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3,824);
-
-
-

[밀리터리] 군하하하 우크라이나군의 M1에이브람스 전차 평가
우크라이나에는 수많은 서방제 1선급 장비들이 지원되었는데, 미군의 M1 에이브람스도 그 중 하나이다. 에이브람스는 세계 최강의 전차로, 깡통 사양 기준 대당 140억정도 하는 전차임. 미국은 치장물자로 보관중이던 에이브람스, 호주군이 사용하던 AIM 사양 에이브람스를 비롯해 백대 정도의 에이브람스를 우크라이나에 무상 제공 하였다. 물론 독일에 우크라이나군을 데려가 교육훈련도 진행했고, 전차 내부의 설명서와 지시 표기도 다 번역해서 새로 달아 줌. 아무튼 이렇게 우크라이나에게 지원 된 에이브람스들은 곧바로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24년 8월 기준 우크라이나에 인도된 에이브람스 전체 31대 중 20대가 순식간에 소모되고 말았음.. 가장 충격적인 건 70만원짜리 러시아 드론에 에이브 한대가 잿더미가 되어버린 사건임 이 사건 이후로 우크라이나군은 서방제 에이브람스와 레오파르트2, 챌린저 등에도 콘탁트(소련제 반응장갑)와 닭장형 철창 등을 용접해 덕지덕지 붙히는 시도를 하고있음. 러시아군에 노획당해 모스크바까지 끌려간 에이브람스 전차 아무튼 이렇게 최전선에 투입되어 소모되는 경우가 크다보니 우크라이나 측에서도 에이브람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긍정적인 평가가 많이 나왔는데, 에이브람스는 안정적인 기동성을 가졌으나 화력이 부족하다. 에이브람스의 120mm 활강포는 칭찬할만 하지만 포탄은 병신같다. 에이브람스는 드론 공격에 전혀 보호가 되지 않는다. 포탑에 대한 방호력이 부족하다. 장갑이 너무나도 약해 적의 공격에 취약하다. 러시아군의 0순위 제거 대상이라 집중 공격 받는다. 정비 효율성이 씹창났다. 대전차전을 위한 포탄을 가지고는 있으나 포병 지원 없이는 화력지원 용도로밖에 못 쓴다. (풀숲에 멀리서 한두방 박아넣는 것) CNN 인터뷰에서의 우크라이나군 평가 증언 M1 에이브람스의 장갑은 충분하지 않다. 어떤 승무원은 러시아군의 공격에 아우디우카 전투에서 두 다리를 잃었다. 우크라이나 전장에 M1에이브람스가 부적합하다. 안개와 습도에 전자장비가 쉽게 망가진다. 주포로 건물에 17방 갈겼는데 건물이 멀쩡했다. 그래서 미국은 F16 전투기들도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무상으로 제공했는데 우크라이나군에게 인도된지 거진 한달만에 아군 오사로 추락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벌어진다 ㅠㅠ 아무튼 이러한 우크라이나군의 에이브람스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미군 관계자들이 반박을 하고 나섰는데, 마크 허틀링 중장은 “우크라이나군의 에이브람스에 대한 악평과 우크라이나 지형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은 개소리다” 라며 강경하게 대답했다. 30년동안 유럽 여기저기서 에이브람스 굴려봤는데, 에이브는 애초에 NATO 환경만 고려하여 설계된 전차가 아니라는 것. 그도 그럴게 미군은 에이브람스를 사막, 습지, 고원 지형 등 여기저기에 투입시킨 바 있다. 또한 에이브람스의 낮은 방호력과 화력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대답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군이 적절한 무기 옵션을 선택하지 않았고, 제대로 된 유지 보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미군은 우크라니나 정비대대에 전체적인 에이브람스 정비 교육을 제공했으나, 우크라이나측은 계속해서 미국에 정비 인력 지원을 요청했다고 함. 러시아군에게 격파된 영국의 챌린저, 독일의 레오파르트 전차들 물론 전쟁에서 싸우라고 만든 군사 장비가 전장에서 소모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임. 하지만 어렵게 지급받은 서방제 1선급 장비들이 “잘못된 지휘, 운용에 의하여 무의미하게 소모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문제로 지적받고 있다. 과거 우크라이나군은 잘 구축된 러시아군 화망에 미국의 브래들리 장갑차와 레오파르트 2 전차들을 무지성으로 꼴아박아 전량 손실을 낸 적이 있음. 이는 우크라이나에 서방제 1선급 장갑차량 지원이 이루어진지 얼마 지나지 않아 벌어진 일임. 