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4,226);
-
-
-
[정치·경제·사회] 2찍들을 보면, "지자체"와 같은 "행정" 자체를 모름.ㅋ
꼭 이럴때 나오는 것들이 있지요. “우리 지역에 이거이거 해주세요" 불만도 많고, 이거 안되면 망한다…등등.그리고 한다는 말이.“정부가 책임지세요”. 그리고 기레기들은 이런 기사들 퍼나르지요. 지자체는,“국가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아 지역의 지방사무를 처리하는 단체”입니다. 지자체는 집행부, 집행기관이며, 국가 영토의 일부를 구역으로 하여 법의 허용범위 내의 지배권을 소유하는 단체입니다. 이렇게 말하니, 2찍들은 이해 못하죠? 즉,“정부에서의 법적 권한”아래, “주민 스스로 지역을 관리한다”라는 명분아래, “지역을 관리할 사람을 뽑는”것이 지방선거고, 이렇게 이루어 지는 것이 “지방자치단체”입니다. 다시말하면,“정부는 권한과 돈을 내려줄테니, 니네 동네, 어떻게 운영할지 니네가 직접 뽑아서 니네가 원하는대 운영하세요” 서울시장은 물론, 구청장, 시장 등등은 이렇게 뽑혀서 “자기네들이 자기들의 구역을 운영한다.”이거에요. 그런데, 지네가 이상한 놈들 뽑아놓고는, 뭐가 달라지는것도 없고 하니까,“정부가 책임지세요” 본인들이 행사한 “국민의 권리”인 표를 저 멀리 던져두고는,“내가 힘드니까 니들이 해줘” 뭡니까, 이거? 그러니 김상욱 의원이 했던 얘기처럼,“그 동네에서 해먹으면 계속 해먹을 수 있으니, 지들끼리 뭉쳐서 유지할 생각만한다”라는 사람이 계속 해먹지요.ㅋ 투표는 “권리”가 있는 사람들이 하는건데, 본인들의 “권리”를 버려놓고는, 아…죄송합니다. 제가 큰 실수를 했네요.그 정도의 사고를 할 능력이 있으면, 그런 사람 뽑았겠습니까.ㅋㅋㅋㅋㅋ 이딴식으로 얘기하는 사람이나,이딴 것을 언론화 시키는 기레기나, 이딴 거 다시 커뮤니티에 올리는 벌레나,다 거기서 거기인것을……(일부, 그 지역에서 다른 선택을 하신 분들께는 굉장히 죄송합니다.)
Nez작성일
2025-07-19추천
45
-
-
-
-

[정치·경제·사회] 조갑제옹이 퍼온 개혁신당 대변인 논평.
저쪽은 그냥 좌중지란인듯 <이번엔 다르다: 국민의힘 위기 극복이 어려운 이유> 국민의힘(과거 한나라당·새누리당 포함)은 수차례 정치적 위기를 겪었고, 그때마다 기적처럼 살아남았다. 2004년 '차떼기' 사태와 천막당사,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당 해체 수준의 몰락은 대표적이다. 당시 모두가 “끝났다”고 말했지만, 국민의힘은 늘 재기했고 결국 정권을 다시 잡았다.하지만 지금의 위기, 윤석열 탄핵 사태와 그 여파 속 국민의힘은 과거와 전혀 다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번만큼은 회복이 불가능해 보인다. 1. 주 지지층의 붕괴: 더 이상 주류가 아니다 국민의힘이 과거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힘은 단단한 지지층에서 나왔다. 2004년 당시 한나라당은 영남과 50~60대 유권자를 중심으로 한 안정된 기반을 갖고 있었다. 이들은 당시만해도 대한민국 사회경제적 주류였다. 2017년 탄핵 정국에서도 보수층은 건재했고, ‘합리적 보수’를 자임한 2030세대 일부가 재기의 불씨가 됐다.지금은 다르다. 2025년 현재, 국민의힘의 핵심 지지층은 더 이상 대한민국의 주류가 아니다. 산업화 세대는 고령화됐고, 청년층은 등을 돌렸다. 단지 지지율이 빠졌다는 문제가 아니다. 이들은 시대의 중심축에서 밀려나 있다. 지지기반이 무너진 정당이 어떻게 미래를 말할 수 있겠나. 2. 정치적 주체의 실종: 수도권과 청년의 씨가 말랐다 정당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새로운 얼굴이 필요하다. 2004년엔 박근혜라는 상징이 있었고, 2017년에는 우여곡절 끝에 중도·개혁보수 인사들이 당을 끌고 갔다. 이들은 수도권과 청년층을 향해 정치적 메시지를 던질 줄 알았고, 적어도 변화를 시도하는 동력은 됐다.지금은 없다. 두 번의 총선에서 연달아 참패하며 수도권은 전멸했고, 청년 정치인은 씨가 말랐다. 대신 영남 의원들만 '중진'이 되어 당을 장악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비전도, 개혁 의지도 없다. 그저 공천만 받으면 된다는 생각뿐이다. 무기력과 보신주의가 당을 덮고 있다. 3. 정체성의 파괴: 윤석열이 무너뜨린 보수의 가치 정당은 가치로 존재한다. 국민의힘은 산업화라는 역사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2000년대 이후 자유주의와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보수로 진화하려 했다. 더디지만 방향은 분명했다.그러나 윤석열이라는 이름 아래 모든 것이 산산조각 났다. 그는 과거의 산업화 유산도, 미래의 자유주의 가치도 모두 망가뜨렸다. ‘자유’를 가장 크게 외쳤지만, 그럼으로써 가장 처참하게 짓밟았다. 보수는 '자유'라는 말을 꺼내는 것조차 민망한 지경에 이르렀다. 결론: 이쯤되면 끝이 보인다 지지층은 무너졌고, 개혁세력은 사라졌으며, 정체성마저 붕괴됐다. 세 가지를 동시에 잃은 정당은 버틸 수 없다. 국민의힘은 이제 ‘보수 정당’도 아니고 ‘국민 정당’도 아니다.과거 국민의힘은 위기마다 살아남았다. 그러나 지금은 누구도 ‘다시 일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지 못한다. 명분도, 동력도, 주체도 없다.이쯤 되면 끝이 보인다.
찢석열작성일
2025-07-17추천
13
-
-
-
-
-
-
-
-
-
-
-
-
-