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8,175);
-

[영화] 판타스틱 4 특집 5. 팬 코믹스로 나온 90년대 미공개 영화(번역본 스압 주의)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판타스틱 포' 첫 데뷔 이슈 (1961)를 단편 웹 애니메이션으로 요약해 소개한 마블 히스토리 영상 TV 시리즈 및 영화에서의 더 씽 변천사 정리 영상 A.I.인공지능으로 생성한 역대 TV 시리즈 및 영화 속 판타스틱 포 관련 캐릭터들 정리 영상 (미리 준비해뒀던 내용인지 일부 내용은 2025년 실사판의 실제 내용과 차이 존재) 2005년 실사판 영화 타이인 게임 기종별 판본 정리 영상 (GBA판은 판타스틱 포가 주인공인 작품, 휴먼 토치가 주인공인 스핀오프 작품 두 가지 버젼 존재) 게임 '포트나이트'의 2025년 실사판 타이인 스킨으로 작 중 대사를 재구성한 영상 유사 컨셉 영화 '줌' 2006년 실사판 영상( 공교롭게도 해당 실사판에 나온 '케이트 마라'는 이후 폭스의 2015년 판포스틱 실사판에도 출연) 판타스틱 포 포함 슈퍼히어로 영화들을 패러디한 2008년 코미디 영화 '슈퍼히어로 무비' TV 광고 영상. 프랑스에서 90년대부터 시작된 TV 시리즈 '오기와 바퀴벌레 악동들'의 판타스틱 포 패러디 에피소드 영상 (공식 채널에서 공개 중) 판타스틱 포 시리즈는 1961년에 잭 커비, 스탠 리의 원작 만화 작품이 단순히 슈퍼빌런을 물리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미지의 세계로의 떠나 탐사도 하는 과학적 요소와 탐험가적 요소도 추가해 밝고 활기찬 분위기의 톤으로 연재해 인기를 얻은 것을 시작으로 TV 시리즈, 비디오 게임, 영화, 패러디 작품들 등 각색작도 여럿 나왔습니다. 실사판 영화 작품들의 더 씽 (벤 그림) 정리 영상 AI 인공지능으로 생성한 역대 실사판 영화 배우들 정리 영상 영화화 역시 시대별로 제작되어 후술할 故 로저 코먼의 초저예산 1994년 실사판, 헐리웃식 리얼리즘으로 연출해 기존 멜로 드라마 코미디 영화 구성에 중간중간 슈퍼파워 사용 장면도 섞는 식으로 각색한 2005년 실사판, 원작에서는 벤이 빌런들을 물리칠 때 자주 사용한 대사인 '두둘겨패줄 시간이다!'(It's Clobberin' Time)를 벤의 형이 어린 시절 벤을 학대할 때 외치는 대사로 각색하는 등 어두운 분위기로 각색해 여러 의미로 유명해진 폭스의 2015년 리부트 실사판 (다행히 동일년도에 나와 코먼 실사판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는 평론적으로 호평을 받기도), 원작처럼 60년대 풍의 배경에 최첨단 기술을 쓰며 희망찬 분위기의 레트로 퓨처리즘 작품으로 각색해 평론적으로 호평을 받은 MCU의 2025년 실사판 (20년에 걸친 물가 상승 및 런닝 타임 차이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제작비는 의외로 2005년 실사판과 큰 차이는 안 나는 편) 등 장편 영화 작품들로만 한정해도 여러 작품들이 제작됐습니다. 본인이 과거에 판타스틱 포 실사판 영화 제작도 한 적 있음을 밝히는 로저 코먼의 인터뷰 영상 (판포에 대해선 좋은 소규모 영화라 표현) 후술할 사정으로 고화질로 접할 수 있는 희귀한 사례의 90년대 실사판 관련 영상 (팬들이 본편 영상을 리마스터한 비공식적인 사례들은 존재) '판타스틱 포' 로저 코먼 실사판 The Fantastic Four (1994) 이전에 소개했듯 60년대 호빗 단편 영화 (영화화 판권 유지 차원에서 급히 제작)와 비슷한 사연을 지닌 초저예산 B급 슈퍼히어로 영화 작품. 판타스틱 포 영화화 판권을 사들였던 故 베른트 아이힝거 (Bernd Eichinger, 1949~2011)가 판권 소유 기간이 만료되기 직전이 되자, 영화화 판권 유지 및 판권 기간 연장 차원의 비공개 견본 영상을 만들 목적으로 저예산 B급 영화로 유명한 로저 코먼을 고용해 본래 3000만 달러 이상이 필요했던 기획 (동시기 코미디 영화 '난폭한 주말'과 비슷한 규모인 4000만 혹은 4500만 달러란 기록도 존재)을 3.4%도 안 되는 금액으로 격감한 초저예산인 100만 달러에 3주 촬영 등 말도 안 되게 열악하고, 시간도 없는 급박한 조건에서 제작된 작품입니다. 이는 동일 조건 적용 시 70년대 '슈퍼맨' 실사판 영화 (제작비 5500만 불)는 동시기 70년대 호러 영화 '더 레거시' (제작비 250만 불)보다도 적은 제작비로, 80년대 배트맨 영화 (제작비 3500만 불)은 60년대 아담 웨스트 배트맨 영화 (제작비 137만 8천 불)보다도 적은 제작비로, 90년대 배트맨 포에버 (제작비 1억 불)는 70년대 호러 영화 '아미타빌 호러' 실사판 (제작비 470만 불)보다도 적은 제작비로, 2000년대 '스파이더맨 2' (제작비 2억 불)는 70년대 환경 오염 소재 공포 영화 '프라퍼시' (제작비 900만 불)보다도 적은 제작비로, 2010년대 '저스티스 리그' 실사판 (제작비 3억 불)은 80년대 어린이 영화 '내 친구는 외계인' (제작비 1300만 불)보다도 적은 제작비로 감소하는 등, 본래 기획 예산이 96% 넘게 급감해 제작에 심각한 차질을 겪게 되는 조건이었습니다.(아이러니하게도 제작비 급감의 예시로 든 위의 작품들도 로저 코먼 버젼 판타스틱 포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여유롭게 제작된 편) 위와 같은 극단적인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이 작품은 위에서 언급한 호빗 단편 영화처럼 그림과 나레이션으로 구성해 단편 영화로 급조한 것이 아니라, 실제 배우와 제작진이 열성적으로 노력하여 비공개 견본임에도 판타스틱 포가 능력을 얻고 엄연히 장편 영화로 완성해내, 당시 법적으로 판권 관련 조항을 준수했음을 증명해냈고, 이에 당시 메이저 영화사인 20세기 폭스에서 판타스틱 포를 대형 영화 프로젝트로 제작해보고 싶다고 관심을 보여 실제로 계약에 성공해 이후 폭스에서 극장 개봉용 장편 영화들이 제작됐습니다.(90년대에 폭스의 대형 영화 프로젝트가 진행될 당시 로저 코먼 실사판 영화를 프리퀄로 출시하려는 계획도 있었으나, 90년대 폭스 실사판 기획에 참여했던 크리스 콜롬버스가 당시 기술력으로는 제작비가 2억 8천만 달러는 필요할 거라며 현실적으로 무리라고 난색을 표하는 등 결과적으로 무산되고, 폭스에선 나중에 CG 기술력이 발전 + 제작비가 훨씬 적게 드는 멜로 드라마 코미디 + 중간에 액션에 양념으로 들어간 구성으로 기획한 실사판을 제작)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딱히 상업적 목적은 없이 판권 유지 목적으로 제작된 영화라 관계자들에게 증거용 견본 역할만 하고 비공개 작품이 되었습니다만, 90년대에 저화질 복사 테이프로 외부에 유출되어 코믹스 팬들 행사에 공공연하게 돌아다니고, 외국에서 역시 비공식 자막판 및 더빙판들이 나온데 이어(한국에서도 인터넷 아카이브 에서 공개된 판본 # 에 맞춰 제작한 한국어 자막 # 이 존재), 팬들이 리마스터링 작업을 한 비공식 DVD 및 블루레이, 팬 아트, 굿즈, 후술할 팬 필름, 다큐멘터리 영화, 관련 서적 등도 제작된 데 이어 팬 코믹스로도 제작되는 등 컬트적 인기를 얻었으며, 초저예산의 한계는 있지만서도 역대 판타스틱 포 실사판 영화 작품들 중 2025년판 다음으로 좋다는 호응을 얻기도 했습니다. https://www.gamesradar.com/entertainment/marvel-movies/fantastic-four-movies-ranked/ 본래 로저 코먼 실사판 영화가 1994년에 개봉할 예정으로 홍보되었다가 위와 같은 이유로 비공개됐음에도, 유출본을 직접 보고 팬이 된 이들이 나타나(이 중에는 그린 나이트 감독 '데이비드 라워리'처럼 유명인들도 존재) 로저 코먼 실사판이 30주년을 맞이한 이후 UI Extreme 팀이 제작한 팬 코믹스로도 각색됐으며 (AI 인공지능 생성 + 수작업 하이브리드 작업으로 추정), 94년 실사판 영화의 각본을 담당한 '크레이그 J. 네비어스'가 설립한 영화사 '윈드밀 엔터테인먼트'에서 해당 팬 코믹스를 마음에 들어해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공개했습니다.(각본가의 설명에 따르면 스탠 리의 초안에 있던 내용도 포함됐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도 참고) https://www.facebook.com/share/p/179F3ueLeX/ 팬 제작 코믹스판의 경우 감사하게도 번역 허락을 받았습니다만, 이전 경우와 마찬가지로 엉터리 번역이 됐을 위험이 높으니 위의 링크를 통해서 원본도 확인해주시길 것을 부탁 드립니다.번역을 허락해주신 UI Extreme에 다시 한 번 감사 드립니다. 위의 1994년 실사판 영화는 이후 2000년대에는 페이크 예고편 형식의 팬 필름, 2010년대에는 해당 작품의 비하인드를 다뤄 호평을 받은 다큐멘터리 영화 '둠드: 로저 코먼 판타스틱 포에 대해 못 했던 이야기' (2015), 90년대 실사판이 비공개 작품이 된 미스테리를 다룬 서적 '포세이큰: 로저 코먼 판타스틱 포 제작과 영향' (종이책 출시는 2019, 오디오북 출시는 2022), 2024년에는 30주년 행사가 열린데 이어, 90년대 실사판에 대해 만든 사람들의 깊은 애정이 느껴지는 매우 특별한 작품이라 칭찬한 '맷 샤크먼'이 연출한 2025년 실사판에도 90년대 실사판의 주연 배우 4인조가 앵커, 취재 기자, 화재 현장의 인원들, 판타스틱 포의 인류 공헌에 감사 인사를 하는 단체 사진 등 다양한 역할로 카메오 출연을 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gizmodo.com/fantastic-four-first-steps-spoilers-roger-corman-cameos-2000634035
콩라인박작성일
2025-08-08추천
0
-
[영화] B급 영화 대부 故 로저 코먼 관련 (1926~2024) 공개작들