이 시건 한번으로 서방에서 1선급 무기 무상 지원에 부정적 의견이 잠시 커지기도 했었음.. 하도 달래서 기껏 줬더니 무지성 꼴아박고 다 불태워 왔으니 그럴만도 하긴 하지.. 서방에 의한 첫 전차 지원이었던 프랑스의 AMX-10RC 경전차에 대해서도 광학장비의 성능은 훌륭한데 장갑이 터무니없이 얇아 “최전선에서 못써먹는다.” 근처에 떨어진 포탄 파편에 승무원이 사망하기도 했다 라며 악평을 쏟아낸 적도 있음.. 근데 프랑스는 애초에 이거 최전선에서 굴리라고 준게 아니라 좋은 광학장비와 원거리 주포로 멀리서 적을 정찰하고 저격하는 용도라고 반박 함. 애초에 지원할때부터 그렇게 말해주기까지 했는데 우크라니이나군이 잘못된 용도로 사용하고 혹평을 했다는 입장이었음. 이런건 꽤나 우려가 되는 문제임.. 우크라니나가 러시아군을 소모시키며 서방의 모루 역할을 해내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서방도 우크라이나에 무상으로 투입 가능한 무기 재고가 부족한 상황이고, 이껏 지원해준 1선급 장비들은 무제한 줄 수 있는것들이 아님.. 따라서 잘못된 운용방법으로 이런 장비들을 무의미하게 낭비하는것은 우크라이나군 본인들에게도 많은 마이너스 요소가 될 것이다.. https://youtu.be/8RqQkSMg_Qo?si=5DzklBCDgsq4JQKG ? Ukraine War - Ukrainian Bradley Breaks Through Russian Defense In Kursk • GoPro Combat Ukrainian footage released by the 47th Mechanized Brigade shows Ukrainian M2 Bradley Infantry Fighting vehicles supported by an M1 Abrams tank breaking throu… youtu.be 너무 우크라이나군 나쁘게만 말하는 것 같지만 브래들리 장갑차를 이용해 러시아군을 효과적으로 몰아낸 사례도 있음. 중요한 전략 자원인 만큼 제대로 된 전술과 지휘통제 아래 운용해야만 한다고 본다. 우크라이나는 한국으로부터 T-80U나 K1E1을 비롯한 1~2선급 장비들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데, 만약 한국군 장비가 우크라이나로 가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임. 잘못된 운용법으로 한국산 장비들을 소모시켜버린다면, 현제 국제적 무기 세일즈로 많은 수익을 내고있는 한국 방산업계의 이미지가 분명히 타격을 입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제 전차와 장갑차들이 밥솥마냥 터져나가는 영상들이 올라오면서 3세계 국가들의 러시아군 전차 조입 계획들이 줄줄히 백지화 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대부분 중국이 시장 가져갔음
-
-
-
-
-
-
-

[엽기유머] (스압주의) 실제 존재하는 게임속 장소를 찾아보자! 야노브와 자톤 상
프리피야티 기타시설물편에 이어서 쓰는 4편 야노브와 자톤 상 (자톤과 습지) -인게임 지명 기준으로 작성됨- 야노브와 자톤의 자료가 생각보다 방대해서 두개를 나눠서 쓸예정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lker&no=28999&search_head=150&page=1 (스압주의) 실제 존재하는 게임속 장소를 찾아보자! 프리피야티 기타시설편 스토커 시리즈 마이너 갤러리프리피야티 외곽편에 이어서 쓰는 프리피야티 3편 기타 시설물편 -인게임 지명 기준으로 작성됨-이번편은 전편에서 사진 제한때문에 못올렸던 기타시설물과 저번에 세세하게 다루지 못했던 건물 위주로 다룰 예정, 그래서 중복도 gall.dcinside.com -자톤- 실제 자톤은 초르노빌 남쪽 초르노빌 마을 북동쪽에 위치한 선박 수리 기지라고 알려져 있지만 완전한 복사본이 아닌 창작이 많이 들어간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 특히 크레인 보관소나 다리같은 경우는 다른지역에 존재하는 구조물을 옮겨와서 표현했다고 하더라. -크레인 보관소- 실제 크레인은 늪지대가 아닌 프리피야티 동쪽 호수에 위치해 있음 이 호수는 원래 프리피야티 강과 연결되어 있었고, 이 화물 항구는 프리피야티에 새로운 거주 공간을 건설하고 초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5,6기를건설하기 위한 자재를 받기 위해 건설되었음. 