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462);
-

[유머·엽기영상] 한국에서 대마초가 금지된 이유
트럼프의 당선으로 미국은 대마초의 연방 합법화 수순을 밟게 되었는데 다른 마약들은 사형까지 거론하면서도 대마초는 허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는 외국에서 대마초의 인식이 술 담배 같은 기호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빌 클린턴, 조지 부시, 버락 오바마, 카멀라 해리스, 일론 머스크 같은 정재계 거물들도 대마초를 즐겨 피운다고 한다. 위 그래프를 보면 대마초의 중독성 유독성 모두 합법 마약인 알코올 니코틴 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아편전쟁을 겪은 중국도 마약은 선처없이 사형이지만 대마흡연은 최대 2000위안(30만원)의 과태료나 열흘 정도의 구류만 부과한다 게다가 중국은 전세계 합법화 바람에 대마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나 한국에선 엄청난 규제 때문에 산업 경쟁력에서 뒤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NT8Zo_sfwo 보다시피 지체장애인이 대마초를 피우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이러면 제약회사들이 비싼 약을 팔 수 없기에 의사협회와 약사협회에서 로비를 해서 불법화했다는 설 대마나무 줄기로 만드는 삼베의 천연섬유가 듀퐁사가 개발한 합성섬유 나일론과 레이온의 시장 진출을 가로막아 로비를 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일은 없다. 미국에선 청탁이 합법이기에 충분한 재력만 있다면 가능한 일.. 마찬가지로 한반도에선 범죄가 아니었는데 담배가 부족할 경우 대마잎으로 흡연을 했었다. 그러나 박정희 정부 들어와서 해외여행 및 장발 미니스커트와 함께 금지되었다. 사유는 외국의 불량한 히피문화가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서였다는데 당시 셈법으로는 산업화를 위해 노동시장에 인력을 갈아넣어야하는데 대마초 피우고 늘어져서 일을 안하면 안되니까… 근데 이런 논리면 술도 팔면 안되지 않나? 애초에 일하면서 술을 마실 수가 없는데… 흡연하는 방식때메 담배와 혼동하는 건 같은데, 담배 흡연은 에너지드링크 마시는 것과 비슷하고 대마 흡연은 술을 마시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믿기 힘들겠지만 한국에서 일반인의 해외여행이 가능해진건 80년대 이후부터다… 이후 출국 두발 치마 규제는 풀렸지만.. 대마초는 아무도 총대매는 정치인이 없어 정계에선 언급조차 되고 있지 않다 사실 그럴만도 한게, 한국에선 외국인들처럼 대마초 합법화 요구 시위를 하는 사람들이 없으니까.. 외국인들이 대마초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이유는, 우울한 마음을 기쁘게 바꿔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정에 따르면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화는 20~29세 남성의 자살률이 9.2~10.8% 감소하고, 30~39세 남성의 자살률이 9.4~1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의료용 마리화나는 우울증 치료제로 한국의 의료용 대마초 헴프와 다른데, 한국에선 THC성분은 의료용으로도 불법이라 CBD만 의료용으로 사용한다. 약 이름은 ‘에피디올렉스’ 뇌전증(간질) 발작 억제용으로만 쓰인다. 정리하자면 한국 의료용 대마초 : CBD 간질 만 치료 외국 의료용 대마초 : THC 치매 암 우울증 등 치료 즉, 한국에서는 사실상 의료용으로도 대마초는 전면 금지된 상태 그런데 한번 생각해보자 대마초는 행복감을 고취시켜 우울증을 낫게하고 자살율을 줄인다 경제성장 시기에는 노동력 향상을 위해 각성제인 담배는 권하고 진정제인 대마는 금했다. 하지만 지금 한국은 어떤가? 전세계 실업율 자살율 1위다. 이런 나라가 정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하나? 이를 바꿔 말하면, 일을 해서 경제를 성장시켜야 할 청년들이 일도 안하고 자살을 하여 국가의 노동력을 손실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때는 대마 금지가 국가를 위해 필요했다. 그러나 이젠 대마가 국가를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한국은 쇄국정책 당시의 조선과 같다. [시리즈] 대마초 합법화 · 마약마약 대마초의 효능과 선진국에서 합법화 시키는 이유 · 싱글벙글 대마초 합법화 시 세금수익을 계산해보자 https://gall.dcinside.com/board/poll/vote?no=1267884 출처: 의학 갤러리 [원본 보기]
-
-
-
-
-
-
-
-
-
-
-
-
-
-
-
-
-
-
-

[등산·캠핑] 한라산에서 남긴, 라면국물 하루 120ℓ
