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925);
-
-
-
-
-
-
-
-
-
-
-
-
-
-

[영화] 무료 공개 중인 '마릴린 먼로' 관련 작품들 ft. '블론드' 2001년 실사판
* 선정적인 내용이 일부 포함된 작품들도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본문 내용이 스포일러가 되진 않을지 우려되실 분들은 아래 링크들에서 '무비콘'에서 무료 공개 중인 '마릴린 먼로' 출연 작품들 및 'TheGrapevineTV'에서 무료 공개 중인 '마릴린 먼로' 일대기 영화 'Goodbye, Norma Jean' (1976), 'Blonde' 실사판 2부작 (2001)을 다이렉트로 감상하실 수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혹시 몰라 본문도 살짝 간격을 뒀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Wjw68d5tDf975za7XWVUaA/search?query=%EB%A8%BC%EB%A1%9C https://www.youtube.com/c/TheGrapevineChannel/search?query=monroe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본명은 노마 진 모턴슨 Norma Jeane Mortenson)은 1926년 탄생했을 당시부터 불우한 환경에서 자라다 1930년대에는 끔찍한 학대의 피해자가 되는 등 힘겨운 시간을 보내다 1940년대에 연기자로 데뷔 하며(DC 코믹스의 배트맨 원작자 중 한명인 '밥 케인'의 자서전에 따르면 이 시기에 배트맨 시리즈의 '비키 베일'에 영향을 주기도) 1952년 연극을 영화화한 '7년만의 외출' (The Seven Year Itch, 1955), 1955년 연극을 영화화한 '버스 정류장 (Bus Stop, 1956), 1935년 프랑스 코미디 영화를 리메이크한 '뜨거운 것이 좋아' (Some Like It Hot, 1959)를 포함 여러 출연작들이 흥행에 성공하고, 평론가들로부터도 좋은 평가를 얻어 로튼토마토에서 신선한 토마토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데뷔하며 좋은 일만 생긴 게 아니라 불행한 일들도 수차례 겪어 안정제에 의존하며 버티다가 1962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이후 '마릴린 먼로'의 삶을 다큐멘터리 혹은 픽션이 가미된 극 형태로 조명한 영화, TV 프로그램, 책들도 수차례 나습니다. 그 중에 2000년에 일부 실존인물들 호칭을 바꾸는 등의 변형을 주고 발행한 소설 '블론드'(Blonde)는 베스트셀러가 됐으며, 이 작품은 여러 매체의 호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2001년에는 후술할 TV 영화로, 그리고 2022년에는 스트리밍 서비스용 영화로도 각색되어 나왔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것은 아래 링크들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118232?sid=10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62/0000002614?sid=102 Batman's First Love Was Marilyn Monroe (스크린랜트 기사. URL 문제로 오류가 생겨 제목으로 대체) https://www.newyorker.com/books/second-read/joyce-carol-oatess-blonde-is-the-definitive-study-of-american-celebrity 그리고 '마릴린 먼로'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들 중에선 스트리밍 사이트 Plex, 그리고 Multicom Entertainment Group, Inc의 산하에 있는 사이트 (겸 어플) TheArchiveTV와 채널 (겸 어플) TheGrapevineTV에서 무료로 공개 중인 작품들도 있어서 정리해봤으며 위에서 소개한 사이트와 채널에 대해선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www.multicom.tv/check-out-our-new-channel-releases/ '굿바이, 노마 진' (Goodbye, Norma Jean, 1976) https://www.thearchive.tv/feature/goodbye-norma-jean 먼로의 삶은 다룬 R등급 영화로 주연은 '해피 데이스', '판타지 아일랜드', '에어울프' 포함 여러 작품에 출연한 '미스티 로우' (Misty Rowe)가 맡았으며, 이후 같은 배우가 주연을 맡은 1989년 영화 '굿나잇, 스위트 마릴린' (Goodnight, Sweet Marilyn)으로도 이어졌습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마릴린 