크레인의 모델은 KPP-10/12.5 로 3개가 있으며, 물위에 떠다니는 크레인을 포함해 총 4개의 크레인으로 이루어져 있어. KPP는 러시아어로 벌크 취급 크레인을 의미하고 10/12.5는 크레인의 적재 용량을 나타냄. (그랩을 사용하면10톤 후크를 사용하면 12.5톤 이라는 의미)이 크레인의 높이는 30m 로 알려져있음. 이 항구는 4호기 구조 작업에 사용되었고 콘크리트와 기타 자재가 이곳에서 하역되었어. 특히 발전소를 덮기위한 석관 건설에 사용되었지. 석관 건설 이후 방사성 물질이 흘러내려가는걸 방지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면서 1987년 항구의 역할이 끝나게 되었어. -크뤼그 안테나 단지- ‘크뤼그’는 러시아어로 원형이라는 뜻. 지하에 블러드 서커로 차있는 그곳 이 레이더는 미사일을 감지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두가 레이더에서 직선으로 1km떨어진 숲속에 위치해 있음. 200m 폭의 고리를 다라 배치된 안테나 마스트 배열 레이더는 두가 레이더의 최적 작동 매개변수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는데 레이더 관련 기술은 아는게 없어서 패스 내부에 레이더 관련 장치들은 이미 없어진지 오래고 지하실은 허리까지 오는 물로 차있기 때문에 겨울에 물이 얼었을때만 탐사가 가능하다고 함. -해상 크레인- 선박 정비 기지에서 사용하던 해상 크레인 스토커에서는 이 배의 방향키가 아티팩트로 변해버렸다. -스카도브스크와 쉐브첸코 선박- 선박 정비 기지에 세워져있던 정비되고 있던 선박들 스토커 에서는 이 선박들이 마을과 같은 역할을 하는중. -이주므루드노예- 명칭은 ‘에메랄드’ 여름 캠프 러시아어로 ‘레크리에이션 센터 이즈므루드노예’로 초르노빌 구역에 있는 어린이 휴가 캠프. 발전소의 냉각용 연못 기슭에 위치한 숲속에 숨겨져 있어. 발전소의 직원과 아이들이 이곳에서 조용한 휴식을 취할수 있는 곳이였음. 이 캠프에는 만화와 동화 속 캐릭터를 보여주는 밝은 색상의 벽화가 있는 100개 이상의 나무 오두막이 있고, 캠프에서는 손님들에게 도서관, 연회장, 보트 스테이션, 영화관 및 상점을 제공했음. 공원 중앙에는 커다란 급수탑이 위치하고 있어. 초르노빌 재해 이후 이 캠핑장은 버러지지 않고 발전소 작업중 숙소로 사용되었음. -레인저 스테이션- 레인저 스테이션으로 추정되는 주피터 공장 바로아래 건물 정보 부족으로 용도는 알수없음 -프레오브라젠스키 다리- 실제 프레오브라젠스키 다리는 프리피야티에서 아주 먼 곳인 우크라이나 남동부 자포리자에 있는 동명의 다리를 모티브로 했음. 이 다리는 드네프르강을 가로지르는 주요 교량중 하나로, 자포리자 도심과 주변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톨로 역할을 해. 1950년대에 건설되어 자포리자 지역의 산업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오래된 다리의 유지보수 문제와 차량 증가로 인해 교통정체가 문제되자 우크라이나 인프라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다리를 포함해 여러 기반 시설에 대한 개선및 확장 작업이 추진되고 있어. -늪지대- -교회- 스토커 시리즈에 등장하는 늪지대 교회 건물. 실제 명칭은 ‘성 일리야’ 교회 성 일리야 교회는 19세기에 지어진 건축물로 초르노빌과 인근 지역 주민들의 종교적 신앙생활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음. 이 교회는 전통적인 러시아 정교회의 건축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사고 이전에는 지역 사회의 중요한 모임 장소로도 이용했어. 초르노빌 사고 이후에는 다른 건물과 비교해 방사능 오염이 정말 적은 건물중 하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야. 지금도 이 교회는 제한 구역 내에 있지만 일부 종교 행사나 특정 기념일에 제한적으로 열리기도 함. 초르노빌 투어에서 주로 들리는곳 중 한곳. (사진속 교회는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있는 버려진 목조 교회. 스토커 교회의 모티브는 성 일리야 교회지만 건물 모델은 이 교회로 추정) -수상 트램- 3부작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스토커2에서 등장하는 장소 실제 노면 전차(트램)를 수상별장으로 개조하여 사용했으며 지금도 키이우 데스나강 로즈니 마을 근처에서 쓸쓸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함 -다음편 예고: 야노브와 자톤 하편 (야노브)- (게임속 장소의 실제 위치)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1202
