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병원에서 소독용 에탄올이 들어간 주사를 맞고 왼팔이 마비된 육군 병장이
희귀 질환까지 걸려 큰 고통을 겪고 있지만 군 당국의 보상은 제자리걸음에 머물고 있습니다.
군 당국은 약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용기를 새로 만드는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근본적인 재발 방지와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물통을 들어보려고 힘을 줘도 23살 김 모 병장의 왼팔은 움직이질 않습니다.
군 병원에서 소독용 에탄올이 들어간 주사를 잘못 맞은 뒤 팔 근육이 사라지면서 탈골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더 심각한 증상까지 생겼습니다.
신경이 손상됐을 때 드물게 발생하는 이른바 '호르너 증후군'인데 심해지면 눈동자가 작아지면서
눈 초점이 맞지 않게 돼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질환입니다.
상태가 이처럼 더 나빠졌지만 군의 대답은 변한 게 없습니다.
여전히 군에서 받을 수 있는 건 보상금 천4백만 원과 제대 후 6달간의 진료비 지원이 전부입니다.
군 병원의 상황도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의료사고를 낸 군의관과 간호장교는 여전히 국군 청평병원에서 근무하고 있고
지휘관이던 병원장은 아예 징계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보도 이후 군 의료당국이 내놓은 대책도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약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용기를 새로 만들고 소독용 에탄올을 일회용으로 바꿔서 사고 가능성을 막겠다는 것일 뿐,
근본적인 대안은 별로 없습니다.
군은 아직도 장병들이 한 해에 의료사고로 얼마나 다치고 숨지는지 통계조차 집계하지 않고 있습니다.
김 병장은 왼팔 마비 증상에 이어 또 다른 질환까지 얻고 말았습니다.
군 당국은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을 마련했지만, 에탄올 주사 사고 보상과 징계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