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797);
-
-
-
-
-
-
-
-
-
-
-
-

[영화] DC 코믹스 (1935) 관련 공개작들 ft. 1968년판 배트우먼
* 기간 한정 공개일 가능성이 있거나, 일부 지역 한정 공개인 작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전에 소개된 작품 등 일부 작품들은 간략히 소개하고 넘어가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https://www.kmdb.or.kr/story/140/4430 1935년에 첫 만화를 발행해 여러 작품들 및 캐릭터들을 데뷔시켜온 출판사 'DC 코믹스'는 이후 다른 분야 업계와도 계약을 맺어 극장 영화, 실사판 TV 시리즈, 애니판 TV 시리즈, 비디오 게임, 홍보용 애니메이션과 함께 진행된 토이라인, 80주년인 2015년에 열린 코스프레 행사, 90주년인 2025년에 신작 영화가 개봉하는 슈퍼맨의 굿즈 판매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전개되어 왔습니다. 이 중 1941년 샤잠 실사판 영화처럼 한국 기준으로 저작권 보호기간이 종료되어 퍼블릭 도메인이 된 1962년 이전 영상 작품들처럼 접하기 쉬운 작품들도 있고(자세한 것은 위의 KMDB 기사 참고), 무료로 감상하는 대신 광고들이 첨부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전지역 혹은 일부 지역 한정 공개가 허용된 작품들 혹은 비영리 목적인 팬 제작 작품들도 있는데 일부나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스파이 스매셔' 실사판 Spy Smasher (1942) 본래 포셋 코믹스 연재 만화에서 데뷔했다가 이후 DC 코믹스로 합류한 캐릭터가 주인공으로 나온 DC 코믹스 계열 슈퍼히어로 영화 작품으로 독일의 전범 조직 나치스의 음모에 맞서는 내용의 총12부작 연작 영화 구성으로 극장에 상영했으며, 리퍼블릭 영화사 작품들 포함 1930년대 딕 트레이시 실사판 및 1940년대 샤잠 실사판 등 여러 연작 영화들에서 나온 비슷한 구성(대표적인 예로 마스크를 쓰거나 해 얼굴을 감추는 빌런의 계략으로 주인공이 위기에 빠지는 장면에서 끝낸 뒤 다음 편 극장 상영에서 무사히 해결하는 패턴 등)에서 살짝 변주를 주려는 시도도 보였으며, 원작에선 아군 편인 '자이로섭'이 실사판에선 나치 소속의 '배트 플레인'(The Bat Plane)으로 바뀌는 등 코믹스 팬들 입장에선 화들짝 놀랄 과감한(?) 각색도 이뤄졌습니다. '블랙호크' 실사판 Blackhawk (1952) 마찬가지로 본래 '퀄리티 코믹스'에서 연재했다가 이후 DC 코믹스로 합류한 작품을 실사화한 슈퍼히어로 영화 작품으로(이전에 슈퍼맨 실사판 영화에 나왔던 '커크 알린', '캐럴 포먼'이 이 작품에도 출연), 항공 편대가 초연료 '엘리멘탈 X'를 외국 스파이에게 뺏기지 않도록 지키는 내용을 다루었으며, 이미 TV가 나타나고, 항공 소재보다 SF 소재가 더 주목 받는 등의 한계 속에서도 연작영화 기준으로 장기 편성(?)인 15부작으로 구성되어 극장에 상영 됐습니다. https://www.openculture.com/2024/11/watch-70-classic-literary-films-free-online-the-snows-of-kilimanjaro-gullivers-travels-jane-eyre-and-more.html https://watch.plex.tv/watch/movie/the-wild-world-of-batwoman '와일드 월드 오브 배트우먼' The Wild World of Batwoman (1966) '아담 웨스트', '버트 워드' 주연 실사판 배트맨 TV 시리즈 및 영화가 인기를 끌던 시기에(이후 실사판 출연용으로 기획된 캐릭터 '바바라 고든' /'배트걸'도 출연) 제작된 비공인(?) 실사판 영화로 사악한 '랫핑크'가 첨단 장치를 훔쳐 악용하려는 걸 막고자 '배트우먼' 및 여성 요원들 '배트걸즈'가 맞서는 내용을 다뤘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CCC(컬트 시네마 클래식스)에서 다중 언어 자막 지원 기능과 함께 공개 중이고, 플렉스에서도 광고와 함께 무료 공개 중이니 위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ajunews.com/view/20180509155138754 https://archive.org/details/Superman_1979_Atari_John_Dunn_Sears_CX2631_49-75152 '슈퍼맨' 아타리 게임판 Superman (1979) '워너'가 아타리를 인수한 이후 '크리스포터 리브' 주연 슈퍼맨 실사 영화가 평과 흥행 양쪽 다 대성공을 거두면서 제작된 비디오 게임으로 당시 기술적 한계에서 가정용 아케이드 및 싱글 플레이 게임으로서 걸작이란 호평을 받으며 당시를 대표할 게임으로 선정하는 매체도 나왔으며,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과거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하면서 이 게임도 웹 상에서 다이렉트로 플레이할 수 있게 됐습니다.