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7,236);
-
-

[영화] 슈퍼맨 특집 2. 슈퍼맨 관련 추가 공개작들 ft. 슈퍼 래빗 (1942)
* 스포일러로 느껴질 수 있는 내용,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할 수 있는 내용 등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DC 코믹스의 작품들 중 특히 큰 인기를 끌어온 슈퍼맨 시리즈는 원작 만화 코믹스는 물론 영상화 작품들(영화, TV, 비디오 게임, 웹 시리즈 등)도 수없이 많이 제작됐을 뿐만 아니라, 정식 라이센스 작품 뿐만 아니라 비공식 작품들 역시 지속적으로 제작됐으며(당장 2025년에 나온 팬 필름 작품들로만 한정해도 한 둘이 아닌 상황) 이 중에는 무료라 감상 가능한 작품들도 존재해 일부나마 정리해봤습니다. DC 코믹스 90주년 소개글과 마찬가지로, 이전에 유사한 주제로 무료 공개 작품들을 정리해 소개한 바가 있는지라 가능하면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하거나, 이전에는 간략히 넘어간 내용도 추가하며 일종의 확장판(?)격인 내용으로 정리해봤습니다만, 일부 중복되는 내용도 있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슈퍼 래빗' Super-Rabbit (1943) 워너 브라더스의 인기 캐릭터를 통해 패러디한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으로 내용은 슈퍼 당근을 먹고 초능력이 생긴 벅스 버니가 악랄한 사냥꾼을 보고 '슈퍼-래빗이 나설 일이군!'이라고 외친 뒤 교수에게 감사 키스를 한 뒤 직접 가서 혼쭐내다가 당근 에너지를 잃고 위기에 빠졌으나, 벅스 바니가 기지를 발휘해 '진짜 슈퍼맨의 일을 하러 가야겠군!'이라고 외친 뒤, 당시 실제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벅스 바니가 입대해 사악한 전범 집단들인 추축국들에 맞서싸우러 가자 빌런들도 존경하며 경례하는 내용을 글렸으며, 이 작품을 보고 기뻐한 미 해병대는 벅스 버니에게 명예 군번줄을 주기도 했습니다. '슈퍼맨 앤 몰 멘' Superman and the Mole-Men (1951) 본래 TV 시리즈의 견본용 파일럿 필름으로 제작한 작품을 극장에 상영해 좋은 반응을 얻자, 이후 1952년부터 TV 시리즈 정규 편성도 이뤄낸 작품으로 내용은 인간들이 자신들의 세계에 구멍을 뚫어놓자 지하에 살던 몰멘들이 지상에 올라오다가, 인간들 중 강경한 과격파들로 인해 오해를 사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시기 상으로는 DC 코믹스 관련작 및 슈퍼맨 실사판 영화들 중 최초로 장편 영화 형식으로 나온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합법적으로 이용 가능한 사이트인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공개 중이며, 한국어 자막도 존재하니 아래 링크들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archive.org/details/superman-and-the-mole-men-1951 https://cineaste.co.kr/bbs/board.php?bo_table=psd_caption&wr_id=2214013 '슈퍼 핑크' Super Pink (1963) 1963년부터 시작한 핑크 팬더 시리즈 중에 1966년에 나온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작품으로 제목처럼 슈퍼맨을 패러디하여 핑크 팬더가 망토를 걸치고 도와주려 나서지만 코미디 장르다보니 오히려 사고를 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아바르: 블랙 슈퍼맨' (1977) 엄밀히 말해 이 작품의 경우 제목에 슈퍼맨이 들어가나 일종의 비유적 의미로 사용된 작품으로, 내용은 박해 받는 흑인 가족의 아버지가 보디가드에게 초능력 