* 호러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썸네일 포함 끔찍하거나, 징그럽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도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 스포일러로 느껴질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故 '로저 코먼'은 1950년대부터 수많은 저예산 B급 영화들의 제작, 연출, 각본 및 메이저 영화 작품들에서의 특별출연 등을 포함한 연기 활동도 하며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작품들로 활동을 이어온 한편으로 잭 니콜슨,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등 수많은 영화인들의 신인 시절 경험을 쌓게 해준 인물로, 1960년대에는 현실의 갱스터 총기난사 사건을 기반으로 한 '20세기 폭스'의 '발렌타인 데이의 대학살'의 연출을 맡아 제작비는 당시 폭스에서 한창 밀어주던 클레오파트라 영화판 (제작비 3110만)의 6.5%도 안되는 200만 불 정도에 불과했으나 평론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1970년대에는 실제로 정신병에 걸려본 경험이 있는 작가의 자전적 원작 소설의 영화화 판권을 책임 제작자로서 계약해 3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진지한 분위기의 심리극 영화 작품 '로즈 가든' 실사판을 내기도 했습니다. 1980년대에는 '워너'에서 로저 코먼의 60년대 영화 '흡혈식물 대소동' 및 해당 60년대 영화에서 파생한 뮤지컬판 양쪽 다 원작으로 삼은 호러 코미디 뮤지컬 영화을 내서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제작비는 위의 60년대 클레오파트라 영화보다도 적어서 결과적으로 흑자 달성), 1990년대에는 미래 시대와 시간 여행도 나오는 소재의 원작 소설 '프랑켄슈타인 언바운드'의 실사판 영화 작품(한국에선 '돌아온 프랑켄슈타인'으로 수입)을 80년대 코미디 영화 제작비보다도 적은 저예산 1150만 불로 완성해 메이저 영화사에서 수천만 달러를 지원한 '빅터 프랑켄슈타인', '아이 프랑켄슈타인'보다 평론적으로 훨씬 더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후 LAFCA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 및 아카데미 영화제로부터 평생 공로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故 '로저 코먼' 관련 작품들 중에는 웹 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작품들도 있으며 그 중 일부나마 소개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호러 작품들도 있어 썸네일 포함 끔찍하거나, 징그럽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도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분노의 질주' The Fast and the Furious (1954) 초저예산으로 제작된 B급 범죄 드라마 영화로 살인 누명을 쓴 인물이 탈옥 후 우여곡절을 겪으며 레이스에도 참가하게 되는 내용을 다뤄 당시 극장 매출로 제작비 5배의 흥행 대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해당 제목을 마음에 들어한 유니버설 영화사의 작품도 제목 사용 협상을 하여 동일한 제목으로 개봉했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CCC에서 흑백 원판, 컬러 복원판 양쪽 다 한국어 자막 등을 포함한 다중 언어 자막들과(구글 번역 사용 추정) 함께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거대 거머리의 습격' Attack of the Giant Leeches (1959, 2008, 2020) 냉전 공포가 심각했던 시절에 극장가에 단골 소재로 개봉한 대형 괴물 호러 영화 작품들(제목에 giant, attack 등도 자주 사용) 중 하나로 직관적인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 방사능 오염으로 발생한 거대 거머리들의 습격을 다룬 내용의 작품이며 초저예산 B급 영화로선 희귀한 사례로 이 작품을 마음에 들어하는 평론가들이 여럿 나타나 로튼토마토에서도 신선한 토마토를 받는데 성공했으며, 이후 퍼블릭 도메인(공공재) 작품이 되어서 라이센스 계약을 맺지 않아도 자유롭게 제작이 가능한 작품이 되어서인지 2000년대에 리메이크판, 2020년대에는 연극판도 제작됐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흑백 원판 및 컬러 복원판 양쪽 다 다중 음성 지원, 한국어 포함 다중 자막 지원으로 공개 중입니다. '흡혈식물 대소동' The Little Shop of Horrors (1960) 잭 니콜슨이 출연한 로저 코먼 작품들 중 하나로 말할 줄 아는 육식 식물로 인해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호러 코미디 영화 작품이며, 로저 코먼이 제작 뿐만 아니라 연출도 직접 담당해 평과 흥행 양쪽 다 성공했고, 이후 수차례 인기리에 공연한 뮤지컬판, 워너의 리메이크판 영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코믹스판, 게임판 등 파생작들도 여러 차례 제작됐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흑백 원판 및 컬러 복원판 양쪽 다 다중 음성 지원, 한국어 포함 다중 자막 지원으로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의 로저 코먼 추모전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B급 영화의 대부 로저 코먼이 ‘왜 로저 코먼인가’ 말해주는 바로 그 영화. 일주일 빌린 세트장에서 영화 한 편 뚝딱 찍고도 남은, 무려(!) ‘이틀 밤과 낮’에 걸쳐 완성한 <흡혈 식물 대소동>은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정체불명의 식물로 인해 공포의 도가니로 변하는 작은 꽃가게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어리숙한 행동으로 주인에게 혼만 나던 시모어는 우연히 얻은 작은 식물 덕분에 주인의 신임과 짝사랑 ‘오드리’의 사랑도 얻게 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오드리 주니어'라 이름 붙인 식물은 갑자기 입을 열고 "Feed me"를 외치며 시모어를 괴롭히기 시작한다. 이 기이한 영화는 심야 상영관에서 장기 상영되는 ‘컬트영화’로 등극했고(왜 아니겠는가) 브로드웨이 뮤지컬과 1986년 프랭크 오즈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자신을 힘 있는 사람처럼 느끼게 해주는 식물의 유혹 앞에 굴복하는 시모어를 통해 욕망 앞에 나약한 인간군상을 비꼬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조악한 특수효과에도 불구하고 그야말로 충격적이다. 기괴한 치과 환자로 카메오 출연한 청년 잭 니콜슨의 모습도 놓칠 수 없다. (모은영) '더 테러' The Terror (1963) 잭 니콜슨, 보리스 칼로프가 출연한 호러 장르의 저예산 독립 영화 작품으로 20년 전 죽은 사람과 닮은 인물이 나타나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당시 연출이 여러 사람으로 바뀌는 등 정신 없던 제작 과정을 거치다 카피라이트 고지 등 저작권 관리를 제대로 안 해 퍼블릭 도메인이 된 작품입니다.(훗날 조지 로메로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도 비슷한 이유로 퍼블릭 도메인 영화가 되기도)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 로저 코먼 공식 채널에서 본편을, CCC에선 영어 음성 및 해설 코멘터리와 다중 자막 지원 기능과 함께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의 로저 코먼 추모전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19세기 초 독일 라인연방 어딘가에서 길을 잃은 프랑스 병사 안드레는 묘령의 여인 헬레네에게 구조되지만, 그녀는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 그녀의 흔적을 찾던 안드레는 폰 레프 남작과 그의 아내 리자 그리고 마을의 마녀 카트리나를 둘러싼 비밀에 다가간다. 60년대 초 아메리칸 인터내셔널과 함께 로저 코먼은 <어셔 가의 몰락>(1960), <함정과 진자>(1961) 등 연이은 에드거 앨런 포 시리즈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점점 포 연작이 반복되어 가는 데 지루함을 느낀 코먼은 다른 소재를 찾는 동시에 악명 높은 게릴라식 재활용(!) 제작을 고수하면서 포의 소설과는 아무 연관이 없는 <더 테러> 제작이 착수되었다. 이후 코먼과 주연을 맡은 잭 니콜슨이 회상하듯, 영화의 제작은 처음부터 끝까지 엉망진창이었다. 포 시리즈에 등장한 빈센트 프라이스가 일정상 출연이 어렵게 되자 보리스 칼로프가 단 이틀 만에 촬영을 마쳤고, 당시 코먼 사단에 있던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몬티 헬만, 잭 힐 심지어 니콜슨까지 연출의 바통을 이어받다가 결국 마무리는 코먼이 맡았다. (박진형) '데스 레이스 2000' 실사판, '힛트 맨', '죽음의 경주' Death Race 2000 (1975)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하는 작품으로 1956년 단편 소설이 원작이며, 사람을 치어죽이면 보너스 점수를 주는 레이스에 열광하는 광기의 미래 시대를 배경으로 이런 정신 나간 상황을 정상적으로 바로잡으려는 레지스탕스들이 활동하는 내용을 다뤄 평론적으로 호의적 평가를 받고 흥행에도 성공해 이후 리메이크 시리즈도 제작된 작품으로 젊은 시절의 '실베스터 스탤론'도 조연으로 출연했습니다. https://flixhouse.com/video/2447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전연령이 볼 수 있되 일부 장면이 누락된 축약본을 플릭스하우스에서 무료로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의 로저 코먼 추모전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서기 2000년, 전체주의 체제 아래의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자동차 경주이다. 각 팀은 무고한 희생자를 치어 죽임으로써 점수를 획득한다. ‘프랑켄슈타인’과 ‘머신 건 조’라는 두 명의 무자비한 라이더가 이 경주를 주도한다. 몇몇 이들은 이 광기의 경주를 멈추려 하지만, 피에 굶주린 라이더들은 영광을 차지하기 위해 어떤 방법과 수단도 가리지 않는다.〈죽음의 경주〉는 로저 코먼이 제작자로 가진 화려한 이력 중 가장 뛰어난 익스플로이테이션 영화 중 하나로 평가된다. 코먼과 자주 작업을 했던 폴 바텔 감독이 1975년에 연출한 이 영화에서 배우 데이비드 캐러딘과 록키로 뜨기 전의 실베스터 스탤론이 과장된 연기를 펼친다. 이후 조나단 드미와 M. 나이트 샤말란 영화의 촬영 감독이 되는 후지모토 탁이 빠르게 전개되는 경주 장면에서 뛰어난 촬영 기법을 보여준다. (남종석) '스페이스 레이더스' Space Raiders (1983) '스타 차일드'란 제목으로도 알려졌으며 한국에선 '레이더'란 제목으로 바뀌어 연소자관람불가 등급으로 수입된 작품. #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들이 인기를 끌던 시절 제작된 스페이스 서부극 영화 작품으로 내용은 어린이 '피터'가 화물선 근처 작업장에서 우주 동물 채집하며 놀다가 화물선이 목표인 우주 해적 '호크' 일행이 나타나 총격전이 벌어지자 우연히 호크 일행이 노리던 화물선 속에 피신해있다가, 나중에서야 피터를 발견한 호크 일행이 피터를 다시 고향 행성에 보내주려고 하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다룬 작품입니다.