(자세한 것은 위의 언론 보도 기사 및 인터넷 아카이브 링크 참고) https://www.cbr.com/liquid-sky-sci-fi-cult-classic-streaming-youtube/ https://watch.plex.tv/watch/movie/swamp-thing https://www.goldradio.com/artists/the-beatles/hard-days-night-film-trivia-facts/ '스웜프 씽' 실사판 영화 시리즈 'Swamp Thing' (1982), 'The Return of Swamp Thing' (1989) 이전에도 소개한 적 있는 작품으로 한국에는 '스웜프 맨', '스웸프맨', '늪지의 원시인', '늪지의 괴물' 등의 명칭으로도 알려진 시리즈이며 생명 공학 연구를 하던 '알렉 홀랜드'와 '앨리스 케이블'이 이를 악용하려는 조직에게 습격당하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고, 1편이 저예산의 한계 속에서도 로저 이버트를 포함한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아 로튼토마토에서 신선한 토마토를 받고, 비록 극장 흥행에선 주목 못 받았으나 부가 시장에서 흑자를 내어 속편 영화도 제작됐고, 이후 영화판 배우 '딕 듀록'이 계속 스웜프 씽을 연기하는 90년대 TV 시리즈도 추가로 제작됐으며, 실사판 영화들은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FFF, 플렉스, 플릭 볼트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와일드캐츠' 애니판 TV 시리즈 WildC.A.T.S. (1994) https://retro-rerun-collection.creator-spring.com/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ZNlAa1UKF6wJmXzPxWe2SrMmOorEriL 이전에 소개한 적 있던 작품으로 DC 코믹스 계열사 작품이 원작으로 여러 슈퍼히어로 영화 및 TV 시리즈들이 인기 끌던 시절, TV에 방송 가능한 형태로 각색해 사악한 데모나이트의 위협에 맞서 케루빔 종족의 후손들이 슈퍼히어로 팀을 구성해 맞서는 내용으로 방송했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레트로 리런에서 공개 중입니다. '슈퍼맨: 제네시스' Superman: Genesis (2009) 본래 연례 팬행사 '슈퍼맨: 셀레브레이션'에 제출할 용도로 제작된 팬 필름으로 저예산을 넘어 무예산(?)으로 슈퍼맨이 슈퍼맨이라 불리기 이전 시절을 다뤘으며, 제작진 소개 크레딧 이후 쿠키 장면도 나오는 구성으로 제작됐습니다. 'DC 슈퍼 히어로 걸스' 웹 시리즈판 'DC Super Hero Girls' (2015) 토이라인과 연계해 나온 애니메이션 웹 시리즈 작품으로 원작의 캐릭터들을 순화하여 (본래 슈퍼히어로였든, 본래 슈퍼빌런이었든 무관하게) 같은 학교 학생으로 함께 어울리며 각종 사건 해결도 나서는 내용으로 각색한 작품이며 당시 큰 인기를 얻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시리즈, 소설판 시리즈, 해당 애니판을 기준으로 삼은 그래픽 노블 시리즈도 나왔으며(이후 2019년에 리부트 시리즈도 제작) 분할 영상 형식 혹은 시즌별 모음 영상 양쪽 다 공개 중입니다. '슈퍼맨: 피로스의 승리' Superman: Pyrrhic Victory (2022) 가상현실 플랫폼 '세컨드 라이프'의 그래픽 엔진을 활용해 제작된 마시니마 팬 필름으로, 슈퍼맨 2 (1980)처럼 조드가 지구를 습격하고, 슈퍼맨 리턴즈 (2006)처럼 비행기를 구출하고, 맨 오브 스틸 (2013)처럼 조드가 민간인을 히트 비젼으로 죽이려 들고, 배트맨 v 슈퍼맨 (2016)처럼 슈퍼맨도 승리를 위해 큰 희생을 각오해야 하는 등 여러 시대에 걸쳐 나온 슈퍼맨 실사판 영화 작품들을 오마쥬한 내용을 다뤘으며 로이스 레인, 라나 랭, 그리고 2025년 실사판에도 나올 예정인 캣 그랜트 등 슈퍼맨과 인연을 맺어온 여러 여성 캐릭터들도 나왔습니다. '배트우먼' 멕시코 실사판 La mujer murciélago The Batwoman (1968) 이 작품 역시 아담 웨스트 버젼 실사판 배트맨이 인기를 끈 이후 제작된 작품으로 사악한 과학자가 부하들을 동원해 레슬러들을 납치해 척수액을 추출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려는 생체실험을 진행시키기 위해 계속 희생시키며, 원인을 알 수 없는 희생자들이 계속 발생하는데 경찰들이 자신들만으로는 사건을 해결할 수 없어 배트우먼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물론 이 작품도 비공인 작품입니다만 워너 영화사든, DC 코믹스든 딱히 이 작품이 광매체로 나오는 것을 막을 필요는 없다고 여긴건지 2024년에 부록 포함 블루레이도 출시됐습니다. 위의 작품들과 달리 Tubi에서 지역 한정으로 영어 자막과 함께 공개 중이며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tubitv.com/movies/100029264/the-batwoman
