후 ㄹㅇ 포텐이 터짐. 2009-10 시즌: 42경기(선발 38경기) 29골 7도움, 2010-11 시즌 부터는 축구에 흥미를 잃었다는 등, 향수병 ㅈㄹ병이 도짐. 허나 테베즈가 대체불가한 전술의 핵심이라 클럽도 난처한 상황 2011-12 시즌에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아게로와 에딘 제코 영입됨 이로 인해 입지가 약해짐과 9월 챔스 경기에서 교체 출전 거부 사건이 터짐. 이후 만치니와 클럽에게 찍혔고, 출장정지 당하니 클럽무단이탈해서 골프대회출전하고 놀러다님, 1월 이적시장에 내보내려 했으나 여러사정으로 실패함. 쉬고 있다가 구단에 사과하고 복귀함. 실전감각이 떨어져 있음 + 열심히 뛰지 않을거라는 예상과 다르게 3월 복귀전에서 어시스트에서 하며 실력을 보여주기 시작함. 4월 노리치 시티와의 경기에서는 해트트릭+1도움까지 기록함. ㅋㅋㅋㅋ재밌는건 팀에이스가 사고쳐서 항명하고 이렇게 활약 없는 시즌에 팀은 44년만에 리그 우승함. 2011-12 시즌: 15경기(선발 8경기) 4골 3도움 12-13시즌에는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줬으나, 테베즈 멘탈감당하기 힘들어 시즌 종료 후 유벤투스에 매각함. 2012-13 시즌: 47경기(선발 39경기) 17골 11도움 <유벤투스> 96경기 50골 16도움.. 2시즌간 활약 리그우승도하고,, 골도 많이 넣었고, 팀도 챔스결승에도 올려봄. 근데 이떄는 노잼이라 별로 할말이 없음. 2시즌 활약 후 고향 가고 싶다고 보카주니어스 감. 전형적으로 아름다운 고향 복귀 커리어로 끝나나 생각했는데?? <상하이 선화> 뜬금 이적료 400억에 이적함. 연봉은 500억 ㄹㅇ 황제대우 받으며 중국가서 돈받으며 잘할줄 알았는데 대충 뜀; 심지어 인터뷰로 중국인 심기도 건들임 ㅋㅋ 테베스 “유럽에 정말 돌아가고 싶다. 중국 축구는 50년이 지나도 유럽 수준에 못 따라온다” 훈련도 대충하거나 불참하고 살도 쪄서 돼지됨, 오 덕분에 보카주니어스는 테베스로 320억 ㄱㅇㄷ봄 ㅋㅋㅋㅋㅋㄹㅇ 말년까지 낙폭차 큰 변화구 같은 횡보 보여주다 은퇴함. https://www.fmkorea.com/7706881950
-

[밀리터리] 데이터)실물로 보는 총기시대 유럽갑주의 변화
갑옷이라는 건 시대나 전장환경에 따라서 변하는데, 중세말 플레이트 메일이 본격적인 총기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알지만, 이게 정확한 무게나 제원이 어떻게되는지는 잘 안다루던 것 같습니다. 보다 더 많은 표본을 살펴보면 좋겠지만 여기서는 간략하게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품 7세트(부록까지 더하면 8점)를 살펴보며 대략 어떻게 변하는지 개략적으로 소개해볼까 합니다. 소개문까지 캡쳐되었으니 찾으실 분들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제원으로 찾아보시면, 원소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 저작권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습니다. 트렌지셔널 아머(Transitional Armor), 1400~1450년 이탈리아 사슬갑옷(Chain Mail)에서 플레이트 아머(Plate Armor)로 넘어가는 시대의 과도기적 갑옷이라고 하는 트렌지셔널 아머입니다. 흉곽에 붙은 흉갑은 브리간딘으로 알고있습니다. 천이나 가죽 등 유기물과 철편을 엮어서 만든 갑옷으로 원론적인 분류에서는 한국의 두정갑과 동일하다고 알고있습니다. 갑옷의 신장도 표시되어있는데 168.9cm고 무게는 18.6kg입니다. 매번 나오는 서양갑옷은 보기와는 다르게 가볍다는 갑옷의 예시라 할 수 있겠네요. 물론 자세히 보시면, 손은 가죽 건틀릿이고, 허벅지 보호구는 뒷허벅지랑 엉덩이가 비어있습니다. 아무래도 승마 때문에 굳이 없어도 되서 뒷부분은 비어있는 것 같네요. 신발은.. 신발은 모르겠습니다. 저거도 브리건딘으로 쇠찰편이 있는지 없는지.. 직접 문의해봐야 알 것 같네요. 아참 본문과 상관없는 TMI 인데, 사슬 갑옷은 Mail이라고 하고, 판금 갑옷은 Armor라고 해서 영어에서는 이 둘이 따로 분리되고 섞어 쓰면 안되더라구요. 