묘약을 주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무비 센트럴 계열 채널 중 하나인 레트로 센트럴에서 공개 중입니다만 유튜브에 전연령으로 공개된 88분 판본 영상이라 일부 내용이 빠진 관계로 아래 링크를 통해 Plex에서 공개 중인 102분 판본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atch.plex.tv/movie/abar '슈퍼맨' 1980년 인도 실사판 영화 సూపర్ మేన్ (1980) 이전의 무료 작품들 소개 때도 언급했듯 인도에서는 60년대부터 수차례 비공인 슈퍼맨 실사판 영화들이 제작됐으며, 이 중 1980년판은 사악한 강도들에게 가족을 잃은 어린 주인공이 고행을 쌓은 뒤 하누만이 힘을 줘서 초능력을 얻은 뒤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Telugu Filmnagar 공식 채널에서 일부 장면을 제외하고 전연령 공개 중이고, Manisha Arts 공식 채널에선 연령 제한을 걸어둔 형태로 무삭제판을 공개 중입니다. '슈퍼맨' 방글라데시 실사판 영화 সুপার ম্যান (1990) 비공인 로보캅 실사판, 비공인 킹콩 실사판처럼 방글라데시에서 제작된 작품들 중 하나로(사이트 별로 년도 표기는 다르나 여기선 IMDB 기준으로 표기) 내용은 멸망한 별에서 온 외계인이 지구에 온 뒤로 초능력을 얻게 된 뒤 벌어지는 내용을 다뤄, 의외로 원작에 충실(?)한 편이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SIS Media 공식 채널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체인징 레인' Changing Lane (2008) 1979년부터 시작한 슈퍼맨 팬 축제인 '슈퍼맨 셀레브레이션'은 팬들이 제작한 팬 필름들도 응모받고, 이 중 선정된 작품들을 공개해왔는데 이 중 '체인징 레인'은 시리즈 70주년인 2008년에 선정된 작품들 중 하나로 내용은 로이스 레인이 비밀이 많은 클라크 켄트와 갈등을 겪어 결국 관계가 깨지기 직전까지 갔으나, 이런 로이스 레인의 마음을 바꾸기 위해 클라크 켄트가 자신의 중요한 비밀을 밝히게 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DC 네이션: DC 슈퍼 펫츠 - 크립토 vs 스트리키' (2013)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 하나로 내용은 슈퍼맨이 슈퍼펫들과 놀아주다가 비상상황이 생겨 급히 떠나자 크립토 더 슈퍼독과 스트리키 더 슈퍼캣이 다른 반응을 보이며 벌어지는 상황을 다뤘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 기준으로 DC 공식 계정에서 무료 공개 중입니다. 'DC 히어로즈 유나이티드' 애니판 DC Heroes United (2024) 동명의 모바일 게임과 연계해 타이인 작품으로 나온 웹 시리즈로 타워 오브 페이트가 고담 시에 나타나며 벌어지는 내용을 다뤘으며, 방송 당시 투표로 내용이 달라지는 형식을 취하기도 했으며, 이 글을 올린 시점으로 비디오 게임 및 웹 시리즈 양쪽 다 무료 공개 중이니 보다 자세한 것은 DC 코믹스 공식 홈페이지 등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https://www.dc.com/games/dc-heroes-united-2024 https://dcheroesunited.com/
콩라인박작성일
2025-07-11추천
0
-
-
-

[영화] 한국계 캐릭터들이 비중 있게 나오는 작품들 ft. '푸 만추' 실사판 (1929)