(이 과정에서 80년대 캐논 영화사의 브롱크스 엑세큐셔너, IFD 및 필마크의 닌자 영화들과 마찬가지로 비용 절감을 위해 이전 작품에 쓰였던 장면도 재활용)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샤웃 스튜디오 공식 채널에서 본편 영상을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피라냐' 리메이크판 Piranha (1995) 70년대에 로저 코먼 사단의 조 단테가 '죠스' 실사판의 축소판격으로 연출한 초저예산 B급 호러 영화 '피라냐'가 평과 흥행 양쪽 다 성공을 거든 뒤 90년대에 로저 코먼의 영화사가 TV 영화로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내용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비밀리에 유전자 조작으로 만든 흉폭한 피라냐 때가 사고로 외부에 풀려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뤘으며(시대의 변화에 맞춰 일부 캐릭터가 여성으로 성별이 바뀌거나, 좀 더 진지한 톤으로 바뀌는 등의 소소한 차이점도 존재) 어린 시절 '밀라 쿠니스'가 출연하도 했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Plex에서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https://watch.plex.tv/movie/piranha-1995 '랩터', '킹스 고질라' Raptor (2001) 이전에 소개한 바 있는 작품으로 80년대 소설을 대폭 각색한 90년대 '카르노사우르' 실사판이 인기를 끌어 3부작까지 시리즈화되고, 이후 시간이 지나 이를 재편집 + '에릭 로버츠'도 나오는 신규 장면을 추가해 새로운 내용의 영화로 만든 작품으로(5년 후에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 '에덴 포뮬라'도 제작) 당연히 고지라 시리즈와는 무관한 작품입니다만 한국에선 어찌된 영문인지 '킹스 고질라'라는 짭퉁 제목으로 수입됐습니다. https://watch.plex.tv/movie/raptor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Plex에서 공개 중이며, 아래 내용은 KOBIS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12년 전 하이드 박사는 정부와 군의 지원으로 지능을 갖춘 공룡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맡는다. 하지만 프로젝트 종결 후에도 박사는 유니스라는 회사를세우고 비밀리에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한편, 공룡들의 무고한 인명들이 살상되는 사고가 연이어 터지자 경찰은 수사에 착수한다. '킹즈 오브 컬트' Kings of Cult (2015) 60대 시절의 '찰스 밴드', 80년대 후반 시절의 故 '로저 코먼'이 자신들이 영화계에서 걸어온 과정으로 대담을 나누는 다큐멘터리 영화 작품으로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풀 문' 영화사 계열 채널에서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작품들 이외에도 합법적으로 무료 공개 중인 작품들이 여럿 있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atch.plex.tv/person/roger-corman
콩라인박작성일
2025-08-06추천
0
-

[영화] 판타스틱 4 특집 4. 판타스틱 포 관련 추가 공개작들 ft. X30000세
* 후대 관점에선 불편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 스포일러, 혹은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판타스틱포' 시리즈 관련 영화 및 TV 시리즈 작품들 정리 영상 (1967~2015) '판타스틱 포' 시리즈 (1961)의 인기가 마블 코믹스 역사에서 중요한 포인트였던 점을 설명하는 영상 1967년 TV 시리즈 나레이션 포함 오프닝 A.I.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1967년 TV 시리즈 리마스터드판 오프닝 (나레이션 없는 버젼) 1978년 TV 시리즈 '뉴 판타스틱 포' 오프닝 (로봇 '허비'의 데뷔작이자 판타스틱 포 신규 멤버로 활동한 작품) '더 씽' 단독 주연 스핀오프 TV 시리즈 오프닝 스핀오프에서 '씽 링'을 이용한 변신 장면 (Do Your Thing은 원작 코믹스에서도 사용하는 대사로 등장) 판타스틱 포 관련 비디오 게임 작품들 정리 영상 90년대 TAS판 시즌 별 오프닝 리마스터 영상 '분장실의 강선생님' 슈퍼히어로 패러디 에피소드 (벤 그림 / 더 씽 패러디 분장도 등장)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22 '1박 2일' 2010년 충북옥천 에피소드 (더 씽 패러디 포함) 실사판 영화 작품들 타이인 광고 정리 영상 웹 시리즈 애니메이션 (일주일 단위로 새로운 에피소드 무료 공개) 1961년부터 월간 연재 만화로 데뷔해 큰 인기를 끌어온 '판타스틱 포' 시리즈는 미디어믹스 작품들도 수없이 많이 제작됐으며, 한국 기준으로는 박동파 작가님이 '토르', '판타스틱 포' 등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들을 인용한 1980년대 작품 '엑스30000세' (단행본에선 '퉁구스 30000년'이란 명칭도 사용)에 판타스틱 포 캐릭터가 나온 것에 이어, 한국에서도 KBS에서 90년대에 방송해 인기를 끌었던 스파이더맨 TAS에서 판타스틱 포가 출연한 시크릿 워즈 애니판 에피소드가 방송됐고(이후 판타스틱 포 주연 90년대 TAS도 수입해 더빙 방영), 신문 연재로 시작했다가 네이버에 전편을 무료 공개한 웹툰 '와탕카', TV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의 분장 꽁트 코너 '분장실의 강선생님' (2009), 1박 2일의 2010년 에피소드 등 관련 패러디도 여러 차례 이뤄진 것에 이어, 폭스의 2015년 실사판 영화의 경우 BTS의 RM (당시 예명은 랩몬스터) 및 인터넷 BJ들을 섭외한 홍보 이벤트, MCU의 2025년 실사판 영화의 경우 포토존을 이용한 홍보 이벤트 등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이전에 소개한 작품들 이외에도 무료로 접할 수 있는 판타스틱 포 관련작들이 존재하며 일부나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더 판타스틱 포' 라디오 시리즈 'The Fantastic Four' (1975) 故 '스탠 리'의 나레이션을 포함 성우 연기 및 효과음 등으로 전개하는 구성으로 방송된 라디오 시리즈 작품으로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라디오 에코스에서 공개 중입니다. https://www.radioechoes.com/?page=series&genre=OTR-SciFi&series=Fantastic%20Four%20Radio%20Show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앤 캡틴 아메리카 인 닥터 둠즈 리벤지!' The Amazing Spider-Man and Captain America in Dr. Doom's Revenge! (1989) 여러 기종들에 걸쳐 비디오 게임 + 프리퀄 만화 구성으로 출시한 작품으로 내용은 스파이더맨에 패배한 '닥터 둠'(판포 출신 슈퍼빌런들 중 한명)이 다른 슈퍼 빌런들을 모으고, 핵폭탄 테러를 저지르려는 악행을 저지르려는걸 스파이더맨과 캡틴 아메리카가 저지하는 내용을 다룬 작품으로, 한국에선 '둠 박사의 복수'란 제목으로 컴퓨터 게임 잡지 '게임컴'에서 소개된 바 있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공개 중입니다. https://archive.org/details/msdos_The_Amazing_Spider-Man_and_Captain_America_in_Dr._Dooms_Revenge_1989 '실버 서퍼' 컴퓨터 그래픽 테크 데모 단편 영화 Silver Surfer (1992) 극영화라기보다는 당시 한창 주목 받던 CG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견본을 보이는 것에 집중하는 방식의 쇼케이스 성격의 작품으로(이로 인해 분량도 매우 짧은 편), 당시 영화계에서 해당 테크 데모에 주목하는 이들이 있었고, 90년대에 쿠엔틴 타란티노 역시 실버 서퍼 장편 영화 계획에 흥미를 보였으나 결과적으로는 무산 됐습니다.(이후 CG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더 발전한 시기에 나온 폭스의 실사판 판타스틱 포 작품들에서도 제작비 부담이 문제가 됐는지 실버 서퍼는 중간 중간에 나오는 식으로 분량 조절)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당시 CG 테크 데모 제작진이 본편 영상 및 메이킹 영상을 공개 중입니다. '판타스틱 포: 메카나이지드 메일스톰' Fantastic Four: Mechanized Maelstron (2009) 프랑스에서 폭스 실사판의 디자인 및 설정에 맞춰 제작한 2006년 TV 시리즈 '판타스틱 포: 월드즈 그레이티스트 히어로즈'(이로 인한건지 폭스에서 속편 영화에서 쓸 갤럭투스 계열 캐릭터들 사용을 금지해 최종화에서 다른 캐릭터가 지구 자원을 노리는 비슷한 역할로 대신 나오기도)에서 파생한 플래시 게임 작품이며,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의 지원 종료로 없어진 작품들이 여럿 있던 와중에도 이 게임은 여러 사이트에서 백업해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https://www.numuki.com/game/fantastic-four-mechanized-maelstron/ '갤럭투스의 전령 적격시험' Galactus Herald Tryouts (2016)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주로 다루는 코미디 TV 시리즈 '로봇 치킨'의 방영분 중 일부로 방송된 짧은 분량의 작품으로 갤럭투스가 자신을 위해 일할 전령을 뽑는 오디션 시험 중에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방송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공식 채널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판타스틱 포가 도시를 갤럭투스로부터 구하다!' Fantastic Four Save the City from Galactus! (2025) 레고 + CG 형식으로 제작된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갤럭투스가 지구의 음식들을 먹어치우며 난동을 부리자 판타스틱 포 (+ 70년대 멤버이기도 했던 허비)가 나서서 해결하는 내용의 작품으로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공식 채널에서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콩라인박작성일
2025-08-05추천
0
-

[엽기유머] (축구)국가별 역대 공격수+중원 베스트 라인업은??