올해에 들어서야 알았습니다 ㅠ 이시대 실 갑옷의 활동성은 아래 동영상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플레이트아머 고딕양식, 15세기 후반 독일 1의 갑옷이 15세기 초중엽인데, 이 고딕양식 플레이트 아머는 15세기 후반추정 작입니다. 무게만 일단 보실건데, 투구를 제외한 전 갑옷의 무게는 20.53kg입니다. 그러면 투구를 포함하면 어느정도냐..? 이 유물이랑 똑같이 생긴 투구 무게를 참조하면 2.3kg 가량 추가되서.. 넉넉하게 봐서 총무게 23kg 될 것 같네요. 아래는 참고한 투구 유물입니다. 1과 다른 부분이라면 1과 달리 손가락까지 철제로 둘러싸는 건틀릿을 끼고있고, 허벅지 보호구도 뒤에까지 둘러싸여 있는데다, 신발부도 눈에띄게 철로 둘러쌓고있습니다. (1) 부록 : 막시밀리언1세 투구, 15세기 중엽~16세기 초반 독일 3. 플레이트 아머 1535년 독일 앞의 이탈리아 트렌지셔널 갑옷이랑 다르게 이친구는 관측사진이 홈페이지에는 이것밖에 없습니다. 뒷면사진도 보이면 좋을텐데 조금 아쉽습니다 ㅠ 표기에 As mounted h 77in이라고 써있는데 말에 탔을때 높이가 이정도인지 섰을때 높이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건 뭐 그러려니 넘어가고 무게에 집중하면 27.85kg 입니다. 1의 갑옷이 18~19kg이니까 10kg 가량 더 무거워서 조오금 육중해집니다.ㅎㅎ 유물 3점 정도를 살펴봤을때 알 수 있는 특징은 무게가 조오금씩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그래도 이후에 등장하는 본격적인 화기 시대에 비하면 변화정도가 미미?한 편에 속합니다. 흉갑기병이라거나 하카펠 기병이라거나 본격적으로 대포와 총기가 쓰이기 시작하면서 약소화?되었다는 갑옷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4. 퀴레시어 갑옷(1), 1610년 이탈리아 육안으로 확연하게 보이는 모습은 이제 허리랑 허벅지가 두꺼워져서 뚱땡이가 된 모습입니다 ㅎㅎ 정강이를 보호해주는 하반신 보호구인 그리브Greave와 발의 보호가 생략되고 손에 끼우는 갑옷인 건틀렛도 손가락부분은 제외된 모습입니다. 그러면 무게는..? 39.24kg… 이야 한 7~80년전 갑옷인 3이 무거워져서 28kg 조금 안되던 것에 비해 11kg 늘었습니다. 이무렵부터의 갑옷 특징은 보호구를 조금씩 줄이고 총탄을 맞을만한 부위의 두께를 늘리는 식으로 모양이 변화하게되는데, 부위가 집중되면 무게는 그대로일줄 알았는데, 두께가 늘어나니 당연히 무게도 한 11kg 늘어나네요 ㅠㅠ 아참, 정강이를 보호하는 그리브의 경우 2의 고딕갑옷 것이 944g입니다. 생각보다 이 부위를 제외한다고해서 경감할 수 있는 무게의 폭이라고 해봐야.. 많이쳐줘도 2~3kg? 일 것 같습니다. 5. 퀴레시어 갑옷(2), 1621년 네덜란드 이친구도 거의 별반 다를 바 없습니다. 아까보단 조오금 날씬해져서 36.45kg 입니다. 6. 퀴레시어 갑옷, 1623년 이탈리아 이친구는 위에 4~5에 비하면 그냥봐도 날씬한데,총무게가 명시가 안되어있어서 다 더해보자면.. 어… 22.876kg 입니다. 앞에 뚱뚱이들이 36~39kg이나 하는 덕택에 훨씬 가벼워보이지만, 1의 트렌지셔널 아머랑 비교해보면 정강이보호구가 없는데 4kg정도 더 무겁습니다. 나머지 4kg가 주요 피격부위에 더해졌다? 상상히면 될 것 같습니다. 7. 하카펠 기병 1683 ~ 1706년 포르투갈 국내에서 그냥 이렇게 입은 기병을 하카펠 기병으로 일컫기 때문에 이렇게 썼는데 박물관 도록에 나와있는 건 하퀘부시어(Harquebusier)네요. 원명칭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좀 부탁드립니다. 그냥 사전에서는 Arquebusier(총병)이란 같은 동의어라고 읽히는데 기병일 때는 어떻게 바뀌는지 모르겠습니다 ㅠ; 그래도 17세기 초에서 20~30년까지는 갑옷으로 방어부위가 조금 되는 편이었는데, 위 사진에 해당되는 17세기 말 ~18세기 초가 되면 그것마저도 더 줄어듭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방어부위는 상반신 가슴을 가리는 흉갑, 투구그나마도 얼굴을 가리는 부위는 사라지고 건틀렛도 왼손만 남습니다. 