* 본래 '레벨 문' 시리즈가 나올 때쯤 준비한 내용을 살짝 수정한 글임을 미리 밝혀둡니다. * 스포일러 될 수 있는 내용, 비하, 폭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내용 등 민감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니 주의 부탁 드립니다. 과거의 픽션 작품들 중에는 아시아권 캐릭터들을 푸 만추 시리즈 (1912)처럼 노골적으로 추악하고 교활한 눈 찢어진 괴물 캐릭터로 나오거나, '나비부인' 소설의 실사판 영화 작품들 중 하나인 1919년 영화 '하라키리'(할복)처럼 백인 남성에게 순종적인 아시아 여성이 몸과 마음을 바치도록 수동적인 캐릭터로 나오는 등 도구적인 역할로나 쓰이며 비하당한 사례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68운동 등을 포함한 시대의 발전으로 이런 차별에 문제의식을 느끼는 변화가 점점 나타나며, DC 코믹스 작품이 원작인 70년대 TV 애니 '슈퍼프렌즈' 시리즈의 '사무라이', 90년대 인기 비디오 게임 시리즈 '모탈 컴뱃' 및 1995년 실사판의 '리우 캉'처럼 정의롭고 능동적인 아시아 캐릭터들도 대중매체에서 종종 나타나곤 했습니다.(원작 게임 1편의 '리우 캉'은 스턴트맨 겸 무술가 '박호성' 씨가 모션 캡쳐를 담당) 한국계 캐릭터들 역시 한국 작품들은 물론이고, 타국의 대중문화 작품들에서도 과거부터 여러차례 나왔습니다만, 한국전쟁을 다른 서구권 작품들 중에선 호응을 얻은 1951년 영화 '한국 동란의 고아'('스틸 헬멧' 혹은 '철모'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진 작품)에서조차 작 중에 주인공이 노골적으로 아시아인을 비하하는 용어를 사용해 한국 어린이가 이를 듣고 불편해하며 항의하기도 했고, 이소룡 영화도 패러디한 1977년 영화 '켄터키 프라이드 무비'에선 한국어 대사가 그냥 개그 장면을 만들기 위한 양념으로 쓰여 당시 출연한 한국계 배우가 한탄했습니다. 그리고 개그 대상이 된 경우는 아니지만 신성일 주연에 한국 전쟁을 다룬 '13세 소년' 1974년 실사판이 타국 시장에 어필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백인 배우들이 연기한 닌자 장면들을 추가 촬영해 재편집한 판본이 나오거나, 러시아 시장 및 중국 시장이 중요해진 이후로는 사악한 소련군과 싸우는 내용인 1984년 영화 '레드 던'이 리메이크판에선 북한군이 악역으로 나오는 것으로 긴급 수정되는 등 씁쓸하거나, 웃픈(?) 사례들 또한 종종 나타나곤 했습니다.(다만 레드 던의 경우 80년대 원작 기준으로도 미국이 과거부터 친중 정책을 펼쳐온지라 중국이 선역으로 등장) 한편으로 위의 사례들과 달리 한국계 캐릭터들이 비중 있게 나오며 동료로서든, 라이벌로서든 인상적인 캐릭터로 나오거나, 아예 주인공으로 나오는 작품들 역시 여러 차례 나왔으며 이 중 일부나마 소개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디스트로이어', '난폭자' The Destroyer (1971) '레모 제1편: 위기도전' Remo Williams: The Adventure Begins (1985) 주인공이 비밀조직의 요원이 되어 비범한 능력의 한국인 스승을 만나 수행을 쌓고, 온갖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의 인기 장편 시리즈 소설로 코믹스판, 후술할 실사판 영화로도 각색됐으며 한국에선 '디스트로이어'라는 제목의 번역본 및 '난폭자'란 제목의 번역본으로도 수입된 바 있습니다. 실사판 영화의 경우 위에서도 적혀있듯 해외에선 '모험의 시작'이란 부제가, 한국에서 극장 개봉할 당시엔 한자로 '제1편: 위기도전'이란 부제가 붙어있었으며, 작 중 한국 관련 내용이 나와서 한국 영화 프로그램에서도 외국 영화 속 한국 특집으로 소개된 바 있는데 당시 한국을 비하하는 작품들은 당연히 문제지만, 그렇다고 신격화하는 것도 낯간지러워 죽겠다며 제발 평범하게 사람 대 사람으로서 등장시켜주면 좋겠다는 나레이션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작품 소개입니다. 그린베레 출신으로 뉴욕시 경찰관으로 근무하는 레모는 정부의 특수 공작에 참여 비밀첩보원으로 발탁된 뒤, 첩보원 메클리어리의 습격을 받아 일단 사망한것으로 처리된다. 되살아난 레모는 특수 첩보원으로 신분을 감추기 위해 성형수술로 얼굴을 뜯어 고치고 한국인 전노인으로부터 무기가 필요없는 "시난주"라는 무술을 배워 그로브 일당이 건설하고 있는 미래의 우주방어시스템에 관한 비밀을 캐낸다.