먼로' (Marilyn Monroe, 1986) https://www.thearchive.tv/feature/marilyn-monroe 먼로가 표면 상 드러나는 모습과는 달리 비극적인 개인적 투쟁도 겪어야했던 삶을 다룬 약 25분 분량의 다큐멘터리 작품입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마릴린과 나' (Marilyn and Me, 1991) https://www.thearchive.tv/feature/marilyn-and-me '로버트 슬래처' (Robert Slatzer)가 먼로 관련으로 했던 주장을 소재로 삼아 1991년에 나온 TV 영화이며, 이 작품에 나온 '수잔 그리피스' (Susan Griffiths)는 이전부터 '그로잉 페인스' (1990)에서 먼로를 연기했으며, 이 작품 이후로도 '펄프 픽션', '다크 스카이즈', '타입캅' TV판, '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디펜더스: 유쾌한 변호사들' 등 여러 작품들에서 먼로 역으로 나왔습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아래 내용은 KOFIC (KOBIS)에서 인용했으며 혹시 몰라 살짝 간격을 뒀습니다. 마릴린 먼로의 젊은 시절 소도시의 기자 로버트 슬래쳐와 가진 연애와 비밀 결혼을 다룬 영화다. 그렇지만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이 일화는 슬래쳐가 나중에 실토한 내용에 기반한 것으로서 어디까지가 사실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우리가 기억하는 마릴린' (We Remember Marilyn, 1998) https://www.thearchive.tv/feature/we-remember-marilyn 약 99분 분량의 다큐멘터리로 먼로의 인정받고 싶었던 욕구가 스타로 만들어주기도 했지만 위험을 안겨주기도 했다는 견해를 보인 작품입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시네마 레전즈' / '마릴린 먼로: 어 라이프 스토리' (Cinema Legends / Marilyn Monroe: A Life Story, 1999, 2000 *)https://www.thearchive.tv/shows/cinema-legends/season/1/episode/11'시네마 레전즈'의 시즌 1 에피소드 11로 나온 약 23분 분량의 다큐멘터리이며 본편 영상 확인 결과 마지막에 1999년 카피라이트 표기 뿐만 아니라 2000년 표기도 별도로 나와서 연도에 양쪽 다 표기했습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헐리우드 커플즈 / 마릴린 먼로 & 조 디마지오' (Hollywood Couples / Marilyn Monroe & Joe DiMaggio, 2000) https://www.thearchive.tv/shows/hollywood-couples/season/1/episode/20 '헐리우드 커플즈' 시즌 1 에피소드 20으로 나온 약 50분 분량의 다큐멘터리이며 위 링크에는 연도 표기가 2006년으로 되어있습니다만 본편 영상 확인 결과 마지막에 2000으로 표기되어 나오는 걸 확인했습니다.TheArchiveTV에서 영어 캡션이 지원되는 형태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헐리우드가 기억하는 주역 여성들 / 마릴린 먼로' (Hollywood Remembers The Leading Ladies / Marilyn Monroe, 2000)https://www.thearchive.tv/shows/hollywood-remembers-leading-ladies/season/1/episode/4 '헐리우드가 기억하는 주역 여성들' 시즌 1 에피소드 4로 나온 약 25분 분량의 다큐멘터리이며 위의 링크처럼 2006년으로 표기된 경우도 있습니다만 IMDB에선 'Hollywood Remembers'가 2000년 작품으로 표기되어 있어 혹시 몰라 연도 표기는 일단 2000년으로 해놨습니다.TheArchiveTV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헐리우드 라이벌즈' / '마릴린 먼로 VS 제인 맨스필드' (Hollywood Rivals / Marilyn Monroe VS Jayne Mansfield, 2000) https://www.thearchive.tv/shows/hollywood-rivals/season/1/episode/19 '헐리우드 라이벌즈'의 시즌 1 에피소드 19로 나온 약 50분 분량의 다큐멘터리이며 헐리우드에서 압박에 짓눌리며 비극을 겪었던 두 여성의 삶을 다루었습니다.TheArchiveTV에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블론드' (Blonde, 2001) 위에서 소개했던 2000년 소설 '블론드'가 좋은 평가를 받으며 인기를 끌자 바로 다음 년도에 편성된 2부작 TV 영화(분류에 따라선 미니시리즈)로 '마릴린 먼로' 역은 '뉴욕 경찰 24시', ''위드아웃 어 트레이스', '언포게터블' 등에도 출연한 '포피 몽고메리' (Poppy Montgomery)가 맡았으며, 한국에선 '금발의 여인'이란 제목으로도 알려졌습니다.