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88);
-
[재테크] 3월 3일은 나도 불기둥!
■친애하는 버핏옹께서 주주님들에게 친히 서한을 보내셨습니다."늬들이 미장을 알어? 절대로 미국과 반대로 투자하지마셔 들! "그러하다. 주접떨던 좁문가들이 유튜브와 기성언론들에 나와서 미국체 금리상승과 인플레이션을 들먹이며 공포감 조장하며, 투매를 이끌었는데, 결과론적으로 이들은 밑에서 아가리 벌린꼴이 아니겠는가… 반성하고 주접들 그만 떨고 절필하라. 그동안 부정적인 의견으로 일관하던 세계적 기관들은 3월1일 월요일부로 제롬 파월 의장의 말을 따랐습니다. "누가 금리가 올랐다고 소리를 내었는가? 짐이 그놈을 관심법으로 봐주가서~ 그놈에 주접들 떨지말거라! 마구니다~ 물가와 고용을 보아라! 금리 오른다는 헛서리는 네넘들이 짐에 자리에 앉았을때 하여라! 앞으로도 미장에서 주접떨면 짐이 그놈을 관심법으로 봐주가서!" 파월옹이 이렇게 한마디하고 책상을 탁!치니, 엌!하고 미장은 떡상했고, 금리는 자빠졌고, 달러는 강려크 해졌으며, 비트코인은 뭐지? 하며 오릅니다. 월가의 프로그램마저도… 그래도 못미더우신건지 다시한번 쐬기를 박으실겁니다. 파월 의장이 이번주 3월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하는 행사에서 미국 경제를 주제로 열설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지역 연방은행총재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가 블룸버그 TV에 출연했습니다. 바킨 총재는 “미국 경제 전망과 관련된 부정적 위험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코로나백신 보급과 정부의 추가 재정지원, 그리고 앞으로 더 많은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면서 경제가 회복 과정에서 어려움에 빠질 위험을 축소했다고 좁문가들 입을 틀어막았습니다. 바킨은 금융시장에도 팁을 줬습니다. 연준이 ‘언제(when)’ 통화정책을 바꿀 것인가에 너무 포커스를 맞추지 말고, 경제지표가 ‘어떻게(how)’ 나오는지 보라"고 했습니다. ■현대차, '상사 괴롭힘 논란 자살사망 직원' 유족에 산업재해 소송당할 위기??? 누가 위기인가?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자살한 현대자동차 디자인센터 직원의 유족 측이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인포스탁데일리에 따르면 유족 측은 해당 직원의 자살 원인으로 디자인센터 내 과도한 업무와 실적압박, 폭언, 따돌림에 의한 산업재해를 주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현대차는 유족 측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습니다. 네... 받아들이시고요. 네~다음 ▲코스피 미장 떡상에 1% 상승 3043.87 마감 오늘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3% 오른 3043.87에 마감, 코스닥지수는 1.01% 상승한 923.17에 마감. 원달러 환율은 0.5원 오른 1124.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中에 밀린 韓배터리 3사 '시장 전략 새롭게 정비해야'올해 1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에 쓰인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중국 업체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힘입은 CATL은 1위로 올라섰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이노베이션 국내 배터리 제조 3사는 모두 상위 10위 안에 들었습니다.됬고요, 테슬라 catl밧데리써서 지금 조뙸습니다. Lg꺼 쓸껄… ▲SK이노 "3조원 더 투자"…바이든에 '배터리 SOS'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수입 금지’를 골자로 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최종 판결에 백악관이 개입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분쟁 결과가 총 5조원이 넘는 SK이노베이션의 미국 조지아주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레이트 아메리카를 상대로 협박하는 우리나라의 기업이 갑자기 위대해 보이네요. 죽빵을 맞을지, 협박이 통할지는 지캬봐야겠지만 저라면 죽빵을 날릴거에요. 그것도 강냉이부위로. ▲LG이노텍, 세계 최초 ‘차량용 와이파이6E 모듈’ 개발LG이노텍은 세계 최초로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와이파이6E 모듈’을 개발했습니다. 기존 와이파이5 대비 3배 가량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자랑합니다. 이번 개발로 LG이노텍은 일본 주도의 차량 통신모듈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장담합니다만…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첫번째로 스마트란말 이상의 혁신국가가 될것입니다. ▲"기업가치 올려라" SKT 박정호號, 4년 연속 임원 스톡옵션SK텔레콤이 4년 연속 임원들에게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부여합니다. 책임 경영을 통해 중장기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행보입니다. SK텔레콤은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으로 원스토어 등 자회사 기업공개(IPO)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임원들만 주고, 직원들은 안주니 들고 일어나죠. ▲외국인, SK 삼형제 1.5조 순매수외국인이 최근 한달 간 코스피·코스닥시장에서 8조원 넘게 순매도한 가운데 SK 계열사들에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한달 동안 외국인은 SK바이오팜,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에 1조5000억원 규모를 순매수했습니다. 응 더사~ ▲“아시아판 구글을 향해” 이해진-손정의 ‘초대형 빅테크’ 출항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자의 자회사인 ‘라인’과 ‘Z홀딩스’의 경영통합을 완료하고 합작법인을 출범했습니다. 수억명의 사용자를 거느린 야후재팬과 손을 잡은 만큼, 이번엔 구글과 맞먹는 글로벌 플랫폼을 탄생시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향후 5년간 5000억엔(한화 약 5조 3000억원)을 투자해 검색·포털, 광고, 메신저와 더불어 커머스, 로컬·버티컬, 핀테크, 공공 분야 등 다양한 사업에 집중합니다.하세요~ ▲쿠팡 공모희망가 주당 27~30달러..."기업가치 57조"한국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이 미국 뉴욕증시 상장으로 최대 36억달러(4조원)를 조달할 계획입니다. 주식 1억2000만주를 주당 27~30달러에 판다는 계획으로, 기업이 제시한 공모 희망가 상단을 기준으로 한 기업 가치는 510억달러(57조원)에 이릅니다. 누군가는 57조가 비싸다고하지만 … ▲삼성물산, 카타르서 1.8조 규모 LNG 프로젝트 수주삼성물산이 총 1조 8500억원 규모의 카타르 LNG 수출기지 건설공사를 단독으로 수주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Qatar Petroleum)가 발주한 것으로 LNG 수출을 위한 저장탱크 등을 건설하는 사업입니다. 삼성물산은 "이번 수주를 통해 LNG 수입기지에 이어 수출기지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좋았다! ▲한양, 올해 연이은 수주 랠리…'태양광·주택' 1조 육박한양은 올해 들어 주택개발 분야와 에너지 분야에서 약 1조원에 육박하는 수주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양은 지난달 약 1116억원 규모의 고흥만 수상태양광 EPC사업에 이어 천안, 향남, 아산 등 3개 현장에서 약 8141억원 규모의 주택사업 등 총 9257억원 규모의 사업을 잇따라 수주했습니다.여긴 한화빳따 ▲리모델링 봄바람 기대감…건설사들 수주 각축전 예고재건축 규제 강화에 건설사들이 중층단지 리모델링으로 눈을 돌리면서 올해 치열한 수주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롯데건설은 서울 양천구 ‘목동2차 우성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시공사로 선정됐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리모델링 전담 조직을 신설했습니다. ▲CJ대한통운, 美법인 'CJ로지스틱스'로 브랜드 통합CJ대한통운은 미국 통합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의 브랜드를 국내와 동일한 'CJ로지스틱스'로 변경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CJ 브랜드 가치활용 제고를 통해 글로벌 마케팅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입니다. ▲GS리테일, ESG추진위 출범GS리테일이 ESG추진위원회를 출범해 ESG활동을 강화합니다. 위원장은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이 맡았습니다. GS리테일은 올해 ESG 활동 중점 추진을 통해 ESG 평가에서 종합 A등급을 받는 것을 목표. ■오늘 모니터앞에서 불현듯 드는 생각 □국장 떡상에 피로감이 사라지는 하루였습니다.짱공 재테크방 형들과 함께 정신없이 놀고있습니다. 일일히 카톡 대응하느라 제가 머리카락이 없어집니다만... 그래도 뭐, 보람찼습니다. 소소한 재미와 행복이군요. 인생은 외롭습니다. 늘 살붙이고 사는 사람이 있지만, 가끔씩 찾아오는 공허함. 즐거운 일상에서도 느껴지는 소외감. 누구에게나 친절한 사람이지만 말할수 없이 어느때고 무너지는 자존감.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일상속에서 불현듯 찾아오는 공포… 오세요. 친해지고 속내도 털고. 술주정도 받습니다. 누르세요~ 벌써 50명이 넘었네요... 으허~https://open.kakao.com/me/0umt 오늘의 결론은 서전기전, 쎄노텍, 특수건설, 하나기술, 케이엘넷,적당히들 드시길~ 이만~ 뭘보건 뭘듣건, 주식은 손가락 클릭한 사람이 책임집니다.1%수익에도 겸손과 감사를
-

[재테크] 2월 23일은 나도 불기둥!