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 시리즈 'Best of the Best' (1989) 태권도를 다루는 작품이라 당연하게도(?) 한국인들 역시 나오는 작품으로, 작 중 '필립 리'가 연기한 '토미 리' 역시 비중 있게 나오며 시리즈가 지속되면서 아예 토미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속편 영화들 역시 제작됐습니다. 아래 내용은 TMDB에서 인용한 시리즈 1편 작품 소개입니다. 태권도를 하는 알렉스는 3년전 어깨 부상을 당한 후 치료를 하면서 재기의 기회를 노리던 중 1989년도 세계 챔피언전에 미국 대표 선수 5명에 발탁되어 맹훈련을 받는다. 5명 중에는 한국계 미국인인 타미 리도 있다. 그는 15여 년 전 한-미 친선 태권도 경기에서 미국 대표로 출전한 자신의 형이 한국 최강의 선수 대한에게 죽음을 당하자 이것의 복수를 벼르고 있던 차에 그와 맞닥드리게 된 절호의 기회가 온 것이다. 타미는 상대를 죽음으로도 몰 수 있는 뛰어난 실력을 갖고 있지만 왠지 모를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 마침내, 한국의 장충 체육관. 수 많은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미 태권도 시합이 벌어진다. 시종 리드를 당하던 미국은 한쪽 팔을 부상당한 알렉스의 분투로 승기를 잡고 한국을 추격, 마지막 타미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역전의 기회를 잡는다. 그런데, 대한을 TKO까지 몰고 간 타미가 결정적인 순간에 주춤한다. 코치 쿠조, 알렉스도 타미에게 자제하게 하고, 이로 인해 33대 32로 미국팀은 아깝게 패한다. 타미는 복수에 대한 죽음이 헛됨을 깨달은 것이다. 시합이 끝나고, 메달 수여식에서 대한은 타미에게 형을 죽인 것에 대해 사죄하면서 자기가 졌노라고 머리를 숙인다. '아랑전설' 시리즈 餓狼伝説 Fatal Fury: King of Fighters (1991) '아랑전설 더 모션 픽쳐' 餓狼伝説 THE MOTION PICTURE Fatal Fury: The Motion Picture (1994) '사우스타운'에서 벌어지는 대결을 주로 다룬 인기 대전격투 게임 시리즈를 원작으로 여러 버젼의 코믹스판 만화(이 중에선 게임적 허용으로 나온 2P 캐릭터들을 클론인간이란 그럴싸한 설정을 넣어 설명한 작품도 존재), TV 스페셜 애니메이션, TV 스페셜 애니메이션의 속편으로 제작된 극장판 애니메이션 영화, KOF(더 킹 오브 파이터즈) 게임과 애니판 및 실사판에 아랑전설 캐릭터들이 나오거나, 타 작품에서도의 패러디도 수차례 되는 등 여러 미디어믹스 작품 및 파생작이 나온 시리즈 작품. 해당 시리즈에서 이름은 실존인물에서 따오며 설정 상 태권도의 고수인 한국인 캐릭터 '김갑환'이 실력파 캐릭터로 나왔는데, 극장판 영화 아랑전설 더 모션 픽쳐'에선 빅 베어처럼 팬서비스로 몇초 나온 것도 감지덕지인 캐릭터들도 있는 와중에 김갑환은 정중하게 존댓말로 이야기하고 괴한이 습격하자 직접 나서 원작의 초필살기 '봉황각'도 사용해 승리하는 장면이 나오는 등 주인공 일행을 제외한 조연 캐릭터들 중에선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수혜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아래 내용은 '왓챠피디아'에서 인용한 '아랑전설" 더 모션 픽쳐' 작품 소개입니다. 모든 격투기의 원조라고 일컬어지는 고다마스 일족이 가진 신비로운 갑옷 '마르스의 투의'. 그 일족의 자손인 라오콘은 마르스의 투의와 함께 테리앞에 나타나, 여동생 스리아를 구해달라는 요청을 해오는데... '지 아이 조' (G.I. 유격대) 실사판 시리즈 G.I. Joe (2009) 작 중 어린 시절의 스톰 쉐도우와 스네이크 아이즈가 싸우다 스승이 말리는 장면이 나오며, 해당 장면에서 한국어도 직접적으로 나왔으며('도둑놈이다!', '뭘 훔치고 있었어요.' 등), 성장한 이후에 각자 코브라 소속 대원과 G.I. Joe 소속대원으로 비중 있게 나온 것은 물론, 1편 캐릭터들 중 대부분이 안 나오고 다른 캐릭터들이 나오는 속편에서도 이 둘은 여전히 비중 있게 나왔습니다. 