펠레 이후 선수들로 추려본 국가별 공격수 및 중원 베스트 라인업은 어느 나라일까요??(수비형 미드필더 제외/추억의 선수들 대거포함) 1. 벨기에 벨기에는 아무래도 황금세대가 2010~2020이다보니 쾰레만스를 빼고는 다들 최근 선수들이고,패스플레이 및 개인능력치가 상당한 팀임.루카쿠, 아자르는 임팩트로는 레전드 급이지만 덕배만큼 전성.기를 꾸준히 유지하지 못한게 아쉬움. 2. 포르투갈 마찬가지로 에우제비우를 제외하면 90후반~2010 사이에 황금세대가 몰려있음.측면돌파 수준으로는 포르투갈이 넘사벽인듯. 3. 네덜란드 유럽의 전통강호 오렌지군단 네덜란드는 시대별로 고르게 레전드들이 분포되어있는게 특징.피파 사기캐 굴리트 및 이름만 들어도 후덜덜한 레전드들이 참 많음참고로 위 선수들에 밀린 2군 공격진을 나열하자면.. 이렇게 보면 네덜란드는 정말 꾸준히 좋은 선수들을 많이 배출해 낸거 같음월드컵 우승을 한번도 못한게 신기할 정도로..참고로 후보명단에도 들지 못한 선수들이 필립코쿠,반봄멜,반더바르트,더 용, 오베르마르스등등.. 4.스페인 스페인은 모두가 알듯이 전통적으로 뛰어난 공격수보다 찬스메이킹 및 개인능력이 뛰어난 중원이 하드캐리했으며,부스케츠,다비드실바,파브레가스,사비알론소,호아킨,모리엔테스,루이스엔리케등이 아쉽게 들지 못했음. 5. 프랑스 프랑스는 워낙 좋은선수들이 많아서 1,2군 구분없이 입맛대로 골라 쓰면 될듯.. 6. 독일 확실히 독일은 현재보단 예전이(70~90년대),공격수보단 수비수들이 전통적으로 좋은선수들이 많은듯.. 7.이탈리아 자료모으면서 느낀거지만 이탈리아는 뛰어난 측면공격수가 정말 없음..타겟형 스트라이커와 몸싸움에 능한 중원,그리고 세계최고의 수비수들로 명맥을 이어온듯.피를로는 포지션으로 보면 수비형 미드필더가 맞지만 중원장악 및 공격기여도가 워낙 큰 선수라 뺄수가 없었음. 8. 잉글랜드 잉글랜드는 정말이지..1998~2010 사이에 우승을 한번은 했었어야 됨. 9. 아르헨티나 여기도 시작부터 선수층이 워낙 좋아서..취향대로 골라 잡수면 될듯.. 10. 브라질 여기도 뭐 아무나 선발로 내보내도 다 씹어먹을듯;;히바우두랑 네이마르는 주 포지션이 아니긴한데 브라질에 그게 의미가 있나 싶기도 .. 그리고 라스트 11.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전성.기는 누가 뭐래도 2002 멤버들이겠지만, 공격수들로 보자면 위에는 들지 못했지만 변병주,황보관부터 해서 최용수,김도훈,이동국,박주영등뛰어난 공격수들을 꾸준히 배출해 냈음. 혹시나 본인이 좋아하거나 빠진선수 있으면 제가 아는 선수들만 넣었으니까 댓글로 부탁드리고..짱공에서 축구는 별로 인기가 없던데(월드컵기간 한정 어디선가 축구전문가들이 우르르 나타났다가 훅 사라짐;;)혹시나 반응 좋으면 수비수 편도 만들어볼게요.
-
-
-
-
-

[정치·경제·사회] 한국경제 김익환 기자님에게 묻습니다
서울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전용면적 82.61㎡) 아파트를 보유한 1주택자의 종부세 부담은 지난해 155만7000원으로 전년(70만5000원)에 비해 두 배 이상으로 불었다. 부동산 세금 계산 서비스 셀리몬 분석 결과다. 해당 아파트의 공시가격이 1년 사이 29.95% 상승한 영향이다. 한국경제 김익환기자님! 기사내용에 지난해 155만7000원으로 => 2024년전년(70만5000원)에 비해 => 2023년 2024년 종부세: 1,557,000원(2025년 7월 기준으로 "지난해"는 2024년, "전년"은 2023년) 요약하면:2023년 → 약 70만원2024년 → 약 155만원 (2배 이상 증가)공시가격 상승(29.95%)에 따른 결과로 보입니다. [질문] 1. 2023, 2024년은 윤석열정권입니다. 이재명정부에서 종부세 올린것처럼 호도해서 기사쓰는 이유가 뭡니까? 2. 잠실주공 5단지면 30~40억인데, 종부세 150만원이 세금 많다고 기사를 쓴 이유는 뭡니까? 3. 미국, 영국, 프랑스였으면 30~40억 집은 재산세만 2~5천만원 나올텐데, 이런건 다른 oecd 국가랑 비교안합니까? 4. 1주택자는 종부세 감면을 이미 크게 받고 있음에도, 제도 취지를 왜곡한 기사를 쓴 이유는 뭡니까? 5. 세금 인상은 공시가격 급등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인데, 시장 구조 대신 세금만 문제 삼는 이유가 뭡니까? 6. 세금 폭탄 프레임을 강조해 재벌들의 부담을 부각, 실질적 불공정성 문제를 흐리는 프레임 유도가 의심되는데요? 7. 공시가 30% 가까이 올라 수억 원 자산 상승 효과를 봤으면서도, 세금만 문제 삼는 건 형평성 결여입니다. 8. 기자가 감정적 기사로 세금 논쟁을 왜곡시킨 책임 존재합니다. 언론의 책임회피 아닙니까? 9. 좌우대립없이, 진영논리없이 기사는 공평하고, 팩트중심으로 써야 하는거 아닙니까? 출처 "잠실 아파트 한 채 샀는데 세금이 말도 못 하네요" 한숨 [김익환의 부처 핸즈업]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57266
보리와쌀작성일
2025-07-16추천
46
-
-
[영화] 1960년대 공개 작품들 ft. 홍길동 복원본
*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리턴 오브 미스터 슈퍼맨' రిటర్న్ ఆఫ్ ఎ సూపర్ మేన్ Return of Mr. Superman (1960) 이전에 흑백판으로 소개한 바 있는 작품으로 이전에 살짝 소개한 인도의 여러 (비공식) 슈퍼맨 실사판 영화 작품들 중 하나로 외계에서 우주선을 타고 온 아이가 인도의 가족에게 입양되어 자란 뒤 평소에는 지구인으로 위장하다가 필요하면 슈퍼 파워와 망토를 지닌 슈퍼맨으로 활약하는 시리즈 전통적인 포멧을 열악한 환경에서나마 재현한 한편으로, 발리우드식 리얼리즘(?) 연출이 들어가 맨얼굴이 안 드러나게 복면으로 위장하는 슈퍼맨이라든지, 견공이 슈퍼맨을 도와주는 내용이라든지, 슈퍼맨 VS 슈퍼맨(정확히는 한쪽은 슈퍼맨으로 위장한 범죄자) 장면이 나오는 등 시대를 앞선 선구자적(?) 묘사도 나왔으며, 이전에 소개한 흑백판 뿐만 아니라 컬러판도 추가로 공개 됐습니다. 문화영화 '십자로의 교통순경' (1961년) 교통량 증가에 따라 교통순경이 알아야 될 교통정리 방법을 알려주는 문화영화 작품으로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KTV 계열 채널에서 공개 중입니다. '스페이스워!' Spacewar! (1962) 비디오 게임의 초창기 작품들 중 하나로 MIT 학생이 소설 '렌즈맨' 등에 영감을 받아 제작한 슈팅 게임이며 이전에도 비디오 게임들은 존재했으나 이 작품의 경우 세미나에서 공개된 비영리 목적의 공개 소프트웨어에 오픈 소스도 공개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에도 후술할 링크 및 인터넷 아카이브 등 여러 곳에서 공개 중입니다. https://spacewar.oversigma.com/ '블랙 사바스' I tre volti della paura, Black Sabbath (1963) 이탈리아, 프랑스 합작의 호러 영화 작품으로, 이탈리아 원제는 '공포의 3 얼굴'이며 제목처럼 앤솔로지 형식으로 각각 다른 내용의 3 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됐습니다. 첫번째 에피소드는 콜걸이었던 성소수자 주인공이 자신이 증언해 감옥으로 보낸 포주가 어느 날 탈옥했다며 협박 전화를 보내자 생명의 위협을 느껴 이전에 헤어진 여성 연인에게 연락하며 벌어지는 내용을, 프랑스 소설이 원작인 두번째 에피소드는 19세기 배경에 길을 지나가던 주인공이 어느 농가에 신세를 지던 중 자신들의 아버지가 '부르달라크'(일종의 흡혈귀)를 잡으러 간 뒤 연락이 끊겼다는 이야기를 들은 뒤 벌어지는 내용을, 세번째 에피소드는 1910년대에 주인공이 사망한 영매의 사파이어 반지를 훔치려다가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 작품은 평론적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영어판 제목에서 이름을 따온 밴드도 데뷔했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Plex에서 공개 중입니다. https://watch.plex.tv/movie/black-sabbath '대한늬우스 1964년 12월 13일' 편 (1964) 문맹률의 해결, 라디오 및 TV의 보급률이 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했던 시절 문화영화의 마찬가지로 정부 홍보 차원에서 극장에서 극영화 상영 전에 의무적으로 상영했던 기록 영화로 해당 편에서는 사회 분야 뉴스는 물론, 청룡영화제 시상 등 문화·예술 분야도 다뤘습니다. '썬더버즈' Thunderbirds (1965) 한국에선 '날으는 썬더버드'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진 인형극 형식의 TV 시리즈 작품으로 2065년에 트레이시 일가가 비밀리에 최첨단 장비(이를 빼앗아 악용하려는 빌런도 존재)에 탑승해 활약하는 구조대가 나오는 내용을 다뤄 인기를 얻어 장편 영화,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등 파생작들도 여러 차례 제작됐고, 후대에 여러 다른 작품들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ITV 운영 채널에서 초기 에피소드들을 공개 중입니다. '호빗'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The Hobbit (1966 *) IMDB 기준으로는 1966년 상영 작품, 위키피디아에선 1967년 상영 작품으로 적혀있는 등 다소 아리송한 사연이 있는 작품으로 본래 인기 소설의 영화화 판권의 소유자가 판권 만료 직전에 계약 기간 연장 차원에서 급하게 제한기간까지 맞춰 제작할 수 있게 대폭 각색하여 단편 영화로 만들어 일반 공개가 아닌 일부 사람들에게만 소규모로 보여주며 상영한 작품이며(이후 비슷한 사연을 지닌 로저 코먼 버젼 판타스틱 포 실사판도 존재)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Rembrandt Films 운영 채널에서 공개 중입니다. 홍길동(1967) 복원본 / A Story of Hong Gil-dong ( Hong Gil-dongjeon ) Restoration Version 고전 한글 소설로도 유명한 '홍길동'을 '신동우' 화백이 만화로 각색한 '풍운아 홍길동'이 큰 인기를 끌고, 이 만화를 신동우 화백의 형 '신동헌' 감독님이 연출하며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영화로 당시 흥행에 크게 성공해 스핀오프 영화 '호피와 차돌바위'도 제작됐으며, 한때는 소실된 작품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재발굴되어 고화질 복원을 거치며 한국영상자료원을 통해서도 공개됐습니다.