■ 한라산 정상에서 남긴 라면 국물…미생물도 '너무 짜서' 죽어버려한라산을 오르는 사람들이 올리는 백록담·윗세오름 인증 사진들을 보면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음식이 있습니다. 바로 '컵라면'입니다.해발 1,950m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꼭대기에서 등반 후 먹는 라면은 그 어디에서 먹었던 라면보다도 꿀맛일 수밖에 없을 겁니다.산 정상에서 버너 등을 이용한 취사 행위는 불법이지만 보온병에 따뜻한 물을 담아와 컵라면에 부어 먹는 건 위법한 행위는 아닙니다.이 때문에 한라산 탐방객들이 해발 1,740m 윗세오름 대피소 등지에서 자리를 펴고 앉아 너도나도 보온병을 꺼내고 컵라면 봉지를 뜯어 '후루룩' 들이키는 광경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문제는 한라산에서 라면을 먹는 사람이 늘면서 남은 라면 국물 등 음식물쓰레기 양도 증가했다는 겁니다. 한라산 윗세오름 대피소에는 60ℓ들이 물통과 함께 국물만 걸러낼 소쿠리를 비치해 탐방객들이 이곳에 라면을 먹은 뒤 남으면 따로 버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버려진 라면 국물과 건더기를 음식물 처리기에 넣으면 미생물이 포함된 톱밥과 섞여 분해되고 이렇게 분해된 부산물은 모노레일에 실어 산 아래로 가지고 내려옵니다.윗세오름 대피소는 이 같은 대용량 음식물 처리기 2대를 구비해 놓았는데 최근 이런 장비로도 라면 국물 처리가 곤란한 상황을 맞았습니다.라면 국물이 수분이 많은 데다 염분도 높아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하는 미생물이 죽어버려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 "탐방객 많을 땐 라면 국물 120ℓ 발생"…무단 투기 과태료 20만 원특히 꽃이 피는 봄철 성수기에 탐방객들이 몰릴 땐 컵라면을 먹는 사람도 덩달아 늘어납니다."하루에만 라면 국물이 100~120ℓ가량 모이기도 한다"는 게 하성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공원보호과장의 말입니다.하성현 과장은 "음식물 처리기 용량이 400~500ℓ에 달하지만, 라면 국물에 염분이 너무 많아 종종 작동이 잘 안 돼 직원들이 기계를 열어 굳은 톱밥을 꺼내기도 하는 등 엄청나게 고생을 하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습니다.한라산 정상에서 컵라면을 먹은 뒤 무심결에 땅에 라면 국물을 그냥 부어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연공원법상 과태료 20만 원이 부과되는 엄연한 불법 행위입니다. ■ "라면 국물, 한라산 물·토양에 치명적…생태계 위협도"탐방객들이 화장실이나 땅에 라면 국물을 버리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자 결국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소는 웃픈(?) 캠페인까지 벌이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라면 국물 남기지 않기 운동'입니다.현수막은 물론 한라산국립공원 직원들이 착용한 어깨띠에도 "라면 국물을 남기지 말자"는 절절한 호소가 새겨져 있습니다.'라면 국물 남기지 않기' 방법으로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소가 제시한 것은 '수프 반, 물 반 넣기' 입니다.컵라면 1개에 들어 있는 수프를 다 넣으면 그만큼 물을 많이 부어 넣어야 하기에 애초에 다 마시지 못할 양의 라면 국물이 생기는 걸 막자는 취지입니다.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지만 이유는 한 가지입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청정 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 교란을 막기 위해서입니다.하성현 과장은 "염분이 많은 라면 국물을 한라산에 그냥 버리면 계곡 물줄기를 따라 흘러내려 가며 오염돼 깨끗한 물속에서만 사는 날도래, 수채(잠자리 애벌레)와 같은 수서곤충과 제주도롱뇽 등에 위협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이어 "라면 국물을 그냥 땅으로 버리는 행위는 토양으로 스며들면서 오염돼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특산 식물의 멸종을 야기할 수 있는 행위"라며 "까마귀나 오소리, 족제비 등이 라면 등 음식물 냄새를 맡고 윗세오름 대피소로 접근해,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며 생태계 교란도 초래할 수 있다"며 탐방객들의 인식 전환을 부탁했습니다. ■ 제보하기▷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아임OK작성일
2024-03-31추천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