-

[엽기유머]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시리즈]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시리즈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2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3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4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항공장비 5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해상장비 1부 군붕이들 ㅎㅇ 오늘도 국군 프라모델 정리하려고 왔음. 현재 남은 건 오늘 다룰 해상장비랑 피규어, 그리고 미처 못 다룬 키트들인데…미처 못 다룬 키트가 꽤 되더라고. 특히 에어로(항공장비) 부분이 그럼. 그래서 해상장비 먼저 쓸지, 항공장비 또 쓸지 고민했는데 그냥 해군 꺼 먼저 쓰려고 함. 왜냐면 해상장비 기다리는 친구들 꽤 있을 거 같고 또 키트가 너무 적어서 금방 다룰 수 있을 거 같거든. 그럼 ㄱㄱ~ LPH-6111 독도급 대형수송함 1/700 독도함 키트는 인젝션으로 나왔음. 역시 아카데미에서 발매했고 헬기 총 3기(링스, 블랙호크, 수리온) 포함임. 참고로 MCP 사양이라 도색 없이도 그럭저럭 만들 순 있음. 예전에 이마트 콜라보 한정판이 나온 적도 있었음. 얘는 에칭 포함임. 할인도 했는데 재고가 아직 있으려나? 예전에 아트웍스에서 에칭을 발매했는데 그건 구하기가 어려워졌음. 그 대신 대용품으로 테트라모델에서 에칭을 내놓았음. 다만 일부 모형샵에서만 팔고 있으니 알아두셈. 파인하비라든가. 또한 1/700 레진으로도 출시된 적 있음. 오랜지하비에서 도크도 열리게 만들었음. 마찬가지로 오렌지하비에서 동스케일 LCAC에 K-711A1, K-9, K1A1, K-21, AAV-7A1 등등을 부가상품으로 내놓았음. 2. PKG-711 윤영하급 유도탄고속함 놀랍게도 나왔음. 단, ⅓50이나 1/700이 아닌 1/87 스케일임. 나보모델(NB Model)에서 3D 프린트로 뽑아낸 키트임. 그래서인지 제품도 굉장히 큼. 참고로 이 회사는 앞으로 더 소개할 해군 장비 일부와 거북선, 왜선 등등도 판매하니 알아두셈. 3. DDG-991 세종대왕급 구축함 울프팩에서 출시한다고 예고했는데 아직 안 나옴. 1/700 스케일임. 그래도 레진으로 나오긴 했음. Salv Model에서 1/700으로 출시함. GG Model에서도 동스케일로 내놓았고. 4. PCC-772 포항급 초계함 우리가 아는 그 유명한 천안함 맞음. 북한이 공격해서 침몰해버린 바로 그 함. 북괴 씹새끼들. 아주 예전에 아카데미에서 ⅓50 한정판 키트를 발매했었음. 에칭도 포함해서. Doggy industries에서도 1/700으로 발매했음. 5. SS 손원일급 잠수함(독일 214급 잠수함) 얘도 나왔음. 레벨에서 1/144라는 큰 걸로 냈음.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도 가능한 듯. ⅓50으론 울프팩이 내놓았음. 형상이 다른 레진 함수와 슈퍼링스 2대도 동봉함. 원본 214급도 내놓음. 얘도 그리스군, 포르투갈군 사양 제작 가능. 6. DDH-II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얘도 1/700 GG Model에서 출시됨. 7. DDH-I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1/700 GG Model 출시. 8. LST-1 운봉급 전차상륙함 놀랍게도 인젝션으로 발매됨. 먼저 ⅓50으로는 Type-2 사양으로 AFV 클럽에서 내놓음. 참고로 동사에서 바다 베이스도 판매하니 알아두고. 1/700으론 일본 업체 피트로드(Pit-Road)에서 발매했음. 구성은 대충 요럼. M4 셔먼 전차, ½ 트럭, ¾ 웨폰캐리어, LCVP 등등. 9. DD 충북급 구축함(미국 기어링급 구축함) 완전 똑같은 사양은 아니지만 ⅓50으로 나옴. 드래곤제 기어링급(셔벌리어함)으로 출시됨. 다만 난간 부품이 없고 개조가 좀 필요함. 또 동스케일 오렌지하비의 대만 함정 De-Yang(DDG-925)으로도 얼추 맞음. 얘도 기어링급이거든. 오렌지하비 1/700 데양에도 기어링 함포 붙이고 개조 좀 하면 재현 가능하대. 10. PC-701 백두산함 (미국 PC-461 구잠함) 6.25 전쟁 때 활약한 백두산함임. 1/87로 나보모델에서 만들었음. 