그린버블 마스코트 녹색개구리 ■친환경투자 너무 hot해서 문제다. 그린버블! 주의친환경 투자열풍이 뜨거워지면서 이른바 ‘녹색 거품(Green bubble)’ 우려가 커지고 있다. ESG(환경·사회·거버넌스)연계 투자자들은 친환경 관련 투자에 현금을 쏟아붓고 있는데, 오히려 기업 가치를 과도하게 높여 거품 가능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될놈 머스크 "한달만에 1조 뻥튀기" 비트코인 수익이 전기차 제쳤다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기업인 미국 테슬라가 비트코인 매입으로 벌어들인 평가수익이 지난해 기록한 전기차 판매 수익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슬라의 비트코인 매입 소식이 알려진 후 비트코인은 가격 폭등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도 비트코인 매입의 수혜. ▲코스피 3079.75 마감 (-0.9%)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도로 코스피 3100p 아래로 떨어져 전 거래일보다 0.90% 내린 3079.75마감. 코스닥지수는 1.12% 하락한 954.29마감. 원/달러 환율은 4.5원 오른 달러당 1110.4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차량용반도체 부족, 3분기까지 지속 전망차량용 반도체 부족사태가 올 3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자동차 부품업체들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나… 조꺼튼 소리고 삼성, sk하이닉스 차량용반도체 생산 안함. 생산한다면 모빌리티 신사업지정하고 시작할거임. ▲美한파 후폭풍…“‘SSD 낸드공정 영향”미국 텍사스의 기록적인 한파로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 가동이 6일간 중단된 가운데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용에 들어가는 낸드플래시까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처럼 이번 정전 사태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더욱 악화될 가능. ▲현대차·포스코, 석탄 대신 수소로 철강 만든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 생산 공정에서 탄소를 완벽하게 제거하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협력에 나섭니다. 연 500만톤의 수소 수요 발생이 기대되며 수소경제 발전에 획기적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양 그룹의 수소동맹이 투자와 혁신적 공정 도입으로 이어져 탄소중립의 새 장을 열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현대차그룹, IDEX 2021서 소형전술차량·K2전차 수출 공략기아와 현대로템이 중동 지역 최대 방위산업 전시회 'IDEX 2021'에 참가해 소형전술차량 콘셉트카와 중동형 K2전차 등 다양한 제품과 기술력을 선보입니다. 2015년부터 참가해온 기아는 '4인승 카고'와 '베어샤시' 등 차세대 소형전술차량 콘셉트카 2종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습니다. 현대로템은 전차 수요가 있는 중동, 유럽, 아프리카 지역에 K2전차를 수출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메디톡스, ‘보톡스 합의’로 대웅 美 파트너사 2대 주주된다메디톡스가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 에볼루스의 주식 16.7%를 취득하며 2대 주주로 등극합니다. 메디톡스는 에볼루스 보통주 676만2652주를 약 535억원에 취득했습니다. 에볼루스는 주당 0.0001달러로 보통주를 신규 발행했습니다. 이번 거래는 양사가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기술 도용을 둘러싼 소송에 합의하면서 이뤄졌습니다. ▲KT, '기가 와이 인터넷' 가입자 20만명 돌파KT의 와이파이 서비스 '기가 와이 인터넷' 가입자가 출시 8개월 만에 2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KT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재택근무, 비대면 원격수업 등이 일상화되면서 기가 와이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응~ 공무원종목 안사~ ▲넷마블, 美 인디게임 개발사 '쿵푸 팩토리' 지분 인수넷마블이 미국의 인디게임 개발사 ‘쿵푸 팩토리(Kung Fu Factory)’ 최대 지분을 인수했습니다. 인수 주체는 넷마블 북미법인으로 쿵푸 팩토리는 넷마블 북미법인의 자회사로 편입됩니다. 쿵푸팩토리는 현재 미국프로농구(NBA)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넷마블 북미법인의 첫 자체 퍼블리싱 게임 ‘NBA 볼 스타즈(NBA Ball Stars)’를 개발 중입니다. ▲SK C&C, 구글 클라우드 손잡고 글로벌 SaaS 시장 도전SK C&C가 구글과 클라우드 플랫폼·솔루션을 공동 개발합니다. SK C&C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주요 플랫폼과 솔루션을 집대성한 통합 디지털 플랫폼 ‘멀티버스’를 구글 클라우드와 결합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모델을 개발해 '한국형 디지털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KT&G, ‘릴하이브리드 2.0’ 일본 전역 판매KT&G가 ‘릴 하이브리드(lil HYBRID) 2.0’ 및 전용스틱 ‘믹스(MIIX)’ 판매처를 일본 전역으로 넓히고 있습니다. 릴 하이브리드 2.0은 지난해 10월 후쿠오카와 미야기 지역에 처음 선보인 뒤 차별화된 맛과 사용 편의성 면에서 현지 소비자에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후 도쿄, 오사카, 삿포로 등 주요 대도시로 판매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안산다고~ ▲한국조선해양, 5400억원 규모 선박 9척 수주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선박 9척, 총 5400억원 규모를 수주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초대형 원유운반선 31척 중 17척을 수주, 전체 발주량의 55%를 확보하는 등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견대로… 조선해양 가고있습니다. 저는 이미 저점매수 완료. 단타대기 조만간 쩝쩝. ▲보험사 대체투자 1조원 손실 우려…오피스·항공 투자에 '부실 징후'보험사가 해외 오피스나 항공기ㆍ선박에 투자했다가 1조2778억원의 손실을 낼 우려. 전체 투자액(70조4000억원)의 2% 수준이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간 지속하면 손실 규모는 더 불어날 수 있습니다. 금감원은 ‘부실’ 징후가 드러난 보험사를 중심으로 집중 점검에 나설 예정입니다. 잘가고~ ▲브이티지엠피·바이오플러스, 덴탈마스크 ‘허위광고’ 논란화장품 업체 브이티지엠피 가 제조하고 필러 업체 바이오플러스가 판매한 마스크 제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받지 않았음에도 FDA로부터 판매 허가를 받았다고 광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자사 제품을 ‘덴탈마스크’라고 소개하며 팔았지만 사실상 식약처의 의약외품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공산품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응! 상폐시켜~ ▲中 빨아들이고 美선 적체…"상반기까지 컨테이너 수급난 지속"수출 제품을 담을 컨테이너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오르면서 수출 물류대란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수출기업과 물류 업계에선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지속, 각 국의 경기부양에 따른 상품 수요 확대 등으로 이 같은 공 컨테이너 수급난과 이에 따른 고(高) 운임 현상이 최소 올해 상반기, 늦게는 오는 3분기까지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호재네… 호재야. ■안녕하세요 짱공식구 여러분~ 참 짜증나는 월요일 입니다. □ 이 십알름에 한국증시는 미국장 영향받고 쭝국장 영향받고… 하루라도 편할날이 없습니다. 미선물 마이너스 박자마자 기관+외인+금투×삼위일체 매도= 십알닥피 음봉… □ 미합중국 대통령 시진핑에게 "살인면허"를 발급하다!!! 세계의 경찰국가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크나큰 패착이며 자질이 의심되는 역사적 발언이 나왔습니다. 집단학살을 문화규범으로 말하는 바이든… 바왈: "저는 미국 대통령으로서 미국의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면,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없게 됩니다. 