그나마 왼손 건틀렛은 방패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유물은 특이하게도 흉갑부가 3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방/후방 으로 2부분, 그리고 전방부에 보강철판이 하나 더붙어서 앞부분 철판만 사진에 나오듯이 2개입니다. 그래서 무게는 가볍냐? 흉갑무게만 19.6kg, 투구무게 4.354kg, 건틀릿 953g 으로 총무게 24.907kg 입니다. 장갑, 투구, 가슴판, 장갑만 낀게 다인데 거의 25kg이죠. 14~15세기경인 1의 트렌지셔널이 18~19kg, 2의 고딕갑주가 23kg, 3이 28kg이 조금 안되는거 감안하면, 방어부위도 저렇게밖에 안되는데 더럽게 무거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ㅎㅎ 사실상 방탄의 목적으로 더 적게 보호하고 두꺼워져서 무거워진거라 볼 수 있겠습니다. 이시대 이후에는 이마저도 갑옷이 싹 사라지거나 흉갑 앞부분이랑 투구만 쓰거나 아니면 그것조차 안입고 다니다가 18세기말 19세기초 나폴레옹 시대에 가서야 흉갑과 투구가 부활한 퀴레시어로 재탄생하게됩니다. 물론 이마저도 다시 시대가 흐르면 싹 사라집니다 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줄요약 : 총기 등장이후 갑옷이 면적이 줄어들지만 두께랑 부피는 늘어나 무게는 더욱 증가 참고출처 : https://www.metmuseum.org/
-
-
-

[엽기유머]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시리즈]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시리즈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3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4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5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군붕이들 ㅎㅇ 오늘도 국군 프라모델 정리하려고 왔음. 현재 남은 건 오늘 다룰 해상장비랑 피규어, 그리고 미처 못 다룬 키트들인데…미처 못 다룬 키트가 꽤 되더라고. 특히 에어로(항공장비) 부분이 그럼. 그래서 해상장비 먼저 쓸지, 항공장비 또 쓸지 고민했는데 그냥 해군 꺼 먼저 쓰려고 함. 왜냐면 해상장비 기다리는 친구들 꽤 있을 거 같고 또 키트가 너무 적어서 금방 다룰 수 있을 거 같거든. 그럼 ㄱㄱ~ LPH-6111 독도급 대형수송함 1/700 독도함 키트는 인젝션으로 나왔음. 역시 아카데미에서 발매했고 헬기 총 3기(링스, 블랙호크, 수리온) 포함임. 참고로 MCP 사양이라 도색 없이도 그럭저럭 만들 순 있음. 예전에 이마트 콜라보 한정판이 나온 적도 있었음. 얘는 에칭 포함임. 할인도 했는데 재고가 아직 있으려나? 예전에 아트웍스에서 에칭을 발매했는데 그건 구하기가 어려워졌음. 그 대신 대용품으로 테트라모델에서 에칭을 내놓았음. 다만 일부 모형샵에서만 팔고 있으니 알아두셈. 파인하비라든가. 또한 1/700 레진으로도 출시된 적 있음. 오랜지하비에서 도크도 열리게 만들었음. 마찬가지로 오렌지하비에서 동스케일 LCAC에 K-711A1, K-9, K1A1, K-21, AAV-7A1 등등을 부가상품으로 내놓았음. 2. PKG-711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놀랍게도 나왔음. 단, ⅓50이나 1/700이 아닌 1/87 스케일임. 나보모델(NB Model)에서 3D 프린트로 뽑아낸 키트임. 그래서인지 제품도 굉장히 큼. 참고로 이 회사는 앞으로 더 소개할 해군 장비 일부와 거북선, 왜선 등등도 판매하니 알아두셈. 3. DDG-991 세종대왕급 구축함 울프팩에서 출시한다고 예고했는데 아직 안 나옴. 1/700 스케일임. 그래도 레진으로 나오긴 했음. Salv Model에서 1/700으로 출시함. GG Model에서도 동스케일로 내놓았고. 4. PCC-772 포항급 초계함 우리가 아는 그 유명한 천안함 맞음. 북한이 공격해서 침몰해버린 바로 그 함. 북괴 씹새끼들. 아주 예전에 아카데미에서 ⅓50 한정판 키트를 발매했었음. 