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도 참고 부탁 드립니다. 애니메이션 <홍길동>(신동헌, 1967) 복원기 https://www.kmdb.or.kr/story/237/6627 [개관영화제] 전설이 살아돌아오다 <홍길동>의 발견 경위와 역사적 의의 https://www.kmdb.or.kr/story/119/2745 아래 내용은 해당 채널에서 인용했습니다. 줄거리 : 홍정승의 서자로 태어난 길동은 봉건사회제도에 반발하여 의적이 된다. 그는 활빈당을 조직하고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탈취하고 응징하며 빈민들을 구제한다. 이에 조정에서는 그를 잡아 들이려고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허사였다. 마침내 길동은 율도국을 창건하고 스스로 왕이 된다. (한국어 자막판) (컬러 복원판)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Night of the Living Dead (1968) 이전에도 소개한 바 있는 故 조지 로메로 연출의 초저예산 독립 영화 작품으로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고, 흥행에도 대성공을 거두어 이후 시체 시리즈로도 이어진 작품이며(시리즈 1편은 독립 영화였다 보니 저작권 권리가 제대로 안 이루어져 퍼블릭 도메인으로 풀려있는 상황) 흑백판, 컬러 복원판 양쪽 모두 한국어 자막과 함께 감상 가능합니다. '곰돌이 푸' 소련 애니판 Винни пух все серии, Vinni Puh (1969) '곰돌이 푸' 원작 소설이 러시아(당시 기준으로는 소련)에도 알려져 그림책으로 각색되고 이를 다시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3부작으로 제작한 작품으로 등장인물이 봉제인형이 아니라 실제 살아있는 동물이라든지, '크리스토퍼 로빈'은 등장하지 않는 등의 각색이 이뤄졌으며 이 작품을 연출한 '표도르 히트루크'는 소련 국가 상을 수상했으며, 디즈니 방문 당시에는 위의 소련판 단편 영화에 대해 '볼프강 레이더먼'으로부터 잘 만든 작품이라며 칭찬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Soyuzmulfilm 운영 채널에서 공개 중입니다.
콩라인박작성일
2025-07-14추천
0
-
-
-
-
-
[영화] 1920년대 작품들 ft. 무성, 유성영화 역사
* 스포일러로 느껴질 수 있는 내용, 반종교적인 것으로 느껴질 수 있는 내용 등 민감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https://media.hcf.or.kr/ [스코어]유성영화의 태동부터 ‘짐머레스크’까지 ① 영미권의 영화음악 https://www.kmdb.or.kr/story/167/3586 영화계에서 최초의 기준은 연구가 지속되면서 종종 갱신되고는 했습니다만 이 글을 올린 시점에 알려진 내용 기준으로 19세기에 영화가 나타난 이래, 1900년대에 호주에서 장편 영호가, 1910년대에 프랑스에서 슈퍼히어로 영화, 한국에서도 최초의 영화가 만들어진 1919년 이후, 시대적으로는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인 1920년대에 영화계에서도 기존의 무성 영화와 달리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유성 영화가 나오는 등 격동의 시기를 맞이했으며, 이 시기 작품들 중 일부나마 소개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이 중에는 후대에 컬러가 입혀진 판본이 나온 작품들도 여럿 존재) '더 마크 오브 조로' 실사판 The Mark of Zorro (1920) 1919년의 인기 원작을 실사화한 무성 슈퍼히어로 영화 작품들 중 하나로(시기 상으로는 1920년대 슈퍼히어로 '그린 아처'의 실사판보다 이쪽이 좀 더 일찍 나온 편) '돈 디에고 베가'가 식민 정부의 압제에 맞서 복면을 쓰고 '조로'로 변장해 활약하는 내용으로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고, 큰 인기를 끌어서 5년 뒤에는 아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속편 영화(1편의 아버지 조로와 2편의 아들 조로 둘 다 배우는 '더글러스 페어뱅크스'가 연기) 및 이후 리메이크 작품들, 컬러 채색된 판본도 만들어졌으며, 미국 국립영화등기부가 영구보존할 가치가 있는 작품들 중 하나로 선정되며 보존작들 중 하나가 됐습니다. '네버 위큰' Never Weaken ( 1921) 코미디 연기 및 스턴트 연기로 큰 인기를 얻은 '해롤드 로이드' 주연의 무성 단편 영화 작품들 중 하나로 주인공이 밖에서 슬랩스틱 개그와 함께 병원 홍보를 하며 환자들을 병원에 보내다가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이 작품 제작으로 얻은 노하우가 이후 장편 영화 '세이프티 라스트!'(Safety Last!)에도 쓰였습니다. (한국어 자막판) (컬러 복원판) '헥산: 마녀들' Häxan (1922) 과거에 벌어진 마녀 사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로는 정신 질환에 대한 오해로 인해 벌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호러 영화(분류에 따라선 다큐멘터리 영화) 작품으로 반종교적인 주제 등 민감한 내용을 다룬지라 불편함을 드러낸 이들로 인해 고초를 겪기도 했습니다만,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는데 성공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왓챠피디아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포크 호러의 효시라 불리우는 <헥산: 마녀들>은 유럽 전역 중세 시대 구전되어온 다양한 민담과 주술적 이야기들을 한데 모아놓은 무성영화다. 종교적 위선, 성적 억압, 마녀 사냥에 대한 묘사와 함께 미신과 수세기에 걸친 악마의 개념에 대한 교훈적인 강의와 각색을 허구적으로 구성한다. [2023년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노틀담의 꼽추' 실사판 The Hunchback of Notre Dame (1923) 빅토르 위고의 인기 프랑스 소설 작품을 원작으로 삼아 미국에서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들 중 하나로, 1920년대 시기의 극장에 관람료 내고보러온 불특정 다수의 대중들을 상대해야 되는 작품이어서인지 원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순화되는 각색도 이루어진 작품으로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고, 극장 매출도 손익분기점(제작비의 2배)을 여유롭게 넘겨 흥행에도 성공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중세 파리의 노틀담 대성당에 프롤로와 꼽추 콰지모도가 같이 산다. 대성당 앞 광장에는 온갖 거지들과 집시들이 모여든다. 그 집시들 중에 에스메랄다라는 아름다운 여자 집시가 있다. 프롤로는 내심 에스메랄다를 좋아한다. 그러나 에스메랄다는 자신을 구해준 피버스라는 자욕와 사랑에 빠진다. 프롤로의 계략으로 에스메랄다는 누명을 쓰고 마녀로 오해받게 된다. 콰지모도가 에스메랄다를 구해 성당으로 피신시키고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교수형에 처하려고 한다. '셜록 주니어' Sherlock Jr. (1924) 이전에도 소개한 바 있는 작품이며, 역대 컬러 복원본들 중 새로운 컬러 복원본도 갱신되어 나왔습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작은 극장의 영사기사 겸 청소부인 버스터는 셜록 홈즈 같은 명탐정이 되는 것이 꿈이다. 그는 마을의 소녀 캐트린을 사랑하고 있는데, 사랑의 라이벌인 워드가 캐트린 아버지의 시계를 훔쳐 버스터에게 누명을 씌운다. 탐정 솜씨를 발휘해보려다 오히려 꼼짝없이 범인으로 몰린 버스터는 실의에 빠진 채 극장으로 돌아와 영사실 안에서 잠이 든다. 꿈속에서 상영중인 영화 속으로 들어가게 된 버스터는...(서울아트시네마) '잃어버린 세계' 실사판 The Lost World (1925) 이 작품 역시 이전에 잃어버린 세계 원작 소설 및 실사판 작품들과 함께 소개한 바 있으며 관련 내용은 아래 작품 소개를 참고드리며, 역대 컬러 복원본들 중 새로운 컬러 복원본도 갱신되어 나왔습니다.아래 내용은 T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1912년 아서 코난 도일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무성영화. 폴라 화이트는 탐험가였던 아버지의 일지를 통해 지구상에 여전히 공룡이 생존하고 있음을 확신한다. 런던의 괴짜 교수에게 일지를 전하고 학술 회의 등에서 공룡 존재를 주장하지만 비웃음만 산다. 이에 그녀는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공룡을 찾아 출발한다. 