그런면에서 중국의 시진핑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가 홍콩과 신장, 대만에 하고있는 '하나의 중국'에 대해 반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발언으로 미국의회는 트럼프 미치광이에서 바이든 미치광이로 슬러건을 바꾸고 탄핵을 준비해야된다며 이미 몇몇 위회권력은 물밑협의 중이고, 유럽대부분의 민주진영과 영국의회는 늙은 치매환자가 드디어 똥을 벽에 칠한다면서, 공산당에게 '인종청소'의 권한을 준것으로 중국에 멱살잡힌 바이든이 드디어 독재자에게 '살인면허'를 발급한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으로 만약 군사 행동으로 대만마저 중국에 통일된다면… 반도체시장은 온리한국!! 이거 이거… 좋아해야되나?몇일전 대만 tsmc가 일본이랑 짝짜꿍 하자고 빤쓰내리고 일본 날아간게 바로 중국새끼들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짜웅이였네… 다 지살길 찾아가는거겠지만… 그래도 이거 미합중국 대통령… 거 치매가 너무 심한거 아니요? 살인면허 발급됬습니다. 조만간 xx시작 됩니다. 그동안 못봤던 탱크에 시람이 x이겨지고 머리통이 x지는거 볼겁니다. 이미 몇일전 대만에 중국 고폭탄 배달됬습니다.안타깝습니다… ■오늘 모니터앞에서 불현듯 드는 생각 동원그룹 맏형된 동원시스템즈 포장재 회사에서 2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변신성공.장투종목 음봉매수 좌수늘리기 장타 추천 될놈될, 갈놈갈… 만슬라 될놈 머스크는 똥을싸도 돈버는구나… 제약과 바이오 종목은 얼른 다빼시라~ 상폐시즌이 낼모래임!! 한국 건강보험은 세계최고이다. 반면 의사는 강간범이 가장 많다.한국 국민의식은 세계최고이다. 반면 정치인들은 범죄자가 많다.한국 물가는 세계최고로 비싸다. 반면 임금 수준은 개판이다.한국 개미 투자금은 세계최대다. 반면 한국 증시는 아사리판이다. 뭘보건 뭘듣건, 주식은 손가락 클릭한 사람이 책임집니다.1%수익에도 겸손과 감사를~
-
-
-
-
-
[재테크] 07/24 주요뉴스
07/24 주요뉴스 * 뉴욕증시, 7/23(현지시간) 美 고용지표 악화 및 기술주 급락 등에 큰 폭 하락… 다우 -353.51(-1.31%) 26,652.33, 나스닥 -244.71(-2.29%) 10,461.42, S&P500 3,235.66(-1.23%), 필라델피아반도체 2,070.97(-1.64%) * 국제유가($,배럴), 美 고용지표 부진 등에 하락… WTI -0.83(-1.98%) 41.07, 브렌트유 -0.98(-2.21%) 43.31 * 국제금($,온스), 美/中 갈등 고조 및 부양책 기대감 등에 상승... Gold +24.90(+1.34%) 1,890.00 * 유럽증시, 영국(+0.07%), 독일(-0.01%), 프랑스(-0.07%) * 美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 141만6천명…16주 만에 증가·예상 상회 * 므누신 "실업보험 지원 공화당 방안은 급여 70% 대체" * "코로나19 재확산에 7월 고용보고서 진전 없을 듯…감소 반전도 가능" * 폼페이오 "시진핑은 몰락한 전체주의 신봉자"…중 국민에 '정권교체' 촉구(희토류가 더 강세보일듯. 직접만든 유튜브설명https://www.youtube.com/watch?v=0R0EXQTd7OE) * 모건스탠리 "올 가을, 미 코로나 하루 확진자수 15만명 달할 수도" * 애플 9월 신제품 공개 행사 10월로 연기 전망…골드만 "애플 피해야" * 美 SEC 회장 "개인 투자자들, 단기 트레이딩 우려돼" * 美 상무부, 한국산 페트 시트에 최고 52% 반덤핑 관세 * 브라질, 5G 사업 화웨이 참여 문제로 미·중 사이에서 고심 * 단시간에 부산에 쏟아진 물 폭탄…1920년 이후 역대 10위(홍수관련주 봐야할듯 - 인선이엔티 밖에 생각이 안나네요) * 전국 흐리고 빗방울…3시부터 차차 그쳐 미국 증시, 오후장 대형 기술주 매물로 하락미 증시 변화 요인미 증시는 오후장에 나타난 대형 기술주들의 차익 매물로 하락 마감. 장 초반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부진(발표 141.6 만명, 컨센서스 130 만명)하면서 소폭 하락 출발. 오후 들어 다음주 월요일 하원 반독점 청문회와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대형 기술주들에 대한 매물이 출회되었고, S&P500 은 -1.6%, 나스닥은 -2.7%대의 낙폭을 보이며 마감함. (S&P500 -1.23%, 다우 -1.31%, 나스닥 -2.29%, 러셀 2000 +0.00%) 한국 증시 전망국내증시는 미국대형 기술주들의 낙폭에 대한 부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일단 전일 미-중 마찰에 대한 부담은 전일 일부 반영되었다는 점과 대형 기술주들의 밸류에이션 부담은 계속해서 제기되었던 내용이었던 기인함. (반독점 청문회와 동시에 주가시장이 크게 하락한 것을 보면 호재보다 악재에 크게 반응하는 시장이었던것을 확인할 수 있음. 3분기 전망이 어두운 상태이고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 미중 분쟁이 격화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계속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장이라고 판단됨) [기업/산업] * 이스타항공 '노딜쇼크'…LCC 연쇄파산 공포 * 현대車, 영업익 5903억 '반토막'…해외 모든 시장서 판매 줄어 * SK하이닉스 '깜짝 실적'…이익 200% 늘어 2조 육박 * 정부, 30조 규모 민자사업 추진…고속도로·철도 등에 7.6조 추가(건설인프라 - 토목관련주 수혜) * LS일렉트릭, MS 손잡았다 * 암모니아로 가는 배…현대미포조선 국내 첫 인증 * 국보, 美에 마스크 2040억 규모 수출 계약 * 진단키트 이어 K백신 바람 부나(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72325271) * 삼다수, 中시장 재도전…내달 상하이 판매(삼다수 - 광동제약, 평창수 - lg생명건강, 동원샘물 - 동원F&B, 석수 - 하이트진로) * 中 싼샤댐 붕괴·구충제까지…도 넘은 테마株(비료 - 대유, 조비 구충제 - 화일약품, 조아제약, 명문제약, 알리코제약) * 수출 56년 만에 '최악'…"올 성장률 -2%대까지 추락할 수도" * "옵티머스 대표, 펀드자금 횡령해 개인투자…수백억 날려"(허허) * 김태년 "행정수도 끝장 보겠다"…민주당, TF 구성…野 본격 압박(유라테크, 프럼파스트, 대주산업, 영보화학) * 28일까지 '긴 장마'…8월부터는 무더위 시작 * 美 "휴스턴 中영사관은 스파이센터"* 트럼프 "中공관 추가폐쇄 가능"* 中 '맞불 카드' 홍콩? 청두?…시진핑, 내부 결속 주력 * 美, 화이자 백신 '싹쓸이'…6억회 투여분 확보(제일약품, JW중외제약) * "테슬라 팔아라, 예상주가 '반토막' 800달러 전망" * 아베 "도쿄올림픽, 간소한 형태라도 개최" * 사재기도 안했는데…미국서 씨마른 캔·동전, 왜? 자료공유 구글시트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C4mc9BCOx3XUAjHTODva-qtRdeEZvz_ecO1aNx4J7E/edit#gid=1126325671
-
[재테크] 0710 주요뉴스
07/10 주요뉴스 * 뉴욕증시, 7/9(현지시간) 경제 재봉쇄 우려에도 기술주 강세 지속 등에 혼조 마감… 다우 -361.19(-1.39%) 25,706.09, 나스닥 +55.25(+0.53%) 10,547.75, S&P500 3,152.05(-0.56%), 필라델피아반도체 2,076.72(+1.32%) * 국제유가($,배럴), 리비아 유전 생산 재개 및 코로나19 재확산 등에 급락 … WTI -1.28(-3.13%) 39.62, 브렌트유 -0.94(-2.17%) 42.35 * 국제금($,온스), 코로나19 우려에도 달러 강세 등에 하락... Gold -16.80(-0.92%) 1,803.80 * 달러 index,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등에 상승... +0.36(+0.38%) 96.79 * 유럽증시, 영국(-1.73%), 독일(-0.04%), 프랑스(-1.21%) * 美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 131만4천명…월가 예상 하회 * 무디스 "다음 코로나19 구제법안 최소 1조5천억 달러여야" * 파우치 "코로나19 발생 극심 주들, 재봉쇄 심각하게 고려해야" * 므누신 "트럼프 행정부 일자리에 집중…추가 현금 지급 지지" * "연준, '물가 2% 초과' 용인 가능성…日 마이너스 금리 장기화될 듯" * WHO "코로나19 상황 악화하고 있어" * 전국 흐리고 비…낮 최고 기온 28도 코로나 우려 확산 속 온라인 관련 기업 반등무디스, 온라인 식품 매출 2020~21 년 35~40% 급증미 증시 특징: 온라인 기반 기업 반등미 증시는 고용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개선 속도가 느리고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자 기업실적 둔화 우려로 다우가 장중 2% 넘게 하락. 특히 파우치 소장이 코로나 재 확산하는 주 정부는 재 봉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낙폭 확대 요인. 