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TheGrapevineTV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https://www.indiewire.com/2022/09/blonde-tv-version-2001-better-andrew-dominik-1234764063/ TV 방송용 작품이다보니 제작비 한계 및 표현 수위 제한과 같은 여러 제약들이 존재하는 점들은 이해해줄 필요가 있는 작품들 중 하나입니다만, 다행히도 평론적으로는 나중에 나온 작품보다 마릴린 먼로를 더 잘 이해했다는 호평도 나오는 등 평론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들도 여럿 나와서 로튼토마토에서 신선한 토마토를 받았습니다.아래 내용은 '무비스트'에서 인용했습니다. 유명했지만 험난한 삶은 살다 간 마릴린 먼로는 죽음으로 더 큰 명성을 얻었다. 시청자들을 한눈에 사로잡은 금발 여배우 노라 진 베이커는 결국 할리우드의 무비스타가 되어 마릴린 먼로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데... '리리빙 마릴린' (Reliving Marilyn, 2018) https://watch.plex.tv/movie/reliving-marilyn '나딘 반빌' (Nadine Banville)이 '먼로' 역 및 각본가 및 제작자로도 참여한 작품으로, 내용은 먼로의 삶에서 안 알려진 이야기인, 먼로와 가장 깊은 우정을 나눈 친구 알렌 스나이더 (Allen Snyder)와의 이야기를 다뤘으며, 여러 상을 받은 영화이기도 합니다.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Plex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작품들 중 '블론드' 2001년 실사판은 Tubi, Roku에서도 지역 한정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tubitv.com/movies/515346/blonde https://therokuchannel.roku.com/details/a838b3ee1adf556baa0c3d636a7c3330/blonde
콩라인박작성일
2022-10-10추천
0
-

[영화] 크리스찬 베일, 케이트 베킨세일 주연 '프린스 오브 주틀랜드' (1994) 지역 한정 공개 ft 암렛, 햄릿, 노스맨
* R 등급 작품이라 일부 과격한 장면 및 선정적인 장면이 존재하니 주의 부탁드리며, 스포일러가 우려되어 다이렉트로 감상하시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일부 지역 한정으로 무료 공개 중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www.vudu.com/content/movies/details/Royal-Deceit/1103038 https://watch.plex.tv/movie/royal-deceit https://tubitv.com/movies/460977/royal_deceit https://therokuchannel.roku.com/watch/37456ae1e9295992a3dafd087db935d5 https://pluto.tv/en/on-demand/movies/royal-deceit-1-1 https://www.xumo.tv/free-movies/royal-deceit/XM0BALR4UNKLLO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으로 유명한 '햄릿' (Hamlet)은 영화, DC 코믹스에서의 오마쥬, 연극, 뮤지컬 등 여러 형태의 작품들로 수차례 인용 및 각색된 바 있습니다. 그리고 햄릿에게 영향을 준 이야기들 중에는 '암렛, 덴마크의 왕자' (Amleth, Prince of Denmark, 표기에 따라선 암레트, 암레쓰, 암로디)도 있는데, '팽고'가 형 '오웬델'을 죽여 왕위에 오른 뒤 형수였던 '거루타'를 아내로 삼고, '오웬델'의 아들 '암렛'은 미친 척 하며 숙부의 견제를 피하면서 복수의 기회를 노리는 내용 및 이후에 벌어지는 사건들의 유사성, 그리고 '암렛' (Amleth)과 '햄릿' (Hamlet)의 표기가 알파벳 순서 살짝 바꾼 아나그램 수준으로 비슷한지라 단순 우연이 아니라 암렛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견해가 여러차례 나온 바 있습니다. '암렛' 역시 영미권에 친숙한 '햄릿'만큼 수없이 자주 각색된 정도까진 아닙니다만 현대시대에도 소설 및 연극(한국에선 '암로디 영웅담'으로 공연)으로 각색되거나, '라이온 킹'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2022년도에는 실사판으로 각색한 영화 '노스맨'이 좋은 평가를 받아 로튼토마토에서 신선한 토마토를 받기도 했습니다.