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3,660);
-
-
-
-
-
-
-
-
-
-
-
[엽기유머] 대기업 근무하는 일본인들...급여명세서 공개
49세 대기업 근무 일본인 49세 대기업 근무 급여명세가 너무 비참하다 기본급: 278,460엔 직무수당: 15,370엔 기술수당: 9,280엔 통근수당: 5,130엔 주거수당: 12,740엔 특별업무수당: 7,910엔 지급액: 328,890엔 (약 300만원) 건강보험: 15,670엔 후생연금: 20,250엔 고용보험: 1,940엔 소득세: 5,130엔 주민세: 6,320엔 공제총액: 49,310엔 (약 45만원) 실지급액: 279,580엔 (약 254만원) 2. 대기업 15년차 일본인 대기업 마도기와족 15년차 리얼 급여명세서 *마도기와족(窓際族): 기본급: 315,780엔 직무수당: 20,420엔 기술수당: 12,650엔 특별업무수당: 14,320엔 통근수당: 5,240엔 주택수당: 15,980엔 지급총액: 384,390엔 (약 350만원) 건강보험: 17,430엔 후생연금: 23,150엔 고용보험: 2,170엔 소득세: 7,110엔 주민세: 6,450엔 공제총액: 56,310엔 (약 51만원) 실지급액: 328,080엔 (약 298만원) 3. 47세 대기업 관리직 일본인 대기업 관리직 47세 급여명세서 기본급: 530,420엔 직무수당: 58,370엔 자격수당: 22,540엔 주거수당: 19,250엔 통근수당: 6,180엔 지급총액: 636,760엔(약 580만원) 건강보험: 26,450엔 후생연금: 34,210엔 고용보험: 2,880엔 소득세: 15,220엔 주민세: 16,780엔 공제총액: 95,540엔 (약 87만원) 실지급액: 541,220엔 (약 493만원) 33세 IT 엔지니어 일본인 여성의 급여명세서 지급내역: 기본급: 210,000엔 비과세통근수당: 5,000엔 총지급액: 215,000엔 (약 196만원) 공제내역: 건강보험: 8,372엔 후생연금: 15,555엔 고용보험: 1,290엔 공제총액: 25,217엔 (약 23만원) 실지급액: 189,783엔 (약 173만원)
-
-
-
-
-
-
-
-
-

[유머·엽기영상]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 '명태균 용역비'로 3천만원 지급했다
뉴스타파는 명태균 씨가 서울시장 보궐 선거 관련 비공표 여론조사 13건을 실시했고 오세훈 시장의 측근이 그 비용 3,300만 원을 지급한 사실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 3,300만 원은 13차례의 조사 비용으로 보기에는 너무 적었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지난 2021년 4월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를 전후로 명태균 씨에게 두 건의 여론조사 용역을 맡기고, 그 대가로 3천만 원이 넘는 용역비를 지급한 것으로 뉴스타파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여의도 연구원이 13 차례 여론조사 비용의 일부를 다른 명목으로 가장해 지급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https://newstapa.org/article/XqNrA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 ‘명태균 용역비’로 3천만원 지급했다 (newstapa.org) ~~~ 이들의 거래는 또 있었다. 한 달 뒤인 2021년 5월 7일, 여의도연구원은 국무총리와 장관 임명에 관한 여론조사 용역을 미래한국연구소와 체결했다. 유무선 전화로 전국 1,000명을 조사하는데, 용역 금액은 450만 원(부가세 별도)이었다. 당시는 국민의힘이 김부겸 국무총리를 비롯해 장관 후보자 3명을 집중 공격하던 때였다. 야당인 국민의힘이 왜 이 같은 조사를 했는지는 의문이다. 계약서에는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이 등장한다. 국민의힘 차원의 용역 의뢰였던 것이다. 정리하면, 2021년 4월~5월 여의도연구원은 명태균 측과 총 2건의 여론조사 용역을 맺었고, 용역 비용으로 3,015만 원을 지급했다. 뉴스타파 보도 후 김 회장은 한 언론에 “오세훈 시장과 관계가 없는 여론조사”라면서 “당시 조사 결과는 김종인 위원장이나 여의도연구원으로 보고된 걸로 안다”는 입장을 밝혔다. 명 씨의 비공표 여론조사가 국민의힘 싱크탱크로 보고됐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여의도연구원이 보궐 선거 전후로 명 씨에게 용역을 주고 3천여만 원을 지급한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숨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선거가 한창일 때 이뤄진 사전투표율 조사나, 문재인 정권의 총리와 장관 인식도 조사는 명 씨에게 돈을 주기 위한 일종의 ‘명목’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그간 명 씨를 ‘듣보잡’, ‘사기꾼’ 등으로 비하해왔다. 그러나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명 씨와 공식적인 용역을 체결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명 씨는 국민의힘과 내밀한 관계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국민의힘 차원에서 명 씨의 비공표(비공개) 여론조사를 보고 받았고, 그 대가를 용역 비용으로 보전해준 것이라면 이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뉴스타파는 지상욱 당시 여의도연구원장에게 일련의 의혹에 대해 묻고자 수차례 전화를 걸고 메시지를 남겼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