에칭도 포함해서. Doggy industries에서도 1/700으로 발매했음. 5. SS 손원일급 잠수함(독일 214급 잠수함) 얘도 나왔음. 레벨에서 1/144라는 큰 걸로 냈음.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도 가능한 듯. ⅓50으론 울프팩이 내놓았음. 형상이 다른 레진 함수와 슈퍼링스 2대도 동봉함. 원본 214급도 내놓음. 얘도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 제작 가능. 6. DDH-II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얘도 1/700 GG Model에서 출시됨. 7. DDH-I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1/700 GG Model 출시. 8. LST-1 운봉급 전차상륙함 놀랍게도 인젝션으로 발매됨. 먼저 ⅓50으로는 Type-2 사양으로 AFV 클럽에서 내놓음. 참고로 동사에서 바다 베이스도 판매하니 알아두고. 1/700으론 일본 업체 피트로드(Pit-Road)에서 발매했음. 구성은 대충 요럼. M4 셔먼 전차, ½ 트럭, ¾ 웨폰캐리어, LCVP 등등. 9. DD 충북급 구축함(미국 기어링급 구축함) 완전 똑같은 사양은 아니지만 ⅓50으로 나옴. 드래곤제 기어링급(셔벌리어함)으로 출시됨. 다만 난간 부품이 없고 개조가 좀 필요함. 또 동스케일 오렌지하비의 대만 함정 De-Yang(DDG-925)으로도 얼추 맞음. 얘도 기어링급이거든. 오렌지하비 1/700 데양에도 기어링 함포 붙이고 개조 좀 하면 재현 가능하대. 10. PC-701 백두산함 (미국 PC-461 구잠함) 6.25 전쟁 때 활약한 백두산함임. 1/87로 나보모델에서 만들었음. 참고로 미국 거와 한국 게 다른 점이 좀 있음. 제일 대표적인 것이 바로 후방에 탑재된 3인치 함포임. 백두산함은 함포를 제거하고 대신 중기관총을 거치함. ⅓50은 Hellenic Ship Model에서 나온 게 있음. 그리스 업체고 2023년도에 나왔는데 PC-461 사양임. 1/700으론 Five Star Model 상품이 있음. 11. DD 충무급 구축함 (미국 플레처급 구축함) 완전히 같진 않더라도 키트로 나옴. 미국 업체 Aquacraft Models에서 1/72로 만들었음. ㅈㄴ 클 듯. 레벨에서도 1/144로 나왔음. 근데 요새는 잘 안 보이는 듯. ½00 사양은 트럼페터에서 뽑음. ⅓50으로는 타미야, 트럼페터에서 출시함. 트럼페터는 DD-537 술리반함임. 피트로드, 트럼페터, 타미야에서도1/700으로 뽑았음. 피트로드 건 자위대 사양임. 12. DD 대구급 구축함 (DD-692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Blue Ridge Models, Iron Shipwrights 등등에서 ⅓50으로 내놓음. 근데 동스케일은 찾기가 좀 어려워보임. 1/700은 역시 피트로드가 뽑음. 벌써 50장 다 채웠음. 담에는 배 약간하고 포탑, CIWS 등등으로 다시 오겠음. 끝까지 읽어줘서 ㄱㅅ!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0640
-
[엽기유머] 강대국들이 내걸었던 슬로건.jpg
포르투갈 제국 -단결은 이제와 항상 영원히 가장 강력한 힘이다.(Vis Unita Maior Nunc et Semper)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하느님이 우리편에 계시니 그 누가 대적하리오(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 러시아 제국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계시노라!(Съ нами Богъ! / С нами Бог!) 이탈리아 왕국 -F.E.R.T *F.E.R.T가 무엇인지는 제대로 밝혀지지 않음 독일제국 -신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라질수도 없고 분열될 수도 없다( 네덜란드 왕국 -나는 유지할 것이다.