아래 내용은 KMDB에서 인용한 실사판 1편 작품 소개입니다. 타고난 재능과 강인한 결단력을 지닌 특수부대 대위 ‘듀크’는 가공할 파괴력의 최첨단 무기를 운반하는 임무 중 정체불명의 공격으로 팀원들을 모두 잃는다. 무기를 노리고 공격을 해온 이들은 인류를 위협하는 테러리스트 군단 ‘코브라’. 치명적인 매력으로 일급 기밀을 손에 넣어 전세계를 파괴하려는 ‘코브라’의 계획에 앞장선 ‘배로니스’와 선과 악의 구분 없이 주어진 임무만을 수행하는 비밀 병기 ‘스톰 쉐도우’가 속한 ‘코브라’ 군단에 맞서기 위해 전세계 최정예 엘리트 멤버들만이 모인 특수군단 ‘지.아이.조’가 투입되고,‘듀크’ 역시 이에 합류한다. 그리고, 이집트 사막부터 극지의 빙하에 이르기까지 불가능도 실패도 없는 두 군단 ‘지.아이.조’와 ‘코브라’의 격돌이 시작되는데… '문명 5' Civilization V (2010 *) 90년대부터 오래 동안 인기를 끌어온 시뮬레이션 장르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로 이 중 5편이 한국에서 투표를 한 후 세종대왕과 한국 문명이 나오는 DLC를 발매한 바 있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기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영상]세종대왕과 거북선 등장! `문명5` 마침내 대한민국 문명팩 공개 https://www.etnews.com/201108090105 '케이팝 데몬 헌터스' KPop Demon Hunters (2025) 소니에서 제작한 뮤지컬 판타지 자을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한국 아이돌과 퇴마를 결합한 소재로 스트리밍 서비스에 공개해 평과 흥행 양쪽 다 대성공을 거두었으며(주인공 그룹은 물론이고 라이벌 그룹 역시 현실에서 큰 인기를 얻기도), 이후 속편 제작 등 시리즈화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기사가 보도됐습니다. 아래 내용은 넷플릭스 홈페이지에서 인용했습니다. 케이팝 슈퍼스타 루미, 미라, 조이. 매진을 기록하는 대형 스타디움 공연이 없을 때면 이들은 또 다른 활동에 나선다. 바로 비밀 능력을 이용해 팬들을 초자연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이 외에도 '돈 룩 업' 등 작 중 한국 관련 내용이 나오는 작품들도 여럿 있으며 이와 관련해선 아래 기사도 참고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한국도 관심보인대!" 이제는 힙한 나라가 된 영화 속 대한민국 [SE★초점] https://news.zum.com/articles/73132560/
콩라인박작성일
2025-07-03추천
0
-
-
-
[TV·연예] 김용빈·김의영·82메이저·하이키·유니스·아홉, K탑스타 1위 등극
김용빈, 김의영, 82메이저, 하이키, 유니스, 아홉이 K탑스타 1위에 등극했다.K-POP의 현 상황을 알려주는 글로벌 K팝 투표사이트 ‘K탑스타’(KTOPSTAR)에 따르면 6월 16일부터 6월 22일까지 51회차 인기 투표가 진행됐다.김용빈, 진해성 제치고 3주 연속 1위현재 ‘최고의 트로트(남)’ 부문에서는 1위 자리를 두고 김용빈과 진해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51회차 ‘최고의 트로트(남)’ 1위는 김용빈이 차지했다. 앞서 김용빈은 1위에 올랐던 진해성을 누르고 다시 1위에 오르며 인기를 입증한 바 있다. 2위에는 진해성이 김용빈을 뒤쫓았다. 3위는 김호중이 이름을 올렸다.엎치락뒤치락..김의영, 홍지윤 꺾고 ‘K탑스타’ 1위 재탈환홍지윤과 치열한 투표 경쟁을 펼치고 있는 김의영은 51회차 ‘최고의 트로트(여)’ 부문에서 다시 1위 자리를 거머쥐며 재탈환에 성공했다. 전주 1위였던 홍지윤은 2위에 올랐으며, 3위는 김다현에게 돌아갔다.82메이저, ‘K탑스타’ 최고의 아이돌로 존재감 증명투어를 펼치며 ‘공연형 아이돌’의 진가를 보여주고 있는 82메이저는 51회차 ‘최고의 아이돌(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2위에는 플레이브가 안착했으며, 3위는 엑소가 차지했다.하이키, ‘K탑스타’ 최고의 아이돌 등극컴백을 앞두고 있는 하이키는 51회차 ‘최고의 아이돌(여)’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존재감을 빛내는데 성공했다. 2위에는 에스파가 이름을 올렸다. 3위는 아이유가 차지했다.