그러나, 무디스가 코로나가 온라인 판매를 촉발했다고 언급하자 관련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은 상승(다우 -1.39%, 나스닥 +0.53%, S&P500 -0.56%, 러셀 2000 -2.00%) 한국 주식시장 전망 종목 쏠림 현상 나올 듯미 증시는 코로나 확산으로 개별 기업들의 실적 부진 가능성이 높아지자 장중 다우가 2%, 나스닥과 S&P500 이 1% 넘게 하락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여전히 온라인 매출 증가에 기대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반등에 성공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대체로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장중 실적 개선 기업들에 대한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한국 증시에서도 실적에 기반한 쏠림이 나올 수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달러, 엔화가 강세를 보였고 국제유가 또한 코로나로인해 3% 넘게 약세를 보이는 등 위험자산 회피 현상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므누신이 지속적으로 7 월 말 전에 코로나 구호 법안을 통과 시킬 것이라고 주장한 점, 오후 들어 기술주 특히 온라인 관련 기업들과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인 점 등은 한국 증시에 관련 기업들의 강세를 예상케 한다.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매물 출회가능성이 높아 종목 차별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키워드 : 재봉쇄, 박원순, 안철수, 홍정욱, 모더나 7월말 임상, 음식료 실적증가 [기업/산업] * 영국간 삼성전자 부사장 "영국 5G 통신망 장비 공급 가능" * 법원, 메디톡스 집행정지 신청 기각…"품목허가 취소 효력" * 애플에 '1조원 보상금' 받은 삼성디스플레이…"이례적 계약" * 충전기이어…바이오·5G안테나로 영토 확장...알에프텍 이진형대표 인터뷰 * 한샘 깜짝 실적에…가구株 나란히 급등 * 코로나 백신 개발 뛰어든 한미사이언스 * 풀무원, 美 '블루날루'와 MOU...세포배양 해산물 제조사업 시동 건다 * 손바닥·얼굴·목소리로…금융권에 부는 '생체인증' 바람 * 부동산 '영끌' 투자에…상반기 가계대출 40조원 늘었다 * 문 대통령 "일본과 다른 길 가겠다…소·부·장에 5조 이상 투자" * 박원순 서울시장 극단 선택…북악산에서 숨진채 발견돼 * 비건·서훈 '北과 대화 재개' 공감 * 트럼프 연일 "가을 개학해야"…美 대학·교사단체 강력 반발 * 미·중 갈등 격화에도…中 금융시장에 외국인 자금 '밀물' * 美플로리다, 코로나19 하루 사망 및 입원 사상 최고 급증 * 도쿄 확진자 최다…2차 유행 '비상' * OPEC+, 8월부터 감산 완화…"원유 시장 안정화 추세" * 선진국끼리 코로나19 백신 쟁탈전... 동맹 맺고 사재기까지 * 길리어드, '렘데시비르 흡입형' 임상1a상 개시 자료공유 구글시트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C4mc9BCOx3XUAjHTODva-qtRdeEZvz_ecO1aNx4J7E/edit#gid=1126325671 전일 마감테마 文 대통령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직접 발표 소식 속 상승. ▷전일 청와대는 7월13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해 코로나19 국난 극복 전략으로 제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직접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힘. 당정청 합의를 거쳐 마련된 종합계획안에는 한국판 뉴딜의 주요 사업과 이를 위한 재정 규모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한편, 5월10일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3주년 연설에서 한국판 뉴딜의 양대 축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제시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에 동국S&C, 씨에스베어링 등 풍력에너지, 한화솔루션, 신성이엔지 등 태양광에너지, 누리텔레콤 등 스마트그리드 등의 테마가 그린 뉴딜 수혜 기대감에 상승. 아울러 알서포트, 링네트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KG이니시스 등 전자결제(전자화폐), 로보로보, 데이타솔루션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의 테마가 디지털 뉴딜 수혜 기대감에 상승세를 기록. -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 정부, 소부장 2.0 전략 발표 등에 상승. ▷금일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와 '포스트 코로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 등이 담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2.0 전략'을 발표했음. ▷해당 전략에는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관리 대상 품목을 기존 100개에서 338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글로벌 소부장 강국 도약을 위해 2022년까지 기술 개발에 5조원 이상을 투입하는 내용과 첨단투자지구를 지정하는 등 맞춤형 인센티브도 강화하는 방안 등이 담겼음. ▷또한, 文 대통령은 이날 이천 SK하이닉스를 방문해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 관련 "우리는 일본과 다른 길을 걸을 것"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삼아 글로벌 첨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해성디에스, 예스티, 싸이맥스, 케이씨텍 등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리모델링/인테리어 - 한샘,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관련주 동반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한샘은 2분기 실적발표, 20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171.77억원(전년동기대비 +25.87%), 영업이익 230.06억원(전년동기대비 +172.32%). 이와 관련, 삼성증권은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상회했다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집 가꾸기 트렌드에 힘입은 인테리어 가구 실적 증가와 높은 주택 거래량 증가율에 기인한 리하우스 실적 향상 등 때문이라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한샘이 급등했으며, 현대리바트, 국보디자인, 에넥스 등 여타 리모델링/인테리어 관련주들도 2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세를 기록. - 전기차/2차전지 - 전기차로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valuation premium 부여 분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판매량/연간 이익이 전통 완성차 OEM 대비 현저히 낮음에도 Tesla의 시가총액은 내연기관차 1위 업체인 Toyota를 뛰어넘었으며, 이는 전기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시장의 valuation premium 부여라고 밝힘. 아울러 2차전지 주식들도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valuation 영역에 진입하며 주가 re-rating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힘. ▷또한, 코로나19에서 회복하기 위한 각국의 정책들이 2차전지의 주요 전방산업인 전기차와 친환경에너지(ESS연계)에 우호적이라며, 하반기 2차전지 수요는 빠르게 정상화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상아프론테크, 대보마그네틱, LG화학, 엠플러스 등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수소차 - EU 집행위, 유럽 수소 전략 발표 속 일부 관련주 상승. ▷현지시간 8일 EU집행위원회는 EU 수소 경제 규모를 올해 기준 20억 유로(약 2조6,970억원)에서 2030년까지 1,400억 유로(약 188조8,140억원)로 확대시키는 것이 주요 내용을 담은 유럽 수소 전략을 발표함. 이 과정에서 일자리 14만 개를 창출할 계획이며, EU 수소 경제 규모가 2050년까지 최대 4,700억 유로(약 633조7,950억원)에 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EU 집행위원회는 이를 위해 역내 각국과 에너지, 자동차, 화학, 운송 등 각 분야 기업 총 200개 이상이 참여하는 민관 수소연합을 결성하기로 했으며, EU 예산에서 수소 이니셔티브 재원을 기존의 2배로 확대할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현지시간 8일 뉴욕증시에서 JP모건의 긍정적 분석 등에 美 수소전기트럭 개발 스타트업체인 니콜라가 34.30% 급등세를 보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에너지, 두산퓨얼셀, 일진다이아 등 일부 수소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재테크] 06/16 주요뉴스