마침내 이 탐험대 일행들은 고원에서 선사 시대의 동물들을 발견하게 된다. '더 배트' 실사판 The Bat (1926) 원작 소설 '나선계단의 비밀' 및 이를 무대화한 연극판을 영화화한 실사판 작품들 중 하나로 박쥐 모습의 변장을 한 괴도 '박쥐'가 주인공 일행이 임대한 저택에 오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위에서 소개한 조로 시리즈처럼 배트맨 시리즈에 영향을 준 여러 작품들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트롤리 트러블즈' Trolley Troubles (1927) 당시 유니버설 영화사 배급에 월드 디즈니 스튜디오 제작으로 극장에 걸리던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오스왈드 더 럭키 래빗' 중 열차가 달리며 온갖 사고를 겪는 내용을 다룬 첫번째 개봉작으로(제작 자체는 두번째 작품이며 첫번째 제작 작품은 나중에 공개) 데뷔 순서 상 미키 마우스의 선배격인 캐릭터가 나온 작품이며, 이후 오스왈드는 다른 디즈니 작품들에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재즈 싱어' The Jazz Singer (1927) 이전에도 소개한 바 있는 유성 영화 초창기 작품들 중 하나로 당시 대성공을 거두어 워너 영화사의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한 작품으로 자세한 것은 위의 한국어 자막 포함 본편 영상, 컬러 복원판, 당시 1920년대 시대 배경을 설명하는 영상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몇 대째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칸토르(유대교의 예배에서 노래를 부르는 선창자) 자리를 물려받게 되어 있는 유태인 소년 재키 라비노비츠(아역, 로버트(바비) 고든 분)는 재즈 가수를 꿈꾸며 아버지의 반대를 뿌리치고 집을 뛰쳐나간다. 재키는 13세 시절부터 업소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재즈가수의 꿈을 키워나간다. 재키는 이름도 대중이 알기 쉬운 "잭 로빈"으로 개명하고 뉴욕에서 서서히 이름을 알려 브로드웨이의 커다란 공연에서 주연을 하게 될 기회를 잡게 된다. 하지만 첫 공연 전날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가수로서 장래를 포기하더라도 아버지를 위해 노래하겠다고 생각하고 아버지 대신 유대교 속죄일 예배에서 노래를 부르며 아버지의 임종을 지킨다. 그 날 재키의 노래는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그는 첫 공연에 빠져서 노래를 부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브로드웨이의 인기 가수로 성공하게 된다. (출처 : 다음영화) '증기선 윌리' Steamboat Willie (1928) 이전에 소개한 바 있는 단편 작품이자 '미키 마우스'의 데뷔작으로 이후 퍼블릭 도메인이 된 이후로는 채색판, 화질 개선판 및 리메이크작 등 수많은 파생작들도 만들어졌습니다. 아래 내용은 T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첫 미키 마우스 애니메이션 개봉작이자 동시 녹음을 활용한 최초의 애니메이션. 배 위의 장난꾸러기 선원 미키는 미니를 기쁘게 하기 위해 동물들을 악기 삼아 “짚 속의 칠면조”를 연주한다. 포악한 피트 선장의 화를 돋운 미키는 조리실에서 감자 깎는 일을 하게 된다. '말괄량이 길들이기' 영화판 The Taming of the Shrew (1929) 거친 성격의 '캐서린'이 '페트루치오'와 만나 벌어지는 내용을 다룬 셰익스피어의 원작 연극을 영화화한 작품들 중 최초의 유성 영화로(주연 배우들은 당시 실제로 부부였던 '메리 픽포드', '더글라스 페어뱅크스') 시대의 변화를 반영해 현대인들도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으로 대폭 각색이 이루어지거나, 원작과 같은 대사를 하는 장면도 반어법임을 눈치챌 수 있는 연출이 들어갔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CCC에서 흑백판, 컬러 복원판 양쪽 다 한국어 자막 포함해 공개 중입니다. 이 실사판과 관련해선 논문도 작성된 바 있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477767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6741
콩라인박작성일
2025-07-02추천
0
-
[영화] 1910년대 작품들 ft. 의리적 구투 100주년 기념작
19세기부터 평범한 일상, 민담, 소설, 동화, 실화 등 여러 소재를 실사화시킨 영화 작품들이 제작되어오며, 1900년대에는 호주에서 유럽이나 미국보다 먼저 장편영화가 제작되는 등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영화가 제작됐습니다. 한국에서도 1910년대부터 영화 '의리적 구토'('의리적 구투'란 제목 역시 사용)가 나와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왔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 링크한 언론 기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한국영화 100년사 시기별 트렌드 100살 맞이 한국 영화, 그 변천사를 찾아서' https://kr.ign.com/yeonghwa/5312/feature/hangugyeonghwa-100nyeonsa-cogi-hangug-yeonghwabuteo-hangugjeonjaeng-ihuggaji 위의 기사에도 적혀있듯 안타깝게도 의리적 구투는 이 글을 쓴 시점으로 필름이 소실되었고,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황입니다만 동시기인 1910년대 작품들 중에는 다행히 후대까지도 보존되어 전달된 작품들도 존재하며 그 중 일부나마 소개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프랑켄슈타인' 실사판 Frankenstein (1910) 여성 작가 '메리 셸리'의 인기 원작 소설을 (1818)을 실사화하며 대폭 각색한 무성 단편 영화이며, 한때는 이 작품 역시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영화 수집가가 마찬가지로 영화를 수집하던 시어머니 덕에 살아남은 필름을 확보해 이후 복원 작업을 거치며 후대에도 알려졌습니다. '리틀 네모' 애니 + 실사 단편 영화 Little Nemo (1911) 이전에도 소개한 바 있는 작품으로 당시 인기리에 연재한 인기 원작 만화 '리틀 네모'를 실사 +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제작한 무성 단편 영화 작품이며 처음에는 사람이 직접 나와 손으로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묘사했다가, 이후 정지해있던 그림에 컬러가 입혀지며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으로 전환되는 방식의 연출을 한 작품으로 이후 미국 국립영화등기부의 보존 작품들 중 하나로도 포함됐습니다. '북극 정복' 실사판 The Conquest of the Pole, À la conquête du pôle (1912) 쥘 베른의 소설 '경이의 여행'을 원작으로 삼은 실사판 작품으로 '극지 정복', '극점 정복'이란 제목으로도 알려졌으며, 아문센 등 실제 탐험가들의 영향을 받아 다양성을 갖춘 인물들이 나와 탐험에 나서다 거인과 마주치는 내용을 다루었으며,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고 이후 아시아권의 가메라 시리즈나 대마인 시리즈 등의 특촬 작품들에도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나왔습니다. '메뚜기와 개미' 실사판 The Grasshopper and the Ant" Стрекоза и муравей (1913) 이솝 우화의 유명 원작을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모형들을 움직이며 촬영한 작품으로, 이 작품에선 메뚜기가 사슴벌레와 함께 병다발로 마시며 놀다가 일하고 있던 개미를 때리는 등의 각색도 해서 관객들에게 미리 비호감 이미지를 만들어 개미가 잘 되고, 메뚜기가 혼쭐 나길 바라는 심리를 유도하는 일종의 빌드업(?) 과정을 거친 뒤에 후반에 서로 다른 결말을 맞이하는 인과응보적 내용으로 묘사했습니다. '카비리아' 실사판 Cabiria (1914) '티투스 리부스'의 책, '에밀리오 살가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은 실사판 장편 무성 영화 작품으로 고대 시대를 배경으로 주인공 카비리아가 화산 분화에 휘말려 대피하는 중 가족과 떨어지고, 해적에 잡혀갔다 인신공양 제물을 원하는 광신도들에게 끌려가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평론적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고, 화질 보강 및 컬러화 판본도 나온 한편으로 시기가 시기라 프로파간다로 악용하는 이들 역시 존재했다는 견해도 나왔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publicdomain.co.kr/archives/642 아래 내용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기원전 3세기. 에트나 화산이 보이는 카타나의 정원에서, 저택의 주인인 바토가 지극히 사랑하는 딸 카비리아는 유모와 즐겁게 놀고 있다. ‘불꽃의 정령’을 상징하는 자신의 이름같은 격동의 시간이 다가 오고 있음을 알지 못한 채….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였던 문호 가브리엘 다눈치오의 원작을 이탈리아 무성영화의 거장 조반니 파스트로네가 영상으로 옮긴 작품으로, 세계영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 중 하나인 D. W. 그리피스의 <국가의 탄생>(1915)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대형 역사극의 고전이다. 토리노국립영화박물관이 디지털로 복원해 2006 칸 클래식 섹션, 베를린국제영화제 등에서 마틴 스콜세지가 제공, 상영한 버전이다. 