-
-
-
-
-
-
[정치·경제·사회] 정치 이야기
정치, 그 중요한 이유에 대해 말하고 싶습니다요즘 젊은 사람들은 정치에 대한 관심이 적다고들 합니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정치적 담론이 복잡하게 느껴지고, 때로는 실망스러워 보일 수도 있겠죠.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정치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입니다.제가 젊었을 때, 선배들은 정치에 대해 이렇게 말하곤 했습니다. "정치는 반장선거와 같다." 그만큼 정치가 우리의 미래, 우리의 삶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임을 알았던 시대였습니다. 이념과 이데올로기의 이야기도 많이 나눴고, 서로 다른 의견이 충돌할 때마다 뜨겁게 토론하던 기억이 납니다. 정치적 참여가 단순히 의무가 아니라, 우리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방법이라고 믿었죠.하지만 요즘의 20대들은 정치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들은 각자의 삶에 집중하고, 자신만의 길을 걷고 있겠지만, 정치가 단지 멀리 있는 것이 아님을 알아주었으면 합니다. 정치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단순히 몇몇 사람들의 문제에 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내리는 선택 하나하나가 우리 사회와 미래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세대를 넘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정치는 단지 투표를 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을 나누고, 정의를 지키며, 공정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우리는 그 속에서 책임감을 갖고,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단지 나만의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일입니다.젊은 세대가 이 중요성을 깨닫고, 정치에 대해 다시 한 번 관심을 가지길 바랍니다. 우리가 하고 싶은 일, 그리고 원하는 세상이 무엇인지를 정치적 대화 속에서 찾고, 세대 간의 다리 역할을 해야 할 때입니다. 결국, 세대 간의 DNA처럼 우리가 남긴 이야기와 선택은 후에 또 다른 세대에 의해 이어지게 됩니다.여러분이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내가 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우리의 미래가 그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우리가 지금 하지 않으면, 후회는 또 다른 세대에게 맡겨져야 합니다. 이 이야기를 꼭 전하고 싶습니다. 정치적 참여, 그것이 바로 우리의 미래를 만드는 길입니다. ----------정치 이야기를 세대간 토론 할수 있도록 써달라고 했더니.. 챗GPT가 저렇게 써주네요..;;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제 세대간 정치 이야기를 했으면 합니다. 꽉 막힌 대화가 아닌 열린 정치 대화를요..과거를 반복하지 않도록..!!
-
-
-
[정치·경제·사회] 언제쯤 저 당은 없어질 수 있을까요...??