미국장 요약* 뉴욕증시, 6/15(현지시간) Fed 개별 회사채 매입 소식 등에 상승… 다우 +157.62(+0.62%) 25,763.16, 나스닥 +137.21(+1.43%) 9,726.02, S&P500 3,066.59(+0.83%), 필라델피아반도체 1,931.01(+1.43%) * 국제유가($,배럴), OPEC+ 감산 합의 준수 및 Fed 부양 기대감 등에 상승 … WTI +0.86(+2.37%) 37.12, 브렌트유 +0.99(+2.56%) 39.72 * 국제금($,온스), 코로나19 2차 유행 우려 등에 하락... Gold -10.10(-0.58%) 1,727.20 * 달러 index, Fed 부양책 소식 등에 하락... -0.65(-0.67%) 96.66 * 연준 회사채 매입 발표 후 미 국채 하락 전환…10년 금리, 0.7% 회복 * 미FDA, 코로나19에 클로로퀸 긴급사용 취소 * 텍사스, 지난주 코로나 입원자 수 여섯 차례 기록 경신 * 파산보호 신청 허츠, 주식 공모로 5억 달러 조달 계획 * S&P "코로나19 여파 美은행 3분의 1 신용등급 취약" * 닫혔던 유럽내 국경 석달만에 '활짝'…휴양지에 마스크 관광객 * 북한군 "남북합의로 비무장화된 지역 다시 진출…전선 요새화" * 낮 최고기온 32도까지 올라, 강원·경북 일부 '소나기' 미 증시는 코로나 재 확산에 따른 경기 회복 지연 우려로 급락 출발. 그러나 지표 호전과 연준위원들의 발언,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연준이 회사채 매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상승폭 확대. 한편, 언택트 관련주 및 경기 민감주 중 구조조정등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군 위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종목 차별화가 특징(다우 +0.62%, 나스닥 +1.43%, S&P500 +0.83%, 러셀 2000 +2.30%) 한국 증시는 전일 하락을 뒤로하고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나 파월 의장의 연설을 기다리며 상승은 제한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미 증시가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기업들이 연준의 발표로 한때 상승했으나 여전히 매물 출회되며 재차 하락하는 등 펀더맨탈에 주목한 점을 감안 한국 증시에서 실적 개선 기대가 높은 종목 위주로 반등이 예상된다. (키워드 : 언택트, 금융, 실적개선) 주요뉴스 * 두산 정상화 3조 확보위해…그룹 핵심자산 '눈물의 매각'(두산인프라코어) * 車부품사에 '1조+α' 투입…정부, 기간산업기금 지원(자동차 부품 - 만도) * "골다공증 치료제 랄록시펜, 코로나 억제 효과"(한미약품) * "동네병원, 원격의료 피해자 아닌 수혜자로"(원격진료 - 소프트센) * '모바일 신분증' 시장 주도권 경쟁 불 붙었다(보안 - 라온시큐어) * 한화·효성, '3000조' 수소 시장 출사표…미래에너지 선점(수소차 - 두산퓨얼셀) * 바이오팜 덕에 'SK 붙은 종목' 다 떴다(sk증권) * SK하이닉스·테스·한미약품…'빛 못본' 실적 유망株( SK하이닉스, 테스, 한미약품, gs홈쇼핑) * 2023년부터 모든 주식 양도세 물린다 * 이번엔 얇은 비말마스크 수급 대란 우려... 싸구려 중국산만 남았다(마스크 - 웰크론, 톱텍, 레몬) * 이재명의 정치 운명…대법관 13명에 달렸다(06/18 - 에이텍, 에이텍티엔) * 美 의대 교수 "코로나 2차 유행 시작됐다"* 베이징發 코로나 재확산…동북 3성까지 초비상* 한숨 돌리나 했더니…이탈리아 로마 병원서 100여명 집단 감염* 유럽, 국경 열고 자축하자…WHO "대규모 감염 위험"(코로나 2차 확산에 따른 수혜주)
-
[재테크] 06/04 아침 정리자료
06/04 미국장 마감정리6월은 경제재개로 인한 대세 상승구간으로 진입하는듯- 6월 유럽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국가가 경제재개를 선언- 실업율과 서비스업주수등 거시지표가 긍정적으로 발표- 코로나 수혜섹터인 언택트 관련 섹터가 전반적 하락을 맞이함- 유가는 상승하고 있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항공, 여행, 자동차, 소매판매, 자동차, 에너지 등의 섹터가 강세를 보임 한국장 전망- 마이크로칩 테크가 12%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87% 강세를 보임.- 미국의 인종 폭동세 진정(트럼프의 연방군 동원발언이후 약탈 줄어)- 전일 삼성전자가 강한 상승세가 나왔으므로 우리나라 지수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오늘 ECB통화정책회의에서 추가 부양책이 나올 기대감 역시 우호적- 다만 미국이 중국간 항공기 운항중단 소식이 나오면서 시장의 하락압력이 높아질수도...(중국 항공사 미국취항 금지하는 행정명령 늦어도 16일 발효예정) 투자의견 : 레버리지 전일장 복습 -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 조선3사 카타르 수주 수혜 및 제품 가격 인상 기대감 등에 상승. ▷ 철강업계는 철광석 가격 인상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국제강, 고려제강, POSCO, 대한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 은행 -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공격적인 대응방안 속 은행 실적 우려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 ▷올해 업종 유니버스 순이익은 12.4조원으로 전년대비 10% 감소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 이에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를 탑픽으로 제시. ▷이와 관련, 신한지주, 기업은행, 우리금융지주, KB금융 등 은행주가 상승. - 반도체 대표주(생산)/장비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및 1분기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액 호조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美 시위 격화에도 경제 회복 기대 지속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18% 급등 마감. ▷이와 관련,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가 상승. 고영, GST, 로체시스템즈 등 일부 반도체 장비 테마도 상승. - 건설기계 - 中 인프라 건설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으로 인프라 건설을 확대. ▷이 같은 소식에 두산인프라코어, 디와이파워, 현대건설기계 등 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 정유/석유화학/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급등에 상승. ▷OPEC+는 6월9일~10일 예정된 회동을 6월4일로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해서 결정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GS, S-Oil, 롯데케미칼, 금호석유, SK이노베이션 등 정유/석유화학/LPG(액화석유가스) 등 테마가 상승. - 항공/저가 항공사(LCC) - 운항 재개 기대감 등에 상승. ▷제주항공, 에어부산 등도 인천-마닐라, 부산-홍콩/마카오 등의 일부 국제선 노선에 대해 순차적으로 운항을 재개할 예정. ▷이와 관련, 금일 진에어, 대한항공, 에어부산,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가 상승.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11일 삼성전자, 현대차, 대한항공 경영진과 만나 가전/자동차/항공 업종에 대한 유동성 지원 방안과 각종 규제 완화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 - 자동차 대표주 - 현대/기아차 美 판매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이 같은 소식에 현대차, 현대모비스, 만도 등 자동차 대표주가 상승.(06/04일 타이어주도 역시 강세를 나타냄) 06/04 개장전 주요뉴스 * 트럼프 행정부, 중국 항공사 미국으로 운항 금지(희토류 - 유니온머티리얼즈, 대두관련 음식료 - 샘표, 풀무원, 비료 - 한일사료, 팜스토리) * WSJ "사우디·러시아 970만 배럴 감산 한 달 연장 합의"(유가상승 - gs, s-oil, sk이노베이션, 흥구석유) * 여름 더위 시작…대구는 '34도' 오른다(2019-05-28) 때이른 무더위 속 여름 관련제품 판매 급증 등으로 상승(주도주 : 파세코, 위닉스, 에스씨디, 롯데칠성) * EU, 현대重-대우조선 결합심사 재개 * LNG선 수주 잭팟 환호 뒤에…佛서 '1조 청구서' 날아오고 있다(LNG선의 핵심기술은 화물창인데 프랑스에 5%의 로열티 제공. 일은 우리가 돈은 프랑스가 벌어가는 격. 