참고로 미국 거와 한국 게 다른 점이 좀 있음. 제일 대표적인 것이 바로 후방에 탑재된 3인치 함포임. 백두산함은 함포를 제거하고 대신 중기관총을 거치함. ⅓50은 Hellenic Ship Model에서 나온 게 있음. 그리스 업체고 2023년도에 나왔는데 PC-461 사양임. 1/700으론 Five Star Model 상품이 있음. 11. DD 충무급 구축함 (미국 플레처급 구축함) 완전히 같진 않더라도 키트로 나옴. 미국 업체 Aquacraft Models에서 1/72로 만들었음. ㅈㄴ 클 듯. 레벨에서도 1/144로 나왔음. 근데 요새는 잘 안 보이는 듯. ½00 사양은 트럼페터에서 뽑음. ⅓50으로는 타미야, 트럼페터에서 출시함. 트럼페터는 DD-537 술리반함임. 피트로드, 트럼페터, 타미야에서도1/700으로 뽑았음. 피트로드 건 자위대 사양임. 12. DD 대구급 구축함 (DD-692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Blue Ridge Models, Iron Shipwrights 등등에서 ⅓50으로 내놓음. 근데 동스케일은 찾기가 좀 어려워보임. 1/700은 역시 피트로드가 뽑음. 벌써 50장 다 채웠음. 담에는 배 약간하고 포탑, CIWS 등등으로 다시 오겠음. 끝까지 읽어줘서 ㄱㅅ!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0640
-

[엽기유머] 체스 역사 속의 TMI들
[시리즈] 체스 옛날 이야기 · 15세기의 체스 대격변 패치, “여왕의 체스” · 인디언 오프닝과 어느 시골 브라만의 이야기 · 미국체스협회 레이팅 2위를 달성한 살인범의 이야기 · 1000년 전의 이슬람 체스 퍼즐, 만수바(+++++++) · 에반스 갬빗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 · ㅋㅋㅋㅋ 이건 진짜 체스 성유물이네 · 19세기의 체스계 슈퍼스타, 하워드 스턴튼 上 - 영웅편 - · 19세기의 체스계 슈퍼스타, 하워드 스턴튼 下 - 악귀편 - · 대수기보법과 오스만제국 출신 체스마스터 이야기 · 체스 유럽 전파 초기의 무서운 이야기 · 윌리엄 슈타이니츠 : 세계 체스 챔피언의 탄생 앞선 이야기들과 연관된, 미처 적지 못한 TMI들을 모아옴. 1. 이슬람은 알다시피 우상숭배의 우려 때문에 인간과 동물의 형상표현을 제한했었음. 그래서 아라베스크 같은 추상적인 장식문화가 발달하기도 함. 이는 체스에서도 마찬가지였음. 기물을 너무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면 인디언밥 당할 위험성이 있음. 그래서 당시 이슬람 애들은 샤트란지를 둘 때 이렇게 생긴 기물을 썼음. 각각 뭘 어떻게 추상화한거냐면, 룩(전차)은 양쪽에서 말 두마리가 끌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려고 양쪽으로 삐쭉 나와있음. 나이트는 말 대가리 하나가 달려있음. 코끼리는 상아 두 쪽을 표현하기 위해 앞으로 두개 뾰족한 게 나와있음. 킹은 거대한 왕좌, 재상은 그것보다는 조그만한 의자. 졸라 힙하게 생긴듯. 덤으로, 이슬람에서는 최강의 체스 선수들을 알리야트Aliyat, 그에 약간 못 미치는 선수들을 무타까리밧Mutaqaribat이라고 불렀다 함. 2. 19세기까지 체스의 중심지는 파리와 런던이었다고 했는데, 이 파리와 런던에서도 각각 ‘체스의 성지’ 취급받는 장소들이 있었음. 파리에서는, Café de la Régence. 여기는 진짜 오랜 시간동안 체스로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였고,유명한 프랑스 체스마스터가 있다 하면 다 여기가 활동거점이었다고 보면 됨. 레갈, 필리도어, 데샤펠, 라부드로네, 생아망 등등… 유명 경기들도 여기서 엄청 자주 열림. 전에 소개한 스턴튼-생아망 매치도 여기. 폴 모피 vs Harrwitz도 여기. 워낙 핫플이다 보니 유명인들도 자주 방문했는데, 루소, 디드로 같은 철학자는 물론이고, 체스를 좋아했던로베스피에르나 보나파르트 나폴레옹도 자주 들렀음.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인 밴저민 프랭클린도 파리 체류 당시 여기 단골이었다고 함. (여기서 필리도어의 사인을 받고 매우 기뻐했다고 전해짐) 공산주의의 아버지인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도 이 카페에서 만나서 친해짐. 안타깝게도 이미 20세기 초에 망해서 오늘날에는 방문할 수는 없음. 파리의 Café de la Régence보다는 약간은 급이 딸리지만, 런던의 성지는 Simpson's Grand Divan Tavern이었음. 스턴튼 편에서 스턴튼이 겜졌다고 분풀이로 욕했던 그 장소임. 