콩라인박작성일
2025-01-26추천
0
-
-
-
-
-
-

[정치·경제·사회] 참고용으로 신뢰할만한 여론조사 결과
정치 성향을 떠나서 최근에 발표되는 여론 조사 결과들이 신뢰하기가 어려운 것들이 많습니다. 관련 업계에 오랫동안 종사했던 사람으로서 통계에 대한 신뢰도가 무너져가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살펴볼만한 자료들이 없나 선관위에 등록되는 자료들을 살펴보다가 참고할 만한 자료가 드디어 올라왔길래 소개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선관위에 올라와 있으니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요약해서 소개해 드리면, 조사는 전국지표조사(NBS, National Barometer Survey) 입니다. NBS에 참여하는 조사기관은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로 국내 조사회사로는 메이저입니다. 주요 개요를 살펴보면, 표본 1,000명, 표집오차는 3.1%p, 조사방법은 전화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 입니다. 응답률은 22.8%로 총 4,394명과 접촉하여 그 중 1,000명이 응답했습니다. 일반 ARS RDD 보다는 월등한 응답률입니다. 해당조사의 조사기관은 4개의 조사회사 중 한국리서치와 케이스탯리서치 입니다. 살펴볼만한 결과로는 연령별 결과가 재밌습니다. 70대 이상에서 복귀 의견이 뚜렷하게 높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을 거의 다 따라잡았다고 나오는데 본 자료에서도 그렇게 나옵니다. 민주당 지지자 1,000명 중 357명, 국민의 힘 328명으로 각각 35.7%, 32.8%가 나옵니다. 민주당 지지한다고 한 357명중 복귀의견을 표한 자는 2%인 반면,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한 328명 중 탄핵인용의견을 표한 자는 11% 입니다. 국민의힘 국회의원 중 탄핵 찬성을 표한 의원 비율과 유사합니다. 연령별 지지정당자료를 귀찮아서 분석해보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70세 이상 인구의 감소속도가 이하 연령대 보다 높다는 것을 감안 할 때, 상기의 자료를 분석하면 별다른 이슈 없이 현재의 구도가 굳어지면 10년 쯤 후에는 일부 영남권을 제외하면 국민의힘은 의석수를 내기 어렵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보수가 정신차렸으면 좋겠습니다. 몇몇 뉴스의 기사에서 말하기를 대권후보 중 한 사람인 이재명씨의 경우 탄핵국면에서 대권후보로서의 영향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비호감도 같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기사를 냈습니다. 그러나 조사에서 살펴본 주요 대권후보 거론자들의 비호감도만 살며보면, ‘호감이 가지 않는다’ 이재명 60%, 한동훈 78%, 홍준표 75%, 오세훈 71%, 우원식 58%, 이준석 82% 입니다. 그리고 정당별 지지율에서는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만, 정당기준 대선후보 지지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2% 더 높게 나타납니다. 조국혁신당 지지율과 사실상 합칠 수 있다 가정할 때 14% 차이가 납니다. 또한 이 자료에서 중요한 점은 1. 이념성향이 보수라고 응답한 사람 중 20%가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는 점입니다. 2.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수(357명)가 국민의힘 지지자의 수(328명)보다 많은데, 이념성향이 진보라고 응답한 응답자의 수(293명)보다 보수라고 응답한 응답자의 수(330명)가 더 많습니다. 해당 자료만으로 각 정당 지지자와 이념성향이 어떻게 뒤섞여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직관적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중도쪽에서 국민의힘보다 외연확장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두 가지를 놓고 보면, 다음 대선이 언제일 진 모르지만, 현재의 구도로는 국민의힘 필패로 보입니다. 보수의 결집도 있지만, 결집에 동조하지 않는 보수도 선명해 보입니다. 외연확장도 더불어민주당이 더 유리해 보입니다. 오랜만에 숫자를 들여다 봤더니 급 피곤하네요. 혹시 오류는 없는지 자료를 이리저리 확인하느라 피곤합니다. 좀 더 재밌는 내용도 볼 수 있었지만, 그건 담에 다시 체력이 회복되면 써보기로 하겠습니다. 아무튼, 주요 조사회사에서 신뢰할 만한 자료들을 계속 생산해서 잘못된 통계에 호도되는 경우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