(Je Maintiendrai) 소비에트 연방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미국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In god we trust 에스파냐 제국 -저 너머 프랑스 공화국 -자유, 평등, 우애(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 일본제국 -팔굉일우 * 나치 독일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하나의 지도자(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 대영제국 -신과 나의 권리(Dieu et mon droit) 강대국은 아니였지만 대한제국 光明天地(광명천지, 모든 땅에 밝은 빛을 내리리다.)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
-
-
-
-
-
-
-

[스포츠] 진짜 부상 끝인가...텐 하흐가 남기고 간 '1000억 유리몸' 마운트, 맨유 훈련 복귀
메이슨 마운트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훈련장에 돌아왔다.영국 '디 애슬레틱'은 5일(한국시간) "마운트가 부상으로 시즌을 시작한 후 전체 훈련 세션에 복귀했다. 당장 경기에 복귀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요일 PAOK와의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UEL) 경기를 앞두고 맨유 선수단과 함께 훈련을 재개했다"고 보도했다.마운트는 첼시 성골 유스 출신이다. 프랭크 램파드 감독의 신뢰를 받았고 2019-20시즌부터 4시즌간 첼시에서 뛰었다. 그는 2020-21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우승을 경험하기도 했고, 첼시 올해의 선수로도 선정됐다. 하지만 잦은 사령탑 교체와 부상 여파로 인해 활약상이 저조해졌고, 총 195경기에 출장해 33골 37도움으로 첼시 생활을 마무리했다.지난해 여름 이적시장에서 맨유행을 결정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맨유는 중원을 보강하기 위해 마운트를 시즌 첫 번째 영입생으로 선택했다. 이적료 6000만 파운드(약 1023억)라는 거금을 들였고, 2022-23시즌까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달았던 등번호 7번까지 맡기면서 기대감을 불러일으켰다. 마운트도 프리시즌 동안 맨유에서 적응을 마쳤다.그러나 개막 후 많은 경기를 뛰지 못했다. 마운트의 경기력은 기대 이하였고, 잦은 부상이 반복됐다. 11월 프리미어리그(PL) 루턴 타운전 이후 종아리 부상을 당하면서 재활에 전념했고, 4개월간 경기에 나서지 못하다가 리버풀과의 잉글랜드 축구협회컵(FA컵) 8강전에서 복귀했다. 이후 브렌트포드전에서 첫 골을 신고했지만, 이 골은 마운트의 시즌 처음이자 마지막 득점이 됐다.시즌 막바지에도 또 부상으로 결장했다. 마운트는 모든 공식전 20경기 출전과 1골 1도움이라는 초라한 기록만을 남겼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마운트는 맨유로 이적할 당시 주급 25만 파운드(약 4억 4,100만 원)의 계약을 맺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를 적용하면 그가 프리미어리그 512분을 뛰면서 1분당 약 25,390파운드(약 4,400만 원)를 받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프리시즌 동안 반등을 목표했다. 친선 경기에서 꾸준히 기회를 받았고 전체적인 활약상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풀럼과의 개막전에 선발 출전한 이후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전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면서 45분 만에 교체됐다. 한 달만에 돌아왔지만 3경기 만에 토트넘 홋스퍼전에서 경기 도중 머리를 다쳤고 공식전 7경기 동안 결장했다. 그동안 맨유는 부진하며 리그 13위까지 내려왔다. 텐 하흐는 경질됐고 후임으로는 후벵 아모림 감독이 부임한다.