여기도 정말 많은 체스 마스터들이 자주 찾던 곳이었는데, 스턴튼, 안데르센, 모피, 라스커, 타라쉬 등등등… 체스 두고 있으면고기 잘라서 옆에먹을 수 있게 놔주는 서비스가 당시 체스인들에게 아주 인기가 좋았다고 함. 슈타이니츠도평상시에 여기 와서 대국료 받고 손님들이랑 체스 두면서생계를 유지했음. 아돌프 안데르센과 Lionel Kieseritzky가 불멸의 게임(the immortal game)을 둔 장소도 바로 여기. 그냥 체스 핫플로만 유명했던 게 아니라 음식점으로도 졸라게 유명한 곳. 아서 코난 도일도 이 음식점의 단골로, 셜록 홈즈 시리즈에서도 셜록 홈즈가 “심슨 가서 밥이나 먹을까” 하는 대목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고 함. 윈스턴 처칠도 이곳을 자주 찾았음. 놀랍게도 이곳은 아직까지도 운영중이고, 런던에서 가장 전통 있는 레스토랑 중 하나임. 체스 핫플이던 시절은 한참 지났지만 그래도 레스토랑 장식으로 체스를 제법 활용하고 있음. 00년대에는 여기서 이벤트성으로 체스대회를 열기도 했다고 함. 방문객들 말에 따르면 체스 관련 옛날 희귀템들도 레스토랑 안에 제법 전시되어 있다고 함. 코로나 때 경영난으로 일시 휴업을 했고, 2025년에 재개장한다니까, 런던에 방문할 재력이 되는 체붕이라면 꼭 방문한 뒤 인증샷을 남기도록 하자. (음식 존1나게 비싸다고 함ㅋ) 3. 19세기, 20세기 체스사는 사료가 많을 테니 그렇다 치고, 1000년도 전의 인도, 페르시아, 이슬람, 중세 유럽 체스사 같은 건 대체 누가 연구한 걸까? 바로 이 사람. 영국의 학자 H. J. R. Murray가 체스사에 있어서는 거의 신화적인 연구자임. 글에서도 몇 번 언급을 했었는데, 이 사람이 저술한 “A History of Chess”는 1913년에 발표된 책인데도 아직도 체스사 GOAT 취급을 받고 있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체스 인도기원설’을 정설로 정립한 게 바로 이 책. 이 사람은 사실 이 사람 본인보다 아버지가 더 유명한데, 제임스 머레이 교수라고, 대한민국에서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초대 편집장임. 언어학자로 엄청나게 뛰어났던 사람이라 25개 언어를 알고 있었다는 괴담 같은 이야기가 있음… 심지어 제임스 머레이가 주인공인영화도 있음;;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 장남인 H. J. R. Murray도 여러 언어에 제법 능통했는데,아버지 급에는 미치지 못하고 12가지 정도의 언어를 알고 있었다고 함. 그 언어 중에는 아랍어, 아이슬란드어, 중세 독일어, 중세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등이 포함되어 있었음… 본직은 교수였는데, 체스 역사에 대한 작업을 해보는 게 어떠냐는 von der Lasa 남작(당대 꽤 유명했던 독일 체스마스터)의 제의를 받고, 작업에 착수함. 특히 당대에는 ‘체스의 기원이 도대체 어디인가?’라는 논쟁이 아직까지도 계속되고 있었음. (페르시아 기원설 / 인도 기원설이 계속 싸움.) 근데 Murray가압도적인 언어 지식과 수집가들에게 얻어온 세계 각지의 졸라게 광범위한 사료들을 바탕으로 A History of Chess를 집필하면서 인도 기원설을 채택함. 그 뒤로 인도 기원설이 그냥 정설이 되어버림. 세상에 비슷한 작업을 흉내낼 수 있는 사람 자체가 없는데 뭐 이의를 어떻게 제기하겠음?? 인도 페르시아 이슬람 고문헌 함 읽어보실분?? 한 체스 역사가는 “체스 역사가들이 머레이의 작업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것을 내놓는 데에 적어도50년이 필요했다”고 말하기도 함. A History of Chess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체스 역사가들이 연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참고하는 서적. 체닷 포럼에서도 “체스사 책좀 추천해주세요” 하면 이거나 읽으라는 댓글이 졸라게 달림. (근데 900페이지짜리 고봉밥이라 실제로 다 읽은 놈 얼마나 있을까 싶음) 진짜 별에 별 자료를 다 갖다놔서한국 장기도 매우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음 ㅋㅋ 옆에 ‘쟝긔판’이라고 써놓은 게 킬포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80652
조깅27작성일
2024-11-15추천
1
-
-