다음달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형 화물창연구 사업을 다음달 공고할 예정) * 코로나도 못 막은 반도체 수요, 4월 글로벌 매출 6.1% 증가* 삼성전자, D램이어 '낸드' 압도적 1위 시동(06/03 주도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고영, GST, 로체시스템즈) * 국내 첫 수소상용차 충전소, 현대차 전주공장서 개소식(오늘 3차추경안 국회제출. 수소차 가즈아 (2020-05-21) 그린뉴딜, 한국형 뉴딜 사업안 포함 소식에 상승(주도주 : 코오롱머티리얼, 에코바이오, 세종공업, 이엠코리아)) * 파로스아이비티-스템모어, 탈모치료제 공동개발(탈모치료 가즈아~) * 'LNG船 수주 잭팟'에 활짝 웃는 BNK금융지주(수주잭팟을 터트린 조선사 부산울산경남 경기 좌우. - BNK금융지주) * 에코프로비엠, 'NCA 양극재' 세계 2위…전기차 시대 '성장판' 열다 * 메디톡스 보톡스 시장 퇴출 오늘 결판…"ITC 소송에도 영향"(퇴출되면 대웅제약, 안되면 메디톡스. 양날의 칼. 하지만 전일 대웅제약 상승, 메디톡스 하락했었음) * 김여정, 대북전단에 불쾌감…"조치 않으면 군사합의 파기"(존재감 들어내려는 발언. 전일 빅텍 조정받았음) * 檢 '이재용 기소'로 기울자…삼성 "외부 전문가가 객관적 판단을"(이재용 기소되면 호텔신라가 반사수혜. 차트상 자리도 좋네) * 100% 온라인 판매 테슬라…포드 시총의 7배로 성장(테슬라의 호재는 우리나라 2차전지와 전기차 섹터에 큰 호재 2차전지 - (2020-05-18) 테슬라 공장 가동 허가 소식에 상승(주도주 : 유에스티, 에코프로비엠, 신흥에스이씨, 솔브레인)전기차 - (2020-05-18) 테슬라 공장 가동 허가 소식에 상승(주도주 : 유에스티, 신흥에스이씨, 센트랄모텍, 쎄미시스코) * 日 '디지털 엔화' 도입 서두른다(어제 우리기술투자가 들썩이던데....) 06/04 오늘의 추천주노바텍(시가공략, 목표수익률 5%)* 트럼프 행정부, 중국 항공사 미국으로 운항 금지(희토류 - 유니온머티리얼즈, 대두관련 음식료 - 샘표, 풀무원, 비료 - 한일사료, 팜스토리)- 미국은 중국을 끊임없이 압박할 것으로 예상 또한 만약 시장이 하락하게 된다면 희토류는 반사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음.- 최근 적당히 조정을 받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손절가 19800원 이하
-
-
-
-
[재테크] 02/27 마감시황 및 특징섹터
- 테마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국내 확진자 급증세 지속 및 미국 지역사회 감염 우려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마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지속 등으로 반도체/IT 대표주를 비롯해 폴더블폰, 갤럭시 부품주, 3D낸드,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등의 테마가 하락. 美 SEC 월셔 피닉스의 비트코인ETF 출시 신청 거부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도 하락. 이 외에 폐기물처리, LED장비, 그래핀, 통신장비, 5G, 2차전지, OLED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소식 속에 손해보험/일부 생명보험, 은행 테마가 상승했고,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세 지속 등으로 교육/온라인 교육, 백신/진단시약/방역, 일부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테마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 코로나19 관련주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세 지속 등에 상승.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금일 오전 9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전날 오후 4시 대비 334명 증가한 1,595명을 기록했다고 밝힘. 신규 확진자 중 90% 이상인 307명이 대구에서 발생했으며, 이 외에 서울 6명, 경북 4명, 경기 4명, 충남 4명, 대전 3명, 울산 2명, 충북 2명, 경남 2명의 확진자가 발생. ▷한편, SK증권은 리포트를 통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정부가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했으며, 2월말까지 하루 최대 1만명까지 코로나19 검사가 가능 토록 검사물량을 확대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관련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코미팜, 피씨엘 등 백신/진단시약/방역 테마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바이오니아, 진매트릭스 등 일부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테마와 아이스크림에듀, YBM넷 등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가 상승 마감. ▷한편, 코미팜은 신약물질 파나픽스의 국내 식약처 긴급임상시험계획 신청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피씨엘은 코로나19 간편진단키트 개발 소식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 손해보험/은행 - 한은, 기준금리 동결 속 상승. ▷한국은행 금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 당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으나 예상밖에 기준금리를 동결했음.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내수 경기 위축을 우려하면서도 경기 흐름을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음. ▷이와 관련, 현대해상, DB손해보험, 코리안리 등 손해보험/일부 생명보험, 하나금융지주, BNK금융지주, 기업은행 등 은행 테마가 상승 마감. - 반도체/IT 대표주 등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지속 등으로 하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 및 외국인의 집중 매도세 등으로 최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비롯한 반도체 및 IT 대표주 등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모습.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스마트폰, TV, PC 등 B2C 제품 수요 타격 및 경제 전망치 하락에 대한 부담감 등이 B2C 노출도가 높은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아울러, 1분기 전통적인 비수기인 점 등을 들어 메모리 반도체 업종의 실적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대해 투자의견을 BUY에서 Underperform으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음. ▷이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월 반도체 경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조정할 단계는 아니라면서도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 휴대폰 등의 전방산업 수요 둔화 및 생산 차질 등으로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은 염두하고 있다고 발언. ▷이와 관련, 금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등 반도체/IT대표주들이 하락. 이 외에 폴더블폰, 스마트폰, 아이폰, 갤럭시 부품주, 3D 낸드,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등의 테마도 동반 하락.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美 SEC 월셔 피닉스의 비트코인ETF 출시 신청 거부 등에 하락.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금일 오후 3시 기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화폐 가격이 대부분 하락하는 모습. 해외 가상화폐 거래소인 비트렉스 글로벌에서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대부분의 가상화폐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美 SEC(증권거래위원회)는 현지시간으로 26일 월셔 피닉스의 비트코인 ETF 신청서에 대해 비트코인 기반 비트코인 ETF는 시세조작 우려 등이 있어 승인할수 없다며 최종 거부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AMB크립토는 최근 비트코인 약세에 대해 낙관론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며, 지난 1월 연고점 이후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금일 제이씨현시스템, SGA솔루션즈, 라이브파이낸셜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마감.