국회의원의 연봉은, 약 1억 5700만원 입니다.매달 1300만원 정도입니다. ……… 그런데, 얘네들은 뭘 하는데 돈을 받아가는건가요??? 그것도 세금으로???? 회사로 비교하면 이렇다고 생각됩니다..회사에서, “회사 직원들에게 부장 및 임원의 월급을 나누어주고, 그들이 직접 자기들이 월급을 주기에 적절한 부장을 뽑도록 하겠습니다.” 라는 정책을 내었다고 가정합시다. 그런데, 일부 부장들이 이렇게 활동합니다.본인 선거구를 위한 활동을 안함 = 부장이 부서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올리고자 하는 활동을 안함.입법 안함. = 부장이 의견을 올리지 않음.본회의 투표 안함 = 부장이 회사 방향성 선택의 투표에 참여하지 않음.청문회 참석 안함 = 부장이 임원 선택을 위한 회의에 관심이 없음. 이정도면 회사에서도 부장 짜를려고 하지 않나요??? 그런데, 그 부장이 회사 내 어떤 라인에 줄 대고 있고, 그 라인이 단체로 저런 행동 하고 있으면,회사는 그 라인 들어내려 하지 않나요???지금 보면, 그러한 부장과 라인을 직원들이 막고 세우고 있어요. 정확히 맞는 비유는 아닙니다만,진짜 그들을 응원하시는 분들의 사고 방식이 이해가 안가서요. 이쯤 되면, 회사에서도, 그 부서 밑의 직원들도, 갈아엎고 싶어서 난리가 나야 하는데…대부분이 응원하고 있는 실태가 너무나 궁금하네요.진짜, 너무나 궁금해서,PK, TK 사는 친구들, 부모님을 포함하여 그들을 지지하는 분들에게 물어봐도, 제가 느낀 바로는 “그들도 모릅니다” 돌아오는 대답을 제 나름대로 해석하자면,‘나도 명확하게는 모르고, 근거는 없지만, 부모님부터 그렇게 얘기해서, 지금까지도 주변에서 다 그렇게 얘기함’입니다. 사람의 이념을 퇴화 시키려는 공작은 여전하고,그들은 온라인 상에서 국민을 “우민화”시키려는 계획을 펼쳐 나가고 있고, 실제로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도 그렇게 받아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진짜, 너무나 우려됩니다. 그들은, 언제 없어질 수 있을까요????
Nez작성일
2025-06-06추천
30
-
[정치·경제·사회] 졸렬하고 빡치는 그들.....
먼저, 즐거운 소식들 보시다가, 짜증나는 기사 보여드려서 죄송합니다. 기사전문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03498 짜치는 포인트 1. 이제와서???? - 6개월도 지났는데, 대선까지 끝나고 나니 이제와서? 뭔 헛소리임?? 2. 사과를 하는데, 표결 참여는??? - 특검법 투표 참여도 안하고, 심지어 내란 특검 표결도 안하고 “국회 앞에서”, 그것도 국회 본관앞에서 사과한다고?3. 대가리들은 뭐하고, 초선부터??? - 릴레이 대국민 사과라면, 대가리부터 해야하는거 아니냐. 왜 초선부터 하냐? 4. 탄핵소추가 너무 빨리됐다고? - 그 전에 탄핵 소추가 2회나 있었고, 탄핵 소추는 내란으로부터 11일이 지난 뒤에 됐는데…. 3, 4차 탄핵 소추안을 기다렸다고? 말이 되냐?5. 그러니까, 잘못은 “여론”과 “민심”이라고? - “탄핵 소추가 빨리”되고, 설명전에 광장의 민심이 “탄핵 반대”로 응집되어서, 설명할 틈이 없었다고?? 그럼 6개월간 설명 안하고 뭐했냐????? 아…… 이것들은 또 다시 시작이네요.이렇게 초선들부터 돌다가, 나중에 어물쩡 넘어가겠죠. 결국 이 당은 잔머리만 굴리면서 버티며 시간 보내다가,계속 말도 안되는 얘기 꺼내면서 물타기 하겠죠. (이미 시작했지만요) 진짜 이 당은 해체가 답입니다.