[엽기유머] 도쿄 가볼만한 근교 & 소규모 관광지 정리
도쿄 근교라고해서 하코네, 닛코 등지를 추천해주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사실 근교라고 하기엔 좀 미묘한 구석이 있다 (물론 하코네, 닛코는 훌륭한 관광지는 맞다) 시간이 뜨는데 간단히 들릴만한 곳 있나요?2) 한 2~3회차 되는데 좀 색다른 곳 없을까요?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글이 되었으면 함 물론 안 알려진 나만의 도심공간도 아니고, 고이고 고인 N회차 형님들한테는 택도 아닌 얘기일지도 모르니 반박시 니말이 다 맞습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써주길 바람) 동선상 묶어서 함께 보면 좋을 관광지와, 국내(서울)과의 컴패리즌도 표기할거니 참고하시면 될거 같음 신주쿠 권역1.1 키치조지 큰규모의 상점가와 이노카시라 공원, 지브리 미술관으로 유명하다 상점가는 어떤 곳은 복잡한 시장같은, 어떤 곳은 넓직한 백화점 같아 각자의 개성이 있으며, 이노카시라는 산책하기 좋은 숲과 연못이 있다. 지브리 미술관에 관심이 있다면, JR미타카까지 가서 셔틀버스를 타자 (미술관은 예약제이므로 예약 필수) 신주쿠에서 JR로 접근하기 매우 수월하고, 시부야에서도 이노카시라선으로 접근 가능함 추천도 : ★★★★ 추천 음식 : 멘치카츠, 야키토리 함께 볼 관광지 : 나카노, 신주쿠, 시부야 컴패리즌 : 석촌호수 1.2 나카노 사실상 나카노 브로드웨이 발사대 수준의 동네. 브로드웨이 가는 길에 적당한 수준의 상점가가 있다 브로드웨이는 라디오회관을 더 크고 어둡게 만든 곳이라고 보면 된다 씹덕 아니면 걸러도 무방한 수준이긴 하나, 씹덕이면 가보셈 역시 신주쿠에서 JR로 접근하는것이 가장 편하다 추천도 : ★★ / (씹덕 :★★★★) 함께 볼 관광지 : 키치조지, 이케부쿠로, 신주쿠 컴패리즌 : X 2. 시부야 권역 2.1 시모키타자와 일본의 홍대. 밴드 위주의 소극장과 빈티지 패션이 유명한 곳으로 걷는 것만으로도 눈이 즐겁다 철로와 함께 조성된 시가지는 경의선 숲길 같은 느낌 후속작이 없는 모 애니메이션 팬덤의 패악질은 최근엔 거의 없어진듯 함 권역은 시부야 권역이라 하는 것이 맞으나, 신주쿠에서도 오다큐선으로 직통연결되어있다. (동선 짤때 참고) 시부야에서도 이노카시라선으로 직통 추천도 : ★★★★★ 추천 음식 : 카레 함께 볼 관광지 : 산겐자야, 신주쿠, 시부야 컴패리즌 : 홍대, 연남동 2.2 산겐자야 도쿄 젊은층들이 살고 싶은 어쩌구저쩌구 하는 동네인데 사실 관광객들에게 크게 와닿는지는 의문 주택가 어슬렁거리다가, 커피 한잔하는 여유있는 여행 스타일을 가진 사람이라면 좋아할 동네 덴엔토시선 산겐자야역 밑으로는 상당히 망원동 느낌의 힙스러운 골목들이 많다. 노면전차가 신기하다면, 세타가야선을 한번 봐두는것도 추천 시모키타의 홍대뽕이 가시지 않았다면, 함께 연계해서 보면 좋을 관광지이다. (도보 25분, 버스 10분) 추천도 : ★★★ (호불호 있음) 추천 음식 : 커피 함께 볼 관광지 : 시모키타자와, 시부야 컴패리즌 : 망원동, 상수동 2.3 지유가오카 사실 남성 혼여족에게 그렇게까지 어울리는 장소는 아니다 만약 동반하는 연인이 있거나,자신이 코자라면 의류, 잡화, 디저트샵 등에 눈길이 갈 것임 남쪽 출입구를 통해 걸어가다보면, 가로수와 벤치가 있는 기다란 산책로가 보이는데 이 곳 감성 하나만큼은 이곳을 방문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요코하마행 토큐토요코선과의 연결도 아주 큰 장점. 지유가오카+요코하마로 하루정도를 소비할만 하다. 추천 음식 : 디저트류 함께 볼 관광지 : 요코하마, 시부야 컴패리즌 : 청담동, 서래마을 3. 닛포리권역 3.1 야나카 (야네센) 닛포리 서쪽 지역을 야나카라고 하고, 야네센은 야나카+센다기+네즈를 묶어 야네센이라고 한다. 위에 추천한 지역들은 구태여 ‘상점가’라는 표현을 썼지만 이곳은 ‘시장’에 가까운 느낌. 가다보면 길맥할수 있는 가게가 있는데, 주변 시장에서 먹을거리를 사서 가게에서 먹을 수 있다. 가로로 난 야나카긴자를 우선으로, 세로로 난 요미세도리를 둘러보는 루트를 추천 네즈 신사는 조용하고 토리이가 많은 신사를 한번 찾아보고 싶다면 추천하나, 굳이 그 정도인가 싶기도 하다. 추천도 : ★★★ 추천 음식 : 길맥, 커피 함께 볼 관광지 : 오차노미즈 근방(칸다, 도쿄돔), 우에노, 아키하바라 컴패리즌 : 익선동 3.2 키요스미시라카와 닛포리 권역이라고 보긴 좀 그런데 다른지역에서 찾기도 애매한 위치에 있음 특이한 형광등 조형으로 유명한 역사와 더불어 수많은 커피집들이 존재한다 산겐자야와 비슷하게, 주택가 어슬렁+커피 조합이 어울리는 동네 굳이 커피를 좋아하는게 아니라면 걸러도 무방 (본인은 만족하는 동네임) 성수동과 비슷한 동네인데, 성수만큼 젠트리가 빡세게 온 느낌은 아니긴하다 추천도 : ★★ 함께 볼 관광지 : 몬젠나카초, 긴시초, 오시아게(스카이트리) 컴패리즌 : 성수동 ----------------------------------------------------------- 더 현지 느낌나고 더 좋은 관광지가 있을 것이지만 본인은 현지인도 아니고 구력도 짧기 때문에 좋은 곳을 추천하지 못해 아쉬울 따름임 모쪼록 마음에 드는 곳을 찾길 바라며 글을 마쳐요 출처: 일본여행 - 관동이외 갤러리 [원본 보기]