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기사들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Opinion] “햄릿”은 표절작? 셰익스피어 "햄릿"의 원작은? [문학] (기사 URL 관련 오류가 생겨 제목으로 대체) https://news.zum.com/articles/50507816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19970903458 '퀸스갬빗' 애니아∙니콜 키드먼, 살아있는 여신들의 투샷[Oh!llywood] (기사 URL 관련 오류가 생겨 제목으로 대체) 현대 시대에 나온 각색 작품들 중에는 1994년 영화 '프린스 오브 주틀랜드'(사이트에 따라 프린스 오브 저틀랜드, 프린스 오브 유틀란드, 유틀란트의 왕자 등 여러 표기가 있는데 혹시 몰라 KOBIS에서 확인 가능한 제목으로 표기)도 있으며, 위키피디아 표기 상으로는 프랑스, 영국,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합작으로 표기됐습니다. 미국에서는 제목이 '로얄 디스트' (Royal Deceit)로 변경 및 20분 넘게 가위질 당한 판본으로 바뀌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습니다만, 'Spectrum Culture'에선 이 작품이 범죄 수준으로 과소평가됐다며 칭찬하는 기사를 올리는 등 호평하는 평론가들도 여럿 나와 이 글을 올린 시점에선 로튼토마토에서 신선한 토마토를 받았으며, 크리스찬 베일과 케이트 베킨세일 등 지금 관점에서 보면 화려한 출연진이 나온 작품이라 이와 관련된 언급도 종종 나왔습니다.아래 출연진 리스트는 위키백과 한국어판에서 인용했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6%B0%EC%8A%A4_%EC%98%A4%EB%B8%8C_%EC%A3%BC%ED%8B%80%EB%9E%9C%EB%93%9C 주연 크리스찬 베일가브리엘 번케이트 베킨세일헬렌 미렌 조연 브라이언 콕스스티브 워딩튼토니 헤이가스프레디 존스톰 윌킨슨앤디 서키스이완 브렘너리처드 뎀시데이빗 바테손필립 램마크 윌리암스브라이언 글로버사스키아 위컴제스 인거슬레브이안 번즈아스타 엡페르 하겐 앤더센올리버 폭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Vudu, Plex, Tubi, Roku, Pluto, Xumo에서 지역 한정으로 무료 공개 중이니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vudu.com/content/movies/details/Royal-Deceit/1103038 https://watch.plex.tv/movie/royal-deceit https://tubitv.com/movies/460977/royal_deceit https://therokuchannel.roku.com/watch/37456ae1e9295992a3dafd087db935d5 https://pluto.tv/en/on-demand/movies/royal-deceit-1-1 https://www.xumo.tv/free-movies/royal-deceit/XM0BALR4UNKLLO
콩라인박작성일
2022-10-09추천
0
-
-
[컴퓨터] 유튜브 제작 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짱공에 오랫동안 눈팅만 하다가 질문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 딸이랑 유튜브 영상을 제작하고 올려 볼려고 합니다. 주로 세계사, 다양한 상식, 옛날 얘기, 고사성어 등등 제작 모델은 ‘슈카 월드’처럼 만들면 좀 수월할 거 같구요. 기획은 해놓고 내용도 좀 쓴 상태입니다. 여튼 노트북 카메라로 앉아서 자료(ppt)를 활용해서 둘이 얘기하면서 촬영하고, 이걸 그대로(아니면 간단히 편집)해서 업로드 할려고 합니다. 사실 회사에서 전문 촬영하시는 분들이랑 편집하는 분들이랑 강의나 토크 같은 건 많이 해봤는데요.참고로, 제가 기획이나 시나리오 출연(다 합니다…)만 했지… 기술적으로 아는게 거의 없어서요. 이건 개인적으로 하는 거라서… 들고 다닐 수도 있고 해야 되서 노트북을 쓸까 하는데, 어떤게 좋을 까요? 액정도 좀 크고, 휴대성도 고려하니, 다나와에서 여러 개 보다가 이게 땡기네요. LG전자 2022 그램17(12세대) 17ZD90Q-EX56K 카메라나, 음향, 편집할 수 있는 사양 등등 이정도면 가능할까요? 아니면, 더 좋은 노트북이 필요할까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고돌돌이작성일
2022-10-01추천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