특히 이 버전은 식민시대 조선에서도 상영된 바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떠돌이' The Tramp (1915) 한국에선 '방랑자', '부랑자' 등의 제목들로도 알려진 작품으로 '찰리 채플린'이 자주 연기하던 캐릭터를 제목으로도 사용한 코미디 장르의 단편 영화 작품이며, 주인공이 농부의 딸을 돕는 과정에 온갖 코미디적 상황들을 겪으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후대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엄격했던 과거에 나온 작품이라 일부 장면은 당시 심의에서 문제가 되기도) 이 작품 역시 컬러 복원판이 나왔습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DH2PxPKp1-KdmULBJgoWVPImdgl7rEr '쥐덱스' Judex (1916) 1910년대에 나온 프랑스의 슈퍼히어로 영화 작품으로 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는 와중에도 여러 회차로 구성된 연작 영화 형식으로 상영하며 인기를 얻었으며(구체적인 것은 위의 플레이리스트 링고 참고), 이전에 나온 '팡토마'나 '흡혈귀들'이 범죄를 미화할 위험성이 있는 내용으로 지적받은 것과 대조적으로 이 작품에선 부패한 은행가로 인해 삶이 망가진 인물이 응징에 나서는 내용을 다뤘고, 나중에 나올 '쉐도우' 시리즈 및 '배트맨' 시리즈보다도 선배격(?)인 위치의 작품이 되어, 프랑스에 쉐도우 코믹스판이 연재될 때는 아예 제목을 '쥐덱스'라고 내걸던 사례도 있었습니다. '하나와 헤코나이 명검 편', '무뎌진 칼' 塙凹内名刀之巻 なまくら刀 (1917) 아시아권에서 초창기에 제작한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사무라이가 칼로 사람을 베어보려다 오히려 무뎌진 칼이라 실패하고 혼쭐이 나는 내용을 다뤘으며, 한동한 소실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나중에 골동품점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슬럼버 산의 유령' The Ghost of Slumber Mountain (1918) 소실된 분량들을 제외한 후대에도 발견된 일부 분량들 기준으로 현대인들이 티라노사우르스, 트리케라톱스 등 원시 시대 생물들을 목격하며 벌어진 내용을 다룬 단편 무성 영화 작품으로, 스톱 모션 특수효과로 작 중 생명체들이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것처럼 연출해 평론적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흥행에도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펠린 폴리스' Feline Follies (1919) '고양잇과 풍자극'으로도 해석 가능한 제목의 무성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주인공 고양이가 연애 사업(?)에 열중하느라 쥐들에게 집안이 털리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인기 캐릭터 '펠릭스 더 캣'(당시에는 '미스터 톰')의 데뷔작이기도 하며, 펠릭스에 관해선 아래 링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publicdomain.co.kr/archives/220 '한국영화 100년 기념 공연 의리적 구투' (2019) 위에서 언급한대로 한국 최초의 영화로 알려진 1919년 작품 '의리적 구토' (의리적 구투)는 이 글을 쓴 시점에선 소실된 상태라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디만, 대신 남아있는 기록을 토대로 '안똔체홉극장'에서 100주년 기념작을 제작해 공개했으며, 아래 내용은 해당 채널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이 작품은 2019년 한국영화 100년 기념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창작희곡이다.100년전 한국 최초의 영화인 동명의 ‘의리적구토’가 연쇄극(Kinodrama)이라는 연극과 영화가 합쳐진 형태로 서울 단성사에서 개봉되었었다.3.1운동이 일어난 해에 국내자본, 국내연출가, 국내배우에 의해 만들어진 최초의 영화라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또한 원작이 연극이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당시의 시대상에 맞추어 스크린으로 개봉되었다는 점 역시 역사적으로 주요한 부분이다.하지만 아쉽게도 당시의 의리적 구토 (혹은 구투)는 필름도 시나리오도 사진도 남아있지 않다.단지 개봉과 흥행에 관련된 신문기사 기록만 존재한다.‘부유한 집의 아들 송산이 집안의 재산을 탐내며 흉계를 꾸미는 계모 때문에 고심하다가 결국 정의의 칼을 빼든다’는 내용의 두 줄짜리 줄거리만을 가지고 연출가이자 작가인 전훈이 110분짜리 사실주의 희곡으로 완성시켰다.한국영화 100년에 의미를 부여하여 창작된 작품이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한국 최초의 영상연극 100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무엇이던 이 작품의 발굴과 리메이크는 연극과 영화사에 주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당시 영화를 연출한 김도산 감독은 1918년 처음 ‘의리적 구투(鬪)’란 연극을 대중들에 소개한 후 이듬해 ‘의리적 구토(討)’로 연극 및 영화를 만들었다. 따라서 구토 혹은 구투 모두 같이 사용된다.-정리 안똔체홉학회배우소개 및 인터뷰 바로가기 https://sites.google.com/view/gootoo/cast
콩라인박작성일
2025-06-30추천
0
-
[영화] 피터 팬 (1902) 관련 무료 공개작들 ft. 1987년 실사판
* 본래 호러 동화(?) 영화 시리즈로 피터팬도 나온 것에 맞춰 준비한 내용을 살짝 수정한 글입니다. * 일부 작품들 관련 내용은 후대 시점에서 보기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 뿐만 아니라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1902년에 피터 팬 캐릭터가 데뷔한 후, 피터 팬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연극 및 소설 '피터와 웬디'이 큰 인기를 얻은 이후 실사판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TV 시리즈, 원작을 대폭 각핵한 호러 영화, 여성들이 자주 피터 팬 역을 맡은 뮤지컬 연극 작품들, 식품 광고, 비디오 게임 등 수많은 파생작들이 나왔으며(이 과정에서 후대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내용 역시 시대의 발전에 맞춰 각색되기도) 이후 피터팬 증후군 등의 용어가 유명해지고, 피터팬을 모티브로 오마쥬한 작품들도 여럿 나오는 등 직접적인 관련작들 이외 분야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래 내용은 교보문고에서 인용한 소설 '피터 팬과 웬디' 작품 소개입니다. 『피터 팬과 웬디』는 스코틀랜드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제임스 매튜 배리가 1904년 희곡 『피터 팬』으로 선보여 1911년 개작한 소설로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명작이다. 무성영화부터 뮤지컬,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모습으로 재탄생되어 오늘날 대중문화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전 세계 가정집의 책장에 자리 잡아 어린이들의 동심과 상상력을 길러주는 이 불멸의 작품은 어린이를 위한 동화로만 볼 수는 없다. 무거운 삶을 살아가는 어른들도 이 책을 읽음으로써 일상생활의 기쁨과 즐거움을 누리고, 상상력을 되찾아 새로운 꿈을 꿀 기회를 얻을 수 있다.어른이 되기를 싫어하는 피터 팬과 소년들이 어울려 사는 환상의 세계 네버랜드를 배경으로 기상천외한 모험담이 펼쳐진다. 달링 가의 세 아이들은 피터 팬을 따라 밤하늘을 날아 심술궂은 인어들과 악어들이 사는 그곳에서 집 잃은 소년들을 만난다. 아이들은 후크 선장이 이끄는 해적 무리에게 위협을 받는데…….이 소설은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들과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를 더한다. 하늘을 날아다니고 인어와 요정이 등장하지만, 마냥 신나고 아름답지만은 않다. 독특하고 낯선 환상의 세계에서 작품의 이면에 존재하는 인간의 본성과 작가가 날카롭게 풍자하는 현실을 감각할 수 있다. 이야기가 없는 세계에서 사는 어른들의 모습에서 벗어나 마음만은 영원히 늙지 않는 신비의 세계로 떠나보자.[작품 해설 중에서]피터 팬(Peter Pan)은 스코틀랜드 작가 제임스 매튜 배리(James Matthew Barrie)가 창조해낸 우리 가슴에 언제나 살아 있는 “영원히 나이 먹지 않는 소년”이다. “세상에서 가장 착한 작가”로 불리는 배리가 1904년에 써낸 희곡 『피터 팬』과 이 희곡을 토대로 1911년에 개작한 소설 『피터 팬과 웬디』는 세계 문학사상 불멸의 작품이 되었다. 이 소설은 전 지구상의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잃어버린 마음의 고향이다. 우리는 모두 피터 팬의 놀랍고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마음의 지도를 다시 그릴 수 있다. 이 소설은 답답한 도시에서 고단한 일상을 힘겹게 살아내고 있는 우리에게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우리의 몸, 마음 그리고 영혼까지 맑게 해주는 산소 같은 소설이다. (중략)소설 『피터 팬과 웬디』를 어린이를 위한 소설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 어린이들이 이 소설을 읽고 일상생활의 기쁨과 즐거움을 누리고 상상력을 길러야 하는 동시에 무겁고 어두운 삶을 이어가는 어른들도 이 소설은 반복해서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소설은 결코 아동문학만이 아니다. 어떤 의미에서 ‘아동문학’이라는 범주를 설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문학은 나이를 초월하는 것이다. 물론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에게 읽기 어려운 시나 소설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모든 문학은 나이차별주의(ageism)를 초월해야 한다. 