-

[엽기유머]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2부
[시리즈]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시리즈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1부 · 프라모델로 나온 한국군 병기 - 지상장비 2부 모붕이들 ㅎㅇ 전에 국군 기갑차량 중 프라모델로 나온 키트를 소개했는데 사진 50장 제한 때문에 아쉽게도 다 올리진 못했음. 그래도 긴 글을 끝까지 읽고 봐줘서 고마움. 그럼 오늘 어쨌든 또 다시 국군 지상장비 및 기타 악세사리로 마무리하고 공군 쪽도 준비하려고 함. 그럼 ㄱㄱ M9 ACE 공병전차 미군, 한국군, 대만군 등이 쓰는 공병용 장갑 불도저임. ⅓5는 타콤제가 유명함. 한국군 데칼이 들어있지만 안 만들어봐서 몰?루 2. KM163 20mm 발칸 두돈반 등이 트럭으로 견인 가능한 발칸임. 레진 키트로 나왔음. 리암에서 발매함. 3. M2 / M101 105mm 견인곡사포 AFV 클럽에서 나왔음. 두돈반으로 끌고 가는 디오라마에 써먹을 수 있을 듯. 4. KH-179 155mm 견인곡사포 GGC에서 얘도 풀 레진으로 나왔음. 자사 K-711 차량에 써먹을 수 있을 듯. 5. K-10 탄약운반장갑차 GGC에서 레진 컨버전 키트로 출시함. 아카데미 K-9 및 K-9A1에 써먹을 수 있음. 이제 웬만한 ⅓5 키트는 대부분 쓴 듯. 지금부터는 데칼, 마스킹 세트, 포신 및 기타 디테일업 키트를 쓰겠음. 6. 지상군 부대 마크 ⅓5랑 1/72는 GGC에서 내놓은 게 있음. 육군, 해병대 마크 포함임. 한 군데 더 있었지만 그곳은 폐업 곧 할 예정이라 뺐음. 다른 곳 더 있으면 알려주셈. 그 외로는 M113, 흑표 데칼이 나와있음. M113은 백마부대, 맹호부대용임. 7. 메이드플랜 마스킹씰 메이드플랜에서 AAV-7A1, M113, K-311A1, K-511A1, K-9, K-9A1 등의 기갑장비에 마스킹할 수 있는 씰을 내놓았음. 페리스코프 스티커나 편광 스티커도 있으니 국군 마킹 어려운 친구들은 고민해보셈. 8. 별매 바퀴(타이어), 스프로켓휠, 로드휠 세트 K-311A1, K-9(A1), M113, M151A1/A2, M48A3, K-511 등을 위한 바퀴, 보기륜 등등 나와 있음. 맨 위 상품의 경우 상호명 나와있드라. 9. 별매 포신 얘네도 다양하게 나왔음. 레진 또는 메탈 바렐로 나왔는데 아쉬운 점은 K-1A1/A2의 짧은 120mm를 구현할 만한 메탈 포신은 거의 없음. 레진은 나왔지만. 그래도 흑표는 큰 문제 없을 듯. 특히 아래부터 3개 상품을 낸 KA 모델 것은 보다 쉽게 구할 수 있을 듯. 10. 별매 궤도 데프모델, MEK, GGC 등지에서 K-1, K-2, K-9, K-55A1 제작에 필요한 궤도를 만들었음. 대부분 연결식이지만 MEK은 넣고 끼우기만 하면 되는 궤도를 출시했음. 또한 데프모델 T158 궤도는 M1/K2용 부품과 K1용 부품 둘 다 고를 수 있게 만든 것도 좋음. 참고로 데프 T158은 K-1A2, K-2 모델러판, M1A2에 동봉되어 있으니 알아두셈. 11. 기타 디테일업 세트 GGC 기름통, 물통 세트. MEK 한국군 안테나 세트. 65도, 80도 등등 나옴. MEK 한국군, 미군 안테나 세트 K-9A1 컨버전 키트. 기존 K-9의 오류 일부도 잡아줌. K-9 캔버스 커버 세트. M113 쉴드 큐폴라 세트. 다른 데 보니 이스라엘군 전차 큐폴라도 있드라. 토리팩토리(Tori Factory) 한국군 개인화기 세트. K-1 기관단총, K-2 소총, K-5 권총, 도트사이트 등등 재현함. GGC CIP(피아식별판) 세트. K1A1 디테일업 세트. 이외에도 정말 많은 디테일업 키트가 있으니 알아두셈. 다음엔 항공병기로 돌아오겠음. ㅂㅂ~ 수정) 사진 제한 때문에 못 올렸지만 전차병, 보병, 차량 승무원 세트 같은 것도 있음. 그건 맨 마지막에 해군까지 다 하면 모아서 올려보겠음. 출처: 모형 갤러리 [원본 보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