-
[재테크] 02/26 마감시황 및 특징섹터
- 테마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속 외국인 순매도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마감. 지난밤 코로나19 공포 지속 등으로 뉴욕증시가 이틀째 폭락했고,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락 여파 등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여타 반도체 관련주들이 하락 마감. 국제유가 급락 등으로 정유/석유화학 테마도 하락. 투자심리 위축 속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 강관업체, 희귀금속, 캐릭터상품, 황사/미세먼지, 마스크, 카지노, 폴더블폰, IT대표주, 비철금속, 제지, 통신장비, 생명보험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국내외 코로나 격화 우려 지속 등으로 유전자 치료제/분석, 교육/온라인 교육,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전자결제, 일부 제약업체 등 코로나19 관련주들이 상승. 이재명 경기도지사,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 3위 소식에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는 경영권 분쟁 격화 전망 속 한진칼이 급등하면서 상승. 이 외에 제대혈, 자동차 대표주, 4차산업 수혜주 등 일부 테마 만이 상승. - 코로나19 관련주 - 국내·외 코로나19 격화 우려 지속 등에 상승.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금일 오전 9시 기준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169명 추가 돼 총 1,146명이라고 밝힘. 확진자 169명 중 153명은 대구·경북에서 나왔으며, 서울 4명, 부산 8명, 경남 2명, 인천·경기에서 각각 1명 나왔음. 이날 정부는 영유아 코로나19 감염 예방 등을 위해 2월27일~3월8일까지 전국 어린이집을 휴원한다고 밝혔음. ▷아울러, 이탈리아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스위스,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등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음. ▷美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낸시 메소니에 국립면역호흡기질환센터 국장은 "팬데믹에는 3가지 요건이 있다"며 "코로나19는 사망 가능성이 있는 질병을 유발하고, 사람 대 사람으로 감염되기 때문에 팬데믹의 두 가지 기준에 부합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한국알콜, 창해에탄올 등 주류업(주정, 에탄올) 테마와 아이스크림에듀, 메가엠디 등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CJ씨푸드 등 수산 테마가 상승. 이 외에 일부 종합 물류, 백신/진단시약/방역, 전자결제, 음식료업종 등 테마가 상승 마감. - 정치/인맥(이재명) - 이재명 경기도지사,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 3위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가 3위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번 여론조사에서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1위를 기록했고,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위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를 3.6%P 차이를 보이며 3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일 경기도가 신천지 시설을 상대로 긴급 강제 역학 조사에 돌입하는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한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전일 경기도는 과천 신천지 총회본부에 강제 진입해 긴급역학조사를 시행했으며 경기도 내 신천지 신도 3만3,582명과 과천 신천지교회 예배 신도 9,930명의 명단을 확보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확보한 명단을 바탕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는 신천지 신도를 분류해 격리 및 감염검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에이텍, 에이텍티앤 등 일부 정치/인맥(이재명) 관련주가 상승 마감. - 반도체 관련주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폭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코로나19 공포 지속 등에 이틀째 폭락한 가운데,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 지속 등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3.06% 폭락 마감. D램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5.29%)가 약세를 보였으며,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 중 하나인 인텔(-3.29%)은 하락 마감. 이 외에 스카이웍스솔루션즈(-4.51%), 엔비디아(-4.11%), 인테그리스(-3.95%), 크리(-3.80%)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전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최근 4거래일간 낙폭은 2008년 금융위기 때 이후 최악의 수준이라며, 조정 국면이 진입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표주를 비롯해 동운아나텍, 엘티씨, 에프에스티, ISC, 고영 등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테마가 하락 마감. - 정유/석유화학 - 국제 유가 급락에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코로나19 글로벌 확산 공포 지속 등에 2.97% 급락 마감. 코로나19 확진자가 중국 외 이탈리아, 이란, 한국, 일본 등에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스위스,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등에서도 신규 환자가 발생하면서 글로벌 확산에 대한 우려가 유가에 부정적으로 작용. ▷신영증권은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1,180억원으로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이는 코로나19 영향에 운송수요가 감소했으며, 따뜻한 날씨로 정제마진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설명. ▷이 같은 소식에 SK케미칼, 금호석유, 효성화학 등 석유화학 테마와 SK이노베이션 등 정유 테마가 하락 마감. 내일의 일정2월 27일 (목) 금융통화위원회 건설 대표주, 증권 , 은행 , 손해보험 , 생명보험- 2월 금융통화위원회- 시장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이주열 총재가 금리인하에 신중론을 내비친 만큼 금리동결을 예상하는 관측이 많은 모습.- 다만, 코로나19의 국내 감염이 확산하면서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한은이 기준금리를 현 1.25%에서 1.00%로 내릴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한편, 한국은행은 사상 최초로 인터넷(유튜브 계정과 페이스북 채널) 생중계를 이용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단회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후 진행되는 경제전망 설명회 역시 인터넷 생중계를 통해 진행할 예정. 2월 27일 (목) 국회 법사위, 인터넷전문은행법 개정안 논의 예정 인터넷은행- 2월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법 개정안이 다뤄질 예정.- 개정안이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를 통과할 시, KT가 케이뱅크의 최대주주로 올라설 기반이 마련되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이번 논의는 전일 이뤄질 예정이였으나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순연된 바 있음.