노인들도 아동문학을 읽고 꿈을 꿀 수 있어야 하고, 어린이들도 예언할 수 있어야 한다. 『피터 팬과 웬디』는 영어로 쓰여진 소설이지만 번역을 통해 나이와 민족과 지역을 뛰어넘어 함께하는 전 지구 문학이다.『피터 팬과 웬디』는 1911년 출간 이후 전 세계 대중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무성영화부터 팬터마임, 뮤지컬, 영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다양하게 모습을 바꾸면서 계속 재탄생했다. 앞으로도 『피터 팬과 웬디』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할 것이다. 피터 팬의 이야기는 시대와 지역을 넘어 우리의 마음속에서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정정호(문학비평가, 중앙대 명예교수)[역자 후기 중에서]아동문학은 특별히 독자가 아동이라는 것을 명시하고 씌어진 특수한 문학 장르입니다. 그러나 아동문학의 내용을 보면 성인과 아동을 모두 아우르는 이중독자를 가정하고 씌어 있습니다. 자주 우리는 아동문학이 성인 독자를 배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동문학을 창작한 사람은 성인이고, 아동문학을 아동에게 추천한 사람도 성인입니다. 아동문학을 아동에게 추천하려면 먼저 성인이 읽어야 합니다. 그래서 작가는 성인이 작품을 아동에게 추천하도록 성인 독자를 마음에 두고 책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사실 성인 독자는 아동문학을 읽으면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향수의 정서에 빠집니다. 더구나 아동이 책 읽을 능력이 되지 않아서 성인이 아동에게 책을 읽어주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성인은 아동이 읽어주어도 좋을 내용의 책을 선택합니다. 작가는 책을 선택하는 성인 독자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게 아동문학은 성인과 아동을 아우르는 이중독자를 가정하고 씌어졌습니다.(중략)우리는 책의 장(챕터)마다 책의 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뽑아 신호등으로 삼아 각 장의 제목 아래 실었습니다. 이들 본문에서 뽑아 각 장 첫머리에 실은 글들은 원서에는 없는 이 책의 편집입니다.끝으로 책 읽기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책의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책의 내용으로 인해 우리가 떠올릴 수 있었던 생각입니다. 책의 내용이야 언제라도 다시 읽으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떠올랐던 생각은 다시는 없을 나만의 생각이어서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사과가 떨어지고 그 사과 떨어짐이 만유인력에 기인한다는 생각은 뉴턴 이전에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생각입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책을 읽고 책의 내용과 관계없는 엉뚱한 이야기를 한다면, 우리는 아이의 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가 독서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책의 내용이 아니라, 우리가 그 책을 읽지 않았다면 도저히 생각해내지 못했을 우리의 창조적인 사고입니다. 관련 작품들 중에는 1962년 이전 영상 작품들을 포함해 합법적으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는 작품들도 여럿 있으며 일부나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피터 팬' 실사판 무성 영화 Peter Pan (1924) 위에서 언급한 연극 및 소설의 인기를 이어받아 무성영화 시기에 제작된 실사판 영화 작품으로 예산 및 기술력의 한계(아이들의 유모이기도 한 반려견 '나나'는 인형탈 연기로 대체하는 등)를 감안한다면 훌륭한 작품이란 호평을 받아 평론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극장 흥행에서도 대성공을 거두어 후술할 애니메이션 영화에도 영향을 주었고, 이후 컬러화 및 화질과 초 당 프레임을 보강한 판본도 나왔습니다. '피터 팬' 애니메이션 영화 Peter Pan (1953) 한국에서는 본래 '피타 판'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던 극장 애니메이션 영화로 이 작품 역시 평론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고, 흥행에서 초대박 성공을 거두어 사실 상 피터 팬하면 연상되는 이미지에 원작보다도 더 큰 영향을 후대에 줬다고 보는 견해도 나왔으며, 이후에 후속편 및 네버랜드의 조연 캐릭터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외전 스핀오프 작품들도 제작됐습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영국 런던 웬디 달링의 집. 어느 밤,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웬디의 방에 자라지 않는 소년 피터 팬이 찾아온다. 피터 팬은 얼마 전 잃어버린 그림자를 찾으러 숨어들었는데, 도망치는 그림자를 잡으려다 오히려 웬디에게 들킨다. 그림자를 꿰매어준 인연으로, 웬디 삼남매는 피터 팬과 함께 ‘꿈의 섬’(네버랜드)으로 날아간다. 그곳에서는 후크선장의 음모가 진행되고 있었다. 인디언 추장의 딸 타이거 릴리를 납치 협박해 피터 팬과 아이들의 보금자리를 알아내서 습격하겠다는 것이다. 때마침 나타난 피터 팬은 후크선장 일당으로부터 타이거 릴리를 구출해 달아나고, 인디언 추장은 기뻐하며 신나는 잔치를 벌인다. 웬디는 이제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졌지만, 팅커벨을 꼬드겨 피터 팬이 있는 곳을 알아낸 후크선장과 해적들이 그들의 앞을 막아서고, 피터 팬이 보호하는 섬의 아이들 뿐 아니라 웬디와 두 동생까지 모두 잡아간다. 피터 팬은 후크선장과의 결투 끝에 그들을 구해내고 웬디 남매를 런던의 집으로 돌려보내준다. '피터 팬' 소련 실사판 영화 Питер Пэн (1987) 러시아(당시에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2부작 구성의 TV 뮤지컬 영화로 제작된 비공식 실사판 영화로 대륙의 위엄(?)이라고 해야될지 1924년판과 달리 진짜 대형견이 나나 역할을 맡았고, 위에서 언급한 뮤지컬 등 이전에는 여성 연기자들이 피터 팬 연기를 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던데에 비해 IMDB에 따르면 이 작품이 최초로 남성 연기자가 최초로 피터 팬 역을 맡은 실사판 작품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51JScfFH33-xWw_7lQ8C2KM6uxIHCo9p https://powerkids.net/ https://www.newfilmsint. com/ '피터팬의 새로운 모험' The New Adventures of Peter Pan (2012) '피터 팬: 후크 선장과 결투의 날' Peter Pan: The Quest for the Never Book (2018) 프랑스, 독일, 인도에서 합작으로 제작한 CG 애니메이션 형식의 TV 시리즈 및 애니메이션 영화로 웬디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등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각색이 이루어졌으며, TV판은 '파워 키즈'에서 일부 에피소드는 한국어 더빙판으로도 무료 공개 중이고 그 외의 에피소드들도 위의 플레이리스트 링크를 통해서 무료로 감상 가능하며,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는 '뉴 필름즈 인터내셔널' 영화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피터팬: 후크 선장과 결투의 날' 작품 소개입니다. “우리들의 영원한 친구, 피터팬!네버랜드를 구해줘!”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오늘은 네버랜드의 단 하루뿐인 축제가 벌어지는 날!즐거운 하루를 계획하던 피터팬과 친구들 앞에 영원한 라이벌 후크 선장이 등장한다.네버랜드의 알려지지 않은 위험한 비밀이 담긴 마법책을 손에 넣은 후크 선장은 피터팬과 웬디 일행을 점점 더 위험한 상황으로 몰아넣기 시작하는데…과연 피터팬은 새로운 악당들의 등장으로 역대급 위험에 처한 네버랜드를 구할 수 있을까? (출처 : kobis) '피터 팬' 뮤지컬 실사판 (2019) 한국에서 각색한 여러 피터 팬 뮤지컬 작품들 중 하나로(물론 배우들도 한국인들로 캐스팅) 성별 변경 및 아마존 전사들이 나오는 등 일부 각색도 이뤄졌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포항 시 채널에서 무료로 공개 중입니다. '뽀로로 동화나라' Pororo & Fairy Tales (2020) 아동들도 볼 수 있게 순화 및 간략화하는 형식으로 각색한 작품들 중 하나로 기존의 동화 이야기 해주는 작품들이 화자로부터 평범하게 동화를 듣는 경우도 종종 있던 것과 달리 이 작품에선 주인공인 뽀로로 일행이 실제로 피터 팬과 만나 함께 모험을 떠나는 등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구성의 내용도 선보였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작품들 중 '컴 어웨이'처럼 특정 지역 한정 공개 중인 작품 역시 존재하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pluto.tv/on-demand/movies/come-away-2020-1-1
콩라인박작성일
2025-06-29추천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