Nez작성일
2025-06-05추천
15
-
-
[정치·경제·사회] 개인적으로 많이 놀랐지만 나름 분석해 본 어제오늘 대선 결과
20년 넘게 눈팅을 주로 하면서 이런 글을 쓰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만 거의 로그인만으로 소령진급한 기념으로 글 한번 남겨봅니다^^ 대선 결과 득표율에 따른 개인적인 분석을 해 보자면, 30%는 디폴트로 깔겠습니다. 이건 뭐....나라를 팔아먹어도 그 당이라고 하니 답이 없다고 봐야합니다. 상식적인 사고와 판단을 하는 사람의 시각에선어제 득표율 보시면 도무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첫번째, 이재명의 득표율이 투표자의 과반 50%를 넘지 못한 점 두번째, 김문수가 무려 40%를 넘어선 점 세번째, 이준석이 10%에 가깝게 득표한 점 이 세가지가 다 맞물려 있는데 내란시도 및 옹호, 국정운영개판, 무능력자속출, 비리혐의자다수(+싸가지없음), 공사주의자들이나하던 여러 행태들(한덕수 낼름교체 등) 사실관계왜곡비약 등을 시전하고도 반반치킨 결과를 만든 건 바로 첫번째 원흉 : 우리만 몰랐던 다양한 루트와 광범위한 여론 조작 상황 (+주요언론의 옹호 및 확대재생산) 두번째 원흉 : 자유롭고 편리한 인터넷 및 모바일 사용 환경 (좋은 거지만 원흉인 이유는 악용되면 원흉이 될 수 있음을보여준 다음 사례 때문입니다 => 극우유튜버, 극우단체, 기득권종교세력의 손쉬운 설파도구, 가짜뉴스카톡, 일베같은 인터넷커뮤니티 활동 등)좋은 인터넷 환경은 잘못된 정보에 대한 팩트체크를 귀찮게 여기게 합니다. 이로 인해 인터넷 뉴스, 인터넷 글, 카더라 통신 등을 그대로 사실인양 받아들이기 쉬워집니다. (노력따위 안함) 세번째 원흉 : 고령화사회 투표권자들 중 고령자들이 많아지고 이들 세대는 세뇌교육이 완료된 세대라 바뀌기 어려움 (박정희 이승만 전두환 등등), 시간도 많으시고… 네번째 원흉 : 어려운 경제 및 사회환경, 물론 우리나라 경제가 세계 10위권이고 좋은 사람들도 많지만,생각보다 어려운 환경에 놓인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붸상구 같은 놈들이 돈 몇푼에 양심을팔아먹을 때 거리낌이 없게 만듭니다. 다섯번째 원흉 : 저쪽당 텃밭 사람들 / 제주,광주처럼 뭘 당해본적이 없음 세뇌만 당해봄, 근데 이쪽 인구가 상당함 여섯번째 원흉 : 기득권 세력 (언론은 아까 얘기했으니 빼고) 기득권은 그걸 지키기 위해 별 짓 다 했을텐데아무래도 기득권이다보니 권한도 많을테고, 돈도 많을 겁니다. 네트워크도 다양하고 넓겠죠 이를 최대한 활용했을거라 예상합니다. 이런 것들이 이재명을 악마화했고 실제로 그게 통했고 (지난 대선부터 지금까지) 그런 이미지를 만들고 활용했던 수 많은 적들 (수박들부터, 국힘, 준스톤놈당)이 있었고그게 이런 비상식적인 결과를 만들었다고 봅니다. 이해하려고 하면 안되겠더라고요, 이해가 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상식적인 사람과 비상식적인 사람, 논리적인 사람과 무논리인 사람 대화도 안되고 이해가 안됩니다. 왜냐하면 자기 주변에는 비슷한 사람들로 채워져 있기 마련입니다. 상식적인 사람 주변엔 상식적인 분들이 많겠죠, 그래서 우리가 저런 원흉들이 눈에 잘 안 보였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득표율 보고 너무 놀란 걸 수도 있구요 어쨌든 결과를 얻었으니, 최대한 일잘하는 일꾼을 활용하여, 망가진 나라 바로 세워야겠습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멋쨍이작성일
2025-06-04추천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