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2찍 캄대남이랑 '제왕해룡'이 우기는 이재명 부동산 폭등설

asd 작성일 25.11.08 17:13:53
댓글 19조회 2,388추천 11

🧩 1️⃣ 이번 정책의 성격: “총체적 수요억제”

이건 윤석열 정부 시절 완화 기조와 정반대의 방향입니다.
핵심은 “돈 빌려서 집 사는 걸 최대한 어렵게 만든다”에요.

규제지역 확대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주담대 한도 축소DSR 강화 (스트레스 금리 3%)전세대출 DSR 반영위험가중치 상향 (은행권)

➡️ 즉, 매수세의 “자금줄”을 죄는 정책입니다.
경제학적으로 이건 명백한 수요 억제형 긴축 정책이며, 단기적으로 가격을 “내리거나 정체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 2️⃣ “폭등할 것” 주장의 논리 구조 분석

‘제왕해룡’ 같은 주장은 아마 이렇게 전개될 겁니다:

“규제가 강하면 거래가 줄고, 매물이 잠기며, 결국 희소성이 생겨서 가격이 폭등한다.”

하지만 이건 단기 거래절벽 착시를 인과로 착각한 주장이에요.

거래가 줄면 가격이 잘 떨어지지 않는 착시는 생깁니다.

하지만 실제 실거래가 지수는 하락하거나 정체합니다.

과거 9·13대책(2018), 6·17대책(2020), 8·2대책(2017) 모두 시행 6~12개월 후엔 서울 아파트 거래량 급감 → 실거래가 하락 패턴이 반복됐습니다.

즉, “매물 잠김으로 단기 호가 방어”는 가능하지만,
실질적 가격 폭등은 유동성·금리완화·공급제한이 함께 있어야만 일어납니다.

📉 3️⃣ 이번 대책과 시장 상황을 종합하면

👉 단기(6~12개월): 가격 안정 또는 하락
👉 중기(2~3년): 공급 부족 시 재반등 가능성
👉 장기(3년 이상): 금리·정책 완화 시점 따라 순환적 반등 가능

📊 4️⃣ 과거 유사 정책의 데이터 패턴

➡️ 폭등이라기보다는 냉각–조정–후속정책 전환 후 재반등 패턴이 가장 유력합니다.

🧠 5️⃣ 결론 요약

단기 (2025 Q4 ~ 2026 상반기)중기 (2026 ~ 2027)장기 (2027 이후)‘폭등’ 가능성

요약하자면:
이번 이재명 정부 정책은 부동산 폭등을 유발하기보단 억제하기 위한 긴축 대책입니다.
단기적으로 거래절벽과 가격 조정 가능성이 높으며,
“폭등”은 공급·금리·정책 완화가 동시에 돌아설 때나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오히려 ‘윤석열’ 완화 정책이랑 정반대로 부동산 떨어트리는 정책이라고 판단함

asd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