-

[스포츠] 아스널의 스포츠 디렉터 에두가 팀을 떠날 예정이며, 노팅엄의 구단주가 이끄는 그룹에 합류할것으로 보인다
아스널의 스포츠 디렉터인 에두가 곧 북런던 클럽을 떠나 노팅엄 포레스트의 구단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가 운영하는 구단 그룹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계약은 아직 체결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역할도 확정되지 않았지만, 그리스 사업가 밑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기로 한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입니다.에두는 현재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에서의 업무가 마무리되는 대로 57세인 마리나키스와 함께 일을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리나키스는 프리미어리그의 포레스트, 그리스의 올림피아코스, 포르투갈의 리오 아베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제안된 내용에는 에두가 이러한 구단그룹을 획장하고 운영을 맡는 역할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에두는 2003-04 시즌 아스널의 '무패우승' 팀의 일원으로 활약했던 선수로, 2019년 여름 아스널의 첫 번째 기술 디렉터로 임명되었습니다. 같은 해 12월에는 아스널의 전 미드필더였던 미켈 아르테타를 감독으로 영입했으며, 이후 2020년 9월에는 그의 역할이 매니저로 변경되었습니다. 에두의 역할 역시 2년 후인 2022년 11월, 아스널의 첫 번째 스포츠 디렉터로 변경되었습니다.아르테타의 임명 이후 아스널은 2020년 FA컵을 우승했고, 2023-24 시즌에는 프리미어리그 타이틀에 단 1점 차이로 다가가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9월에는 아르테타가 아스널과 새로운 3년 계약을 맺었으며, 이에 대해 에두는 "구단 모두에게 매우 긍정적이고 자랑스러운 순간이며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에두가 아스널에 합류한 이후, 구단은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메수트 외질, 알렉산드르 라카제트, 니콜라 페페와 같은 고액 연봉 선수들을 떠나보냈고, 마르틴 외데고르, 윌리엄 살리바, 벤 화이트와 같은 젊은 선수들을 영입하는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지난해 11월, 에두는 이탈리아 매체 투토스포르트가 주최한 골든 보이 어워드에서 2023년 유럽 최고의 디렉터로 선정되었습니다.에두는 과거 코린치안스와 발렌시아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00년대 아스널에서 3년 반 동안 127경기에 출전해 15골과 8개의 도움을 기록했습니다.2011년 은퇴 후, 에두는 고국 브라질에서 코린치안스의 축구 디렉터로 5년간 일했으며, 2014년에는 이란 국가대표팀의 자문 역할을 두 달간 맡기도 했습니다. 이후 브라질 국가대표팀 코디네이터로 3년간 근무한 후, 아스널로 돌아와 기술 디렉터로 활동했습니다. 에두의 퇴사는 아스널에 큰 공백을 남길 것으로 보입니다.아스널의 전담 기자 제임스 맥니콜라스의 분석에 따르면, 에두는 아스널의 재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는 선수 영입 부서를 재구성하며 인재 발굴과 협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그가 아스널에 있는 동안 선수단은 큰 변화를 겪었으며, 가브리엘과 외데고르 같은 선수들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영입해 팀의 평균 연령, 가치, 실력을 향상시켰습니다.에두는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 11월 스포츠 디렉터로 승진했으며, 이는 아카데미와 여성팀에 대한 감독권도 부여받는 자리였습니다. 그는 아르테타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습니다. 에두의 퇴사는 아스널에 큰 공백을 남기겠지만, 그가 재건한 선수 영입 부서가 아스널에 남긴 유산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https://www.nytimes.com/athletic/5806690/2024/11/04/arsenal-edu-leaves-club/
로보트카작성일
2024-11-05추천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