-
[재테크] 02/24 마감시황 및 특징섹터
- 테마시황 - ▷국내 코로나19 환자 급증에 따른 공포 확산으로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각각 3.87%, 4.30% 급락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 마감. 지난 주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및 반도체 업황 우려 등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하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여행조치 강화 우려 등으로 여행/항공/저가 항공사/면세점 테마 등도 하락. 아울러,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철강제품 가격 하락 등에 철강 테마도 하락. 이 외에 최근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상승세를 보였던 마스크, 교육/온라인 교육,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식품 사재기 조짐 등으로 수산주, 일부 육계,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온라인 구매 확산에 따른 택배 수요 증가 등에 태림포장, 삼보판지 등 일부 골판지 제조 테마, 한익스프레스, 동방, KCTC 등 종합 물류 테마도 상승 마감. 이 외에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일부 백신/진단시약/방역 및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테마 및 일부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가 상승 마감. - 코로나19 관련주 - 코로나19 전국적 확산 소식에 상승. ▷질병관리본부 중앙대책본부는 금일 오전 9시 기준 누적 확진자수가 763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힘. 이는 전일 오후 4시 기준대비 161명 증가한 숫자로, 특히, 신규 확진자중 129명은 신천지 관련 확진자임. 아울러 사망자 수도 2명 증가해 총 7명이 발생했다고 밝힘. ▷아울러 그 동안 확진자가 없었던 부산, 강원 등에서 확진자가 나오며 전국적 지역 감염이 현실화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식품 사재기 조짐 등으로 CJ씨푸드, 신라에스지 등 수산주와 마니커에프앤지 등 일부 육계, 서울식품, 푸드웰, 오뚜기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온라인 구매 확산에 따른 택배 수요 증가 등에 태림포장, 삼보판지 등 일부 골판지 제조 테마, 한익스프레스, 동방, KCTC 등 종합 물류 테마도 상승 마감. ▷이 외에도 진원생명과학, 에이프로젠제약, 씨젠 등 일부 백신/진단시약/방역 및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테마도 상승. 다날, 인포뱅크 등 일부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도 상승. - 반도체 관련주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락 및 반도체 업황 우려 등에 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99% 급락 마감.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 중 하나인 인텔(-1.70%)이 하락한 가운데, AMD(-6.97%), 엔비디아(-4.74%), 크리(-3.84%), 램리서치(-3.56%), MU(-3.41%)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한편, 유진투자증권은 반도체 산업에 대해 수요 위축 영향으로 1분기 메모리 출하는 가이던스를 미달할 것으로 밝힘. 아울러 국내 상황이 매우 좋지 않게 흘러가면서, 설비투자도 계획 대비 지연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를 비롯해 예스티, 이오테크닉스, 아이텍, 앤씨앤, 매직마이크로, 디엔에프, 동운아나텍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하락 마감. - 여행/항공/저가 항공사(LCC)/면세점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 여행조치 강화 우려에 하락. ▷외교부는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입국금지, 자가격리, 입국절차 강화 등을 시행 중인 국가는 15개국으로 집계됐다고 발표. 특히, 요르단과 이스라엘은 한국인과 한국을 거친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했음. ▷아울러 美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지난 22일(현지시간) 코로나19와 관련해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2단계로 격상했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입국금지 등 한국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는 국가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롯데관광개발, SM C&C, 신세계, 대한항공 등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LCC), 면세점 관련주들이 하락 마감. - 철강 -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철강 제품가격 하락 등에 약세.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견조한 국내 제품가격 흐름과는 다르게 춘절 이후 국내외 철강 시장의 분위기는 그 전과 사뭇 다르다고 설명.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국 내수 철강제품 가격이 춘절 이후 급락하고 있으며, 계절적 비수기와 함께 예상하지 못한 변수가 중국 내 철강수급을 악화시키며 시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 ▷이와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국내 철강 수요업체들이 국내 철강업체들의 제품 가격 인상 움직임을 온전히 받아들이려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산발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국내 자동차 기업들의 가동 중단도 제품 판매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추정. ▷이 같은 소식에 POSCO, 세아베스틸, 현대제철, 동국제강, 대동스틸, 동일제강 등 철강주들이 동반 하락 마감. 내일의 일정 2월 25일 (화)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 연설(현지시간) - 25일(현지시간)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이 연설할 예정임.- 한국시간 : 26일 오전 5시 2월 25일 (화) 금감원장, 5대 금융지주 회장과 회동 예정 은행-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신한/KB/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과 2월25일 올해 첫 회동을 진행 할 예정.- 이번 회동에서는 라임 펀드 사태 등에 대한 이야기가 오갈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음.
-
-
[재테크] 02/18 마감시황 및 특징섹터
테마시황 - ▷금일 증시가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속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하락. 특히, 애플의 실적 가이던스 하향 소식에 아이폰 테마가 하락했으며, 스마트폰, 휴대폰부품, 갤럭시부품주, 카메라모듈/부품 테마 등도 하락. 아울러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동반 하락한 가운데, 반도체 대표주,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3D 낸드, SSD 등 반도체 관련 테마들도 하락. 이 외 마리화나(대마), 카지노, 창투사,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증강현실, 종합 물류, 영화, 캐릭터상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국내 31번째 코로나19 확진환자 발생 소식과 함께 중국 여행을 다녀온 서울 관악구 거주 30대 남성이 사망했다는 소식 등에 마스크/백신/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들이 상승했으며, UAE의 바라카 원전 1호기 운전허가 승인 소식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마스크/백신/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 국내 31번째 코로나19 확진환자 발생 소식 등에 상승.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한국인 61세 여성이 국내 31번째 '코로나19' 확진환자로 확인됐다고 밝힘. 해당 환자는 대구 수성구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후 양성으로 확인됐으며, 해외여행력이 없고 확잔지와의 접촉이 드러나지 않아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이 의심되고 있음. ▷아울러 지난달 중국에 다녀온 30대 남성이 폐렴 증상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정례 브리핑을 통해 "관악구에서 발생한 폐렴 환자의 경우 사망 직전에 응급실 심폐소생술 구역에 가서 심폐소생술을 한 것으로 보고 받았다며, 코로나19 의심증상이 나타나 현재 검체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신풍제약, 랩지노믹스, 오공, 파루, 웰크론, 케이엠 등 마스크/백신/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주 등이 상승세를 기록. 특히, 씨젠은 코로나19 진단시약 출시 소식에 급등. - 원자력발전 - 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운전허가 승인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UAE 연방원자력규제청(FANR)은 전일(현지시간) 한국의 첫 수출 원자력발전소인 바라카 원전 1호기에 대해 60년 기한의 운전허가를 승인했다고 밝힘. 이어 바라카 원전 운영사인 나와(Nawah)는 곧 바라카 원전 1호기에 핵연료를 장전해 시험 운전을 거쳐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너토크가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보성파워텍, 한신기계 등 일부 관련주가 상승. - 아이폰 - 애플 실적 가이던스 하향 소식에 하락.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최대 생산기지인 중국 내 공급망 일시적 중단으로 아이폰 공급 부족과 중국 내 수요 부진에 따라 1분기(애플 회계기준 2분기) 실적이 회사측이 제시했던 예상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실적 가이던스를 수정한 것으로 알려짐. ▷다만, 애플은 중국 상황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매출 전망치를 얼마나 축소하는지는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4월에 있을 실적 발표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덕우전자, LG이노텍, 비에이치, 인터플렉스 등 아이폰 관련주가 하락세를 기록. 내일의 일정2월 19일 (수) 삼성전자, 텐진 TV 공장 재가동 예정 삼성전자(005930)- 코로나19 사태로 멈췄던 삼성전자의 텐진 TV 공장이 2월19일부터 재가동 될 예정. 2월 19일 (수) 대기·해양 환경 위성 "천리안 2B호" 발사 예정 우주항공산업- 한반도 상공에서 24시간 미세먼지와 적조 등을 감시할 정지궤도 대기·해양 환경 위성인 "천리안 2B호" 2월19일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 발사 후 수개월 동안은 시험 운영 과정을 거칠 예정이며, 적조·녹조 등 해양 환경 정보는 오는 10월부터, 미세먼지·오존 등 대기 환경 정보는 2021년부터 제공할 것으로 전해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